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066A -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066A
KR20180074066A KR1020160177743A KR20160177743A KR20180074066A KR 20180074066 A KR20180074066 A KR 20180074066A KR 1020160177743 A KR1020160177743 A KR 1020160177743A KR 20160177743 A KR20160177743 A KR 20160177743A KR 20180074066 A KR20180074066 A KR 20180074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unit
monitoring
diagno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민
양혜원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4066A/ko
Publication of KR2018007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진단장비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진단 데이터와 영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Patient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진단장비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진단 데이터와 영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들은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에 대해 일별 일정 횟수 및 일정 시간 동안만 일정 인원만이 면회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중환자실의 환자 면회는 하루 2번 20분 ~ 30분의 짧은 시간동안만 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처럼 중환자실의 면회가 심하게 제한되는 이유는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들의 면역 상태가 최악의 상태에 있으므로 중환자실을 방문한 병문객들로부터 전파될 수 있는 감염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중환자실 환자의 보호자는 매번 시간을 맞추어 면회를 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고 있다.
또한, 면회 인원수에도 제약을 받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궁금해 하는 지인들은 병문안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9852호 [환자 상태정보와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은 중환자의 상태 및 용변량을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맥박 및 용변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여전히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를 제한된 시간에만 면회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종래 면회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의 상태를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보호자 및 병문객이 환자를 면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069852호(2016.06.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진단장비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진단 데이터와 영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 진단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 및 면회 요청 시 카메라를 구동하여 해당 환자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영상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 및 임의의 환자에 대한 서비스 이벤트 발생 시 서비스 이벤트에 따라 해당 환자에 대한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의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 및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환자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에 대한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환자 면회 이벤트에 대응하는 면회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환자 관제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는,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에 대한 환자 진단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환자 상태 측정부;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로부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환자 상태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여 환자 진단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는 환자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상태 측정부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박수 진단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환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심박 측정부;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전도 진단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환자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심전도 측정부; 환자에 연결된 소변 주머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진단측정센서에 의한 환자의 소변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소변량 측정부; 및 산소포화도 진단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환자의 호흡에 따른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산소포화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단말 제어부는, 상기 환자 상태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정보들을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각 환자 상태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정보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장비상태 판단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집된 측정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정보들을 비교하여 일정 위험 범위를 벗어나는 측정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장비 상태 판단부를 통해 이상이 있는 장비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환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판단부; 및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집된 측정정보들을 포함하는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이상 판단부를 통해 환자에게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 응급 정보를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는 환자 상태 보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는, 상기 환자 진단정보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는, 상기 서비스 이벤트가 환자 면회 이벤트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의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로 제공하고,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의 환자 단말 제어부는, 상기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면회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자 관제 서버부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 및 사용자 단말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 및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환자 상태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환자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로 전송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사의 진단정보인 의사 진단정보 중 의사가 공개를 허용한 의사 진단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의사 진단정보를 전자의무기록(EMR)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방법은: 환자 관제 서버부가 임의의 환자에 대한 서비스 이벤트 발생 시 서비스 이벤트에 따라 해당 환자에 대한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의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 및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환자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환자 상태 정보 요청 단계; 상기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가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의 서비스 종류에 따라 환자의 신착에 부착된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수집한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 및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해당 환자의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상태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가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에 대한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서비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면회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상태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서비스 이벤트가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이면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에 대한 환자 진단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환자 상태 측정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로부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의 수신 시 환자 상태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측정한 환자 진단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는 환자 상태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자 상태 측정 단계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박수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측정 단계;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전도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 단계; 환자에 연결된 소변 주머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진단측정센서에 의한 환자의 소변량을 측정하는 소변량 측정 단계; 및 산소포화도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의 호흡에 따른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상태정보 제공 단계는, 제어부의 모니터링부가 환자 상태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정보들을 수집하는 측정정보 수집단계; 상기 제어부의 장비상태 판단부가 상기 각 환자 상태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정보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장비상태 판단 단계; 상기 제어부의 이상 판단부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집된 측정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정보들을 비교하여 일정 위험 범위를 벗어나는 측정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장비 상태 판단부를 통해 이상이 있는 장비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환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환자 상태 보고부가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집된 측정정보들을 포함하는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이상 판단부를 통해 환자에게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 응급 정보를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는 환자 상태 보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가 온라인 면회 이벤트이면, 상기 환자 상태 정보 요청 단계에서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로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인 환자 실시간 영상 촬영 개시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가, 상기 환자 상태 정보 요청 단계에서 상기 환자 실시간 영상 촬영 개시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카메라를 통해 해당 환자를 촬영하여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상기 환자 상태정보인 환자의 영상을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며,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가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단계에서 상기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가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단계에서 환자의 영상을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 후, 사용자 단말부로부터 면회 대상 사용자의 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영상 제공 단계; 및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가 상기 영상을 수신받아 표시하는 면회 대상 사용자 영상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상태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사의 진단정보인 의사 진단정보 중 의사가 공개를 허용한 의사 진단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의사 진단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태정보 제공 단계에서, 상기 의사 진단정보를 상기 환자 상태정보에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가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에 대한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획득하는 환자 상태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환자에 대한 의사의 진단정보인 의사 진단정보 중 의사가 공개를 허용한 의사 진단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의사 진단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환자 상태정보에 상기 의사 진단정보를 포함하여 면회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환자 상태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환자 등과 같이 진단장비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보호자가 언제 어디서나 중환자실에 누워있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영상을 통해 면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에 대한 의사의 소견을 의사가 허용한 경우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호자의 답답한 마음을 풀어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의식이 있는 중환자에게 영상을 통해 보호자 및 지인들을 면회할 수 있도록 하므로 중환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부 중 하나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환자 모니터링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환자 상태 정보 표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의 구성을 타나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환자 관제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방법 중 환자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자 상태정보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방법 중 환자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자 상태정보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방법 중 환자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자 상태정보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방법 중 환자 면회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환자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부 중 하나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환자 모니터링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환자 상태 정보 표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은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3)을 통해 사용자 단말부(2)들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3)은 와이파망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Generation: 3G), 4세대(4Generation: 4G= LTE), 5세대(5Generation: 5G)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와이브로망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통신망이다.
사용자 단말부(2)는 본 발명에 따라 환자의 보호자, 환자의 지인 등과 같은 면회 대상 사용자의 단말부로서 컴퓨터 단말기(10) 및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20)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부(2)가 컴퓨터 단말기(10)인 경우 웹사이트 및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에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부(2)가 모바일 단말기(20)인 경우 도 2와 같은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부(2)는 병원의 중환자실 등에 입원해 있는 환자의 심박수, 소변량 등과 같은 환자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영상 통화를 통해 실시간 면회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가)에서는 환자의 심박수가 변화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도 3의 (나)는 소변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2에서는 환자 진단정보로서 심박수 및 소변량만 나타내었으나, 이외에도 심전도, 산소포화도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3에서는 단순한 심박수 및 소변량만 나타내었으나, 심박수의 변화 추이, 소변량의 변화 추이, 그에 따른 상태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100) 및 환자 관제 서버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100) 및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와이파이(WiFi)망을 포함하는 로컬망(4)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100)는 환자가 누워있는 병실 내에서 환자 인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100)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 진단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 및 면회 요청 시 카메라(미도시)를 구동하여 해당 환자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영상 정보 수집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할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환자 영상 정보 수집부(300)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반 하에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40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IP 카메라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임의의 환자에 대한 서비스 이벤트 중 하나인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의 발생 시 해당 환자에 대한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100)의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로 환자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에 대한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에 대응하는 면회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2)로 전송한다.
또한,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서비스 이벤트 중 하나인 임의의 환자에 대한 환자 온라인 면회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해당 환자에 대한 환자 영상 정보 수집부(300)로 환자 실시간 영상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에 대한 영상을 수신받아 면회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2)로 전송한다.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환자 관제 서버(50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웹서버(600)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700)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웹서버(600)는 환자 관제 서버(500)와 연동하여 웹 기반으로 원격지에서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영상 통화를 제공하여 면회 대상 사용자가 환자를 면회할 수 있도록 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70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3)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로 접속한 면회 대상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영상통화를 통해 면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의 구성을 타나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100)는 환자 상태 측정부(210), 환자 단말 저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입력부(240), 통신부(250) 및 환자 단말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환자 상태 측정부(210)는 심박 측정부(211), 심전도 측정부(212), 소변량 측정부(213), 산소포화도 측정부(214) 등의 진단수단을 포함한다. 환자 상태 측정부(210)는 이외도 더 다양한 진단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심박 측정부(211)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박수 진단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환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환자 단말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심전도 측정부(212)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전도 진단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환자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환자 단말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소변량 측정부(213)는 환자에 연결된 소변 주머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진단측정센서에 의한 환자의 소변량을 측정하여 환자 단말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산소포화도 측정부(214)는 산소포화도 진단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환자의 호흡에 따른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여 환자 단말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환자 단말 저장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상태 정보 수집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과,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환자 단말 제어부(260)의 제어를 받아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으로 표시한다.
입력부(240)는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의 기능을 선택,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키, 버튼 등을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기능의 선택 및 제어뿐만 아니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마우스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부(250)는 로컬망(4)에 접속하여 환자 관제 서버부(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환자 단말 제어부(260)는 모니터링부(261), 장비상태 판단부(262), 이상 판단부(263), 환자 상태 보고부(264) 및 면회 영상 처리부(265)를 포함하여 환자 상태 정보 수집부(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니터링부(261)는 환자 상태 측정부(210)를 통해 주기적 또는 환자 상태 측정 이벤트의 발생 시에 측정정보인 환자 진단정보를 수집하여 환자 단말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상기 환자 상태 측정 이벤트는 입력부(240)를 통해 환자 상태 측정 제어명령이 입력되거나, 환자 관제 서버(500)로부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장비상태 판단부(252)는 환자 상태 측정부(210)의 각 측정부(211, 212, 213, 214)들로부터 각각 측정 값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여 해당 측정부가 정상인지를 판단한다.
이상 판단부(253)는 상기 모니터링부(261)를 통해 수집되는 환자 진단정보와 기준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환자 진단정보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고, 장비상태 판단부(262)에 의해 장비 고장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하여 환자 상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환자 상태 보고부(264)는 상기 모니터링부(261)를 통해 수집되는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통신부(250)를 통해 환자 관제 서버부(400)로 전송하고, 상기 이상 판단부(263)를 통해 환자의 이상상태가 검출되면 환자 진단정보 및 장비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긴급 상황 보고 정보를 환자 관제 서버부(400)로 전송한다.
면회 영상 처리부(265)는 통신부(250)를 통해 환자 관제 제어부(400)로부터 환자 면회 요청에 따른 면회 대상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하여 상호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환자 관제 서버부(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부(2)와 IP 기반의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환자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제 서버(500)는 서버 저장부(510), 관제 디스플레이부(420), 관제 입력부(530), 서버 통신부(540) 및 서버 제어부(550)를 포함한다.
서버 저장부(510)는 환자 관제 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환자들의 주기별 환자 상태정보, 장비 상태정보, 환자별 온라인 환자 상태정보 및 면회 이력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면회 이력 정보는 온라인으로 환자의 환자 상태정보를 조회한 사용자의 사용자정보 및 면회를 한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관제 디스플레이부(520)는 환자 관제 센터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으로 구성되어 관리자에게 현재 환자 관제 서버부(400)를 통해 이루어지는 면회 및 환자 상태정보 조회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텍스트, 그래픽 및 영상 등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관제 입력부(530)는 관리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거나,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보드, 상기 관제 디스플레이부(520)의 화면과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된 위치의 좌표정보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서버 통신부(540)는 로컬망(4)을 통해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로컬망(4) 및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3)을 통해 사용자 단말부(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 제어부(550)는 서비스 종류 판단부(551), 환자 상태정보 획득부(552), 환자 상태정보 제공부(553), 환자 온라인 면회 처리부(554), 의사 진단정보 제공부(555)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제 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종류 판단부(551)는 서버 통신부(540)를 통해 사용자 단말부(2)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발생되면 요청된 서비스가 환자 상태정보 조회 서비스인지, 환자 면회 서비스인지를 판단한다.
환자 상태정보 획득부(552)는 서비스 종류 판단부(551)에서 환자 상태정보 조회 서비스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 통신부(540)를 통해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100)로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받거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신받아 서버 저장부(510)에 저장하고 있는 해당 환자의 환자 상태정보를 로드하여 획득한다.
환자 상태정보 제공부(553)는 상기 환자 상태정보 획득부(552)를 통해 환자 상태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환자 상태정보를 서버 통신부(540)를 통해 사용자 단말부(2)로 전송한다.
환자 온라인 면회 처리부(555)는 상기 서비스 종류 판단부(551)에서 환자 면회 서비스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 통신부(540)를 통해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100)의 환자 영상 정보 수집부(300)를 원격 구동하여 카메라를 통해 환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환자의 영상을 통신부(540)를 통해 수신한 후 다시 서버 통신부(540)를 통해 사용자 단말부(2)로 전송한다.
또한, 환자 온라인 면회 처리부(555)는 사용자 단말부(2)가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부(2)를 통해 촬영된 면회 대상 사용자의 영상을 수신하여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100)의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로 전송한다.
의사 진단정보 제공부(555)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사의 진단정보를 획득하여 환자 상태정보 제공 시 함께 제공하거나 별도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부(2)로 제공한다. 상기 의사 진단정보 제공부(555)는 의사가 공유를 허락한 진단정보에 대해서만 사용자 단말부(2)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진단정보는 의사가 환자별로 입력한 정보를 서버 저장부(510)에 저장하였다가 제공할 수도 있으며,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여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서버 제어부(550)는 환자 면회 서비스 및 환자 상태정보 조회 서비스의 요청 시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가 정당한 면회 대상 사용자인지를 판단하는 면회 대상 사용자 인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아무나 환자 상태정보를 조회하거나 온라인 면회를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인증 방법으로는 환자의 입원 시 보호자에게 인증키를 할당하고, 서비스 이용 시마다 인증키를 통해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호자 이외의 면회자들은 보호자로부터 인증키를 받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인증키는 최초 발급된 인증키에 근거하여 보호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방법 중 환자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자 상태정보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로서, 서비스 요청이 환자 관제 서버부에 의해 발생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서비스는 환자 관제 서버부의 미리 설정된 정보에 의해 자동 발생된 경우 일 것이다.
우선,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는 주기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여 환자 진단정보를 저장할 것이다(S111).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3). 상기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는 관리자에 의한 미리 설정된 환자 상태정보 보고 서비스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환자 상태정보 보고 서비스 설정은 환자의 입원 시 설정될 수 있으며, 하루 몇 회 몇 시간 간격 등으로 자동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가 발생되면 환자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 요청정보를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로 전송한다(S115).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는 환자 관제 서버부(400)로부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S115), 저장되어 있는 환자 진단정보들 중 해당 환자의 환자 진단정보를 로드하여 환자 상태정보를 생성한 후 환자 관제 제어부(400)로 전송한다(S117).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로부터 환자 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저장한(S119) 후, 해당 사용자 단말부(2)로 전송한다(S121).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방법 중 환자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자 상태정보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로 사용자 단말부(2)에서 서비스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단말부(2)는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211). 상기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는 면회 대상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면 미리 할당된 인증키를 입력받았을 때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부(2)는 면회 대상 사용자정보 또는 환자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를 환자 관제 서버부(400)로 전송한다(S213).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는 인증키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사용자 단말부(2)로부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로 환자 상태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한다(S215).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정보를 수신한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는 환자 상태를 진단하여 저장한(S217) 후, 환자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환자 관제 서버부(400)로 전송한다(S219).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의 전송에 응답하여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로부터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받아(S219) 사용자 단말부(2)로 제공한다(S221).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방법 중 환자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자 상태정보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로 환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발생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는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311). 상기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는 입력부(240)를 통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가 발생되면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200)는 환자 상태를 진단하고 환자 진단정보를 저장한(S313) 후, 환자 관제 서버부(400)로 전송한다(S315).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한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사용자 단말부(2)로 환자 상태정보 팝업 허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317), 이에 대해 팝업 수락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부(2)로부터 수신되면(S319) 상기 환자 상태정보를 사용자 단말부(2)로 전송할 것이다(S321).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방법 중 환자 면회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부(2)는 도 2에서 타나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부(240)로부터 온라인 면회 요청 명령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411).
온라인 면회 요청 명령이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부(2)는 환자 실시간 영상 요청 정보를 환자 관계 서버부(400)로 전송한다(S413). 상기 환자 실시간 영상 요청 정보는 면회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정보 및 환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인증키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환자 실시간 영상 요청 정보를 수신한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환자 온라인 면회 처리부(554)를 구동한(S415) 후, 환자 실시간 영상 촬영 개시 요청 정보를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300)로 전송한다(S417).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300)는 상기 환자 실시간 영상 촬영 개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카메라를 구동하여 환자를 촬영하기 시작하고(S419), 촬영되는 영상을 환자 관제 서버부(400)로 전송한다(S421).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수신되는 환자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부(2)로 전송한다(S423).
환자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부(2)는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하고 통화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425).
통화 요청이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부(2)는 통화 요청 정보를 환자 관제 서버부(400)로 전송한다(S427).
환자 관제 서버부(400)의 환자 온라인 면회 처리부(254)는 미리 설정된 환자 상태정보로부터 환자가 통화 가능한지를 판단하고(S429), 환자가 통화 가능하면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300)로 통화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S431).
통화 요청 정보를 수신한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300)는 환자 관제 서버부(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부(2)와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를 수행한다(S433).
상기 통화중 환자 관제 서버부(400)는 면회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고(S435), 면회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면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300) 및 사용자 단말부(2) 각각으로 면회 종료 통지 정보를 전송한다(S437, S349). 상기 면회 종료 이벤트는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300)로부터의 면회 종료 요청 발생 시 또는 사용자 단말부(2)로부터 면회 종료 요청 발생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2: 사용자 단말부
3: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4: 로컬망
100: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 200: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
210: 환자 상태 측정부 211: 심박 측정부
212: 심전도 측정부 213: 소변량 측정부
214: 산소포화도 측정부 220: 환자 단말 저장부
230: 디스플레이부 240: 입력부
250: 통신부 260: 환자 단말 제어부
261: 모니터링부 262: 장비상태 판단부
263: 이상 판단부 264: 환자 상태 보고부
265: 면회 영상 처리부 300: 환자 영상 정보 수집부
400: 환자 관제 서버부 500: 환자 관제 서버
510: 서버 저장부 520: 관제 디스플레이부
530: 관제 입력부 540: 서버 통신부
550: 서버 제어부 551: 서비스 종류 판단부
552: 환자 상태정보 획득부 553: 환자 상태정보 제공부
554: 환자 온라인 면회 처리부 555: 의사 진단정보 제공부
600: 웹서버 700: 어플리케이션 서버

Claims (16)

  1.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 진단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 및 면회 요청 시 카메라를 구동하여 해당 환자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영상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 및
    임의의 환자에 대한 서비스 이벤트 발생 시 서비스 이벤트에 따라 해당 환자에 대한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의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 및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환자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에 대한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환자 면회 이벤트에 대응하는 면회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환자 관제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는,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에 대한 환자 진단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환자 상태 측정부;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로부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환자 상태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여 환자 진단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는 환자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상태 측정부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박수 진단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환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심박 측정부;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전도 진단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환자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심전도 측정부;
    환자에 연결된 소변 주머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진단측정센서에 의한 환자의 소변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소변량 측정부; 및
    산소포화도 진단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환자의 호흡에 따른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산소포화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 제어부는,
    상기 환자 상태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정보들을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각 환자 상태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정보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장비상태 판단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집된 측정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정보들을 비교하여 일정 위험 범위를 벗어나는 측정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장비 상태 판단부를 통해 이상이 있는 장비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환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판단부; 및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집된 측정정보들을 포함하는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이상 판단부를 통해 환자에게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 응급 정보를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는 환자 상태 보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는,
    상기 환자 진단정보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는,
    상기 서비스 이벤트가 환자 면회 이벤트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의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로 제공하고,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의 환자 단말 제어부는,
    상기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면회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환자 관제 서버부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 및 사용자 단말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 및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환자 상태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환자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로 전송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사의 진단정보인 의사 진단정보 중 의사가 공개를 허용한 의사 진단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의사 진단정보를 전자의무기록(EMR)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9. 환자 관제 서버부가 임의의 환자에 대한 서비스 이벤트 발생 시 서비스 이벤트에 따라 해당 환자에 대한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의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 및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환자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환자 상태 정보 요청 단계;
    상기 환자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가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의 서비스 종류에 따라 환자의 신착에 부착된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수집한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 및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해당 환자의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상태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가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에 대한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서비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면회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상태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서비스 이벤트가 환자 모니터링 이벤트이면 상기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에 대한 환자 진단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환자 상태 측정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로부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의 수신 시 환자 상태 측정부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측정한 환자 진단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는 환자 상태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환자 상태 측정 단계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박수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 측정 단계;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전도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 단계;
    환자에 연결된 소변 주머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진단측정센서에 의한 환자의 소변량을 측정하는 소변량 측정 단계; 및
    산소포화도 진단측정센서를 통해 환자의 호흡에 따른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상태정보 제공 단계는,
    제어부의 모니터링부가 환자 상태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정보들을 수집하는 측정정보 수집단계;
    상기 제어부의 장비상태 판단부가 상기 각 환자 상태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정보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장비상태 판단 단계;
    상기 제어부의 이상 판단부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집된 측정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정보들을 비교하여 일정 위험 범위를 벗어나는 측정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장비 상태 판단부를 통해 이상이 있는 장비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환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환자 상태 보고부가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집된 측정정보들을 포함하는 환자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이상 판단부를 통해 환자에게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 응급 정보를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는 환자 상태 보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가 온라인 면회 이벤트이면, 상기 환자 상태 정보 요청 단계에서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로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인 환자 실시간 영상 촬영 개시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가, 상기 환자 상태 정보 요청 단계에서 상기 환자 실시간 영상 촬영 개시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카메라를 통해 해당 환자를 촬영하여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로 상기 환자 상태정보인 환자의 영상을 환자 관제 서버부로 전송하며,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가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단계에서 상기 환자 영상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가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단계에서 환자의 영상을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 후, 사용자 단말부로부터 면회 대상 사용자의 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영상 제공 단계; 및
    상기 환자 상태정보 수집부가 상기 영상을 수신받아 표시하는 면회 대상 사용자 영상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상태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사의 진단정보인 의사 진단정보 중 의사가 공개를 허용한 의사 진단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의사 진단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태정보 제공 단계에서, 상기 의사 진단정보를 상기 환자 상태정보에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환자 관제 서버부가 상기 환자 상태정보 요청 정보에 대한 환자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획득하는 환자 상태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환자에 대한 의사의 진단정보인 의사 진단정보 중 의사가 공개를 허용한 의사 진단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의사 진단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환자 상태정보에 상기 의사 진단정보를 포함하여 면회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환자 상태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
KR1020160177743A 2016-12-23 2016-12-23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4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743A KR20180074066A (ko) 2016-12-23 2016-12-23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743A KR20180074066A (ko) 2016-12-23 2016-12-23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066A true KR20180074066A (ko) 2018-07-03

Family

ID=6291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743A KR20180074066A (ko) 2016-12-23 2016-12-23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40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150B1 (ko) * 2020-09-22 2020-12-22 (주)피엘씨 산후조리원 운영 시스템
CN112137578A (zh) * 2019-06-27 2020-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监测方法、装置及设备
CN112890792A (zh) * 2020-11-25 2021-06-04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网络摄像头的云计算心血管健康监护系统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7578A (zh) * 2019-06-27 2020-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监测方法、装置及设备
CN112137578B (zh) * 2019-06-27 2024-01-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监测方法、装置及设备
KR102194150B1 (ko) * 2020-09-22 2020-12-22 (주)피엘씨 산후조리원 운영 시스템
CN112890792A (zh) * 2020-11-25 2021-06-04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网络摄像头的云计算心血管健康监护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263B1 (ko) 만성질환자를 위한 재택 원격 가정 간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360591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社区智能医护系统控制方法
KR100749569B1 (ko)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실버타운 의료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82536B2 (ja) 医療デバイスのアラート信号の処理
JP2003109160A (ja) 緊急救助支援システム、緊急救助機能付き携帯端末、緊急救助情報受信無線端末及び緊急救助支援方法
EP3308699A1 (en) Central processing device and central processing method for system for monitoring persons to be monitored, and system for monitoring persons to be monitored
JP2017174266A (ja) 遠隔患者支援システム
KR20180074066A (ko)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95130B1 (ko)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버타운 회원을 위한 건강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4313461A (ja) 在宅者健康状態遠隔見守り方法および装置
KR20170035459A (ko) 생체 신호 감지 기능과 이동 통신 기능을 연동한 독거노인 및 환자 관리 시스템
JP6744706B2 (ja) 見守り支援システム
KR20050090947A (ko) 실버텔 운영 시스템
JPWO2020003715A1 (ja) レポート出力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JPWO2019216056A1 (ja) システム、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含む装置
JP2019197263A (ja) 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084934A (ja) 端末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1174189A (ja) サービスのメニューの作成を支援する方法、サービスの利用者の評価を支援する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ー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装置
KR20200125871A (ko) 환자 상태 통보 시스템
JP7415434B2 (ja) 情報共有装置、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プログラム
JP7268679B2 (ja) 制御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JP7198598B2 (ja) 居住者見守りシステム
JP7268387B2 (ja) 見守り装置および見守り装置用プログラム
KR102392801B1 (ko)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환자의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