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339A - 원격응급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응급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339A
KR20040037339A KR1020020065798A KR20020065798A KR20040037339A KR 20040037339 A KR20040037339 A KR 20040037339A KR 1020020065798 A KR1020020065798 A KR 1020020065798A KR 20020065798 A KR20020065798 A KR 20020065798A KR 20040037339 A KR20040037339 A KR 20040037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atient
control device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성
Original Assignee
(주)메드 밴
임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드 밴, 임경수 filed Critical (주)메드 밴
Priority to KR102002006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7339A/ko
Publication of KR2004003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3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응급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응급신호를 발생시키며 외부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제 1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응급신호 송수신장치; 응급환자를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구조대가 사용하며 응급환자에 대한 상태를 측정하여 데이터화하고 계측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송신하며 외부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응급구조대 단말기; 및 응급신호송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응급신호를 수신하고, 응급구조대단말기와 응급구조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응급신호 송수신장치는, 단축다이얼이 탑재되어 있어서 단축다이얼에 의해 응급신호가 이동통신사를 통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되게하고,
응급구조대 단말기는 응급환자의 생체정보가 디지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를 판독하는 스마트카드판독기; 응급환자의 생체정보들을 계측하는 생체계측기; 생체계측기로부터 계측되어 입력된 정보를 아날로그신호에서 디지털신호로 전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스마트카드판독기에서 판독한 디지털정보 및 생체계측기에서 계측되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스마트카드판독기에서 판독한 정보 및 생체계측기에서 계측된 디지털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기; 비교기에 의해 출력된 정보, 생체계측기에 의해 계측된 정보 및 스마트카드에 초기에 입력된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전송장치를 포함하고,
제어장치는,
응급신호송수신장치와 응급구조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기; 각각의 응급환자의 생체정보, 각각의 응급환자의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응급환자의 증상의 정도를 판단하는 각각의 응급환자에 대한 생체정보 변수들의 허용치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한 응급처치에 관한 데이터, 의료기관들의 위치 및 의료기관들이 구비하고 있는 의료장치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장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응급환자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단하여 중증도분류를 하여 진료수준을 결정하고, 판단된 진료수준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을 찾는 추론엔진; 및 제어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응급구조대 단말기로 무선으로 송출하는 데이터발신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응급진단장치{EMERGENCY CALL SYSTEM}
본 발명은 원격 응급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응급환자가 발생한 지역과 응급환자를 수송하는 응급구조대와 병원 등의 의료기관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응급환자의 현상태를 파악하고 응급환자의 현상태와 일반적인 상태를 비교하여 응급환자의 위험도를 파악하여 응급환자를 이송할 병원과 응급처치방안을 고지하여 응급환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여 신속한 응급조치를 취함으로써, 응급환자의 상태에 초기 대응이 늦어져 응급환자 치료에 어려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원격 응급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19 등의 응급구조대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하여 신고를 접수한 경우에 신고를 접수한 시간으로부터 응급환자에게 도착하는 시간은 약 5,6분 정도 걸리게 되므로 비교적 양호하나 응급구조대가 의료기관으로 응급환자를 운반하는데에 걸리는 시간은 도착시간의 약 2배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응급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응급환자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응급환자에 적합한 응급처방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응급환자의 초기 처리를 정확히 할 수 없게 되어 응급환자가 심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응급구조대는 응급환자를 파악하여 응급환자의 주증상 및 과거의 병력, 혈압, 맥박수, 심전도, 산소포화도, 환자 상태, 심정지시 제세동 정보, 환자의 청진소견, 응급처치과정, 응급의료에 대한 모든 음성정보 등을 의사에게 제공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응급환자에게 도착했을 때에 응급구조대는 응급환자의 의식이 명료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환자의 정확한 병력을 알 수 없고, 또 전문적인 의료지식을 갖지 못하여 응급환자의 현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병원 도착 후 응급의료지 작성을 하기에는 응급처치를 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응급구조대에서 의료기관에 도착하더라도 의료기관에 응급환자를 충분히 치료할 시설이 부족하거나 이미 응급실에 많은 환자들이 있어 수용능력이 떨어져 다른 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응급환자는 초기 처리가 매우 중요한데 응급환자의 이송에 많은 시간을 빼앗기게 되어 처리가가능한 시간에 도착하지 못하게 되며 충분한 시설과 장비를 갖춘 다른 의료기관에 도착하여도 이미 많은 시간이 경과하게 되어 응급환자가 처리에 시간이 부족하여 심한 타격을 받게 되어 응급환자를 치료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전화를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구조를 요청하는 방법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방법은 응급환자 또는 주위 사람이 전화기를 들고 응급센터의 전화번호를 누른 후 통화되면 주소, 현재 상황 등을 알리는 등 단순하지 않은 방법을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발생을 알리게 되므로, 응급환자의 발생을 알리는데에 일정한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순한 키조작으로 응급중계시스템에 응급환자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며, 응급중계시스템이 응급처치에 관한 응급처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응급환자 또는 응급구조대가 응급처치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응급처치에 관한 내용을 전송받아 적절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응급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적절한 의료기관을 찾아 응급구조대에 고지하여 응급구조대가 곧바로 응급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응급환자를 이송하여 응급환자가 이송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하는 응급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조시스템은,
응급신호를 발생시키며 외부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제 1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응급신호 송수신장치; 응급환자를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구조대가 사용하며 응급환자에 대한 상태를 측정하여 데이터화하고 계측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송신하며 외부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응급구조대 단말기; 및 응급신호송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응급신호를 수신하고, 응급구조대단말기와 응급구조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응급신호 송수신장치는, 단축다이얼이 탑재되어 있어서 단축다이얼에 의해 응급신호가 이동통신사를 통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되게하고,
응급구조대 단말기는 응급환자의 생체정보가 디지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를 판독하는 스마트카드판독기; 응급환자의 생체정보들을 계측하는 생체계측기; 생체계측기로부터 계측되어 입력된 정보를 아날로그신호에서 디지털신호로 전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스마트카드판독기에서 판독한 디지털정보 및 생체계측기에서 계측되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스마트카드판독기에서 판독한 정보 및 생체계측기에서 계측된 디지털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기; 비교기에 의해 출력된 정보, 생체계측기에 의해 계측된 정보 및 스마트카드에 초기에 입력된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전송장치를 포함하고,
제어장치는,
응급신호송수신장치와 응급구조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기; 각각의 응급환자의 생체정보, 각각의 응급환자의 생체정보를기준으로 응급환자의 증상의 정도를 판단하는 각각의 응급환자에 대한 생체정보 변수들의 허용치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한 응급처치에 관한 데이터, 의료기관들의 위치 및 의료기관들이 구비하고 있는 의료장치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장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응급환자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단하여 중증도분류를 하여 진료수준을 결정하고, 판단된 진료수준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을 찾는 추론엔진; 및 제어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응급구조대 단말기로 무선으로 송출하는 데이터발신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조시스템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조시스템을 이용하여 응급환자 구조를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응급계측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응급계측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추론엔진에서 추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좀더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조시스템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조시스템은 응급신호발생장치(10), 통신서버(15), 방제망(16), 제어장치(20), 응급계측장치(30) 및 복수 개의 의료기관의 서버시스템 (40)으로 구성된다.
응급신호발생장치(10)는 응급환자의 발생을 제어장치(20)로 고지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컴퓨터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응급환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GPS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다.
응급신호발생장치(10)는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축키를 설정하여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에 간단한 키조작(단축키 조작)을 통해 응급환자의 발생사실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응급신호발생장치(10)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단축키를 Ctrl+e로 설정하면,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에 응급환자 또는 주위의 사람이 키보드의 Ctrl+e를 누르면 곧바로 응급환자 발생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응급신호발생장치(10)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로 응급신호를 발생하는 특정키를 설치하여 특정키가 눌리면 응급신호가 송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프로그램적으로 미리 설정된 번호(단축키)를 눌리면 응급신호가 곧바로 송출되도록 한다.
통신서버(15)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업 주체인 통신사가 운영하는 서버로 응급환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키 또는 단축키를 눌러 응급신호를 발생하면, 제어장치(20)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와 응급환자 발생사실을 제어장치(20)로 전송하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어장치(20)이 연결되도록 한다.
통신서버(15)는 각 통신사 별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특정키 또는 단축키를 설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기 입력 신호가 전송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어장치(20)를 연결한다.
응급계측장치(30)는 무선통신 상으로 제어장치(20)과 응급신호발생장치(10)과 실시간 통신하여 응급환자 발생 사실을 통보를 받으며, 또한, 응급환자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응급환자가 있는 곳에 도착하여 곧바로 정확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응급구조대가 응급환자가 있는 곳에 도착하면 응급구조대는 응급계측장치(30)를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심박수, 체온, 혈압, 산소포화도, 골절유무 등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값을 데이터화하여 제어장치 (20)에 전송한다. 또한, 응급계측장치(30)는 응급구조대가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도중에 응급환자의 상태변화를 제어장치(20)에 전송하여 응급환자에게 적합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장치(20)로부터 응급환자에게 적합한 의료기관을 전송받아 곧바로 갈 수 있도록 하여 의료기관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여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시간에 의해 치료를 못받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
응급계측장치(30)는 응급환자의 현재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응급환자의 체중, 온도, 심박수, 혈당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을 하고 데이터화하여 제어장치(20)에 전송하여, 제어장치(20)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응급구조대에게 처치방법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며 환자의 상태와 위치에 따른 적합한 의료기관을 찾도록 할 수 있다.
응급계측장치(30)는 응급구조대가 응급환자를 이송할 때 사용하는 엠블란스와 통신하여 응급계측장치(30)에서 엠블란스로 응급환자에 대한 상태를 전송하고 엠블란스는 제어장치(20)로 응급계측장치(3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엠블란스는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무선으로 응급계측장치(30) 및 제어장치(2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 응급계측장치(30)에서 원거리 통신을 하지 않도록 하여 응급계측장치(30)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엠블런스는 내부에 응급계측장치(30)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CDMA 방식으로 전환하여 제어장치(2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엠블런스는 부가적으로 음성을 문자로 전환시키는 모듈을 구비하여 음성으로 제어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사항을 문자로 전환하여 응급구조대가 문자로 지시사항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20)는 응급신호발생장치(10), 응급계측장치(30) 및 실시간 통신을 하도록 하며 응급신호발생장치(1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응급환자 발생사실을 인지하고, 응급계측장치(30)를 통해 입력되는 환자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급환자에게 적합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적합한 의료기관을 찾아 응급구조대가 신속이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도록 하며, 또한, 의료기관으로 응급환자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여 응급환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응급구조대가 의료기관을 찾는 시간을 줄이며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도중 의사의 처방과 연결되어 응급환자 발생신호가 접수되면 응급구조대가 응급환자에게 갈 수 있도록 하며, 응급환자의 병세, 위치 등을 파악하여 응급환자에게 적합한 의료기관을 찾아 응급구조대에 알려주도록 하며, 응급구조대 또는 응급환자에 의해 입력되는 응급환자의 현재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응급조치를 알려 응급환자 구조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제어장치(20)는 유선망을 통해 응급신호발생장치(10)와 직접 연결되며, 무선망은 통신서버를 통해 응급신호발생장치(10)과 연결되어 응급중계시스템이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제어장치(20)는 응급계측장치(30)와 무선망으로 연결되고 의료기관서버시스템(40)과는 유선 또는 무선망으로 연결된다. 또한, 의료기관서버시스템(40)들은 서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의료기관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서로 공유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20)는 응급환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응급처치 방안을 추론하며 응급구조대가 어느 의료기관으로 응급환자를 이송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응급처치 시스템과 각 의료기관의 현황에 대한 정보를 각 의료기관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를 응급처치 시스템에 제공하는 응급현황 시스템과 응급신호발생장치(10), 통신서버(15), 응급계측장치(30) 및 의료기관서버시스템(40)과 통신을 하도록 하는 통신수단으로 구성된다.
제어장치(20)는 응급환자의 병세에 대한 정보와 응급실에 찾아온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상태와 각 상태에 따른 응급처치를 한 표본조사를 하여 응급처치에 관한 지식데이터베이스를 완성하여 구축하고 응급구조대시스템(20)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응급환자의 생체정보(혈압, 맥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체온, 혈당 등)를 입력받아 추론엔진에서 응급환자의 상태를 추론하여 적합한 응급처치 방법을 찾아낸다. 또한, 통신수단을 통해 응급계측장치(30)로 전송을 한다.
지식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어 있는 생체정보는 다음과 같다.
1.혈압
진료실 혈압 140/90mmHg를 기준으로 고혈압을 정의한다.
135/85 mmHg 이상을 높은 정상이라 하고 120/80 mmHg 이하를 정상혈압 중에서 최적의 혈압이라 한다.
수축기 이완기
적정 혈압 <120 <80
정상 <130 <85
높은 정상 130-139 85-89
경증 고혈압 140-159 90-99
중등도 고혈압 160-179 100-109
증증 고혈압 180 > >110
수축기, 이완기 혈압이 다른 군에 속하면 높은 군을 선택하여 분류한다.
반면 수축기 혈압이 90mmHg 이하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60mmHg 이하일 때는 저혈압에 속하며 이 때 어지럼증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2. 맥박
정상적인 사람의 맥박 수는 60-100회/분 이다.
맥박 수가 100회 이상인 경우 빈맥이라 하며 이 때 심전도를 찍어서 심전도의 파형이 정상인지 확인하여야 한다. 맥박 수가 150회 이상인 경우에는 바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심전도 결과 확인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커피나 담배 ,카페인 음료 섭취 시에는 맥박이 빨라지므로 이를 감안해야 한다. 맥박 수가 50-60 회 인 경우 서맥이라 하며 건강한 사람에서도 간혹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때에도 심전도 확인은 필요하다. 맥박 수가 50회 미만인 경우에는 바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심전도 결과 확인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3. 호흡수
정상적인 사람의 호흡수는 18-22회/분 정도이다. 소아의 경우에는 보다 빠를 수 있다.
호흡곤란을 느끼는 경우는 26-28회/분 이상의 호흡수를 보인다. 분당 30회 이상이면 심한 호흡곤란을 느끼며 즉각적인 응급조치가 필요하다.
호흡수가 14회 미만인 경우에는 호흡중추의 이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4. 산소포화도
산소포화도는 혈중 산소가 포화되어 있는 정도를 표현한다.
92% 이상이면 특이한 이상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며, 90% 정도면 다소 호흡곤란을 느낄 수 있으나 환자에 따라 느끼는 정도는 다르다. 그리고, 88% -90% 에는 청색증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호흡곤란을 느끼므로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88% 이하의 경우 즉각적인 처치가 없다면 사망할 수 있다.
5. 체온
정상 체온은 36-37.5°C 정도이다. 37.5 °C 이상인 경우 열감을 동반할 수 있으며 38 °C 이상인 경우 고열로 판단하며, 반면 35.5 °C 미만의 경우에는 저체온으로 판단을 한다.
6. 혈당
정상 혈당은 음식의 섭취에 따라 달라진다.
공복시 정맥혈- <110 mg/dL
모세혈- <100 mg/dL
식후 2시간 후 정맥혈- <140 mg/dL
모세혈 -<140 mg/dL
소아나 임산부의 경우, 상기의 수치와 맞지 않을 수 있다.
공복시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하루 중 무작위로 추출한 혈당이 200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을 의심할 수 있다.
반면 혈당이 50mg/dL 이하인 경우는 저혈당으로 생각되며 원인을 찾아야 한다.
상기의 각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추론엔진은 환자의 상태를 추론하여 환자의 위험정도를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장치(20)는 응급환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GPS 시스템을 구비하여 단축키가 눌린 사실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곧바로 응급환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응급환자와 가까운 곳에 있는 응급구조대가 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의료기관서버시스템(40)는 의료기관의 위치, 현재 응급실의 상황, 보유하고 있는 의료기구에 대한 정보, 의사에 대한 정보, 입원실 상황 등에 관한 병원에 대한 정보와 환자들에 대한 병력 등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제어장치(20)는 복수 개의 의료기관으로부터 실시간 전송받아 추론엔진에서 응급환자가 도달하기 쉽고 치료받기 적합한 의료기관을 선정하여 응급구조대가 환자를 선정된 의료기관으로 환자를 이송하여 다른 의료기관 등을 경유하여 적합한 의료기관에 도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달시간을 줄여 환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의료기관서버시스템(40)은 제어장치(20)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다른 의료기관서버시스템과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의료기관에서 응급환자가 치료를 받은 기록이 있으면 상기 기록을 전송받아 응급환자 진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조시스템을 이용하여 응급환자 구조를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단계(ST 100): 응급환자가 발생하여 응급환자 또는 주위에 있는 사람이 응급신호발생장치이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급환자 발생을 알리는 것으로 지정된 특정키 또는 단축키를 누르면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급신호를 발신한다.
제 2단계(ST 11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급신호가 발신되면 각 통신사에서 응급중계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도록 하며, 컴퓨터에서 응급신호가 발신되면 컴퓨터와 제어장치(20)이 인터넷 등을 통해 직접 연결되도록 한다.
제 3단계(ST 120): 제어장치(20)는 발신된 응급신호를 접수하면 응급계측장치(30)로 신호를 전달하여 응급구조대가 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응급중계시스템(30)은 GPS 시스템, GIS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응급계측장치(30)에 알려 정확한 위치와 최단시간내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을 응급구조대가 알 수 있도록 하며, 응급신호발생장치과 응급중계시스템 간에 통신을 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응급중계시스템(30)은 응급환자의 상태를 파악한 후에 환자의 증상을 분류하고 진료수준을 결정한 후에 적당한 의료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의료기관을 수배한다. 또한, 응급구조대 중에서 환자운반에 적합한 응급구조대가 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 4단계(ST 130): 응급구조대는 응급환자가 발생한 현장에 도착하여 응급계측장치(30)를 이용하여 환자의 심박수, 혈압, 체온, 산소포화도, 골절유무 등을 측정하여 응급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제어장치(20)로 응급환자의 상태를 전송한다.
제 5단계(ST 140): 제어장치(20)는 전송되는 응급환자의 상태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응급처치방안을 추론을 한 후에 응급계측장치(30)로 응급처치방안을 전송하여 응급구조대가 응급환자에게 적합한 응급처치를 하고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장치(20)는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환자의 치료에 적합한 의료기관을 추론하여 이송될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응급계측장치(30)를 통해 응급구조대에 선정된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며, 제어장치(20)는 이송될 의료기관서버시스템(40)에 응급환자의 이송사실과 응급환자의 상태를 전송하여 의료기관에서 응급환자 치료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20)는 응급계측장치(30)를 통해 응급구조대와 실시간 통신하여 응급환자의 상태변화를 파악하며, 만약 상태가 변하면 다른 응급처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장치(20)는 응급환자가 다른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사실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다른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은 사실이 있으면, 진료기록을 응급환자가 도착할 의료기관에 전송한다.
제 6단계(ST 150): 응급구조대가 의료기관에 도착하여 응급환자를 인계하면 의료기관에서는 전송받은 응급환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곧바로 진료에 들어가도록 한다.
도 3은 응급계측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응급계측장치는 응급환자의 혈압, 맥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체온, 혈당, 심박수 등의 생체정보를 계측하는 생체계측기(34)와 생체계측기(34)에서 측정된 생체정보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전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3), 스마트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카드 리더기(35),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3)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와 스마트 카드 리더기(35)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응급계측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이내장되어 있는 메모리(36), 메모리(36)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신호와 스마트 카드 리더기(35)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는 비교기(31), 응급계측장치와 외부기기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수단(32) 및 응급계측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30)로 구성된다.
도 4는 응급계측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응급계측장치(30)는 외부기기와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포트(미도시)가 후면부에 있어,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생체계측장치가 부착되어 환자의 생체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통신 포트를 통해 다른 생체계측장비와 연결되어 더 많은 생체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에 있는 디스플레이 창(100)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결과가 디스플레이 되며 응급계측장치를 조작하도록 하는 키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각 응급환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리더기(35)가 부착되어 스마트 카드를 읽어 환자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창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창(100)에 뜬 정보를 프린트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린트 (110)가 하부에 부착된다.
도 5는 추론엔진에서 추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단계(ST 200): 스마트 카드 또는 제어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일상적인 상태에서 혈압, 체온, 호흡수, 산소포화도, 혈당 등의 생체정보파악한다.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응급계측장비에 연결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 리더기를 통해 응급계측장비에서 파악을 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생체정보는 의사가 직접환자를 진료하여 작성한 환자의 기록을 데이터화하여 스마트 카드에 기록을 한다.
제 2단계(ST 210): 제어장치는 응급계측장비를 이용하여 파악된 환자의 생체정보를 전송받아 응급환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한다.
제 3단계(ST 220): 제어장치는 스마트 카드 또는 제어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생체정보와 응급계측장비에서 측정된 현재 생체정보를 비교한다.
제 4단계(ST 230): 비교된 값을 이용하여 비교된 값이 임계치를 넘는 정도에 따라 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여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의료기관의 수준을 파악한다. 임계치는 환자마다 다르며, 의사가 각 환자마다 미리 진단하여 환자의 생체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각 환자의 임계치를 정한다.
제 5단계(ST 240)의료기관은 대학병원과 같은 대형병원을 3차진료기관이라 하고, 대학병원보다 의사의 수가 적지만 의사가 여러 명 있고 여러 분야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병원을 2차진료기관이라 하며, 개인병원과 같은 소규모의 병원을 1차진료기관이라고 한다.
제 6단계(ST 250):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파악된 의료기관의 수준에 따라 환자가 1차 내지 3차진료기관 중에서 선택된 의료기관들 중 환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장 편리하게 도달될 수 있고 환자를 치료하기에 적합한 의료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을 선정한다. 예를 들어 환자가 매우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경우에 3차진료기관으로 이송하도록 하고, 환자가 있는 지역과 의료기관이 있는 지역을 GPS 또는 GIS를 이용하여 파악하며 환자가 이송되기에 빠르고 편리한 위치에 있는 의료기관을 파악하며, 파악된 의료기관들 중에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환자에게 필요한 처방과 진단을 할 수 있는 의료장치 또는 의사가 현재하고 있는 의료기관을 선정한다.
제 7단계(ST 260): 선정된 의료기관에 응급환자의 도달사실을 전송하며 응급구조대에게 선정된 의료기관의 위치를 전송한다. 또한, 의료기관에 도달하기 가장 편리한 길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조시스템에 의하면,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버튼을 간단히 조작하면 곧바로 응급구조 신호를 컴퓨터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하여 제어장치로 전달하여 긴박한 상황에서 쉽게 응급구조 신호를 발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장치는 GPS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응급구조대에게 위치를 알려줘 응급구조대가 응급환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는 응급계측장치를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상황을 전송받아 추론엔진을 통해 추론하여 응급환자처리에 관한 내용을 알려주도록 하여 초기 대응을 정확히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응급구조대에 의료기관으로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응급환자를 처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의료기관 중 응급환자 처리에 가장 적합하고 도착시간이 가장 적게 걸리는 의료기관을 판단하여 응급구조대에게 고지하며, 의료기관은 응급중계시스템으로부터 이송되는 응급환자에 대한 현재 상황 등에 대한 정보와 과거의 병력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여 쉽게 응급환자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응급환자에 대한 여러 기록을 남겨 나중에 또 다른 사황이 발생한 경우에 그 기록을 이용하여 응급환자 처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조시스템에 의하면, 응급정보의 통계분석 및 자동분석 정보체계 개발을 통해 응급환자 발생 직후 의료기관의 응급실, 중환자실, 검사장비 등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이송 중인 구급차량에 제공함으로써, 이송대상 의료기관에 대한 신속한 의사결정과 정확한 통계분석을 통해서 그 이송시간의 단축 및 진료의 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전문적인 응급처치 및 적정한 의료진의 대기를 통해서 신속하고 정확한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후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응급환자의 상태가 악화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응급환자의 생존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7)

  1. 응급신호를 발생시키며 외부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제 1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응급신호 송수신장치;
    상기 응급환자를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구조대가 사용하며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상태를 측정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계측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송신하며 외부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응급구조대 단말기; 및
    상기 응급신호송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응급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응급구조대단말기와 응급구조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신호 송수신장치는, 단축다이얼이 탑재되어 있어서 단축다이얼에 의해 응급신호가 이동통신사를 통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되게하고,
    상기 응급계측장치는 응급환자의 생체정보가 디지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를 판독하는 스마트카드판독기;
    응급환자의 생체정보들을 계측하는 생체계측기;
    상기 생체계측기로부터 계측되어 입력된 정보를 아날로그신호에서 디지털신호로 전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스마트카드판독기에서 판독한 디지털정보 및 상기 생체계측기에서 계측되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스마트카드판독기에서 판독한 정보 및 상기 생체계측기에서 계측된 디지털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에 의해 출력된 정보, 상기 생체계측기에 의해 계측된 정보 및 상기 스마트카드에 초기에 입력된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전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응급신호송수신장치와 상기 응급구조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기;
    상기 각각의 응급환자의 생체정보, 상기 각각의 응급환자의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응급환자의 증상의 정도를 판단하는 상기 각각의 응급환자에 대한 생체정보 변수들의 허용치들, 상기 각각의 환자들에 대한 응급처치에 관한 데이터, 의료기관들의 위치 및 상기 의료기관들이 구비하고 있는 의료장치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각각의 응급환자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단하여 중증도분류를 하여 진료수준을 결정하고, 상기 판단된 진료수준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을 찾는 추론엔진; 및
    상기 제어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응급구조대 단말기로 무선으로 송출하는 데이터발신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응급진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신호발생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응급신호발생장치과 상기 제어장치는 통신서버를 통해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응급진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신호발생장치는 컴퓨터에 설치되고 상기 응급신호발생장치는 유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응급진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신호발생장치는 단축키가 설정되어 상기 단축키가 눌리면 곧바로 응급구조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응급진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계측장치와 상기 제어장치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응급진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GPS 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응급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응급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응급진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구조대 단말기는 상기 응급구조대가 환자를 이송하는 엠블란스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엠블란스에서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응급구조대 단말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응급진단장치.
KR1020020065798A 2002-10-28 2002-10-28 원격응급진단장치 KR20040037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798A KR20040037339A (ko) 2002-10-28 2002-10-28 원격응급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798A KR20040037339A (ko) 2002-10-28 2002-10-28 원격응급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339A true KR20040037339A (ko) 2004-05-07

Family

ID=3733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798A KR20040037339A (ko) 2002-10-28 2002-10-28 원격응급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7339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14B1 (ko) * 2004-10-21 2007-05-07 박수영 입력된 정보를 정보제공원의 위치와 함께 처리하는 정보입력 기기 및 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 서버
KR100759916B1 (ko) * 2005-10-21 2007-09-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21627B1 (ko) * 2006-07-04 2008-04-18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주파수인식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응급 의료 정보시스템
KR100821628B1 (ko) * 2006-07-04 2008-04-18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시스템
WO2009012390A2 (en) * 2007-07-17 2009-01-22 Descent Control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WO2009075653A2 (en) * 2007-12-12 2009-06-18 Su Kai Oei Resuscitation team mobiliz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KR100914633B1 (ko) * 2007-07-03 2009-09-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9126B1 (ko) * 2008-01-07 2009-09-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호 발생기의 식별번호 생성방법, 이를 이용한 능동형위치추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68506B1 (ko) * 2011-07-25 2013-06-04 (주)피지오랩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
CN113270180A (zh) * 2021-06-03 2021-08-17 重庆东登科技有限公司 急救医疗的调度管理系统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14B1 (ko) * 2004-10-21 2007-05-07 박수영 입력된 정보를 정보제공원의 위치와 함께 처리하는 정보입력 기기 및 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 서버
KR100759916B1 (ko) * 2005-10-21 2007-09-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KR100821627B1 (ko) * 2006-07-04 2008-04-18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주파수인식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응급 의료 정보시스템
KR100821628B1 (ko) * 2006-07-04 2008-04-18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응급구조 시스템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14633B1 (ko) * 2007-07-03 2009-09-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012390A3 (en) * 2007-07-17 2009-03-19 Descent Control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WO2009012390A2 (en) * 2007-07-17 2009-01-22 Descent Control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WO2009075653A2 (en) * 2007-12-12 2009-06-18 Su Kai Oei Resuscitation team mobiliz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WO2009075653A3 (en) * 2007-12-12 2009-08-20 Su Kai Oei Resuscitation team mobiliz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KR100919126B1 (ko) * 2008-01-07 2009-09-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호 발생기의 식별번호 생성방법, 이를 이용한 능동형위치추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68506B1 (ko) * 2011-07-25 2013-06-04 (주)피지오랩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
CN113270180A (zh) * 2021-06-03 2021-08-17 重庆东登科技有限公司 急救医疗的调度管理系统
CN113270180B (zh) * 2021-06-03 2024-05-14 四川省医学科学院·四川省人民医院 急救医疗的调度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1843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agnosis and personalized abnormalities alerts and for providing adaptive responses in clinical trials
JP4154559B2 (ja) 医療診断システムとその診断処理方法
JP3993236B2 (ja) 患者の健康状態をモニターする方法
KR20020009724A (ko) 원격진료측정장치 및 진료방법
US20030158707A1 (en)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d data transmitting method
US20050080322A1 (en)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asses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a subject
EP3295867B1 (en) A phone for use in health monitoring
US20050075541A1 (en) Tele-diagnostic device
JPH08275927A (ja) 在宅医療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る医療装置
CN109326347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心电图远程监护系统
US20040044545A1 (en) Home care monitor systems
KR20040037339A (ko) 원격응급진단장치
KR20180010573A (ko) 스마트 구급차
JP2003299624A (ja) 遠隔診断支援システム
JP2004351184A (ja) ユビキタス式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KR2016013382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CN112037916A (zh) 共享多功能防猝死生理信息检测系统及其方法
CN104873171B (zh) 一种医疗系统及医疗信息传输方法
KR100334892B1 (ko)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초음파 감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원격 진료 시스템
KR100681402B1 (ko) 원격 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MX2014015536A (es) Terminal multimedia con medida de parametros vitales.
JP2002238863A (ja) 遠隔医療診断管理システム
JPH11178801A (ja) 生体リスク管理用アダプター装置及びその装置利用による携帯電話を媒体とした生体リスク管理方法
CN111047289A (zh) 一种用于创伤外科抢救基于5g技术的快速数据传输系统
Kumpusch et al. A Mobile Phone Based Telemonitoring Concept for the Simultanous Acquisition of Biosignals Physiological Parame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