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039B1 - 고독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독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039B1
KR101911039B1 KR1020160165269A KR20160165269A KR101911039B1 KR 101911039 B1 KR101911039 B1 KR 101911039B1 KR 1020160165269 A KR1020160165269 A KR 1020160165269A KR 20160165269 A KR20160165269 A KR 20160165269A KR 101911039 B1 KR101911039 B1 KR 101911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lluminan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ob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860A (ko
Inventor
임태백
나경현
오승훈
윤종국
Original Assignee
(주)오픈오브젝트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리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오브젝트,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리턴 filed Critical (주)오픈오브젝트
Priority to KR102016016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0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고독사 관리 시스템은, 독거노인 등과 같은 관찰 대상자가 착용하며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 수집된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관찰 대상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필요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시키는 관리서버, 및 관찰 대상자의 준거지에 놓여지는 크레이들로 구성된다. 단말기는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관리서버에 제공하고, 크레이들은 준거지의 조도를 측정하여 단말기를 통해 관리서버로 제공한다. 관리서버는 조도정보를 소정의 기준과 비교하여 관찰 대상자의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한다. 독거노인 등과 같이 고독사를 당할 우려가 있는 관찰 대상자에 대해 고독사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또한 실제 고독사 발생 시 이를 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독사 관리 시스템 {System for managing lonely-death}
본 발명은 웨어러블 IoT 단말기 이용하여 독거 노인 등의 고독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실제 고독사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후속 조치가 가능하게 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T 의 빠른 발전은 많은 사회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러한 급속한 발전과 변화하는 IT 의 환경 속에서 사회복지분야는 국민의 최소한의 생계유지와 편의성, 삶의 기본권을 보장한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직접적인 복지 서비스를 위해 외부로부터의 재정적 지원을 집행하기 어렵고 IT 를 단지 업무에 보조적인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선진국형 노인복지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독거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등의 고독사가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지자체 담당자의 민원 업무 처리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 사회복지사 및 방문간호사의 인력 부족과 서비스 한계를 해결하고, 독거노인 복지 서비스를 사회적 약자를 위한 대민 서비스로의 연계, 발전 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고독사를 예측하고 고독사 발생 시 대처하기 위해서는 독립된 고독사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고독사 관리는 관찰 대상자의 건강 상태와 활동 상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관리는 원격 진료 시스템을 구현하거나 원격 건강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예컨대 당뇨병 환자나 심장병 환자가 별도의 측정 센서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혈당과 심박수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원격 진료기관에 통신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통지하고 이를 원격 진료 기관에서 관리하는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현재의 원격 진료 시스템은 건강과 병세에 대한 관리를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고 그 구체적인 방식 또한 이러한 관리에만 부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독거노인 등의 고독사의 경우에 대해서는 이를 예측하거나 발생을 검지할 수 있는 특화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5-207077호(2016.11.19.공개) 한국특허공개 제2014-0088004호(2014.7.9.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거노인 등과 같이 고독사를 당할 우려가 있는 관찰 대상자에 대해 고독사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또한 실제 고독사 발생 시 이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독사에 대한 후속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찰 대상자가 소지 또는 착용하며 상기 관찰 대상자의 건강 또는 활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상기 관찰 대상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관찰 대상자에게 필요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시키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찰 대상자의 준거지에 놓여지는 크레이들;을 포함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1조도정보를 수집하는 제1조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준거지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2조도정보를 수집하는 제2조도센서, 및 상기 제2조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조도정보를 전송받거나 상기 크레이들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제2조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1조도정보 또는 상기 제2조도정보를 소정의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관찰 대상자의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한다.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제1조도센서 또는 상기 제2조도센서가 사전에 소정 시간동안 기 측정한 조도의 평균조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제1조도센서 또는 상기 제2조도센서가 사전에 소정 시간동안 기 측정한 조도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단말기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통신 또는 NFC 에 의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2조도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제2조도정보와 함께 상기 크레이들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조도정보와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크레이들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 개시됨에 따라 연결 전의 소정 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제2조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조도정보 또는 상기 제2조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또는 상기 관리서버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조도정보 또는 상기 제2조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거노인 등과 같이 고독사를 당할 우려가 있는 관찰 대상자에 대해 고독사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또한 실제 고독사 발생 시 이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자체 담당자나 사회복지사 또는 보호자 등이 고독사에 대한 후속 조치를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독사 관리 시스템의 IoT 를 이용한 서비스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서비스 주체의 업무 효용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도 3 의 구성에 의해 수행되는 각 플랫폼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도 5 의 프로세스에서 추출, 수집, 가공되는 데이터의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독사 예측, 진단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11 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조회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
도 12 는 관찰 대상자가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IoT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고독사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먼저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기술하고 본 발명이 기존의 방식과 특히 구별되는 특징적 구성, 특히 조도와 관련한 구성에 대해 부가 기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독사 관리 시스템의 IoT 를 이용한 서비스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IOT 응용서비스 플랫폼은 국제표준인 oneM2M과 정부인터넷 3.0에서 만든 정부표준 플렛폼 MOBIUS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지자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경량화 하였고, Spark SQL과 Mongo DB를 이용해 빅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며 확장성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Data Mining을 통해 수집된 고독사 관찰 대상자와 관련한 정보를 의미 있는 정보로 분석/추출/가공하고, Machine Learning을 통해 관찰 대상자의 주요 이동경로, 활동량 패턴, 고독사 예측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한다. 지자체담당자는 선진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관할 주민센터의 상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찾아가는 “원스톱 복지 서비스 실현”이 가능하고, 주민센터 담당자는 과도한 민원 업무에도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복지업무 집중화와 효율성, 신속성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와 방문간호사는 방문 시 대상자의 부재로 인한 리스크 감소 및 건강상태와 고독사 위험 여부를 사전 확인을 통해 방지할 수 있어, 대상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 참조)
도 3 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IoT Device 는 독거노인, 치매노인, 어린이, 여성 등과 같은 관찰 대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고, WAN Network Server 는 이 단말기로부터 관찰 대상자의 상태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분석하는 서버이다. WAN Network Server 는 망 연동 솔루션을 통해 외부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에서의 외부망은 지자체나 사회복지사 등이 사용하는 단말기에 분석 결과를 제공하여주는 망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WAN Network 는 독립망(자가망)으로 구성되며, 독립망이란 지자체(시, 군, 구 등), 산업단지, 건설현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해당 지역만을 커버하는 별도의 통신망을 의미한다.
도 4 는 도 3 의 구성에 의해 수행되는 각 플랫폼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 마이닝 단계에서는 단말기에 장착된 GPS 장비, 조도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가 감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처리 후 주요 이동/활동량 패턴을 분석하고 고독사 예측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수집 및 분석되는 정보는 활동량 종합정보(일간/주간/월간 활동량, 연령대별 평균 활동량), 위치 종합정보(주요 이동 패턴, 주요 활동 반경), 알림메시지 현황(알림메시지 처리 현황, 음성메시지 수신 현황), 설정관리(긴급 스케쥴 제어, 약 복용시간 관리, 부재기간 관리) 등이 있다. 서비스 관리자는 사용자 관리(사용자, 서비스 대상자), 자산관리(자산 원장, 불량 장비), 메시지 관리(알림 메시지, 음성 메시지), 데이터 관리(사용자, 서비스 대상자), 의사소통(공지사항, FAQ, Q&A) 등의 관리가 가능하며 이러한 관리를 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관찰 대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수집한 상태정보(센서정보)는 관리서버로 전달되고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마이닝, 빅데이터 처리, 및 고독사 예측 알고리즘의 적용에 의해 분석되며, 분석된 데이터는 관찰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전달된다. 또한 지자체 담당자는 사회복지사 등에게 분석 결과가 전달되고 이들의 수집 주기 변경 등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 수집 조건이나 환경이 변경 요청되면 이를 반영하여 관리서버를 통해 전달하여, 이 요청이 단말기에 적용되도록 한다.
사회복지사에게 전달되는 돌봄서비스 정보는 현 위치 정보, 주요 이동 동산 정보, 활동량 임계치 알림 통보, 활동량 정보(기간별, 시점별 활동량) 등을 포함하고, 지자체 담당자에게 전달되는 예방서비스 정보는 활동량 패턴 정보, 고독사 예방 정보(특히 조도 변화량을 토대로 분석된 정보), 활동량과 고독사와 관련한 임계치 관리 정보 등을 포함하며, 보호자에게 전달되는 안심서비스 정보는 현 위치 정보, 주요 이동 동선 정보, 활동량 정보(기간별, 시점별 활동량), 알림통보 정보, 사회복지사 돌봄 현황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6 은 도 5 의 프로세스에서 추출, 수집, 가공되는 데이터의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추출은 주로 관찰 대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다. 단말기에는 GPS 센서, 조도 센서 등이 장착되어 데이터를 센서에 의해 수집하고, 이 데이터는 관리서버에 의해 수집된다.
수집된 데이터는 단말기 데이터, 크레이들 데이터, 사용자 반응 데이터로 구성된다. 단말기 데이터는 배터리정보(배터리 잔량 값), 위치정보(데이터 전송 시점에 위치 값), 활동량정보(이전 데이터 전송 시점 부터 현재 데이터 전송 시점까지 누적된 걸음 수로서 10분 단위로 기록) 등을 포함한다. 크레이들은 단말기와 쌍을 이루는 기기로서, 단말기가 안착되어 단말기의 충전 등을 담당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크레이들에 수집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가 이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크레이들은 일반적으로 관찰 대상자의 준거지(주거하는 집이나, 장기 여행시 여행지)에 비치된다. 크레이들 데이터는 크레이들에 장착된 조도 센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반응 데이터는 사회안전 서비스 포탈에서 단말기로 전송된 알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추출되며, 약 복용 시간 알림(반복적으로 알림 발생), 음성 메시지 알림(지자체 담당자에 의해 필요 시 발생) 등을 포함한다.
관리서버는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이동경로, 이동패턴, 일일 운동량, 연령/성별 평균 운동량, 상태변화 정보 등을 분석하여 도출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독사 예측, 진단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고독사 예측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은 서비스 대상자에게 지급된 휴대용 단말기와 크레이들에서 추출되는 여러 센싱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서비스 대상자가 48시간 동안 변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고독사 위험이 예측되었음을 알려주는 방식이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센싱 데이터는 앞장에서 기술된 데이터 중 사용자 반응 데이터, 위치 데이터, 운동량 데이터, 조도 데이터이다.
도 7 의 각 단계별 내용은 하기와 같다.
① 센싱 데이터 등록
단말기로 부터 센싱 데이터가 추출됨. 고독사 예측 알고리즘 시작.
② 사용자 반응 정보 유무
추출된 센싱 데이터에 사용자 반응 정보 유무 확인
존재할 경우 사용자가 활동 중으로 판단되므로 “⑪ 안전지수 100” 으로 종료됨.
③ 위치 정보 변경 유무
현재의 위치 정보가 이전 센싱 데이터 등록 시 전송된 위치 값과 다른지 여부 확인.
다른 경우 사용자가 활동 중으로 판단되므로 “⑪ 안전지수 100” 으로 종료됨.
④ 운동 정보 변경 유무
센싱 데이터에 운동량 데이터 존재 여부 확인
존재할 경우 사용자가 활동 중으로 판단되므로 “⑪ 안전지수 100” 으로 종료됨.
⑤ 조도 정보 여부
센싱 데이터에 조도 데이터 존재 여부 확인
존재하지 않을 경우 “⑧ 안전지수 차감” 으로 이동
⑥ 조도 정보 변경 범위 측정
조도 정보는 댁내의 밝기를 측정한 값이므로 수시로 변경이 발생함. 따라서 이전 3일 정도의 변화량을 측정 하여 범위 안에서의 변화인지를 판단함.
⑦ 변경 허용치 값 여부
변화량이 평균 측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댁내에서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되므로 “⑪ 안전지수 100” 으로 종료됨.
⑧ 안전지수 차감
서비스 대상자에게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므로 안전지수를 100에서 차감하기 시작함.
안전지수는 100에서 0까지 표시되며, 총 48시간 동안 5분 단위로 차감됨.
추가로 등록된 센싱 데이터로 부터 변화 상태 감지 시 “⑪ 안전지수 100” 으로 이동함.
⑨ 안전지수 값 0 체크
현재 안전지수 값이 0인지 체크함. 안전지수 값이 0인 경우 “⑫ 고독사 위험 발생” 으로 이동함.
⑩ 5분 주기로 체크
서비스 대상자 중 안전지수 값이 차감되기 시작하면, 매 5분마다 상태를 체크하여 변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지속적으로 차감이 발생함.
⑪ 안전지수 100서
비스 대상자가 활동 중으로 판단됨.
⑫ 고독사 위험 발생
안전지수 값이 0으로 48시간 동안 서비스 대상자로 부터 변화가 감지 되지 않았으므로 긴급히 방문하여 확인이 필요함.
이러한 처리 과정에서 각 업무 수행 주체에게 제공되어 조회 및 필요한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화면들이 도 8 내지 11 에 예시되어 있다.
도 12 는 관찰 대상자가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기는 긴급버튼을 구비하며, 크레이들에 안착된다.
단말기는 관찰 대상자가 소지 또는 착용하고 다니며, 관찰 대상자의 건강 또는 활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한다. 단말기는 제1조도센서를 구비하여 단말기 주변의 조도정보인 제1조도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제1조도정보는 관리서버로 전송된다.
크레이들은 관찰 대상자의 준거지에 놓여지며, 단말기와 쌍을 이루는 기기이다. 여기에서 "준거지" 관찰 대상자가 주로 위치하는 곳을 의미하며, 사전적 의미의 준거지와는 상이한 개념일 수 있다. 준거지는 주로 자택일 것이나 관찰 대상자의 필요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관찰 대상자가 장기 여행을 가게 되어 크레이들을 소지하고 여행지로 가는 경우, 준거지는 여행지가 될 것이다. 크레이들은, 제2조도센서를 구비하여 준거지의 조도인 제2조도정보를 수집한다. 크레이들은 제2조도센서에 의해 수집된 제2조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구비하여, 수집된 제2조도정보가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되어 단말기에 의해 관리서버로 전송된다.
단말기는 관리서버와 통신을 하여 수집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하며, 관리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상태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관찰 대상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관찰 대상자에게 필요한 알림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시킨다. 여기에서의 관리서버는 도 3 의 구성에서의 WAN Network Server 의 개념이나, 이와 함께 외부망의 Web Servver 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관리서버는 단말기로부터 특히 조도정보를 전송받아 소정의 기준과의 비교에 의하여 상기 관찰 대상자의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한다.
여기에서의 소정의 기준은, 단말기의 제1조도센서 또는 크레이들의 제2조도센서가 사전에 소정 시간동안 기 측정한 조도의 평균조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관찰 대상자가 크레이들을 댁내의 안방에 비치하여 두는 경우, 크레이들의 제2조도센서는 설치된 안방 내의 조도를 약 1주일 동안 매 5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조도값을 데이터로서 수집하여 둔다. 관찰 대상자가 크레이들에 단말기를 충전 등의 목적으로 안착시키거나, 또는 크레이들과 단말기가 일정 거리 내에 위치되도록 하여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NFC)를 통해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면, 1주일간의 조도 측정값은 크레이들로부터 단말기로 전송되고, 관리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이 측정값을 전송받아 조도의 평균치를 산정하여 상기 소정의 기준으로 설정한다. 제1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기준을 마련하는 경우라면, 관리서버는 제1조도정보를 단말기로부터 직접 전송받아 평균조도를 산정한다.
한편, 상기 소정의 기준은 단말기의 제1조도센서 또는 크레이들의 제2조도센서가 사전에 소정 시간동안 기 측정한 조도의 조도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도변화는 매 조도 측정 주기마다의 실측 조도값의 데이터, 실측 조도값의 변화량, 실측 조도값의 최대치와 최소치, 실측 조도값의 평균과의 편차 등과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 예에서와 같이 조도의 평균치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구체적인 조도의 매 시간별 변화 또는 변화량 등을 이용함으로써, 기준 설정 후에는 실측되는 조도의 값과 비교할 기준이 되는 대상이 다양화되어 고독사 여부의 판별을 위한 보다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련된 소정의 기준은, 그 후에 실측된 조도정보와의 비교를 통하여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된다. 여기에서 실측된 조도정보 또는 단말기의 제1조도정보이거나 크레이들의 제2조도정보일 수 있다.
즉, 단말기에 의해 실측되는 제1조도정보는 단말기로부터 관리서버로 전송되고, 크레이들에 의해 실제로 측정되는 제2조도정보는 단말기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된다. 단말기에 의해 측정되는 제1조도정보는 관찰 대상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조도를 의미하며, 크레이들에 의해 측정되는 제2조도정보는 준거지에서의 조도를 의미한다. 만약, 사전에 설정된 상기 소정의 기준과의 비교에서, 단말기나 크레이들에서 실제로 측정한 제1조도정보 또는 제2조도정보의 평균값 또는 조도변화가 소정의 기준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면, 제1조도정보의 경우 단말기의 위치가 평상시 관찰 대상자가 자주 가지 않는 곳에 있거나 단말기의 위치 자체가 변화되지 않아 관찰 대상자가 전혀 이동이 없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고, 제2조도정보의 경우에는 크리이들이 설치된 준거지에서의 조도가 평소와 현저히 다르거나 조도 변화가 전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만약 관찰 대상자가 고독사한 경우라면 사망한 상태에서는 댁내의 조명등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예컨대 약 2일간의 기간 동안 크레이들에서 실제 측정되는 조도가 기준치로 설정된 평균조도 또는 조도변화와 현저하게 상이하거나 조도변화 자체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관찰 대상자가 고독사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단말기로부터의 조도정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관찰 대상자 주변의 환경의 조도 측정을 통해 고독사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수치화되어, 그 수치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고독사 위험"으로 진단하고,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하면 "고독사 발생"으로 진단한다.(도 7 에 도시된 프로세스 참조)
한편, 크레이들은 제2조도정보와 함께 크레이들 자신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이들의 고유정보는 제2조도정보와 함께 관리서버로 전송된다.
크레이들마다 고유정보를 부여하고 해당 고유정보의 크레이들의 제2조도정보를 고유정보에 매칭시켜 전송하는 경우, 관찰 대상자는 여러 곳의 크레이들을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관찰 대상자가 노인정에 자주 방문하는 경우, 노인정에 자신의 크레이들 외에 노인정 자체에서 비치한 크레이들 또는 다른 제3의 관찰 대상자가 비치한 크레이들이 있을 수 있다. 이 크레이들에 자신의 단말기를 안착시키거나 자신의 단말기를 NFC 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면, 크레이들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 개시된 시점 이전의 소정 시간(예컨대 3일) 동안 수집된 제2조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는 관찰 대상자가 개인적으로 직접 사용하는 크레이들 외에 다른 위치에 비치된 크레이들에 대해서도 소정의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위와 같이 설정된 기준치를 항상 토대로 하여 고독사 여부를 진단한다면, 예컨대 관찰 대상자가 3일 이상 여행을 가거나 친지를 방문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자신의 크레이들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는 오히려 소정의 기준치가 고독사 예측과 발생의 진단에 있어서 오진단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진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기에 마련된 GPS 장치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관리서버는 위치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위치가 예컨대 크레이들과 인접된 위치이면 제2조도정보에 따른 기준치와 측정치를 주로 적용하고, 크레이들과 멀어진 위치이면 제1조도정보에 따른 기준치와 측정치만을 적용하는 방식의 선택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단말기의 위치 파악에 기반한 방법 외에도, 예컨대 관찰대상자가 단말기를 조작하여 임의로 선택하는 방식 또는 사회복지사나 지자체 담당자가 관리서버에 임의로 선택하는 방식에 따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관찰 대상자가 소지 또는 착용하며 상기 관찰 대상자의 건강 또는 활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상기 관찰 대상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관찰 대상자에게 필요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시키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찰 대상자의 준거지에 놓여지는 크레이들;
    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1조도정보를 수집하는 제1조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준거지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2조도정보를 수집하는 제2조도센서, 및 상기 제2조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조도정보를 전송받거나 상기 크레이들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제2조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1조도정보 또는 상기 제2조도정보를 소정의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관찰 대상자의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조도정보 또는 상기 제2조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제1조도센서 또는 상기 제2조도센서가 사전에 소정 시간동안 기 측정한 조도의 평균조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제1조도센서 또는 상기 제2조도센서가 사전에 소정 시간동안 기 측정한 조도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단말기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통신 또는 NFC 에 의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2조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제2조도정보와 함께 상기 크레이들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조도정보와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크레이들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 개시됨에 따라 연결 전의 소정 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제2조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또는 상기 관리서버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조도정보 또는 상기 제2조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
KR1020160165269A 2016-12-06 2016-12-06 고독사 관리 시스템 KR10191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269A KR101911039B1 (ko) 2016-12-06 2016-12-06 고독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269A KR101911039B1 (ko) 2016-12-06 2016-12-06 고독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860A KR20180064860A (ko) 2018-06-15
KR101911039B1 true KR101911039B1 (ko) 2018-10-24

Family

ID=6262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269A KR101911039B1 (ko) 2016-12-06 2016-12-06 고독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0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89B1 (ko) 2019-02-21 2019-08-28 (주)텔트론 사람과 동물의 움직임 구분 방법
KR102153238B1 (ko) 2019-11-19 2020-09-07 김영록 문열림 센서를 이용한 고독사 위험도 평가 장치 및 방법, 고독사 위험도 평가를 위한 led 시스템
KR20210091592A (ko) 2020-01-14 2021-07-22 김영록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708B1 (ko) * 2021-07-12 2023-04-05 위수복 온라인 자원 봉사를 위한 디지털 케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7077A (ja) * 2014-04-18 2015-11-19 株式会社インタープロ 遠隔見守りシステム及び、遠隔見守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6583A (ja) * 2000-12-19 2001-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安否確認システム
JP2005284535A (ja) * 2004-03-29 2005-10-13 Sanyo Electric Co Ltd 生活監視システム
KR20140132428A (ko) * 2013-05-07 2014-11-17 아바드(주) 노인 안심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전용 스마트단말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7077A (ja) * 2014-04-18 2015-11-19 株式会社インタープロ 遠隔見守りシステム及び、遠隔見守り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89B1 (ko) 2019-02-21 2019-08-28 (주)텔트론 사람과 동물의 움직임 구분 방법
KR102153238B1 (ko) 2019-11-19 2020-09-07 김영록 문열림 센서를 이용한 고독사 위험도 평가 장치 및 방법, 고독사 위험도 평가를 위한 led 시스템
WO2021101116A1 (ko) * 2019-11-19 2021-05-27 김영록 문열림 센서를 이용한 고독사 위험도 평가 장치 및 방법, 고독사 위험도 평가를 위한 led 시스템
US11790748B2 (en) 2019-11-19 2023-10-17 Innoleadingsolution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assessing risk of lonely death using door open sensor, and LED system for assessing risk of lonely death
KR20210091592A (ko) 2020-01-14 2021-07-22 김영록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18421B1 (ko) * 2020-01-14 2021-10-26 김영록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860A (ko)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039B1 (ko) 고독사 관리 시스템
CN103905549B (zh) 基于物联网和云计算的健康管理系统及方法
KR101836428B1 (ko)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JP2002365366A (ja) 電子式被曝線量計とそれを用いた放射線作業管理システム
US20190228633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Perolle et al. Automatic fall detection and activity monitoring for elderly
CN113793072A (zh) 一种基于移动端疫情防控监测信息综合管理系统
CN111833576A (zh) 离家外出突发疾病或意外的紧急救助系统及方法
KR102231183B1 (ko)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15431A (ko)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7309791A (ja) 作業者監視システム
KR102343360B1 (ko)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독거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79924B1 (ko)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482152B1 (ko)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80074066A (ko)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2445A (ko) 위치 정보를 활용한 건강 및 생활안전 관리 시스템
Panicker et al. Design of a tele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falls of the elderly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KR20200076240A (ko) 고독사 관리 시스템
KR102420549B1 (ko) 치매노인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40120468A (ko) 원격 효대행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368158B1 (ko)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90006132A (ko)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JP7074566B2 (ja) 体調評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