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697B1 -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697B1
KR102449697B1 KR1020200051590A KR20200051590A KR102449697B1 KR 102449697 B1 KR102449697 B1 KR 102449697B1 KR 1020200051590 A KR1020200051590 A KR 1020200051590A KR 20200051590 A KR20200051590 A KR 20200051590A KR 102449697 B1 KR102449697 B1 KR 102449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ing
treatment
examinee
terminal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4094A (ko
Inventor
한수하
장규진
이희영
Original Assignee
한수하
장규진
이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하, 장규진, 이희영 filed Critical 한수하
Priority to KR102020005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69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6Recognition of 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Nur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mat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진료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하여 호흡기 감염병 의심환자의 사전 예약부터 검진 후 결과 통보까지 제3자와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면서 신속하게 선별 진료의 전 과정이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선별진료 관리서버가 선별진료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역별 선별 진료소에 컨테이너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선별진료 구조물에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식별번호 부여단계와; 검진자 단말기의 선별진료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인쇄 가능한 문진표 및 선별 진료 시 주의사항을 회신하며, 검진자 단말기 또는 개인정보에 포함된 검진자 거주지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까운 우선순위에 따라 방문할 선별진료소 내 선별진료 구조물의 식별번호 및 진료 예약 시간을 피드백하는 진료예약 안내단계와; 상기 선별진료소로 진입한 검진자의 개인정보를 접수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접수된 예약 요청 현황을 갱신하기 위한 진료예약 갱신단계와; 검진자의 선별진료 검사 완료 후 자가격리 수칙 및 개인위생 수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격리/위생 수칙 안내단계와; 검진자 단말기로 선별진료 검사 결과를 안내하는 검사결과 통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INFECTIOUS DISEASE SCREENING MEDICAL TREATMENT UTILIZING SCREENING MEDICAL TREATMENT STRUCTURE OF MOVABLE TYPE}
본 발명은 선별진료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하여 호흡기 감염병 의심환자의 사전 예약부터 검진 후 결과 통보까지 제3자와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면서 신속하게 선별 진료의 전 과정이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선별진료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사스(SARS), 메르스(MERS), 신종인플루엔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등과 같은 신종 감염병이 전세계적으로 유행할 때마다 국가별로 방역 시스템을 가동하면서 질병 예방 및 확산 방지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의 경우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도시 봉쇄나 전국민 자가격리와 같은 강력한 폐쇄 정책을 시행하지 않고도 적극적인 확진자 동선확인, 자가격리 대상자 지정 및 자가격리 지시, 확진자 동선에 있던 사람들의 전수조사, 질병 확산 이전 검사키트 준비, 각종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투명하고 신속한 질병정보 공유, 사람간 사회적 거리두기 등과 같은 다양한 방안 마련을 통해 대응해 나가는 체계적인 방역 사례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진자 또는 자가격리 대상자가 질병본부나 관련 기관의 지시에 따르지 않으면서 질병을 확산시키거나, 확진자임에도 불구하고 큰 증상이 없어 일상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타인을 감염시키는 등 사회 곳곳에서 예측치 못하게 질병이 확산되는 상황까지 방지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언급된 바와 같은 현실 속에서도 확진이 의심되는 사람을 적극적으로 검진하여 양성으로 판정되면 제3자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격리시키는 것이 전염병의 확산 방지를 위한 최선의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의심환자를 타인과의 접촉없이 선별 진료할 수 있는 체계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호흡기 감염병 발생 시 제3자와의 접촉을 미연에 차단하면서 신속하게 선별 진료를 수행하기 위한 방안이 부족한 이유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63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855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염병 의심환자의 사전 예약부터 검진 후 결과 통보까지 제3자와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면서 선별 진료의 전 과정이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지원하기 위한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별진료 관리서버가 선별진료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역별 선별 진료소에 컨테이너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선별진료 구조물에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식별번호 부여단계와; 검진자 단말기의 선별진료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인쇄 가능한 문진표 및 선별 진료 시 주의사항을 회신하며, 검진자 단말기 또는 개인정보에 포함된 검진자 거주지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까운 우선순위에 따라 방문할 선별진료소 내 선별진료 구조물의 식별번호 및 진료 예약 시간을 피드백하는 진료예약 안내단계와; 상기 선별진료소로 진입한 검진자의 개인정보를 접수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접수된 예약 요청 현황을 갱신하기 위한 진료예약 갱신단계와; 검진자의 선별진료 검사 완료 후 자가격리 수칙 및 개인위생 수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격리/위생 수칙 안내단계와; 검진자 단말기로 선별진료 검사 결과를 안내하는 검사결과 통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료예약 안내단계에서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진표에는 증상, 최초 발현 일시, 확진자 접촉 여부, 위험지역 방문이력, 방문지역 명칭, 방문 시기, 및 위험지역 방문자 접촉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체크란이 구비되며, 주의사항은 자가 차량 이용, 마스크 착용, 신분증 필참 및 차량 방문 시 히터 오프 상태로 진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료예약 안내단계에서는 검진자별로 선별진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반영하여 상호간에 중복되지 않는 시간대로 진료 예약 시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진료예약 갱신단계 다음으로 문진표에 기초한 의사의 진료결과에 따라 선별진료 구조물의 진입 여부와 검사 절차를 검진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검진절차 진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료예약 안내단계에서의 개인정보는 검진자 안면 전체를 포함한 검진자 영상 및 검진자의 자가 차량번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료예약 갱신단계는 접수처 단말기 및 선별진료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안면인식용 카메라를 통해 검진자 안면 및 사전에 수신한 검진자 영상을 비교한 다음으로 해당 검진자의 접수된 예약 요청 현황을 확인하여 갱신하며, 접수처 단말기 및 선별진료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차량번호 식별용 카메라를 통해 사전에 수신한 자가 차량번호가 식별되면 해당 검진자의 접수된 예약 요청 현황을 확인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검사결과 통보단계에서는 검진자의 선별진료 검사 결과가 양성인 경우를 보건소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보건소 서버에서 검진자 단말기로 양성 결과를 개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통해 다수 호흡기 감염병 의심환자의 선별 진료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음
2. 선별 진료를 위한 사전 예약부터 진료 후 결과 통보까지 제3자와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면서 감염병 선별 진료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음
3. 선별진료 예약부터 검진결과 통보까지 가급적 온라인상에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감염병 의심환자와 제3자와의 대면접촉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음
4. 선별진료를 예약하는 의심환자의 인원수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운영할 수 있음
5. 예약제 선별진료소 운영을 통해 교차 오염을 방지하고, 의료진과 환자의 안전 확보와 더불어 지역 사회로의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선별진료 관리서버가 선별진료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식별번호 부여단계, 진료예약 안내단계, 진료예약 갱신단계, 격리/위생 수칙 안내단계 및 검사결과 통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역별 선별 진료소에 컨테이너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선별진료 구조물에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식별번호 부여단계와, 검진자 단말기의 선별진료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인쇄 가능한 문진표 및 선별 진료 시 주의사항을 회신하며 검진자 단말기 또는 개인정보에 포함된 검진자 거주지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까운 우선순위에 따라 방문할 선별진료소 내 선별진료 구조물의 식별번호 및 진료 예약 시간을 피드백하는 진료예약 안내단계와, 선별진료소로 진입한 검진자의 개인정보를 접수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접수된 예약 요청 현황을 갱신하기 위한 진료예약 갱신단계와, 검진자의 선별진료 검사 완료 후 자가격리 수칙/개인위생 수칙 등을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격리/위생 수칙 안내단계와, 검진자 단말기로 선별진료 검사 결과를 안내하는 검사결과 통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별번호 부여단계는 선별 진료소마다 배치되는 여러 선별진료 구조물에 각각의 고유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검진자가 본인에게 배정된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선별진료 구조물을 확인한 이후로 그 구조물에서 검진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식별번호는 단순히 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처리될 수도 있으나 다른 지역의 구조물과 중복되지 않도록 지역을 구분 가능하게 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식별번호를 자동 생성하여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컨테이너 형태의 외관을 갖고, 의료진의 진입구/진출구가 검진자(환자) 출입구와 별도로 배치되고 의료진이 진료를 보기 위한 진료실과 검진자가 진료를 받기 위한 진료공간(진료-1, 진료-2, 진료-3)이 투명한 격벽에 의해 구획되도록 하여 의료진 및 검진자의 동선과 공간이 전혀 겹치지 않도록 하며, 이러한 진료실 및 진료공간의 공기 또한 순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은 의료진이 옷을 갈아입을 수 있는 갱의실, 탈의실과, 별도의 환자 출구를 갖는 검체 채취실(X-레이 촬영이나 각종 검사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 가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료예약 안내단계는 검진자 단말기가 선별진료 예약 요청을 할 때 검진을 받으려고 예약을 요청하는 사람(이하, '검진자'라 함)의 개인정보(예: 이름, 성별, 주민등록상 생년월일, 만 나이, 연락처, 거주지 주소, 자가차량 번호, 방문 희망 선별진료소, 방문 희망 날짜/시간 등)를 수신함으로써 검진자의 신원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료예약 안내단계는 검진자 단말기로 증상/최초 발현 일시/확진자 접촉 여부/위험지역 방문이력/방문지역 명칭/방문 시기/위험지역 방문자 접촉 여부 등의 체크란이 구비된 문진표를 전달하여 사전에 문진표를 작성하도록 함에 따라 선별 진료소 현장에서 문진표 작성에 시간이 소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여기서 문진표는 인쇄 후 직접 검진자가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거나 검진자 단말기에서 작성한 내용을 온라인상에서 선별진료 관리서버로 회신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진료예약 안내단계는 선별 진료 시 주의사항으로 자가 차량 이용, 마스크 착용, 신분증 필참, 차량 방문 시 히터 오프 상태로 진입 등을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며, 여기서 차량 방문 시 히터 오프 상태로 진입을 주의사항으로 하는 이유는 검진자의 발열 여부 체크 시 차량 내부 온도가 뜨거워 제대로 체온을 측정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진료예약 안내단계는 GPS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타입의 태블릿, 스마트폰 등과 같은 검진자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거나 개인정보에 포함된 검진자 거주지 주소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까운 우선순위로 선별진료소 주소를 안내하게 되고, 검진자가 검진자 단말기를 통해 임의의 지역에 위치한 선별 진료소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최종적으로 예약할 선별진료소를 선정하게 되면 그 선별진료소의 내 선별진료 구조물의 식별번호와 함께 진료 예약 시간을 안내함으로써, 예약 날짜 및 시간에 방문하게 되면 가급적 대기하는데 시간이 소모하지 않으면서 선별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진료예약 안내단계에서는 검진자별로 선별진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반영하여 상호간에 중복되지 않는 시간대로 진료 예약 시간이 안내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과거의 검진자별 진료 시간을 통계화하여 1인당 검진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약 일정에 반영하여 검진자 개별적으로 겹치지 않는 선에서 진료 예약 시간이 안내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검진자 연령 등의 개인정보별로 진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검진자 대기 중복시간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한 진료 예약 시간의 산출 및 안내 또한 가능할 것이다.
상기 진료예약 갱신단계는 선별진료소 입구쪽에 구비되어 검진자의 진료차 방문을 접수하기 위한 접수처 단말기를 통해 선별진료소로 진입한 검진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검진자가 선별진료소에 방문한 것으로 인지하게 되고 이를 선별 진료 구조물 내 의사 단말기로 문진표와 함께 통보하여 사전 안내한 진료 예약 시간에 맞추어 선별 진료 절차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진료예약 갱신단계에서는 검진자가 선별진료소에 늦거나 일찍 도착하는 경우 진료가 예약되지 않은 시간을 확인한 다음으로 이 시간대에 사용할 수 있는 구조물의 식별번호를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면서 해당 검진자의 문진표, 개인정보를 진료할 구조물에 있는 의사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상기 진료예약 갱신단계는 진료예약 안내단계에서 개인정보로 검진자 안면 전체를 포함한 검진자 영상을 수신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접수처 단말기 및 선별진료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안면인식용 카메라를 통해 검진자 안면 및 사전에 수신한 검진자 영상을 비교한 다음으로 해당 검진자가 영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명되면 접수된 예약 요청 현황을 확인하여 검진자가 선별진료소에 도착한 것으로 갱신처리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사람이 현장에서 검진자를 근거리에서 검진자 영상과 대비하여 확인하는데 따른 감염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진료예약 갱신단계는 진료예약 안내단계에서 개인정보로 검진자의 자가 차량번호를 수신할 수 있음에 따라, 접수처 단말기 및 선별진료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차량번호 식별용 카메라를 통해 사전에 개인정보로 수신한 자가 차량번호가 식별되면 검진자가 선별진료소에 도착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상태에서 해당 검진자의 접수된 예약 요청 현황을 확인하여 갱신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료예약 갱신단계 다음으로 문진표에 기초한 의사의 진료결과에 따라 선별진료 구조물의 진입 여부와 검사 절차를 검진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검진절차 진행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선별진료 구조물 내외에서 검진을 받기 위한 절차, 예로써 선별진료 구조물 내로 진입 지시, 검체 채취를 위한 과정, 객담 검사를 위한 절차 등을 의사나 별도의 의료 인력을 통해 진행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의사 단말기 및 선별진료 관리서버의 연계하여 각각의 절차를 세부적으로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검진자가 본인 단말기로 전달된 지시사항에 따라 검진 절차가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검진과정의 일례를 살펴보면, 진료의는 본인의 단말기(의사 단말기)를 통해 문진표 확인 후 검진 대상자와 온라인상에서 통신하면서 임상증상 및 문진 확인 후 검사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선별진료 구조물 밖에 대기중인 채취요원은 상기도만 검사할 경우 검진자의 자가 차량 내에서 검체 채취 후 소독 과정을 거친 용기를 포장 또는 냉장보관할 수 있으며, 객담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 구조물 내 객담실에서 검진자 본인이 호흡기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선별진료 구조물 내에서 검진자의 진료 완료 이후 검진자 동선을 따라 출입문 손잡이, 의자, 검체 채취실 등 오염이 우려되는 표면에 차아염소산나트륨과 같은 환경 소독제로 소독 후 30분 이상 환기하는 과정이 따를 수 있다.
상기 격리/위생 수칙 안내단계는 검진자가 선별 진료를 받은 이후로 검사 결과를 통보받을 때까지 최대한 외출을 자제하도록 자가격리 기간을 안내하거나, 타인과 접촉하지 않도록 안내하거나, 마스크 착용/손 씻기 강조/기침 예절 준수 등 격리 기간과 함께 그 기간 동안 준수해야 할 지침들을 문자, 영상, 음성 등의 다양한 형태로 검진자 단말기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검사결과 통보단계는 검진자 단말기로 선별진료 검사 결과를 안내하는 과정으로, 검진자의 선별진료 검사 결과가 음성인 경우는 이 결과와 함께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개인위생 수칙 준수 사항을 전달하는 정도로 마무리 될 수 있고, 검사 결과가 양성인 경우 보건소 서버로 해당 검진자가 양성 판정을 받은 것과 함께 개인정보를 전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건소 서버에서는 검진자 단말기로 양성 결과를 개별 통보하면서 별도의 자가 격리 지시나 격리 치료를 위한 향후 대응 프로세스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선별진료 관리서버가 선별진료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역별 선별 진료소에 컨테이너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선별진료 구조물에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식별번호 부여단계와;
    검진자 단말기의 선별진료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인쇄 가능한 문진표 및 선별 진료 시 주의사항을 회신하며, 검진자 단말기 또는 개인정보에 포함된 검진자 거주지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까운 우선순위에 따라 방문할 선별진료소 내 선별진료 구조물의 식별번호 및 진료 예약 시간을 피드백하는 진료예약 안내단계와;
    상기 선별진료소로 진입한 검진자의 개인정보를 접수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접수된 예약 요청 현황을 갱신하기 위한 진료예약 갱신단계와;
    검진자의 선별진료 검사 완료 후 마스크 착용, 손 씻기 강조 및 기침 예절 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및 격리 기간과 함께 그 기간 동안 준수해야 할 지침을 문자,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둘 이상의 형태로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격리/위생 수칙 안내단계와;
    검진자의 선별진료 검사 결과가 음성인 경우 결과와 함께 개인위생 수칙 준수 사항을 검진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검진자의 선별 진료 검사 결과가 양성인 경우 보건소 서버로 해당 검진자가 양성 판정을 받은 결과와 개인정보를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양성 결과를 개별 통보하는 검사결과 통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진료예약 안내단계는,
    상기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진표에는 증상, 최초 발현 일시, 확진자 접촉 여부, 위험지역 방문이력, 방문지역 명칭, 방문 시기, 및 위험지역 방문자 접촉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체크란이 구비되며,
    상기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의사항은 자가 차량 이용, 마스크 착용, 신분증 필참 및 차량 방문 시 히터 오프 상태로 진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및 검진자 연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검진자 개인정보별로 선별진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분석하여 1인당 검진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약 일정에 반영하여 검진자 대기 중복시간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한 진료 예약시간을 산출 및 안내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검진자 안면 전체를 포함한 검진자 영상 및 검진자의 자가 차량번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료예약 갱신단계는 검진자가 선별진료소에 도착하는 경우 진료가 예약되지 않은 시간을 확인한 다음으로 구조물의 식별번호를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면서 해당 검진자의 문진표 및 개인정보를 진료할 구조물에 있는 의사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진료예약 갱신단계 다음으로 문진표에 기초한 의사의 진료결과에 따라 선별진료 구조물의 진입 여부와 검사 절차를 검진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검진절차 진행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진절차 진행단계는,
    상기 의사 단말기 및 선별진료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각각의 절차를 세부적으로 검진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검진자 단말기로 전달된 지시사항에 따라 검진 절차를 진행하며,
    객담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 구조물 내 X-레이 촬영 및 각종 검사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여 별도의 환자 출구를 갖는 검체 채취실 또는 객담실에서 검진자 본인이 호흡기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검진자 단말기로 안내하며,
    상기 선별진료 구조물 내에서 검진자의 진료 완료 이후 검진자 동선을 따라 출입문 손잡이, 의자 및 검체 채취실 중 적어도 어느 둘 이상에서 오염이 우려되는 표면에 차아염소산나트륨과 같은 환경 소독제로 소독 후 30분 이상 환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료예약 갱신단계는 접수처 단말기 및 선별진료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안면인식용 카메라를 통해 검진자 안면 및 사전에 수신한 검진자 영상을 비교한 다음으로 해당 검진자의 접수된 예약 요청 현황을 확인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료예약 갱신단계는 접수처 단말기 및 선별진료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차량번호 식별용 카메라를 통해 사전에 수신한 자가 차량번호가 식별되면 해당 검진자의 접수된 예약 요청 현황을 확인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
  9. 삭제
KR1020200051590A 2020-04-28 2020-04-28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 KR102449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590A KR102449697B1 (ko) 2020-04-28 2020-04-28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590A KR102449697B1 (ko) 2020-04-28 2020-04-28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094A KR20210134094A (ko) 2021-11-09
KR102449697B1 true KR102449697B1 (ko) 2022-10-04

Family

ID=7861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590A KR102449697B1 (ko) 2020-04-28 2020-04-28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744B1 (ko) * 2022-04-12 2022-11-07 송종운 감염 검사용 채취 용기 제공장치
KR102448958B1 (ko) * 2022-04-27 2022-09-30 (주)해우기술 비대면 검체 앰플 공급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924B1 (ko) * 2015-02-27 2016-01-25 권병수 안면인식을 이용한 병원 관리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905630B1 (ko) * 2017-05-25 2018-10-08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번호판의 센서 인식을 이용한 건물정보제공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242A (ko) * 2014-12-30 2016-07-12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38551B1 (ko) 2016-01-29 2018-03-14 최규진 휴대단말을 이용한 병원 진료예약 시스템
KR101916356B1 (ko) 2018-05-30 2018-11-07 안필호 병원에 적용되는 방문환자인식확률향상부가 구비된 환자 인식 진료대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924B1 (ko) * 2015-02-27 2016-01-25 권병수 안면인식을 이용한 병원 관리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905630B1 (ko) * 2017-05-25 2018-10-08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번호판의 센서 인식을 이용한 건물정보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094A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Walk-through screening center for COVID-19: an accessible and efficient screening system in a pandemic situation
Chandy et al. Interventional radiology and COVID-19: evidence-based measures to limit transmission
KR102449697B1 (ko) 이동식 선별진료 구조물을 활용한 감염병 선별진료 관리방법
KR100996721B1 (ko) 알 에프 아이디 태그와 휴대용 정보 수신장치를 이용한건강 검진 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Mhlanga-Gunda et al. “we sleep 10cm apart so there is no social distancing”: COVID-19 preparedness in a Zimbabwean prison complex
Antommaria et al. An ethical analysis of hospital visitor restrictions and masking requirem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Vieira-Meyer et al. Infrastructure and work process in primary health care: PMAQ in Ceará
Alhouri et al. COVID-19 and its impact on healthcare workers: understanding stigma, stress, and quality of life
Tripathi et al. Adaptations in radiosurgery practice during COVID crisis
JP2004258978A (ja) バーチャルペーシェント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提供方法
Mazzola et al. Maintaining perioperative safety in uncertain times: COVID‐19 pandemic response strategies
Zhang et al. Experts consensus on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in radiotherapy center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Experiences from Sichuan Province
Sarda et al. Resuming outpatient services during COVID times: Our approach and experience at India's apex institute
KR20210133349A (ko) 컨테이너형 선별 진료 구조물
Jahrling et al. Triage and management of accidental laboratory exposures to biosafety level-3 and-4 agents
Fusco et al. Highly infectious diseases in the Mediterranean Sea area: Inventory of isolation capabilities and recommendations for appropriate isolation
Haddad et al. Rapid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Respiratory Evaluation Clinics in Response to the COVID-19
Bhat et al. Case Studies on Implementation of Smart Health Care across Global Smart Cities
Zaracena et al. Modern-day heroes amidst the pandemic: Health risk, life satisfaction and death anxiety of front-liners
EP4071766A1 (en)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the psycho-physical conditions of a patient
Ferrer-Roca et al. The environment for telemedicine in the Canary Islands
Demirag et al. Coronavirus disease 2019 infection and nursing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treatment
JP2003337861A (ja) 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
Landau-Stanton et al. Epidemiology, Transmission, and Medical Management
Utomo et al. Emergency Department Preparedness of Prof. Dr. R. Soeharso Orthopaedic Hospital against Coronavirus Disease-19 Pandemic: Understanding the Challe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