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553A -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553A
KR20050004553A KR1020030044781A KR20030044781A KR20050004553A KR 20050004553 A KR20050004553 A KR 20050004553A KR 1020030044781 A KR1020030044781 A KR 1020030044781A KR 20030044781 A KR20030044781 A KR 20030044781A KR 20050004553 A KR20050004553 A KR 2005000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information
patient
medical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우
이근실
Original Assignee
정경우
이근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우, 이근실 filed Critical 정경우
Priority to KR1020030044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4553A/ko
Publication of KR2005000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5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자 정보에 의해서 최적의 응급진료를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은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음과 발신자 정보를 획득하는 발신자정보 획득부와, 상기 발신자정보 획득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정 형식의 텍스트 및 패킷으로 디지털화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링크부와, 상기 데이터로부터 지속적인 응급 환자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모니터링부와, 모니터링의 판단 여부에 의해 구급차와 전문의를 수배하여 출동을 대기시키는 의료지원부와, 응급 진료 정보가 순차적으로 기록되고 발신자 정보에 의한 응급 정보가 추출되는 응급진료 서버부와, 발신자 정보에 의한 과거병력 데이터를 취하여 해당 병과의 전문의 확보와 대기중인 구급차의 출동을 명령하는 대기출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응급 환자의 발신자 정보 획득에 의해서 환자의 응급 처치 및 처방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시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최적의 응급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기존의 수동적 응급환자 대처 능력을 향상시켜 의료서비스의 개선과 환자의 입장에서 긴급 상황시 원활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게 됨과 아울러 위급상황에서 생존에 대한 두려움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심적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medical examination using call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자 정보에 의해서 최적의 응급진료를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자 정보에 의해서 파악된 환자 정보를 병·의원의 자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과거 병력 정보와 비교 검토하여 해당 환자의 응급 정도를 판단하고 응급 상황별 의료기기가 탑재된 응급 차량을 발신자 정보지로 급파시킴과 동시에 병·의원 내에서는 응급 환자에 기초한 응급 진료 장비를 준비하고 해당 병과의 전문의를 대기시켜 응급 환자의 도착 즉시 의료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응급 환자의 자동화된 정보 획득에 의해서 응급 처치 및 처방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의한 시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응급 환자의 이송 일반적인 진료 시스템은 응급 환자가 구급 차량을 이용하여 병원에 도착하는 시점에서부터 응급 진료가 이루어짐이 대부분인 바, 응급 환자가 병원에 후송되는 과정은 119 응급 전화에 의한 구급 차량을 이용한 이송과 응급 환자 또는 보호자에 의한 응급실 이용 및 응급 환자가 내원하는 병·의원의 주치의에 의한 응급 진료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응급 환자는 119 응급 전화를 이용하거나 주거지에서 가까운 응급 센터에 보호자등에 의해서 직접 이송됨으로써 응급실 및 병·의원에서는응급환자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취득하지 못한 채 외적인 증상만으로 응급 치료를 이루어짐으로써 근본적인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응급 환자가 병원에 도착한 뒤에도 환자에 대한 진료 챠트나 과거병력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병과의 전문의에게 전달되고 전문의는 과거 진료정보를 검토하여 응급 진료에 투입되는 준비 과정의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려 촌각을 다투는 응급 환자의 적절한 조치 및 진료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대형병원을 비롯한 대부분의 병·의원에서는 응급 진료에 대한 환자의 구체적인 전산 데이터나 이를 이용한 응급 진료 방법등이 충분히 준비되지 못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응급 환자에 대한 챠트를 준비하는 시간이 20~30분 내지 그 이상이 소요됨으로써 환자나 보호자로 하여금 시간 지체로 인한 심리적인 불안감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각 병·의원마다 내원 환자에 대한 병적 기록과 현재 상태등을 기록한 병원정보시스템(OCS)을 구축하여 환자의 진료에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병·의원의 외래환자 또는 입원환자를 중심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비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응급 환자에 대한 빠른 정보의 획득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응급 환자가 발생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가 병원에 직접 전화를 걸어오면 병원 관계자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환자에 관계된 인적사항(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등)을 구두상으로 알아내어 획득 정보에 의한 구급차량을 출동시키게 되는 데, 갑작스런 응급 상황에 처해 경황이 없는 환자 및 보호자로부터 구체적 질문에 대한 환자 정보를 획득하는 어려움이 따를 수 밖에 없으며 정확한 응급 상황을 무시한 채 응급 환자에 도움이 될 수 없는 기본적 응급 장치만이 구비된 응급 차량에 의해서 이송됨으로써 응급 환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별다른 응급 조치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응급 진료 시스템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자 정보에 의해서 파악된 응급 환자 정보를 병·의원의 자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과거 병력 정보와 비교 검토하여 해당 환자의 응급 정도를 판단하고 응급 상황별 의료기기가 탑재된 응급 차량을 발신자 정보지로 출동시킴과 동시에 병·의원 내에서는 응급 환자에 기초한 응급 진료 장비를 준비하고 해당 병과의 전문의를 대기시켜 응급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응급진료 시스템을 구축하여 환자의 도착 즉시 의료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응급 환자의 발신자 정보에 의한 정보 획득에 의해서 응급 처치 및 처방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시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최적의 응급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진료 시스템의 서버 통신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에 의한 진행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모니터링부 110. 발신자정보 획득부
120. 데이터 변환부 130. 응급지원부
140. 진료예약부 150. 병원정보부
160. 응급진료서버 170. 대기출동부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음과 발신자정보를 획득하는 발신자정보 획득부와, 상기 발신자정보 획득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정 형식의 텍스트 및 패킷으로 디지털화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링크부와, 상기 데이터로부터 지속적인 응급 환자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모니터링부와, 모니터링의 판단 여부에 의해 구급차와 전문의를 수배하여 출동을 대기시키는 의료지원부와, 응급 진료 정보가 순차적으로 기록되고 발신자 정보에 의한 응급 정보가 추출되는 응급진료 서버부와, 발신자 정보에 의한 과거병력 데이터를 취하여 해당 병과의 전문의 확보와 대기중인 구급차의 출동을 명령하는 지원 대기출동부로 이루어진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이 제공됨에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는 응급상황이 아닌 일반 환자의 정보가 수신됨이 판단되면 환자의 진료예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료예약부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타 문의전화로 판단되면 병·의원의 안내데스크로 바로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링크부는 발신자정보 획득부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 정보를 각 시스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데이터는 각 시스템간에 RS232C 통신에 의해서 패킷의 형태로 각 통신포트를 통해 병·의원의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응급 환자 여부를 판별하는 모니터링부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복호화되어 각 시스템간 전송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데이터의 외부 유출에 의한 개인의 병적 기록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상기 목적에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 효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은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음과 전화번호등에 의해서 발신자 정보를 수집하는 발신자정보 획득부(110)와, 발신자정보 획득부(110)로부터 전송된 발신자 정보가 각 시스템간 네트웍 통신이 가능하게 패킷화되어 복호화 데이터로 변환되도록 하는 데이터 변환부(120)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120)로부터 수신된 복호화 데이터의 정보를 추적하여 병·의원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일치되는지를 확인하여 응급환자 발생 여부를 감시 판단하는 모니터링부(100)와, 상기 모니터링부(100)의 응급 환자 판단 여부에 따라서 기본적 응급조치 장비가 탑재된 구급차와 전문의의 확보하고 출동 대기시키는 응급지원부(130) 및 응급 환자가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외래 진료 예약을 위해 연결되는 진료예약부(140)와, 상기 모니터링부(100)와 연계되어 병·의원내에서의 외래환자 접수, 수납 및 처방전 발행기록등의 내부 전산망이 포함된 병원정보부(150)와, 패킷 데이터로 변환된 발신자 정보에 의해서 병원정보부(150)의 기록을 수신받고 해당 발신자의 과거 응급진료 이력이 조합 추출되며 추출된 데이터가 재가공되어 저장되는 응급진료 서버(160)와, 응급진료 서버(160)의 추출 데이터에 의한 응급환자의 과거병력을 전송받아 해당 병과에 필요한 응급 장비를 확보하여 출동을 명령하는 대기출동부(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신자정보 획득부(110)는 유·무선 전화를 비롯한 향후 발전될 화상전화로부터 발신지의 전화번호와 전화번호에 의한 발신자의 이름, 주소등이 포함된 신상정보가 수신될 수 있으며, 수신 기록된 발신자정보는 패킷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응급진료 서버(160)로 전송된다.
상기 응급진료 서버(160)를 비롯한 시스템간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데이터 변환부(120)에서 네트웍 통신이 가능하도록 각 통신포트를 통해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는 패킷의 형태로 변환되며, 상기 패킷화된 발신자 정보는 적어도 한 대 이상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모니터링부(100)로 전송된다.
상기 모니터링부(100)는 발신자 정보가 수신되는 통신포트가 부착된 적어도 한 대 이상의 모니터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통신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패킷화된 발신자 정보에 의해서 응급 환자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응급 환자의 발신자 정보로 판별되면 응급지원부(130)와 대기출동부(170)로 변환된 발신자 정보와 모니터링부(100)를 통해 응급진료 서버(160)에서 조합 추출된 응급 환자의 과거 병력 데이터 및 예상되는 응급 상황을 추측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응급 출동 및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만약, 응급 환자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획득된 발신자 정보로 진료예약부(140)가 연결되어 해당 병과의 전문의에 의한 외래 진료 예약 및 의료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100)의 응급 정보 판단은 발신자정보 획득부(110)를 통해 데이터 변환부(120)에서 수신된 발신자 정보에 의해서 추적되는 응급진료 서버(160)의 해당 응급환자 정보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응급진료 서버(160)의 응급환자 데이터 추출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 도시된 도2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응급지원부(130)는 모니터링부(100)의 지속적 발신자 정보 수신과 발신자에 해당하는 응급진료 서버(160)의 추출 데이터에 의해서 응급 환자의 전화번호를 비롯한 이름과 주소 및 응급환자 수송에 필요한 약도등을 파악하여 해당 지역에 출동될 구급차의 수배와 출동 대기 상태를 지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응급진료 서버(160)는 현재 대부분의 병원에서 구축 실시중인 처방전달 시스템(OCS)을 통해 환자의 진료접수와 수납 및 간단한 진료정보등이 기록되는 병원정보부(150)와 모니터링부(100)에 의해서 발신자인 응급 환자의 현재 상태가 예측 가능하도록 발신자 추적 정보를 추출해내게 되는 데, 상기 응급진료 서버(160)의 구성을 아래 도시된 도2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진료 시스템의 응급진료 서버 통신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진료 시스템의 응급진료 서버(160)는 각 병·의원의 응급진료에 관계되는 모든 정보가 관리 저장되어 응급 환자의 과거 병력에 따른 현재의 응급상태가 모니터링부(100)를 통해 파악될 수 있는 구조로써, 모니터링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응급 환자의 패킷 데이터에 의해서 발신자 정보가 취합되고 해당 발신인의 응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정보로부터 추출하게 되는 서버엔진(161)과, 서버엔진(161)으로 전송된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환자의 각 진료 정보와 병력 정보 및 담당의의 소견이 포함된 처방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163)와, 상기 서버엔진(161)의 응급환자 추적 정보가 부가되는 발신자 정보와최초 발신자 통화시 발생되는 응급 통화 내용이 기록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엔진(161)은 응급진료 서버(160)의 데이터베이스부(163)에 저장되어 있는 응급환자의 과거 병력 정보와 진료기록 데이터에서 조합 추출된 정보에 의해서 응급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하기 전에 응급 진료의 사전 준비가 완료될 수 있도록 도1에 도시된 응급진료부(130)로 모니터링부(100)를 통해 해당 발신자의 추출된 응급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병·의원 내의 응급 의료진 대기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엔진(161)을 통해 패킷화되어 수신되는 모든 발신자 정보에 해당 진료 및 처방기록은 다수의 데이터베이스(163a~163f)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부(163)에 저장되는 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63)는 환자의 과거병력과 가족력등의 환자의 병력 히스토리가 저장되는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163a)와, 환자의 과거 병력에 대한 담당의의 진료 소견이 포함된 약제등의 처방 내역이 저장되는 처방이력 데이터베이스(163c)와, 환자의 과거 실시된 각종 신체검사의 결과와 내시경, MRI, X-ray 촬영등의 종합검진 자료가 저장되고 종합검진시 각 항목별 기준치의 통계자료와 이와 비교될 수 있는 기준치 이탈 여부가 저장되는 신체검사 데이터베이스(163b) 및 종합검진 데이터베이스(163d)와, 환자의 검사기록에 대한 각종 의료챠트와 필름 및 환자의 기간별 생체신호에 대한 기록 정보가 저장되는 진료챠트 데이터베이스(163e)와, 신생아에 대한 출생에서부터 기간별 진료 기록이 저장되는 신생아 데이터베이스(163f)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신생아 데이터베이스(163f)는 각 병·의원에서 출산되는 신생아 외에 외래진료가 수행된 신생아 정보가 저장되며 통상적으로 신생아의 경우에는 일반 성인 및 소아등의 진료 수단 및 진료 과정이 다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신생아의 출생 기록부터 모든 진료 정보가 별도 관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응급진료 서버(160)를 통해 발신자 정보에 의한 환자 상태 추적 정보는 병·의원의 응급구조 통신영역으로 전송되어 모니터링부(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응급구조 통신영역은 상기 도1의 구성 시스템에 부가되는 모든 수단을 이용하여 발신자 정보에 의한 응급환자의 발생 시점부터 전문의에 의한 응급진료가 완료될 때까지 진료의 우선 순위로 행해질수 있는 영역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 구성에 의해서 진행되는 본 발명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의 순차적 응급 진료 프로세스를 아래 도시된 도3의 순서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에 의한 진행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방법은 먼저, 유,무선의 전화망을 통하여 전화번호를 비롯한 발신지 및 발신자의 이름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가 획득(S101 단계)되면 데이터 변환부(120)를 통해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한 패킷 형태로 변환된 발신자 데이터를 모니터링부(100)로 전송(S102 단계)된다.
상기 모니터링부(100)는 수신된 발신자의 변환 데이터에 의해서 응급진료 서버(160)의 데이터베이스부(163)를 통해 발신자 정보에 해당하는 과거 진료 기록 및 병적 기록을 추적(S103 단계)하여 응급 환자 여부를 판단(S104 단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100)에 의해서 추적된 발신자가 응급환자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00)는 응급진료 서버(160)에서 추출된 정보를 응급지원부(130)로 전송하여 병·의원내의 해당 병과 전문의와 구급차를 확보하고 출동 대기(S106 단계)시키고, 만약 응급환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00)는 진료예약부(140)로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여 일반적인 의료서비스가 수행(S105 단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부(100)를 통해 수신된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응급진료 서버(160)의 데이터베이스부(163)로부터 조합 추출되는 발신자의 응급 정보에 의해서 병·의원내의 해당 병과 응급 장비를 준비하고 대기출동부(170)를 통해 구급차의 출동을 명령(S107 단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유,무선 통신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에 의해서 병·의원내에 구축된 병원정보부(150)와 응급진료 서버(160)를 통해 조합 추출될 수 있는 과거병력 정보와 예측가능한 현재의 발신자 응급 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발신자 정보에 의해서 자동 파악되는 신상을 비롯한 위치정보로 응급환자의 신속한 병원 수송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응급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전 병력 정보의 입수에 의한 해당 병과의 응급 진료 장비를 준비하여 도착 즉시 응급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자 정보에 의해서 파악된 응급 환자 정보를 병·의원의 자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과거 병력 정보와 비교 검토하여 환자의 응급 정도를 판단하고 응급 상황별 의료기기가 탑재된 응급 차량을 발신자 정보지로 출동시킴과 동시에 병·의원 내에서는 응급 환자에 해당되는 응급 진료 장비를 준비하고 해당 병과의 전문의를 대기시켜 응급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응급진료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환자의 도착 즉시 의료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고 응급 환자의 발신자 정보 획득에 의해서 환자의 응급 처치 및 처방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시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최적의 응급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기존의 수동적 응급환자 대처 능력을 향상시켜 의료서비스의 개선과 환자의 입장에서 긴급 상황시 원활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게 됨과 아울러 위급상황에서 생존에 대한 두려움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심적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음과 전화번호등에 의해서 발신자 정보를 수집하는 발신자정보 획득부(110)와, 발신자정보 획득부(110)로부터 전송된 발신자 정보가 각 시스템간 네트웍 통신이 가능하게 패킷화되어 복호화 데이터로 변환되도록 하는 데이터 변환부(120)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120)로부터 수신된 복호화 데이터의 정보를 추적하여 병·의원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일치되는지를 확인하여 응급환자 발생 여부를 감시 판단하는 모니터링부(100)와, 상기 모니터링부(100)의 응급 환자 판단 여부에 따라서 기본적 응급조치 장비가 탑재된 구급차와 전문의의 확보하고 출동 대기시키는 응급지원부(130) 및 응급 환자가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외래 진료 예약을 위해 연결되는 진료예약부(140)와, 상기 모니터링부(100)와 연계되어 병·의원내에서의 외래환자 접수, 수납 및 처방전 발행기록등의 내부 전산망이 포함된 병원정보부(150)와, 패킷 데이터로 변환된 발신자 정보에 의해서 병원정보부(150)의 기록을 수신받고 해당 발신자의 과거 응급진료 이력이 조합 추출되며 추출된 데이터가 재가공되어 저장되는 응급진료 서버(160)와, 응급진료 서버(160)의 추출 데이터에 의한 응급환자의 과거병력을 전송받아 해당 병과에 필요한 응급 장비를 확보하여 출동을 명령하는 대기출동부(1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진료 서버(160)는 모니터링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응급 환자의 패킷 데이터에 의해서 발신자 정보가 취합되고 해당 발신인의 응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정보로부터 추출하게 되는 서버엔진(161)과, 서버엔진(161)으로 전송된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환자의 각 진료 정보와 병력 정보 및 담당의의 소견이 포함된 처방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163)와, 상기 서버엔진(161)의 응급환자 추적 정보가 부가되는 발신자 정보와 최초 발신자 통화시 발생되는 응급 통화 내용이 기록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16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진료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63)는 환자의 과거병력과 가족력등의 환자의 병력 히스토리가 저장되는 검사이력 데이터베이스(163a)와, 환자의 과거 병력에 대한 담당의의 진료 소견이 포함된 약제등의 처방 내역이 저장되는 처방이력 데이터베이스(163c)와, 환자의 과거 실시된 각종 신체검사의 결과와 내시경, MRI, X-ray 촬영등의 종합검진 자료가 저장되고 종합검진시 각 항목별 기준치의 통계자료와 이와 비교될 수 있는 기준치 이탈 여부가 저장되는 신체검사 데이터베이스(163b) 및 종합검진 데이터베이스(163d)와, 환자의 검사기록에 대한 각종 의료챠트와 필름 및 환자의 기간별 생체신호에 대한 기록 정보가 저장되는 진료챠트 데이터베이스(163e)와, 신생아에 대한 출생에서부터 기간별 진료 기록이 저장되는 신생아 데이터베이스(163f)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4. 유,무선의 전화망을 통하여 전화번호를 비롯한 발신지 및 발신자의 이름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가 획득(S101)되면 데이터 변환부를 통해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한 패킷 형태로 변환된 발신자 데이터를 모니터링부로 전송되는 단계(S102)와,
    상기 모니터링부에 수신된 발신자의 변환 데이터에 의해서 응급진료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를 통해 발신자 정보에 해당하는 과거 진료 기록 및 병적 기록을 추적(S103)하여 응급 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와,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서 추적된 발신자가 응급환자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는 응급진료 서버에서 추출된 정보를 응급지원부로 전송하여 병·의원내의 해당 병과 전문의와 구급차를 확보하고 출동 대기(S106)시키고, 만약 응급환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모니터링부는 진료예약부로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여 일반적인 의료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105)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신된 발신자 정보에 해당되는 응급진료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조합 추출되는 발신자의 응급 정보에 의해서 병·의원내의 해당 병과 응급 장비를 준비하고 대기출동부를 통해 구급차의 출동을 명령하는 단계(S10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방법.
KR1020030044781A 2003-07-03 2003-07-03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04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781A KR20050004553A (ko) 2003-07-03 2003-07-03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781A KR20050004553A (ko) 2003-07-03 2003-07-03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553A true KR20050004553A (ko) 2005-01-12

Family

ID=3721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781A KR20050004553A (ko) 2003-07-03 2003-07-03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455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916B1 (ko) * 2005-10-21 2007-09-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09075653A2 (en) * 2007-12-12 2009-06-18 Su Kai Oei Resuscitation team mobiliz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CN113691612A (zh) * 2021-08-23 2021-11-23 北京数字医信科技有限公司 共享信息的方法、装置以及系统
CN113691612B (zh) * 2021-08-23 2024-06-07 北京数字医信科技有限公司 共享信息的方法、装置以及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916B1 (ko) * 2005-10-21 2007-09-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09075653A2 (en) * 2007-12-12 2009-06-18 Su Kai Oei Resuscitation team mobiliz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WO2009075653A3 (en) * 2007-12-12 2009-08-20 Su Kai Oei Resuscitation team mobiliz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CN113691612A (zh) * 2021-08-23 2021-11-23 北京数字医信科技有限公司 共享信息的方法、装置以及系统
CN113691612B (zh) * 2021-08-23 2024-06-07 北京数字医信科技有限公司 共享信息的方法、装置以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38326B (zh) 一种多功能医疗服务系统
CN205540731U (zh) 一种多功能医疗服务系统
US8285560B2 (en) Method for remote medical consultation and care
EP1197178A1 (en) Mobile clinical information system
WO2014035182A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US20060008058A1 (en) Remote wellness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WO2007030605A2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providing subscriber medical information to medical units
JP6570691B1 (ja) 個人医療情報集約システム
US20040044545A1 (en) Home care monitor systems
CN108269614A (zh) 一种人工智能辅助问诊系统
US20070214011A1 (en) Patient Discharg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106066946A (zh) 移动医疗信息共享总体架构
CN113168894A (zh) 个人医疗信息系统
CN105760644A (zh) 基于云平台的全科医疗站
KR20070079886A (ko) 응급 환자에 대한 이송 중 응급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209487159U (zh) 一种医疗抢救系统
KR20050004553A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Rangasamy et al. Role of telemedicine in health care system: a review
WO2019098510A1 (ko)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방법 및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038544A (zh) 一种急诊预检分诊系统
AU2020104488A4 (en) Audio-video conferencing system of telemedicine
JP6071547B2 (ja) 救急業務総合支援システム
TWI588674B (zh) 人體生理資訊存取與評估之方法
US20230326593A1 (en) Remote Medical Consultation System and Method Adapted for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or Suffering from Visual or Verbal Dis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