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958B1 -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958B1
KR102448958B1 KR1020220051740A KR20220051740A KR102448958B1 KR 102448958 B1 KR102448958 B1 KR 102448958B1 KR 1020220051740 A KR1020220051740 A KR 1020220051740A KR 20220051740 A KR20220051740 A KR 20220051740A KR 102448958 B1 KR102448958 B1 KR 102448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value
face
ampoule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성태
Original Assignee
(주)해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우기술 filed Critical (주)해우기술
Priority to KR102022005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958B1/ko
Priority to PCT/KR2022/016240 priority patent/WO20232108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2Glob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the whole pattern, e.g. using frequency domain transformations or autocorrelation
    • G06V10/422Glob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the whole pattern, e.g. using frequency domain transformations or autocorrelation for representing the structure of the pattern or shape of an object therefor
    • G06V10/424Syntactic representation, e.g. by using alphabets or gramm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6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syntactic or structural representations of the image or video pattern, e.g. symbolic string recognition; using graph match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 앰플 자동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면 일측에 기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상기 하우징 외면 타측에 마련되는 검체앰플 투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검체앰플 자동공급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하여 검체앰플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병원 서버와 연결하여 기저장된 환자 정보, 문진표 양식, 문진표 결과 및 질병 안내 자료를 송수신하는 서버부, 환자의 신분증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환자정보 수집부, 사용자 인식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상태를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인식 카메라를 통해 상기 터치패널에 대향하여 상기 환자가 위치하는 경우, 기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환자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터치패널 제어부, 상기 환자가 작성한 문진 결과에 대응하여 검체 채취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검체 대상 판단부, 상기 환자가 검체 채취 대상인 경우, 환자 정보가 기재된 검체 앰플을 제공하는 앰플 제공부 및 상기 환자로부터 검체 채취방법, 상기 문진표 작성, 대면진료 요청 및 위급 환자 도움 요청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사항에 대응하여 의료인의 단말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의료인 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NON-FACE-TO-FACE SPECIMEN AMPOULE SUPPLY KIOSK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분증 및 개인 휴대전화를 통해 환자정보를 수집하여 진료인 호출 신호 송출 및 앰플을 공급하여 감염병의 진단 및 관리하는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사회에 발생한 가장 대표적인 전염병인 코로나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위기선언과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사람들의 이목을 주목시키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으로부터 2년여의 시간이 흐른 지금 다양한 백신의 개발과 치료약의 개발을 통해 점차 종식선언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코로나와 같은 전세계적인 전염병의 위험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감염병 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 예방에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진 가운데 보건행정에 관한 기술적인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위와 같은 보건행정에 관한 기술적인 발전 요구는 감염을 최소화하고, 의료진의 감염 가능성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비대면 진료장비의 기술적 발전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한편, 키오스크는, 무인 정보 제공 단말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정보 제공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시장, 은행, 쇼핑몰 및 기관 등에서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단말기를 총칭한다.
대개의 키오스크 장치는, 대부분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손을 화면에 접촉하는 터치스크린을 채택하여 단계적으로 쉬운 정보서비스의 검색과 성인 눈높이의 대형 화면을 제공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음식점에서 사용자의 주문을 전산화시켜 주방에 제공하거나, 공공시설에 마련되어 정보제공 및 결합되는 장치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는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화, 자동화를 통해 인력절감 효과와 장소와 시간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비대면 진료에 적합하다.
따라서, 비대면 진료관리 소프트웨어를 키오스크 단말에 이식하여 감염병 환자 또는 감염병 의심 환자에게 해당 감염병과 관련된 정보제공 및 진료 절차를 안내하고, 환자의 사례에 따라 음성출력, 영상출력, 프린트물 출력, 앰플 제공 등 상주 인원 없이 비대면 진료를 수행할 수 있는 검체 앰플 자동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37777호
본 발명은 키오스크 시스템에 영상촬영장치를 마련하여 신분증을 인식함으로써, 관리서버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의료서비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로 환자와 의료인간의 접촉을 억제함으로써, 의료인의 감염을 예방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문진표를 작성한 환자 중 검체 채취 대상 여부를 판별 후 키오스크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검체 앰플을 공급함으로써, 검체 채취에 필요한 의료인의 피로도를 감소시킴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면 일측에 기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상기 하우징 외면 타측에 마련되는 검체앰플 투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검체앰플 자동공급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하여 검체앰플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병원 서버와 연결하여 기저장된 환자 정보, 문진표 양식, 문진표 결과 및 질병 안내 자료를 송수신하는 서버부, 환자의 신분증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환자정보 수집부, 사용자 인식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상태를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인식 카메라를 통해 상기 터치패널에 대향하여 상기 환자가 위치하는 경우, 기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환자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터치패널 제어부, 상기 환자가 작성한 문진 결과에 대응하여 검체 채취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검체 대상 판단부, 상기 환자가 검체 채취 대상인 경우, 환자 정보가 기재된 검체 앰플을 제공하는 앰플 제공부 및 상기 환자로부터 검체 채취방법, 상기 문진표 작성, 대면진료 요청 및 위급 환자 도움 요청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사항에 대응하여 의료인의 단말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의료인 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 상측에 마련된 조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조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를 제어하되, 상기 조도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가 기설정된 초기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 데이터가 상기 기준 수치를 초과하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 인식 카메라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패널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환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가 최대값으로 자동 조정되며, 상기 조도 데이터가 상기 기준 수치를 초과하더라도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 인식 카메라를 통해 상기 터치패널과 대향하여 위치에 상기 환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가 최저값으로 자동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는, 상기 키오스크 시스템 내측에 마련되어 신분증 투입구, 영상촬영장치, 조도센서 및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신분증 촬영부를 더 마련하고, 상기 신분증 촬영부에서 촬영한 상기 환자의 신분증 영상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지, 최초발급일, 면허증 번호, 최초 면허 취득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환자 정보와 상기 서버부에 저장된 환자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신규 환자 또는 기존 환자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는, 상기 키오스크 시스템의 영상촬영장치에 상기 환자가 위치시킨 신분증을 촬영하고, 상기 신분증의 사진 위치, 반사패턴, 색상 및 크기 정보를 수집하여 신분증 종류를 확인하며, 상기 구별한 신분증의 종류에 대응하는 문자 객체 영역의 위치를 한정하고 문자를 추출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 데이터를 환자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는, 상기 신분증 촬영부에 마련된 조도센서의 측정값에 대한 정상범위 및 유효데이터 범위를 산출하되, 상기 정상범위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값의 상한값, 하한값 및 평균값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제한값(Lud)을 산출하고,
[수학식 1]
Figure 112022045016936-pat00001
(여기서, Uv는 상한값, Av는 평균값, Lv는 하한값을 의미함)
상기 평균값에서 상기 제한값을 뺀 차이값 내지 상기 평균값에서 상기 제한값을 더한 값까지를 정상범위로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정상범위를 제외한 데이터를 노이즈 데이터로 판단하되, 상기 상한값 및 상기 하한값은, 하한경계값부터 상한경계값에 이르는 범위로 정의되는 예측범위 내에서 도출하며, 상기 하한경계값은, 기설정된 초기값의 평균값에 평균편차의 N배를 뺀값이고, 상기 상한경계값은, 기설정된 초기값의 평균값에 평균편차의 N배를 더한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오스크 시스템에 영상촬영장치를 마련하여 신분증을 인식함으로써, 관리서버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로 환자와 의료인간의 접촉을 억제함으로써, 의료인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문진표를 작성한 환자 중 검체 채취 대상 여부를 판별 후 키오스크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검체 앰플을 공급함으로써, 검체 채취에 필요한 의료인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의 신분증 인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신분증 촬영부에 위치한 조도센서의 조도 측정값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신분증 촬영부에 위치한 조도센서로부터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발생한 노이즈값이 포함된 측정값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신분증 촬영부에 위치한 조도센서에서 센싱된 측정값 중 연속적으로 발생한 노이즈값이 포함된 측정값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의 신분증 인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신분증 촬영부에 위치한 조도센서의 조도 측정값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신분증 촬영부에 위치한 조도센서로부터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발생한 노이즈값이 포함된 측정값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신분증 촬영부에 위치한 조도센서에서 센싱된 측정값 중 연속적으로 발생한 노이즈값이 포함된 측정값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서버부(110), 환자정보 수집부(120), 터치패널 제어부(130), 검체 대상 판단부(140), 앰플제공부(150) 및 의료인 호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인 화면의 터치 입력과 영상출력을 통해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체 앰플 자동공급 키오스크 시스템(100)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면 일측에 기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상기 하우징 외면 타측에 마련되는 검체앰플 투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검체앰플 자동공급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하여 검체앰플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서버부(110)는, 병원 서버와 연결하여 기저장된 환자 정보, 문진표 양식, 문진표 결과 및 질병 안내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키오스크 시스템(100)이 병원 내 위치하는 경우에 병원 자체 서버로부터 환자데이터, 문진표 양식 데이터, 환자 문진표 결과 데이터, 질병 관련 안내 데이터, 질병 행동 수칙 데이터, 예방수칙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시스템(100)을 통해 입력되는 간이 환자 정보 데이터를 병원 서버에 전송하여 환자가 해당 병원에 방문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되, 이전 방문 이력이 있는 경우, 상세 환자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하지 않고 바로 문진표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간이 환자 정보 데이터는, 환자의 이름, 생년월일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세 환자 정보 입력 화면은, 환자가 키오스크 시스템(100)에 간이 환자 정보 데이터 입력 후, 병원 서버에서 일치하는 환자가 없는 경우 신규 환자로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신규 환자로 판단된 환자로부터 이름, 생년월일, 연락처, 보호자 연락처, 현재 복용중인 약 정보, 현재 치료중인 질병 정보, 현재 파악된 알레르기 물질 정보 등 기초적인 환자 정보와 문진의 목표가 되는 질병 종류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환자의 의료정보의 입력 칸을 키오스크 시스템(100)에 마련하여 환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집된 환자 정보는 환자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 및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진표는, 환자의 병력, 감염병 질환의 주요 증상 여부, 발병 시기, 경과, 현재증상 등의 문항을 포함하는 표로 구성하여 환자가 작성한 문진결과에 따라 현재 환자가 해당 감염병의 감염 가능성과 이미 감염이 된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는, 환자의 신분증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는, 키오스크 시스템(100)에 내측에 마련되어 신분증 투입구, 영상촬영장치, 조도센서 및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신분증 촬영부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분증 투입구에 적외선 감지 센서를 마련하여 신분증 투입 시,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적외선이 수신되는 감지량 차이를 통해 신분증의 투입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컬러 영상카메라, 신분증 스캐너, 비전형 신분증 식별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환자가 신분증 투입구에 신분증을 투입하는 경우, 상기 신분증 촬영부에서 환자 신분증을 촬영하여 신분증 영상 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신분증 영상을 통해, 신분증 영상에 포함된 환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지, 최초발급일, 면허증 번호, 최초 면허 취득일 등의 환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된 환자 정보와 상기 서버부(110)을 통해 수신한 병원 서버 내 저장된 환자 정보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기존환자로 분류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규 환자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기존환자인 경우, 병원 서버 내 저장된 환자 정보를 병원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추가적인 환자정보 입력을 건너뛰고 문진표 작성 화면으로 이동되고, 신규환자인 경우, 상세 환자 정보 입력 화면을 키오스크 시스템(100) 화면에 출력하여 추가적인 환자 정보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한편, 영상촬영장치로 촬영한 환자의 신분증 영상을 통해 신분증 내 환자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도 2를 참고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는, 신분증 촬영 단계(210), 신분증 구별 단계(220), 문자 영역 추출 단계(230), 문자인식 단계(240) 및 환자정보 저장단계(250)를 수행하여 환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신분증 촬영 단계(210)는, 환자가 키오스크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진료 접수 시 '환자 정보 식별을 위해 신분증을 해당 위치에 올려주세요'라는 문구를 표시하여 신분증 촬영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구와 함께 신분증을 놓는 위치를 그림 또는 사진을 포함하는 영상자료로 키오스크 시스템(100)의 화면에 출력하여 신분증을 촬영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신분증을 위치시키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키오스크 시스템(100) 내 영상촬영장치가 마련된 지점에 환자의 신분증이 위치한 경우, 신분증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의 형태로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신분증 구별 단계(220)는, 신분증의 사진 위치, 문자 위치, 반사패턴, 색상 및 크기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촬영된 신분증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신분증의 종류는 대표적인 신분증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및 여권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외 청소년증, 공무원증, 선원수첩, 국가기술자격증, 대학교 이상 학생증, 장애인복지카드, 전역 후 1년 이내의 전역증, 외국인등록증, 외국국적동포국내거소신고증, 재외국민국내거소신고증, 재학증명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신분증 영상으로부터 신분증 종류를 구별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종류 별 신분증에 대한 빅데이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신분증의 종류에 따른 특징영역을 추출하여 해당 신분증의 종류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징영역은, 신분증 별 공통된 영역의 색상 데이터값, 홀로그램 이미지, 관공서의 관인 이미지 등 타 종류의 신분증과 구별되는 특징이 존재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신분증 별 공통된 영역의 색상 데이터값은, 외부에서 수신한 다수 개의 동일한 신분증 영상으로부터 사진 위치, 문자 위치를 제외한 공통된 영역의 색상코드값을 추출한 데이터값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한 공통된 영역의 RGB 색상코드값을 수집하여 해당 종류의 고유 신분증 색상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분증의 색상 데이터는, 신분증의 사진 영역으로 인식한 영역의 중심을 기준 위치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신분증의 기준 위치로부터 공통 영역에 해당하는 각 픽셀의 RGB 색상코드값에 대한 평균값 및 오차범위를 산출하여 해당 신분증 종류의 색상 데이터값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신분증 내 사진 위치는, 정지된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을 추출하여 인식하는 얼굴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신분증 내 사진 영역을 특정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분증 내 사진 위치를 인식하고, 기준 위치로 설정 후 공통 영역의 RGB 색상코드값의 평균값과 오차범위 내 포함되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신분증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는, 신분증 촬영 단계(210)에서 홀로그램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장치를 통해 스캔되는 홀로그램을 이미지 영상으로 저장하여, 신분증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스캔장치는, 키오스크 시스템(100) 내 영상촬영장치가 마련된 위치에 배치되어 환자정보 수집부(120)에 스캔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신분증 별 홀로그램은, 신분증을 발급한 국가기관에서 수신한 홀로그램 이미지와 상기 스캔장치를 통해 스캔되는 홀로그램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신분증의 종류가 명확하게 판단된 기저장된 신분증 영상에서 홀로그램 이미지를 수집하여 상기 신분증 촬영 단계(210)에서 수집된 환자의 신분증 내 홀로그램 이미지를 매칭시켜 일치율이 가장 높은 신분증 종류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관공서의 관인 이미지는, 특정 신분증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빅데이터에서 추출되는 종류별 신분증 중 관인 이미지가 포함된 종류의 신분증 목록으로 1차 판단할 수 있다.
즉, 여러 종류의 신분증 중 관인 이미지가 포함 신분증을 제외한 후 신분증의 종류의 판단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신분증 내 사진 위치와 상기 관인 이미지 위치를 비교하여 신분증의 종류를 보다 상세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분증에 마련된 관인 이미지는 일괄적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종류별 신분증 빅데이터를 통해 수집된 관인 이미지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신분증에 관인한 공공기관을 특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신분증을 발급한 기관을 파악하여 신분증의 종류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환자의 신분증으로부터 인식된 관인이 서울지방경찰청장의 관인으로 판단되고, 신분증 내 사진의 위치가 왼쪽에 마련된 경우, 운전면허증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촬영된 환자의 신분증에 인식된 관인이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장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또는 청소년증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사진의 위치가 신분증 오른쪽에 위치하고 관인을 중심으로 관인 위쪽 방향에 위치한 경우 주민등록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영역 추출 단계(230)는, 종류가 구별된 신분증에 대응하는 문자 객체 영역의 위치를 한정하고 상기 한정한 문자 객체 영역에서 문자를 추출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자 객체 영역은, 신분증 영상 내 문자가 포함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주민등록증의 경우, '주민등록증', '홍길동(洪吉童)', '820701-2345678', '서울특별시 종로구 은천로93, 1203동 1204호(봉천동, 진달래아파트 101동 2301호)', 2019. 11. 28', '행복특별시 행복구청장'이 문자 객체 영역으로 한정되어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신분증의 종류에 따라 문자가 기재되는 위치를 파악하고, 기재된 문자 위치에 따라 환자 정보 수집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여 환자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키오스크 시스템을 통해 촬영한 환자의 신분증이 주민등록증으로 판단된 경우, 환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가 위치한 문자 객체만을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자 객체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은, 상기 종류별 신분증 빅데이터를 기초하여 입력층, 은닉층 및 출력층으로 구성된 인공신경망 모델을 적용하여 문자 객체 영상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분증 내 환자 정보 기록에 필요한 요소(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에 해당하는 문자 객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불필요한 요소(운전면허 적성검사 기간, 운전면허증 번호, 운전면허증 발급 일자, 주민등록증 발급 일자, 발급장소 등 병원 진료에 필요하지 않은 정보)를 인식하지 않음으로써 신분증을 이용하여 환자정보를 수집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환자정보 저장단계(240)는, 신분증 영상을 통해 인식된 텍스트 데이터를 환자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는, 상기 신분증 촬영부에 투입된 환자의 신분증을 촬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분증 투입구에 물체감지센서를 마련하여 투입된 환자의 신분증의 투입 여부를 인식하고, 신분증 투입구 내부에 마련된 조도센서를 통해 신분증 투입구 내부의 조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싱된 조도 측정값에 따라 조명장치의 조명세기를 조절하여 기설정된 조도 측정범위 내 포함되도록 조절 후 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신분증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측정값에 대응하여 조명장치의 밝기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제어장치를 마련하여 조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조명장치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신분증 촬영부에서 신분증 촬영 시 가장 선명하게 찍히는 조도가 550lx(럭스, 빛의 세기)이고, 권장 조도가 400~700lx이며, 현재 조도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측정값이 200lx인 경우, 상기 제어장치에서 조명장치로 신호를 전송하여 조명장치의 밝기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측정값이 상기 권장조도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현재 조명장치의 밝기를 그대로 유지하고, 조명 준비 완료 신호를 영상촬영장치에 전송하여 환자의 신분증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는, 신분증 촬영부 내부의 조도를 센싱하여 표시되는 측정값에 대한 정상범위 및 유효데이터 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분증 촬영부의 내부 밝기가 이상적인 조도 범위 내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조도센서에 센싱되는 측정값 중 노이즈에 해당하는 값을 제외하고 유효한 값만을 추출하여 신분증 촬영부 내부 밝기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분증 촬영부 내 마련된 조도센서로부터 센싱한 측정값에 대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유효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도센서의 측정값에 대한 정상범위 및 유효데이터 범위를 산출하되, 상기 정상범위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값의 상한값, 하한값 및 평균값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제한값(Lud)을 산출하며,
[수학식 1]
Figure 112022045016936-pat00002
(여기서, Uv는 상한값, Av는 평균값, Lv는 하한값을 의미함)
상기 평균값에서 상기 제한값을 뺀 차이값 내지 상기 평균값에서 상기 제한값을 더한 값까지를 정상범위로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정상범위를 제외한 데이터를 노이즈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상한값(Uv)이 750lx이고, 상기 평균값(Av)이600lx이며, 상기 하한값(Lv)이 400lx인 경우, 상한값과 평균값의 차이가 750-400=350, 평균값과 하한값의 차이는 600-400=200이므로, 더 큰 원소인 350이 제한값(Lud)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한값이 산출되면 정상범위가 결정될 수 있는데, 상기 평균값에서 상기 제한값을 뺀 값부터 상기 평균값에서 상기 제한값을 더한 값까지를 정상범위로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산출된 정상범위의 범위 내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는 노이즈 데이로 판단하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노이즈 데이터를 보다 세분화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기준을 추가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노이즈 데이터는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정상범위를 벗어난 데이터가 기설정된 횟수이상 연속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상기 정상범위를 벗어난 직전 데이터값인 종전값과 기설정된 오차범위(이때, 상기 오차범위는 센서의 종류와 민감도에 따라 -5% ~ +5% 내지 -20% ~ +20%사이로 설정할 수 있음) 내 포함되지 않는 값으로 판단된 측정값을 노이즈 데이터로 최종 결정하여, 노이즈 데이터 선별에 보다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횟수는, 2회 내지 5회로 설정하여 상기 횟수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정상범위를 벗어난 데이터가 연속적인지 불연속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센서의 전체 측정값을 이용하여 정상범위를 산출하고 노이즈 데이터를 구분하는 과정은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신분증 촬영부 내부 밝기 측정값은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는, 정상범위(340) 내에서 측정된 값들만 유효한 값으로 인식하는데, 상기 정상범위(340)는, 기설정된 구간 동안의 초기값들을 입력받은 후, 상기 초기값들의 평균값(330)과 평균편차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기값들 중에서도 무의미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입력 입력받은 전체 초기값들 중 예측범위 내에 있는 초기값들만 상기 정상범위(340) 도출에 이용하며, 상기 예측범위(350)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측범위(350)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기설정된 구간 동안의 전체 초기값들의 평균값(330)에 평균편차의 N배수를 더한값을 예측범위(350)의 상한경계값(310)으로, 기설정된 구간 동안의 전체 초기값들의 평균값(330)에 평균편차의 N배수를 뺀값을 예측범위(350)의 하한경계값(320)으로 결정하여 상기 상한과 하한 사이 값을 예측범위(350)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배수의 N값은 최소 1.5부터 최대 20까지 센서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조도센서를 통해 신분증 촬영을 통해 환자정보 수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기설정된 구간동안 측정된 초기값의 평균값(330)이 400lx이고, 평균편차가 25로 산출되었으며, N배수가 8로 설정된 경우, 예측범위(350)의 상한경계값(310)은 400+25×8=600lx, 하한경계값(320)은 400-25×8=200lx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는, 상기 평균값(330), 평균편차 및 배수를 이용하여 상한경계값(310) 및 하한경계값(320)을 산출하고, 그 사이 범위인 200lx ~ 600lx를 예측범위(350)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평균값(330), 상한경계값(310) 및 하한경계값(320)을 이용하여 예측범위(350)를 산출함으로써 정상범위(340)를 확정하기 위한 데이터 선별을 보다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예측범위(350)를 이용하여 정상범위(340)를 산출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예측범위(350) 내 가장 큰 측정값을 상한값(305), 가장 작은 측정값을 하한값(306)으로 추출하고,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평균값(330), 상한값(305) 및 하한값(306)을 이용하여 제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제한값이 산출되면, 상기 평균값(330)에서 제한값을 뺀 측정값 내지 상기 평균값(330)에서 제한값을 더한 측정값을 정상범위(340)로 결정하고, 상기 정상범위(340)를 벗어난 측정값을 노이즈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앞서 결정된 예측범위 200lx ~ 600lx 내에서 가장 큰 값인 상한값(305) 및 가장 작은 값인 하한값(306)을 도출하고, 이를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제한값을 산출하면 제한값은 max{(580-400), (400-240)}=180lx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예측범위(350)를 벗어나는 데이터인 제1 지점 데이터(301), 제2 지점 데이터(302), 제3 지점 데이터(303) 및 제4 지점 데이터(304)를 상한값 및 하한값 산출에서 제외함으로써, 무의미한 데이터가 정상범위 산출에 사용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정상범위(340)는 평균값(330)과 상기 제한값의 차인 400-180=220lx부터 평균값(330)과 상기 제한값의 합인 400+180=580lx까지로 산출되고 상기 정상범위(340)에 포함되지 않은 측정값인 상기 제1 지점 데이터(301), 제2 지점 데이터(302), 제3 지점 데이터(303) 및 제4 지점 데이터(304)를 노이즈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는, 노이즈 데이터의 발생 패턴을 이용하여 센서불량 등 특이사항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데, 그 실시례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례로, 상기 노이즈 데이터가 상기 종전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며, 상기 동일값의 센싱주기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다수 개 측정된다면, 이는 센서불량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정상범위를 벗어나 노이즈 데이터로 판단된 다수의 측정값과 측정간격이 오차범위 내 포함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되는 경우, 센서 측정 부위 내 오염물 존재, 센서의 전기적 신호 송수신 문제 등 지속적으로 정상범위를 벗어난 측정값이 측정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센서불량 데이터로 인식하여 센서의 수리, 교체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 3과 같이 정상범위가 설정되고, 상기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노이즈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센서불량 데이터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노이즈 데이터들은 센서불량으로 인해 발생되는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시례는 상기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신분증 촬영부 내부 밝기 데이터를 센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정상범위를 벗어난 노이즈 데이터가 다수회 발생되며, 종전 노이즈 데이터와 비교하여 -10% ~ +10%이내의 오차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오차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데이터가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경우, 상기 노이즈 데이터들을 통해 센서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이즈 데이터가 일정한 주기로 반복된다 함은 노이즈 데이터가 나타나는 주기가 오차범위 -10% 내지 +10% 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상범위를 벗어난 제5 지점 데이터(401), 제6 지점 데이터(402) 및 제7 지점 데이터(403)가 측정되되, 상기 제5 지점 데이터(401) 27초 시점에 측정되었고, 제6 지점 데이터(402)가 41초에 측정되었다면 제5 지점(401)과 제6 지점(402)의 시간간격은 14초(t1)이다. 또한, 제7 지점 데이터(403)는 54초에 측정되었으므로, 제6 지점 데이터(402)와 제7 지점 데이터(403)가 측정된 시간간격은 13초(t2)이므로, 제5 지점 데이터(401) ~ 제6 지점 데이터(402)의 시간간격과 제6 지점 데이터(402) ~ 제7 지점 데이터(403)의 시간간격은 1초이고, 오차범위 10% 범위인 1.4초를 초과하여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수의 노이즈 데이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으며, 발생 주기가 일정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센서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조도센서의 불량 여부를 체크하도록 키오스크 시스템(100) 관리자에게 안내메시지 등을 발송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에서 상기 조도센서에 센싱되는 신분증 촬영부 내부 밝기 데이터를 통해 센서불량으로 예측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 등에 알람을 제공하여 센서의 불량여부 점검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에서 측정된 다수의 신분증 촬영부 내부 밝기 데이터가 일정 시간동안 정상범위를 벗어나되, 유사한 값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경우, 센서불량이 아닌 주변 장치에 오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27초부터 42초 사이 구간에서 정상범위를 초과한 다수의 노이즈 데이터가 검출되되, 다수의 노이즈 데이터가 일정한 오차범위 내(ex. 구간 내 최초 출현한 노이즈 데이터 값으로부터 10% 범위 내)에 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센서의 불량이 아닌 센서가 측정하는 환경을 제어하는 주변장치의 오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측정값이 예측범위를 초과하는 27초부터 조명장치가 즉시 밝기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수행해야 하지만 이보다 8초가 지난 시점인 37초부터 동작하여 동작 타이밍 재조정이 필요한 경우, 조명장치가 27초부터 즉시 동작했으나 조명장치의 조도 조절기능 이상으로 동작 직후 8초이후부터 제대로된 조도 조절기능이 수행되어 조명장치의 조도 조절기능에 이상동작이 발생한 경우 등이 센서로 수신되는 데이터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는, 상기 조도센서 주변장치의 오류 등을 예측하고, 주변장치에 대한 점검 알람 등을 관리자 단말에 발송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터치패널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 인식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식 카메라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고 사람으로 판단된 영상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람의 눈, 코, 입, 얼굴, 팔, 다리 등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딥러닝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와 안면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환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치패널에 대향하여 환자가 위치하는 경우, 기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환자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컨텐츠는, 환자 정보 입력화면, 문진표 작성화면, QR코드 화면 및 질병 관련 홍보자료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가 키오스크 시스템(100)을 이용하기 위해 터치 패널에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환자정보 입력화면을 출력하여 환자정보 직접 기재, 환자정보 입력을 위한 신분증 촬영, QR코드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환자정보를 입력을 유도하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환자정보 직접 기재를 선택하는 경우, 환자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과 터치 키보드 화면을 출력하여 환자가 키오스크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QR코드 출력을 선택하는 경우, 환자의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문구와 함께 QR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QR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환자의 스마트폰에 환자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하여 환자 정보 입력을 유도하고, 환자의 스마트폰에서 작성된 환자 정보를 서버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부(110)에서 환자의 스마트폰으로 문진표를 전송하여 환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문진표 작성 후 다시 서버부(110)로 전송하도록 유도하여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부(110)는, 환자가 작성한 문진표를 환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고, 문진표 결과를 다시 환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질병 관련 홍보자료 화면은, 현재 키오스크 시스템(100)을 아무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질병 관련 홍보자료를 출력하여 질병관련 행동수칙, 질병예방 수칙, 병원 내 선별검사소 위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 제어부(130)는, 터치패널 상측에 마련된 조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조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조도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가 기설정된 초기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조도 데이터가 상기 기준 수치를 초과하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 인식 카메라에 대응하여 터치패널과 대향하는 위치에 환자가 인식되는 경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가 최대값으로 자동조정될 수 있다.
또한, 조도 데이터가 상기 기준 수치를 초과하더라도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 인식 카메라를 통해 터치패널과 대향하여 위치에 환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가 최저값으로 자동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도 데이터의 기준 수치는 150lx 내지 550lx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패널 제어부(130)에 마련된 조도센서 역시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120)에 마련된 조도센서와 같이 센싱되는 측정값에 대한 정상범위 및 유효데이터 범위를 산출하여 노이즈 데이터에 해당하는 측정값을 제외하고 유효한 값만을 추출하여 센서의 오작동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검체 대상 판단부(140)는, 상기 서버부(110)로부터 환자가 작성한 문진표의 문진 결과에서 검체 채취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환자의 스마트폰에 검체 채취 대상을 알리는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체 채취 대상 환자의 스마트폰에 키오스크 시스템(100)으로부터 검체 앰플을 수신받고 검체를 어떻게 채취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영상 및 텍스트로 제공하여 환자의 원활한 검체 채취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체 채취 대상 여부는, 문진표 내 기설정된 항목에 체크된 항목이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검체 채취 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환자가 문진표 내 20개의 문항에 대하여 '예' 또는 '아니오'로 선택해야하고, '예'라고 체크한 항목이 총 11개를 초과한 경우 검체 채취 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앰플 제공부(150)는, 환자가 검체 채취 대상인 경우, 환자 정보가 기재된 검체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환자가 검체 채취 대상자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환자가 터치패널 제어부(130)에서 검체 앰플 받기를 선택하여 검체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자가 검체 앰플 제공 대상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신분증 재촬영을 유도하여 환자 본인임을 인증한 후 검체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터치패널 제어부(130)에 QR코드를 출력하여 환자 스마트폰으로 상기 QR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환자가 키오스크 시스템(100)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검체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는 검체 앰플은, 환자의 이름, 의심질환명, 검사항목명 등이 프린팅된 스티커를 검체 앰플에 부착하는 스티커 부착장치를 통해 부착된 후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앰플 제공부(150)는, 키오스크 내 앰플을 자동 교체하는 앰플 교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앰플 교체부는, 키오스크 시스템(100)에서 배출된 검체 앰플 수를 카운팅하여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앰플 카트리지 교체 요청 신호를 기지정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앰플을 수용한 앰플 카트리지는 상기 앰플 제공부(150)에서 수신한 앰플 제공 신호에 따라 1개의 앰플을 배출하되, 앰플 배출구에 마련된 적외선 물체 감지 센서를 통해 앰플의 배출 여부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초 앰플 카트리지 내 앰플 수량과 배출된 앰플 카운팅 횟수가 일치하는 경우 앰플 카트리지의 자동 교체 또는 기지정된 관리자 단말에 앰플 카트리지 교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정된 관리자 단말은, 상기 앰플 교체부에 등록된 관리자의 스마트폰, PC, 노트북, 태플릿PC 등 유선 및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키오스크 시스템(100) 내 최대 1개의 앰플 카트리지가가 투입되고, 1개의 앰플 카트리지 당 총 100개의 앰플을 수용 가능한 앰플 카트리지는, 환자의 문진결과에 따라 환자에게 앰플을 1개씩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앰플이 앰플 배출구에 배출되기 직전에 통과되는 위치에 적외선 물체 감지 센서를 마련하여 상기 앰플 배출구에 배출되는 앰플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환자에게 앰플을 지속적으로 배출하다가 앰플 카운팅수가 40회가 되는 시점에서 키오스크 시스템(100) 내 위치한 나머지 앰플 카트리지와의 위치 교환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이후의 앰플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앰플 카트리지 간의 위치교환은, 앰플 카트리지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동작을 통해 위치를 교체하는 교체장치를 통해 교체될 수 있으며, 상기 개별 앰플 카트리지가 위치한 하면에 근접센서를 마련하여, 앰플 카트리지 내 앰플이 가득 차있는지 또는 비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 앰플을 공급하고 있는 앰플 카트리지가 아닌 나머지 앰플 카트리지 내 앰플이 가득 차 있다고 판단된 경우, 카운팅 40회 후 자동으로 앰플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현재 앰플을 공급하고 있는 앰플 카트리지가 아닌 나머지 앰플 카트리지의 무게를 센싱하여 앰플이 빈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앰플을 공급하고 있는 앰플 카트리지의 최초 카운팅부터 30회를 초과한 시점부터 관리자 단말에 현재 잔여 앰플 개수와 앰플 카트리지 교환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키오스크 시스템(100) 내 앰플 카트리지의 자체 자동 교환 및 앰플 카트리지의 전체 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료인 호출부(160)는, 환자로부터 검체 채취 도움 요청, 문진표 작성 도움 요청, 대면진료 요청 및 위급 환자 도움 요청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사항에 대응하여 의료인의 단말에 호출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키오스크 시스템(100)의 문진표를 통해 환자가 검체 채취 대상인 경우, 키오스크 시스템(100)의 터치패널 제어부(130) 또는 환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검채 채취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으나, 환자가 직접 검체를 채취하기 힘든 상황일 때, '검체 채취 도움 요청하기'를 선택하여 검체 채취를 담당하는 의료인을 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체 채취 도움 요청하기'는 키오스크 시스템(100) 내 터치패널 제어부(130)에 표시된 버튼을 터치하여 호출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QR코드를 인식하여 스마트폰으로 검체 채취 방법을 시청중에도 '검체 채취 도움 요청하기' 버튼을 표시하여 검체 채취를 담당하는 의료인을 호출할 수 있다.
이때, 검채 채취를 담당하는 의료인의 단말에 호출한 환자의 이름, 생년월일, 환자가 입력한 호출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의료인이 환자를 찾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검체 채취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문진표 작성 요청 시에도 상기와 같이 의료인의 단말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문진표 작성에서 의료인이 환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환자가 문진표 작성 및 검체 채취 과정을 건너뛰고 의료진 직접 대면진료 요청 및 위급 환자 도움 요청을 키오스크 시스템(100) 또는 QR코드를 인식한 환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선택하는 경우, 즉시 전문 의료진의 단말로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오스크 시스템(100)은, 전문 의료진의 단말에 환자 정보 및 현재 환자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가 키오스크 시스템(100)에서 문진하는 대상 질환에 관련이 없는 경우 또는 키오스크 시스템(100)과 스마트폰 사용이 힘든 노인환자들의 문진표 작성오류를 감소시켜 불필요한 검체 채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문진을 할 수 없을 정도의 상태의 위급한 상황에서 환자가 의료진을 호출하여 빠른 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검체 앰플 자동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키오스크에 마련된 서버부와 병원 서버를 연결시켜 환자정보, 문진표 관련 자료들을 송수신하여 환자관리 및 문진표에 따른 검체 측정 필요 여부를 확인하고, 키오스크 시스템에 위치하는 환자를 인식하여 터치패널의 밝기를 자동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환자의 문진표 작성 전, 환자의 신분증 투입을 통해 환자 신분증을 촬영 후 문자 객체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환자 정보를 갱신하거나 신규등록 할 수 있다. 한편, 환자가 키오스크 시스템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작성한 문진표 결과에 따라 검체 채취가 필요한 경우 검체 앰플을 제공하여 환자가 채취한 검체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키오스크 시스템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문진표 작성 도움 요청, 검체 채취 도움 요청 및 응급 환자 발생 시 의료인 호출 항목을 선택하여 의료진을 호출할 수 있다. 또한, 문진표 및 환자 정보 입력 시 키오스크에 QR코드를 출력시켜 개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 입력과 문진표 작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환자의 신분증을 촬영하여 환자 정보를 수집할 경우, 신분증을 촬영하는 신분증 촬영부에 영상촬영장치, 조도센서 및 조명장치를 마련하되, 조도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측정값에 대한 정상범위 및 유효데이터 범위를 산출하여 조도센서의 불량 또는 조명장치의 불량 여부를 빠르게 파악하여 신분증 촬영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키오스크 시스템에 영상촬영장치를 마련하여 신분증을 인식함으로써, 관리서버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로 환자와 의료인간의 접촉을 억제함으로써, 의료인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문진표를 작성한 환자 중 검체 채취 대상 여부를 판별 후 키오스크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검체 앰플을 공급함으로써, 검체 채취에 필요한 의료인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검체 앰플 자동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110 : 서버부
120 : 환자정보 수집부
130 : 터치패널 제어부
140 : 검체 대상 판단부
150 : 앰플 제공부
160 : 의료인 호출부
210 : 촬영 단계
220 : 신분증 구별 단계
230 : 문자 영역 추출 단계
240 : 환자정보 저장단계
301 : 제1 지점 데이터
302 : 제2 지점 데이터
303 : 제3 지점 데이터
304 : 제4 지점 데이터
305 : 상한값
306 : 하한값
310 : 상한경계선
320 : 하한경계선
330 : 평균값
340 : 정상범위
350 : 예측범위
401 : 제5 지점 데이터
402 : 제6 지점 데이터
403 : 제7 지점 데이터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면 일측에 기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상기 하우징 외면 타측에 마련되는 검체앰플 투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검체앰플 자동공급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하여 검체앰플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병원 서버와 연결하여 기저장된 환자 정보, 문진표 양식, 문진표 결과 및 질병 안내 자료를 송수신하는 서버부;
    환자의 신분증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환자정보 수집부;
    사용자 인식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상태를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인식 카메라를 통해 상기 터치패널에 대향하여 상기 환자가 위치하는 경우, 기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환자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터치패널 제어부;
    상기 환자가 작성한 문진 결과에 대응하여 검체 채취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검체 대상 판단부;
    상기 환자가 검체 채취 대상인 경우, 환자 정보가 기재된 검체 앰플을 제공하는 앰플 제공부; 및
    상기 환자로부터 검체 채취방법, 상기 문진표 작성, 대면진료 요청 및 위급 환자 도움 요청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사항에 대응하여 의료인의 단말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의료인 호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널 상측에 마련된 조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조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를 제어하되,
    상기 조도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가 기설정된 초기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 데이터가 상기 기준 수치를 초과하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 인식 카메라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패널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환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가 최대값으로 자동 조정되며,
    상기 조도 데이터가 상기 기준 수치를 초과하더라도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 인식 카메라를 통해 상기 터치패널과 대향하여 위치에 상기 환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밝기가 최저값으로 자동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는,
    상기 키오스크 시스템 내측에 마련되어 신분증 투입구, 영상촬영장치, 조도센서 및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신분증 촬영부를 더 마련하고,
    상기 신분증 촬영부에서 촬영한 상기 환자의 신분증 영상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지, 최초발급일, 면허증 번호, 최초 면허 취득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환자 정보와 상기 서버부에 저장된 환자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신규 환자 또는 기존 환자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는,
    상기 키오스크 시스템의 영상촬영장치에 상기 환자가 위치시킨 신분증을 촬영하고,
    상기 신분증의 사진 위치, 반사패턴, 색상 및 크기 정보를 수집하여 신분증 종류를 확인하며,
    상기 구별한 신분증의 종류에 대응하는 문자 객체 영역의 위치를 한정하고 문자를 추출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 데이터를 환자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 수집부는,
    상기 신분증 촬영부에 마련된 조도센서의 측정값에 대한 정상범위 및 유효데이터 범위를 산출하되,
    상기 정상범위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값의 상한값, 하한값 및 평균값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제한값(Lud)을 산출하고,
    [수학식 1]
    Figure 112022096467257-pat00003

    (여기서, Uv는 상한값, Av는 평균값, Lv는 하한값을 의미함)
    상기 평균값에서 상기 제한값을 뺀 차이값 내지 상기 평균값에서 상기 제한값을 더한 값까지를 정상범위로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정상범위를 제외한 데이터를 노이즈 데이터로 판단하되,
    상기 상한값 및 상기 하한값은,
    하한경계값부터 상한경계값에 이르는 범위로 정의되는 예측범위 내에서 도출하며,
    상기 하한경계값은, 기설정된 초기값의 평균값에 평균편차의 N배를 뺀값이고,
    상기 상한경계값은, 기설정된 초기값의 평균값에 평균편차의 N배를 더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KR1020220051740A 2022-04-27 2022-04-27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48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740A KR102448958B1 (ko) 2022-04-27 2022-04-27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22/016240 WO2023210889A1 (ko) 2022-04-27 2022-10-24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740A KR102448958B1 (ko) 2022-04-27 2022-04-27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958B1 true KR102448958B1 (ko) 2022-09-30

Family

ID=8345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740A KR102448958B1 (ko) 2022-04-27 2022-04-27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8958B1 (ko)
WO (1) WO20232108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0889A1 (ko) * 2022-04-27 2023-11-02 (주)해우기술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926A (ko) * 2011-08-09 2013-02-19 조원창 진단 키트 현장 검사 장치
KR20210137777A (ko)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에이텍 키오스크를 이용한 처방전 처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949B1 (ko) * 2010-07-27 2012-06-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병원안내시스템 및 병원안내서비스 제공방법
KR102352794B1 (ko) * 2019-06-24 2022-01-1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2202140B1 (ko) * 2020-04-20 2021-01-14 주식회사 날다 인공지능 전염병 무인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9697B1 (ko) * 2020-04-28 2022-10-04 한수하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
KR102243814B1 (ko) * 2020-11-06 2021-04-23 주식회사 만랩 비대면 출입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48958B1 (ko) * 2022-04-27 2022-09-30 (주)해우기술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926A (ko) * 2011-08-09 2013-02-19 조원창 진단 키트 현장 검사 장치
KR20210137777A (ko)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에이텍 키오스크를 이용한 처방전 처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0889A1 (ko) * 2022-04-27 2023-11-02 (주)해우기술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0889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39146A1 (zh) 信息推荐方法、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装置
US201001831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EP3607321A1 (en) Image-based disease diagnostics using a mobile device
CN107397530B (zh) 一种中医体质与情感辨别调理系统
US20070239482A1 (en) Vision Based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Medical and Other Information
CN111344715A (zh) 对象识别系统和方法
KR101744123B1 (ko) 의약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2448958B1 (ko)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863252A (zh) 健康监测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14097052A1 (en) Monitoring a waiting area
KR20180031552A (ko) 환자 확인을 위한 안면 인식 장치,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환자 확인 방법
CN110570942A (zh) 一种智能就医方法及相应的装置
CN113221725A (zh) 一种风险处理方法和系统
CN109390052B (zh) 一种医疗便民终端、服务器和系统
CN111489477A (zh) 一种智能探测体温的入场登录机及其应用方法
US201201310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for recalling memory
CN206166899U (zh) 视力检测装置
JP2004151820A (ja) 迷子検索・監視システム
KR102498658B1 (ko) 스마트 분리 수거 장치
JP6379374B1 (ja) 毛細血管の遠隔評価用複合サーバ装置および毛細血管の評価プログラム
KR102324271B1 (ko) 열감지 키오스크 및 이의 운용방법
CN112022084A (zh) 眼底检查系统
CN213781037U (zh) 一种具有防作弊功能的人脸识别考勤机
JP2009055934A (ja) 生体情報登録装置
JP7468668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