KR20090001551A -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551A
KR20090001551A KR1020070040347A KR20070040347A KR20090001551A KR 20090001551 A KR20090001551 A KR 20090001551A KR 1020070040347 A KR1020070040347 A KR 1020070040347A KR 20070040347 A KR20070040347 A KR 20070040347A KR 20090001551 A KR20090001551 A KR 2009000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atient
information
emergency medic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호
김진권
강대훈
이영범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0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551A/ko
Publication of KR2009000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응급 환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응급 환자 분류 데이터 중 속하는 환자의 종류를 선택하고, 응급 환자 분류에 따라 응급 의료자원의 가중치 순위를 판단하고, 네트워크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단된 가중치에 근거하여 필요한 의료자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에서 상기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순위와 현재 환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최적의 병원과 필요한 자원을 구비한 기관을 선택하고, 상기 병원과 기관으로 예약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병원, 혈액/장기 기관, 경찰/응급 구조단에서 각각 관리되던 자료의 종합적 활용을 통해, 각종 재난 발생시나 비상시에, 예약된 의료자원으로 신속히 응급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의료자원 관리, 네트워크, GPS, 응급환자

Description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emergency medical data}
도 1은 일반적인 무선페이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순위의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휴대용 단말기 11 : 전화단말기
12 : 전화망 13 : 119 소방상황실
14 : 데이터부 20 : GPS 위성
21 : 혈액/장기 데이터베이스 22 : 병원 데이터베이스
23 : 경찰/응급구조단 데이터베이스 24 :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
25 : 네트워크망 200 :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201 : 데이터 입력부 202 : 데이터 처리부
203 : 저장부 204 : 제어부
205 : 디스플레이부 206 : 통신망 인터페이스부
207 : GPS 모듈 51 : 지리/교통 서버
52 : 병원 서버 53 : 혈액/장기 서버
54 : 경찰/응급 구조단 서버 55 : 응급 구조 처치 DB 서버
500 :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 501 : 데이터 입력부
502 : 데이터 저장부 503 : 데이터 처리부
504 : 데이터 송수신부
본 발명은,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네트워크 연결된 응급 의료자원(혈액, 장기, 의사, 병상, 교통 등)을 통합 관리하여, 예약된 의료자원으로 신속히 응급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응급의료서비스에서 신속한 환자 이송 및 환자의 상태 파악은 응급환자의 예후를 위해서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독거노인과 같은 소외계층을 중심으로 '무선페이징 시스템'을 도입하여, 환자가 발생할 경우 신속히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선페이징 시스템이란, 위급상황에서 휴대용 발신기 또는 수혜자용 단말기 버튼을 누르면, 119 소방상황실에 자동 신고되고, 119 소방상황실에서는 상황실의 모니터를 통해 사전에 입력된 수혜자 정보를 확인하고, 신고자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구급대를 출동시켜 신속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페이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무선페이징 시스템은,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 전화단말기(11), 전화망(12), 119 소방상황실(13), 119 소방상황실 내의 데이터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응급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상기 전화단말기(11)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화단말기(11)에서는 전화망(12)을 통해, 119 소방상황실(13)로 휴대용 단말기(10)를 소지한 수혜자의 응급상황을 통보한다. 상기 119 소방상황실(13)에서는, 응급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부(14)에 저장되어 있는 수혜자 정보(인적사항, 연락처, 병력사항 등)를 추출하고, 수혜자와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구급대로 상기 수혜자 정보를 전송하여 구급대가 신속히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구급대의 응급 요원은 기존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수혜자에게 적합 한 병원의 응급실로 이송한다.
그러나, 도착한 병원의 응급실 내에 수혜자에게 적합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수혜자를 수술하기 어려운 경우, 다른 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곧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응급 환자의 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환자정보에 근거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응급 의료자원의 가중치 순위를 확인하고, 네트워크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가중치 순위에 근거하여 응급 의료자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자료를 근거로, 환자에 적합한 병원 또는 기관으로 예약신호를 전송하여 최적의 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하도록 하여, 예약된 응급 의료자원으로 신속히 응급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는, 응급 환자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부;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순위가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로 기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입력된 환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 중 속하는 환자의 종류를 선택하고, 응급 의료자원의 가중치 순위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 응급 의료자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응급 의료자원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 요청된 기관으로 응급 의료자원의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망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된 정보와 상기 응급 의료자원의 가중치 순위에 근거하여 최적의 병원 또는 응급 의료자원을 구비한 기관을 판단하고, 상기 병원으로 환자의 상태 정보와 예약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기관으로 응급 의료자원 예약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은, 환자의 상태 정보와 환자의 현재 위치 정보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환자의 상태 및 위치 정보가 저장되고,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환자의 상태, 위치 정보 및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응급 의료자원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각 서버에 응급 의료자원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에서 전송된 정보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최적의 응급 의료자원을 구비한 기관을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판단한 기관으로 응급 의료자원 예약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2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20), 혈액/장기 데이터베이스(21), 병원 데이터베이스(22), 경찰/응급구조단 데이터베이스(23),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24), 네트워크망(25) 등과 연계되어 있다.
상기 혈액/장기 데이터베이스(21)는, 혈액 또는 장기에 대한 수급과 공급, 보관, 유통, 관리, 통계 등에 관한 사항이 저장되며, 혈액 또는 장기에 대한 정보가 통합 관리되고, 상기 병원 데이터베이스(22)는, 각 병원 내의 의료장치, 약품, 의사 및 병원의 위치 등에 관한 사항이 저장되며, 의료자원에 대한 정보가 통합 관리된다.
그리고, 상기 경찰/응급구조단 데이터베이스(23)는, 경찰 또는 119 응급구조대의 위치, 인원 및 장비 등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119 소방상황실(13)의 서버에서 관리되며,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24)는, 도로의 정체 상황, 갓길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통합 관리된다.
또한, 상기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200)는, 상기 혈액/장기 데이터베이스(21), 병원 데이터베이스(22), 경찰/응급구조단 데이터베이스(23) 및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24)와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등의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GPS 위성(2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현재의 위치 또는 목적지의 이동경로를 표시하는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200)는, 데이터 입력부(201), 데이터 처리부(202), 저 장부(203), 제어부(204), 디스플레이부(205),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06), GPS 모듈(20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201)는, 사용자 입력키(터치패드)를 통해 응급 환자 정보를 입력받거나,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서 환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급 환자 정보를 입력받는다. 응급 환자 정보에는 환자의 신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02)는, 데이터 입력부(201)에서 입력되는 응급 환자 정보와 저장부(203)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응급 환자가 속하는 그룹을 판단한다.
상기 저장부(203)에는, 환자 그룹별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 입력부(201)에서 입력되는 응급 환자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204)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교통, 병원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최적의 응급 의료자원을 구비한 병원 또는 해당 기관을 판단하고, 상기 병원 또는 해당 기관으로 응급 의료자원 예약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5)는, 환자의 상태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며,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최적의 응급 의료자원을 구비한 병원 또는 해당 기관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06)는, 와이브로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204)의 제어 하에 응급 의료자원 예약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GPS 모듈(207)은, 수신된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장치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제어부(204)에서 선택된 병원의 그래픽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5)로 송출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데이터 입력부(201)를 통해 응급 환자 정보가 입력되면, 저장부(203)에 응급 환자 정보가 저장되고, 제어부(204)에서는, 저장부(203)에 저장된 상기 응급 환자 정보와 기 저장된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202)로 보낸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02)에서는, '응급 과다출혈 환자, 응급 중독 환자, 장기 이식 환자, 일반 응급 환자, 일반 이송 환자'로 분류된 응급 환자분류표 데이터에서 응급 환자가 속하는 환자의 그룹 종류를 판별하고, 응급 환자 분류표에 따라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순위를 판단하는데, 도 4에 환자 그룹별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순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순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환자가 과다출혈일 경우, 1순위를 혈액, 2순위를 후송시간, 3순위를 의사/병원으로 선정하고, 응급 중독 환자일 경우, 1순위를 약품, 2순위를 의사/병원, 3순위를 후송시간으로 선정하고, 장기 이식 환자일 경우, 1순위를 장기, 2순위를 의사/병원, 3순위를 수술장비로 선정하고, 일반 응급 환자일 경우, 1순위를 수송시간, 2순위를 의사/병원으로 선정하고, 일반 이송 환자일 경우, 1순위를 의사/병원, 2순위를 수송시간으로 선정한다. 상기 응급 중독 환자와 장기 이식 환자의 경우, 순위 내에 혈액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GPS 모듈(207)은, 제어부(204)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GPS 위성(20)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2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현재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에서 현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응급환자분류에 따라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순위를 확인하는 과정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4)는, 데이터 처리부(202)에서 판단한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순위와 GPS 모듈(207)에서 계산된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06)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06)를 통해, 혈액/장기 데이터베이스(21), 병원 데이터베이스(22), 경찰/응급구조단 데이터베이스(23),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24)에서 필요한 응급 의료자원 정보(혈액, 의사/병원, 장기, 수송시간, 수술장비 등)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과다 출혈 환자인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급 의료자원의 가중치 순위가 혈액, 후송 시간, 의사/병원 순이므로, 상기 혈액/장기 데이터베이스(21)에 접속하여, 현재의 위치와 근접한 지역에서 환자의 혈액형과 일치하는 혈액이 존재하는 기관들을 검색하고, 상기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24)에 접속하여, 교통상황 정보를 확인하여 환자를 신속하게 후송할 수 있는 병원의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병원 데이터베이스(22)에 접속하여, 환자의 위치와 근접한 병원의 의사 및 병상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4)는, 상기 추출된 응급 의료자원 정보에 근거하여, 최적의 응급 의료자원을 구비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병원을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응급 의료자원의 가중치 순위가 혈액, 후송 시간, 의사/병원 순인 경우, 혈액/장기 데이터베이스(21),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24), 병원 데이터베이스(22)에서 추출한 정보를 상기 가중치 순위에 근거하여, 환자(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200))와 근접한 혈액 보유 기관들 중 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병원 및 이송될 병원과 근접한 혈액 보유 기관을 판별하고, 만약 판별된 병원이 다수 개일 경우, 병원의 의료자원(의사 및 병상)정보에 근거하여, 병원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06)에서는, 제어부(204)에서 판별한 해당 기관(병원, 혈액/장기관리소, 경찰서/응급구조단)으로 응급 의료자원 예약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목적지가 결정되면, 상기 GPS 모듈(207)은, 실시간으로 수신받는 위치 데이터를 미리 확보한 지리정보에 매칭(matching)시켜 구급차량(이동차량)에 대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디스플레이부(205)를 통해 안내한다. 상기 지리정보는 실제 도로나 건물, 시설물 등과 같은 지형지물에 대한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06)를 통해 지리정보를 다운로드 받거나, 상기 저장부(203)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 으로,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500)은, 지리/교통 서버(51), 병원 서버(52), 혈액/장기 서버(53), 경찰/응급 구조단 서버(54), 응급 구조 처치 데이터베이스 서버(55)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500)은, 환자에 따른 최적의 응급센터위치 검색, 응급처치 검색뿐만 아니라 의료 자원(병상, 의사, 약품, 혈액, 장기 등)을 수배/예약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입력부(501), 데이터 저장부(502), 데이터 처리부(503), 데이터 송수신부(50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501)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키입력부를 통해 응급 환자 정보(환자의 상태 및 위치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119 소방상황실(무선페이징 시스템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 원격지의 의사를 통한 진단 내용, 생체신호 측정기기에서 측정한 환자데이터,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통신망과 연결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통해 응급 환자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응급 환자 정보는 데이터 저장부(502)로 전달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502)는, 응급 환자 정보 저장부, 응급 환자 분류표 저장부 및 응급 의료자원 저장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응급 환자 정보 저장부에는 데이터 입력부(501)에서 전달되는 응급환자의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응급 환자 분류표 저장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 그룹별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응급 의료자원 저장부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응급 의료자원 데이터가 저장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처리부(503)는, 상기 응급 환자 정보 중 환자의 위치정보 를 독출하여 환자의 위치를 판별하고, 데이터 저장부(502)에 저장된 응급 환자 정보에서 환자의 상태정보와 환자 그룹별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정보를 독출하여, 환자가 속하는 그룹을 판별하고,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순위에 근거하여, 해당 의료자원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데이터 송수신부(504)로 의료자원 요청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503)는, 각 서버에서 회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최적의 응급 의료자원을 제공하는 해당 기관(병원, 혈액/장기관리소, 경찰서/응급구조단)을 판별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504)에서는, 환자 후송 위치 선정 및 필요한 의료자원의 예약을 위해 필요한 의료자원 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를 해당 서버로 전송하는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로서, 예를 들어 환자가 일반 응급 환자인 경우, 일반 응급 환자는 우선적으로 이송시간이 짧은 병원으로 수송해야 하므로,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500)의 데이터 송수신부(504)에서는, 지리/교통 서버(51)로 환자의 현재 위치와 근접한 병원들의 위치 정보와 현재 교통 상황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지리/교통 서버(51)에서는, 지리/교통 서버(51) 내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요청된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504)로 회신한다.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부(504)에서는, 네트워크 연결된 병원 서버(52)에 병상 정보, 수술 기기 정보, 가용 의사 정보 등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병원 서버(52)에서는, 상기 요청된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504)로 회신한다.
또한,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500)에서는, 응급 과다 출혈 환자, 응급 중독 환자, 장기 이식 환자, 일반 이송 환자도 도 4에 도시된 가중치에 근거하여, 상기의 각 서버들에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각 서버들로부터 전송된 응답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한편, 각 서버에서 수신한 정보는, 데이터 저장부(502) 내의 응급 의료자원 저장부에 다운로드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503)에서는,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와 상기 다운로드된 정보에 근거하여 최적의 병원(목적지)을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504)에서는, 데이터 처리부(502)에서 판별한 병원으로 환자의 정보와 병원 예약 정보를 전송하고, 병원 이외의 선택된 해당 기관으로 응급 의료자원 예약 신호를 전송하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처리부(502)에서 판별한 결과, 환자의 상태가 혈액 또는 장기를 요하는 경우, 데이터 송수신부(504)에서는, 환자의 위치와 근접한 혈액 또는 장기 기관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혈액/장기 서버(53)로 전송하고, 혈액/장기 서버(53)에서 전송된 혈액 또는 장기 기관 정보는 데이터 저장부(502)에 저장된다.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부(504)에서는, 지리/교통 서버(51)로 환자의 위치 정보와 병원 위치 정보 및 교통상황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병원 서버(52)로 의사, 병상, 치료기구 등의 병원자원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502)에서는, 지리/교통 서버(51), 병원 서버(52)로부터 회신된 응급 의료자원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502)에서는, 혈액/장기 서버(53)에서 회신된 환자의 위치와 근접한 혈액 또는 장기기관들의 위치와 지리/교통 서버(51)에서 회신된 교통상황 정보, 병원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혈액 또는 장기기관 및 환자를 이송해야 할 병원을 판단하는데, 판단된 병원이 다수 개일 경우, 병원 서버(52)에서 회신된 자원에 근거하여 목적지(병원)를 선택하고, 데이터 송수신부(504)에서는, 병원 서버(52)와 혈액/장기 서버(53)로 선택된 목적지 및 해당 기관과 응급 의료자원을 예약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504)에서는, 응급 환자를 선택된 목적지로 이송할 후송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경찰/응급 구조단 서버(54)에 후송 가능한 교통자원이 마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경찰/응급 구조단 서버(54)에서는, 현재 가용 후송 교통 정보를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500)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504)에서는 선택된 목적지 정보와 함께 선택된 교통자원 정보를 회신하여, 환자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부(504)는, 의료자원 예약이 진행되거나 예약이 완료되면, 부가적으로, 네트워크 연결된 응급 구조 처치 DB 서버(55)에 접속하거나, 상기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500) 내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서, 질병에 따른 응급 구조 처치 방법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응급 구조 처치에 대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504)는, 의료자원 예약이 완료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요청)된 단말기를 통해 목적지와 지리/교통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경찰/응급 구조단 서버(54)에 지리/교통 정보를 전송하여, 목적지(병원)로 신속히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은, 응급 환자의 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환자정보에 근거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응급 의료자원의 가중치 순위를 확인하고, 네트워크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가중치 순위에 근거하여 응급 의료자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자료를 근거로, 환자에 적합한 병원 또는 기관으로 예약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병원, 혈액/장기 기관, 경찰/응급 구조단에서 각각 관리되던 자료의 종합적 활용을 통해, 각종 재난 발생시나 비상시에, 예약된 의료자원으로 신속히 응급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응급 환자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부;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순위가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로 기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입력된 환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 중 속하는 환자의 종류를 선택하고, 응급 의료자원의 가중치 순위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
    응급 의료자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응급 의료자원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 요청된 기관으로 응급 의료자원의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망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된 정보와 상기 응급 의료자원의 가중치 순위에 근거하여 최적의 병원 또는 응급 의료자원을 구비한 기관을 판단하고, 상기 병원으로 환자의 상태 정보와 예약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기관으로 응급 의료자원 예약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하고, 수령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장치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현재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GPS 모 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혈액/장기 데이터베이스, 병원 데이터베이스, 경찰/응급구조단 데이터베이스,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은, 혈액/장기관리소, 경찰서/응급구조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의료자원은, 의사/병원, 혈액, 장기, 수술장비 및 수송시간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모듈에서 생성한 현재의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추출하도록 제어하고, 추출된 정보와 응급 의료 자원의 가중치 순위에 따라 기관을 선택하여, 선택된 기관으로 응급 의료자원 예약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7. 환자의 상태 정보와 환자의 현재 위치 정보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환자의 상태 및 위치 정보가 저장되고,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환자의 상태, 위치 정보 및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응급 의료자원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각 서버에 응급 의료자원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에서 전송된 정보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최적의 응급 의료자원을 구비한 기관을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판단한 기관으로 응급 의료자원 예약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환자 분류표 데이터는, 환자의 상태에 따른 환자 그룹별 응급 의료자원 가중치 순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지리/교통 서버, 병원 서버, 혈액/장기 서버, 경찰/응급 구조단 서버, 응급 구조 처리 데이터베이스 서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데이터 요청된 단말기를 통해 목적지와 지리/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의료자원 관리시스템.
KR1020070040347A 2007-04-25 2007-04-25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KR20090001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347A KR20090001551A (ko) 2007-04-25 2007-04-25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347A KR20090001551A (ko) 2007-04-25 2007-04-25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51A true KR20090001551A (ko) 2009-01-09

Family

ID=4048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347A KR20090001551A (ko) 2007-04-25 2007-04-25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55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6098A2 (en) * 2009-08-31 2011-03-03 Disruptive Ip, Inc. System and method of patient flow and treatment management
KR101222379B1 (ko) * 2010-05-19 2013-01-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KR20180123955A (ko) * 2017-05-10 2018-1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210028768A (ko) * 2019-09-04 2021-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응급환자들 각각이 이송될 병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284347B1 (ko) * 2020-11-12 2021-08-03 주식회사 에스디에이에이 응급 이송환자의 크로스체크를 통한 응급환경 조성시스템과 조성방법
WO2021235866A1 (ko) 2020-05-20 2021-11-25 서울대학교병원 병원 리소스에 대한 환자 니즈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6186A (ko) * 2020-12-16 2022-06-2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6098A2 (en) * 2009-08-31 2011-03-03 Disruptive Ip, Inc. System and method of patient flow and treatment management
WO2011026098A3 (en) * 2009-08-31 2011-06-23 Disruptive Ip, Inc. System and method of patient flow and treatment management
KR101222379B1 (ko) * 2010-05-19 2013-01-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KR20180123955A (ko) * 2017-05-10 2018-1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210028768A (ko) * 2019-09-04 2021-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응급환자들 각각이 이송될 병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서버
WO2021235866A1 (ko) 2020-05-20 2021-11-25 서울대학교병원 병원 리소스에 대한 환자 니즈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43635A (ko) 2020-05-20 2021-11-29 서울대학교병원 병원 리소스에 대한 환자 니즈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284347B1 (ko) * 2020-11-12 2021-08-03 주식회사 에스디에이에이 응급 이송환자의 크로스체크를 통한 응급환경 조성시스템과 조성방법
KR20220086186A (ko) * 2020-12-16 2022-06-2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506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
US9801036B2 (en) Initial rescu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operation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and system
KR20090001551A (ko)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JP6347901B2 (ja) 救急判断支援システム、及び救急判断支援プログラム
KR100749569B1 (ko)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실버타운 의료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48495B2 (ja) 救助要請支援装置、その作動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20150066523A1 (en) Telemedicine information system
WO2003054762A1 (fr) Procede permettant la fourniture de soins medicaux d'urgence
JP2012212199A (ja) 救急医療情報の提供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770332B1 (ja) 傷病者受入状況表示装置、救急医療情報システム、傷病者受入状況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77383A (ja) 救急患者受入先探索システム、救急端末、医療施設端末、受入先探索サーバ及び救急患者受入先探索方法
JP2016148999A (ja) 医療支援システム、その作動方法及び医療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医療支援装置
JP2006163817A (ja) 病院予約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127537A (ko)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및 시스템
JP5488350B2 (ja) 救急情報管理システム、救急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128492A (ko) 진료 대기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진료 대기 관련 서비스 방법
JP2020109568A (ja) 患者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患者情報提供方法
KR20120045458A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방법
JP2010086357A (ja) 患者搬送先順位決定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JP6071547B2 (ja) 救急業務総合支援システム
JP6155051B2 (ja) 通信端末及び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40015492A1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JP6093584B2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管理センタ装置
JP2014153724A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管理センタ装置
JP6062764B2 (ja) 通信端末及び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220

Effective date: 2011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