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431A -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431A
KR20160015431A KR1020140097067A KR20140097067A KR20160015431A KR 20160015431 A KR20160015431 A KR 20160015431A KR 1020140097067 A KR1020140097067 A KR 1020140097067A KR 20140097067 A KR20140097067 A KR 20140097067A KR 20160015431 A KR20160015431 A KR 20160015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information
subscriber
user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862B1 (ko
Inventor
권명은
양정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09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8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환자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장착되는 의료 디바이스;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 및 상기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응급구조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응급환자관리 시스템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이상징후 발견시,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의료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개인의료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안전도 산출 인자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생체신호의 분석결과 및 상기 안전도 산출 인자를 이용하여 다수의 응급상황단계 중 상기 가입자가 속한 응급상황단계를 결정하고, 각 응급상황단계에 따른 응급환자관리 서비스를 상기 이동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도 산출 인자는, 일정 영역 내 위치하는 응급구조기기 정보, 응급구조기관 정보 및 상기 일정 영역에서의 실시간 인구집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Method of emergency management based on user safety and location and system for it}
본 발명은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안전도에 따른 응급 구조 관련 정보 및/또는 응급 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40 대의 돌연사 원인의 1위는 심장질환이다. 특히, 급성 심장질환 중 대표적인 것이 심근경색이다. 일단 심근경색이 생기면 환자의 55% 정도는 응급실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사망한다. 심장마비는 암 등 기타 질병과 달리 산소 부족으로 뇌손상이 오는 5분 이내에 기초적인 심폐소생술과 전기쇼크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회복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가족, 목격자, 구급대원 등의 교육/인식 부족으로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이 이뤄지는 경우가 3~4%에 머물러 있다. 이 때문에 살 수 있는 환자들이 허망한 죽음을 맞거나, 살더라도 뇌손상 등 심각한 후유증에 시달리게 된다. 더욱이 최근에는 비만, 고지혈증 인구 증가로 심장병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그만큼 심장마비 위험이 잠재된 응급 심장병 환자도 급속히 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심장질환은 환자 및 환자의 주변인들이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게 대부분이고, 특히 갑자기 심장질환이 발생할 경우 환자 본인이 직접 병원의 응급실 또는 119 등에 구조 요청을 하게 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최근에는 심장질환자들이 직접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는 전기충격기를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도 있으나, 역시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못한다.
한편,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켜, 대부분의 일반인은 핸드폰,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변 확대에 따른 수요자들의 요구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는데, 단문 메시지 송수신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음주 측정 기능, 위치 확인 기능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항상 휴대가 가능하고 언제 어디서든 통신이 가능하므로 상술한 심장질환자 등 응급 구조가 요구되는 사용자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기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며 응급하게 구조 요청이 필요한 경우, 단축 번호를 이용하여 병원의 응급실 또는 119 등에 응급 호출을 할 수가 있어, 구조 요청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심장질환자 등 응급 구조가 요구되는 사용자들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직접 구조 요청을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으로 응급 구조 상황을 예방하고 자동으로 응급 구조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자동으로 수집 및 분석하고 그에 따른 응급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 사용자 위치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안전도에 따른 응급상황 단계를 분석하고, 응급상황 단계별로 응급구조 정보 제공 또는 긴급구조 출동 서비스 등과 같이 다양한 응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장착되는 의료 디바이스;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 및 상기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응급구조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응급환자관리 시스템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이상징후 발견시,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의료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개인의료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안전도 산출 인자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생체신호의 분석결과 및 상기 안전도 산출 인자를 이용하여 다수의 응급상황단계 중 상기 가입자가 속한 응급상황단계를 결정하고, 각 응급상황단계에 따른 응급환자관리 서비스를 상기 이동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도 산출 인자는, 일정 영역 내 위치하는 응급구조기기 정보, 응급구조기관 정보 및 상기 일정 영역에서의 실시간 인구집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응급상황단계는 주의 단계, 위험 단계 및 응급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 방법은, 상기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한 인접 거리의 응급구조기기 또는 응급구조기관으로부터 상기 가입자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에 대비한 알림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로 소정 주기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 방법은, 상기 알림메시지 전송시, 상기 도출한 인접 거리의 응급구조기기 또는 응급 구조기관에 관한 위치정보 및 상세정보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응급상황단계가 위험 단계 또는 응급 단계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 방법은, 상기 가입자의 생체신호 분석 결과, 상기 가입자의 개인의료정보 및 상기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응급구조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급구조정보가 경로안내정보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 방법은, 상기 가입자의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영역 내 상기 안전도 산출 인자를 반영하여 하나 이상의 경로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안전도 산출 인자 및 상기 가입자의 개인의료정보를 토대로 설정한 안전도 산출 인자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경로별 안전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도 산출 결과를 이용하여 추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천 경로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경로별 안전도, 상기 하나 이상의 경로별 이동예상시간 및 기 설정된 가입자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경로 추천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경로 추천 순위에 따라 추천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응급상황단계가 응급 단계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 방법은, 상기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한 응급구조기관으로 응급구조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자동으로 수집 및 분석하고 그에 따른 응급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신호 분석결과 및 사용자 위치정보를 토대로 응급상황에 처한 사용자에게 응급구조장치 위치정보 및 응급처치정보 등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의 다른 이들이 응급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가입자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관리 시스템에서 응급구조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응급구조정보 생성 과정에 따른 경로 정보 테이블 및 안전도 그래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도 그래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정보 제공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본 발명은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안전도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사용자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의료 디바이스(110), 상기 하나 이상의 의료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응급환자를 관리하는 관리서버(120) 및 사용자 이동단말(130)을 포함한다.
의료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상태 및 주변환경을 센싱하고 그 센싱결과에 따라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일 예로 들 수 있다. 의료 디바이스(110)는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로 사용자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서버(12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120)는 의료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건강상태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120)는 기 구축된 사용자정보 DB로부터 사용자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별 개인의료정보를 도출하고, 개인의료정보에 포함된 사용자별 과거 또는 현재 병력, 이상징후 이력 등을 토대로 상기 의료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이때, 관리서버(120)는 의료 디바이스(110)에 대응하는 이동단말(130)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사용자별 병력 또는 현재 건강상태와 관련된 응급 구조장비의 위치정보에 따른 응급상황 단계를 분석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생체신호 데이터에 기초하더라도 해당 생체신호가 수집된 시점에서의 사용자 위치에 따라 의료기기 또는 의료기관과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별 응급상황 단계가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관리서버(120)는 사용자별 응급상황 단계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응급상황별 경고 또는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접근 용이한 의료기기 또는 의료기관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응급구조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이동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장질환 또는 부정맥 이력이 있는 사용자에 대해 의료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 심박수 측정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응급상황 단계를 분석하고, 사용자 병력과 관련하여 기 구축된 의료기기 DB로부터 사용자 위치 기반의 인접한 하나 이상의 자동제세동기(AED) 위치정보를 도출하여 응급상황별 경고 또는 알림메시지와 함께 사용자 이동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이동단말(130)은 관리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출력모듈(예,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의 사람들에게 응급조치를 수행할 것을 알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서버(200)는 통신부(210), 생체신호 분석부(220), 위치 측정부(230), 응급구조정보 제공부(240), 제어부(250) 및 데이터베이스(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260)에는 응급환자 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정보, 전국 응급의료장비 구비현황정보(예, 자동제세동기 위치정보 등), 전국 응급구조 기관 정보(예, 병원, 소방서, 경찰서 등의 위치정보 및 전화번호 등) 등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60)는 응급구조정보 제공부(240)에서 안전도 기반의 지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지도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또는 공중망 등과 연결되어 웨어러블 의료장비와 같은 의료 디바이스, 가입자의 사용자 이동단말 또는 응급구조기관 등과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의료 디바이스(110)로부터 사용자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동단말(130)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관리서버(200)의 분석결과에 따라 응급구조 정보 제공 또는 응급구조기관으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생체신호 분석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가입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이상징후 발생 여부를 판단하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가입자별 개인의료정보를 토대로 이상징후 발생 인자를 도출하고, 도출된 이상징후 발생 인자에 따라 소정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상징후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상징후 판단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분석부(220)는 심장질환 또는 부정맥 이력이 있는 가입자에 대해 의료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 심박수 측정신호 데이터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가입자의 개인의료정보(예, 과거 또는 현재 병력, 이상징후 이력 등)에 대비하여 이상징후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가입자의 사용자 이동단말(130)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단말(130)의 위치를 측정하거나 이동통신망의 기지국들에서 측정한 이동단말(130)의 전파 전달시간을 토대로 이동단말(130)의 위치를 측정한다. 위치 측정 방식은 GPS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이거나 또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 (wireless access point, WAP) 등을 이용하는 방식 등 어느 방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응급구조정보 제공부(24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생체신호 분석부(220)에서 분석한 결과 및 위치 측정부(230)에서 측정한 가입자 위치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응급상황 단계 분류 및 응급구조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응급구조정보 제공부(240)는 생체신호 분석부(220)에서의 분석 결과에 따라 가입자에게 이상징후가 발생한 경우, 응급구조정보 제공부(240)는 가입자 생체신호 분석 결과 및 가입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안전도를 판별하여 응급상황단계를 결정하는 안전도 판별부(241)를 더 포함한다. 응급상황단계는 가입자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주의 단계, 위험 단계, 응급 단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가입자 과거 또는 현재 병력, 이상징후 이력, 위치정보 기반의 안전도 산출 인자에 따라 주의 단계, 위험 단계, 응급 단계를 구분하는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응급구조정보 제공부(240)는 안전도 판별부(241)에서 결정한 응급상황단계에 따라 가입자 위치를 기반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응급구조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응급구조정보의 일 예로 안전도 기반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경로 정보 생성부(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급구조정보가 제공되는 형태로 응급구조기기 위치정보를 포함한 경로 안내 정보를 일 예로 들면, 경로 정보 생성부(242)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심장질환 또는 부정맥 이력이 있는 가입자에 대해 생체신호 분석부(220)에서의 분석결과 및 위치 측정부(230)에서 측정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260)로부터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 위치한 하나 이상의 자동재생동기 위치정보를 도출하여 이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경로 안내 정보 제공시, 경로 정보 생성부(242)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토대로 소정 거리 내 위치한 하나 이상의 응급구조기기 정보, 응급구조기관 정보, 실시간 인구집적도 등을 반영하여 목적지까지 다수의 안전도별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210)를 통해 가입자의 이동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응급구조정보 제공부(240)는 가입자의 응급상황 단계에 따라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인접한 응급구조기기 또는 병원, 소방서, 경찰서 등의 응급구조기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60)로부터 도출하여 사용자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이를 경고하는 알림메시지를 사용자 이동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출한 응급구조기기 또는 응급구조기관 관련 정보를 알림메시지와 함께 사용자 이동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응급구조정보 제공부(240)는 도출된 응급구조기관으로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응급구조 요청 메시지는 해당 가입자의 위치정보, 생체신호 분석부(220)에서 분석한 가입자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260)로부터 도출한 해당 가입자의 개인의료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응급구조기관은 관리서버(200)로부터 전달된 응급구조 요청 메시지에 따라 가입자가 위치한 장소로 이동하여 응급구조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관리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부(210)를 통해 생체신호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데이터를 생체신호 분석부(220)에 전달하고, 생체신호 분석부(220)의 분석 결과 가입자의 이상징후가 도출되면 위치 측정부(230)를 제어하여 해당 가입자의 이동단말(130) 위치를 측정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생체신호 분석부(220)의 분석 결과 응급구조정보가 제공되어야하는 응급상황단계인 경우 응급구조정보 제공부(240)를 제어하여 해당 가입자에게 필요한 응급구조정보를 생성하여 이동단말(130)로 제공하도록 하거나 응급구조기관으로 응급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가입자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심장질환 또는 부정맥 이력이 있는 가입자의 심박수 측정신호를 토대로 이상징후 여부 및 응급상황 단계를 분류하는 과정을 생체신호 분석과정의 일 예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서버는 응급환자 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기등록된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가입자 생체신호(예, 심박수 측정신호)를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로 수신하며 모니터링한다(S301).
그리고, 관리서버는 실시간 또는 소정주기로 수신한 가입자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면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가입자별로 기 등록된 신체 이상징후 관련 인자에 따라 이상징후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302).
이상징후 발생시, 관리서버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 과거 또는 현재 병력, 이상징후 이력 등을 포함하는 개인의료정보 및 이상징후 발견 시점에서의 가입자 위치정보를 도출한다(S303).
그리고, 가입자 위치를 기반으로 응급상황단계 판단을 위한 안전도 산출 인자를 도출한다(S304). 안전도 산출 인자의 일 예로, 사용자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 위치한 응급구조기기 현황 정보, 응급구조기관 정보, 실시간 인구집적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입자가 이동중인 경우 안전도 산출 인자 각각의 값은 가입자 이동 경로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는 가입자 생체신호 분석 결과, 개인의료정보, 위치정보 및 안전도 산출 인자로부터 응급상황단계를 결정한다(S305). 응급상황단계는 가입자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주의 단계, 위험 단계, 응급 단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가입자 과거 또는 현재 병력, 이상징후 이력, 위치정보 기반의 안전도 산출 인자에 따라 주의 단계, 위험 단계, 응급 단계를 구분하는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응급상황단계에 따라 제공되는 응급구조서비스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서버는 상기 결정단계 결과에 따라 주의 단계인 경우, 가입자에게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질환과 관련하여 주의를 요한다는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306, S307).
알림메시지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가입자 위치와 응급구조기기 또는 응급구조기관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 멀어지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주의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림메시지 생성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소정 주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알림메시지는 가입자에게 인접한 응급구조기기 또는 응급구조기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서버는 상기 결정단계 결과에 따라 위험 단계인 경우, 가입자에게 대응되는 응급구조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경고메시지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S308, S309).
이때, 본 발명에서는 응급상황단계의 응급도에 따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메시지 형태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을 뿐, 경고메시지는 상술한 알림메시지와 동일한 형태의 메시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관리서버는 상기 결정단계 결과에 따라 응급 단계인 경우, 가입자에게 대응되는 응급구조정보 및 경고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응급구조기관으로 가입자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응급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10, S31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관리 시스템에서 응급구조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서버는 의료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한 생체신호 데이터로부터 이상징후 발견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가입자 개인의료정보 및 가입자별로 개인의료정보와 연관되어 기 설정된 안전도 산출 인자를 도출한다(S401).
예컨대, 가입자 병력이 심장질환과 관련된 경우, 심장질환 환자에게 필요한 응급의료기기, 응급구조기관, 실시간 단위면적 인구집적도 등이 안전도 산출 인자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는 도출한 안전도 산출 인자 등을 고려하여 가입자 생체신호 분석결과를 토대로 가입자가 처한 응급상황단계를 결정한다(S402).
이때, 가입자가 처한 응급상황단계가 위험 또는 응급 단계인 경우, 관리서버는 경고메시지 및 응급구조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가입자가 응급구조정보 중 경로 안내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가입자 현재위치 및 가입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S403, S40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구성 방식은 종래 일반적인 지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최단거리 또는 최단소요시간 기반의 경로 구성과 달리, 상기 단계 S401에서 도출한 응급구조기기 및 응급구조기관 등의 안전도 산출 인자를 반영한 경로를 구성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는 상기 단계 S404에서 구성한 다수의 경로에 대해 상기 안전도 산출 인자를 반영하여 각 경로에서의 가입자 안전도를 산출한다(S405).
가입자 안전도는 질환별로 기 설정된 안전도 산출 인자에 대해 가입자별 건강상태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가입자가 처한 주변 환경 및 가입자 본인의 상태를 반영하여 해당 가입자에게 최적의 추천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1은 가입자 상태 및 위치를 반영하여 안전도를 산출하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수학식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응급의료기기(N1)는 가입자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의 일정 영역 내 위치한 응급의료기기의 개수를 나타내고, 응급의료기관(N2)은 가입자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의 일정 영역 내 위치한 응급의료기관의 개수를 나타내고, 인구집적도(N3)는 단위면적(㎡)당 실시간 인구집적도를 나타낸다. α,β,γ 각각은 가입자 안전도 산출시 가입자 생체신호 분석을 통해 도출한 가입자 건강상태에 따라 반영하는 응급의료기기, 응급의료기관, 인구집적도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낸다. 상기 가중치 α,β,γ 는 해당 가입자가 속한 응급상황단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서버는 다수의 경로 각각에 대해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도출한 안전도, 예상이동시간 및 가입자가 기 설정한 경로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경로 추천 순위를 결정한다(S406). 경로 추천 순위는 가입자가 속한 응급상황단계에 따라 추천 순위 결정 기준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경로 추천 순위를 결정한 관리서버는 가입자의 사용자 단말로 가입자가 처한 응급상황단계에 따라 경고메시지, 응급구조정보 및 다수의 경로 안내 정보 등을 제공하고, 연계된 응급구조기관으로 구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407).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응급구조정보 생성 과정에 따른 경로 정보 테이블 및 안전도 그래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안전도 기반의 경로 안내 정보 제공시, 심장질환 또는 부정맥 이력이 있는 가입자에 대한 응급구조정보로 가입자 안전도를 반영한 경로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해당 가입자의 이동단말을 통해 수집한 가입자 위치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된 경로 정보 테이블(510)과 같이 사용자가 요청하는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원래 경로, 추천경로 A, 추천경로 B, 추천경로 C)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원래 경로는 일반적인 경로 안내시 최단소요시간 또는 최단거리를 기준으로 구성한 경로를 의미하고, 추천경로 A, 추천경로 B 및 추천경로 C는 안전도 산출 인자로 응급구조기기, 응급구조기관 및 실시간 인구집적도를 반영하여 구성한 경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영역 내 위치하면서 추천경로 A, 추천경로 B 및 추천경로 C와 같이 각각의 경로에 해당하는 응급구조기기(예, 자동재생동기) 정보(511), 응급구조기관 정보(512), 실시간 단위면적(㎡)당 인구집적도(513)를 도출하여, 경로상의 안전도(515)를 산출할 수 있다. 경로상의 안전도(515)는 상기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처럼 안전도 산출 인자의 값과 가입자별로 각각의 안전도 산출 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로별 안전도는 도 5에 도시된 그래프(520)와 같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사용자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안전도 그래프(520)는 의료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되는 생체신호(HRV index)와 가입자 위치를 기준으로 응급구조기기와의 거리(distance from AED)를 기준으로, 경로 정보 테이블(510)에 예시된 각각의 추천 경로에 따른 안전도 특성을 도시화한 것이다.
안전도 그래프(520)는 안전 영역(521), 주의 영역(522), 위험 영역(523) 및 응급 단계(524)로 구분할 수 있으며, 원래의 경로부터 추천경로 A, 추천경로 B 및 추천경로 C를 이용하는 경우 가입자가 속하는 응급상황단계를 이동 경로에 따라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경로 정보 테이블(510)에서 안전도가 높은 추천경로 B 및 추천경로 C는 안전도 그래프(520) 상에서도 안전 영역(521)과 주의 영역(522) 경계에 해당하는 반면, 안전도가 보통인 추천경로 A는 주의 영역(522) 내 해당되고, 안전도를 고려하지 않은 원래 경로는 주의 영역(522) 및 위험 영역(523)의 경계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는 각 경로에서의 이동예상시간(514)를 산출하여 안전도(515)와 함께 경로 추천 순위(516)를 결정할 수 있다. 경로 추천 순위의 경우, 가입자가 처한 응급상황단계에 따라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하여 추천 기준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위험 단계에서는 이동예상시간(514), 안전도(515) 및 도 5에 예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선호도를 모두 고려하여 추천 순위(516)를 결정하는 것으로 추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위험 단계에서는 이동예상시간이 짧을수록, 안전도가 높을수록, 사용자 선호도가 높을수록 추천 순위는 높아지게 된다. 반면, 응급 단계에서는 이동예상시간(514) 및 안전도(515)만을 고려하여 경로 추천 순위(516)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도 그래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입자별 건강상태에 따라 안전도를 판별하는 기준을 다르게 설정하는 형태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동일한 생체신호 데이터 및 동일한 응급구조기기와의 거리에서라도 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된 가입자별 개인의료정보(예, 과거 또는 현재 병력, 이상징후 이력 등)에 따라 가입자별 주의 단계, 위험 단계 및 응급 단계를 구분하는 기준(A, B)이 달라질 수 있다. 가입자별로 응급상황단계를 구분하는 기준(A, B)을 다르게 하는 방식은 상기 수학식 1에서 상술한 것처럼 안전도 산출시 사용자 개인개인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안전도 산출 인자별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정보 제공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는 경로 안내 정보가 제공되는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도 기반의 경로 정보는 WiFi AP를 통한 실내 측위 및/또는 GPS 혹은 기지국 셀 정보를 통한 실외 측위로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지도 정보(700)는 가입자 출발지(A)로부터 목적지(B)까지 일반적인 경로 제공 방식에 따른 경로 1과 안전도 기반의 경로 2를 포함하고 있다. 경로 2의 경우,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일정 영역 내 위치한 응급구조기기 또는 응급구조기관의 위치정보(701, 702, 70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로이다.
이때, 경로 2는 상기 도 6에서 상술한 것처럼 경로 1을 이용하는 원래 이동경로 대비시 이동예상시간의 증가량 및 응급상황에 대비하는 안전도를 고려하여 추천되는 경로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관리 서비스는 응급상황 발생시 가입자에 대한 응급처치가 빠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가입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가입자의 건강상태 및 가입자의 환경상태를 반영하여 응급상태를 판별함에 따라, 단계별 응급상황대비 관련정보를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가입자의 이상징후 예측 방법 및 안전도 산출 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관리 서비스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심장질환 환자 관리뿐만 아니라 당뇨병 환자, 간질환자, 치매환자, 만성질환환자와 같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응급환자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장착되는 의료 디바이스;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 및 상기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응급구조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응급환자관리 시스템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이상징후 발견시,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의료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생체신호 분석결과, 상기 사용자 개인의료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응급상황단계 중 상기 가입자가 속한 응급상황단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에 대해 결정된 응급상황단계에 따른 응급환자관리 서비스를 상기 이동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단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개인의료정보 및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안전도 산출 인자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생체신호의 분석결과 및 상기 안전도 산출 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가 속한 응급상황단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도 산출 인자는,
    일정 영역 내 위치하는 응급구조기기 정보, 응급구조기관 정보 및 상기 일정 영역에서의 실시간 인구집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단계는 주의 단계, 위험 단계 및 응급 단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한 인접 거리의 응급구조기기 또는 응급구조기관으로부터 상기 가입자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에 대비한 알림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로 소정 주기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메시지 전송시, 상기 도출한 인접 거리의 응급구조기기 또는 응급 구조기관에 관한 위치정보 및 상세정보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단계가 상기 위험 단계 또는 상기 응급 단계인 경우,
    상기 가입자의 생체신호 분석 결과, 상기 가입자의 개인의료정보 및 상기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응급구조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구조정보가 경로안내정보인 경우,
    상기 가입자의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영역 내 상기 안전도 산출 인자를 반영하여 하나 이상의 경로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안전도 산출 인자 및 상기 가입자의 개인의료정보를 토대로 설정한 안전도 산출 인자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경로별 안전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도 산출 결과를 이용하여 추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경로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경로별 안전도, 상기 하나 이상의 경로별 이동예상시간 및 기 설정된 가입자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경로 추천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경로 추천 순위에 따라 추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단계가 상기 응급 단계인 경우,
    상기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한 응급구조기관으로 응급구조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KR1020140097067A 2014-07-30 2014-07-30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23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067A KR102223862B1 (ko) 2014-07-30 2014-07-30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067A KR102223862B1 (ko) 2014-07-30 2014-07-30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31A true KR20160015431A (ko) 2016-02-15
KR102223862B1 KR102223862B1 (ko) 2021-03-09

Family

ID=5535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067A KR102223862B1 (ko) 2014-07-30 2014-07-30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8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373A (ko) * 2018-11-20 2020-05-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 이동 단말기 및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예후 관리 시스템
KR102249522B1 (ko) * 2019-12-26 2021-05-12 한국국토정보공사 응급의료장비 위치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75150B1 (ko) * 2021-01-26 2021-07-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을 제공을 위한 응급 산모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78018A (ko) * 2020-12-02 2022-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안전관리 및 응급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시스템
CN114827977A (zh) * 2022-06-30 2022-07-29 南通铂链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神经网络与生命体征的北斗定位移动通信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439A (ko) * 2009-05-28 2010-12-08 (주)유카이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응급구호 시스템
JP2011066861A (ja) * 2009-09-18 2011-03-31 Terumo Corp 医療機器設置場所案内装置及び医療機器設置場所案内システム
KR20120047526A (ko) * 2010-11-04 2012-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응급 의료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439A (ko) * 2009-05-28 2010-12-08 (주)유카이트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응급구호 시스템
JP2011066861A (ja) * 2009-09-18 2011-03-31 Terumo Corp 医療機器設置場所案内装置及び医療機器設置場所案内システム
KR20120047526A (ko) * 2010-11-04 2012-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응급 의료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373A (ko) * 2018-11-20 2020-05-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 이동 단말기 및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예후 관리 시스템
KR102249522B1 (ko) * 2019-12-26 2021-05-12 한국국토정보공사 응급의료장비 위치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78018A (ko) * 2020-12-02 2022-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안전관리 및 응급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시스템
KR102275150B1 (ko) * 2021-01-26 2021-07-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을 제공을 위한 응급 산모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4827977A (zh) * 2022-06-30 2022-07-29 南通铂链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神经网络与生命体征的北斗定位移动通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862B1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8434B1 (en) Safety monitoring platform
US10607469B2 (en) Methods for detecting and handling fall and perimeter breach events for residents of an assisted living facility
US10861310B2 (en) Responder network
US10820069B2 (en) Computer-aided dispatch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biometrics to assess responder condition and suitability
US20230335265A1 (en) Rapid response system for cardiac arrest
RU2700498C2 (ru) Персо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экстренного реагирования с прогностической оценкой риска экстренного вызова
US11138855B2 (en) Responder network
RU26382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выбранному сотруднику сигнала вызова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US20200286352A1 (en) Responder network
KR20160015431A (ko)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360591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社区智能医护系统控制方法
KR20140071578A (ko)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KR102022345B1 (ko)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N105787846A (zh) 一种基于物理位置特性的诊疗数据处理系统及处理方法
US11645899B2 (en) Responder network
US11030884B1 (en) Real-time prevention an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respective method of operation
KR100833977B1 (ko) 재난구조요원 위치/상황 추적/관리 시스템
RU2630126C1 (ru) Радиока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кардиомониторинга,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 действий в критических ситуациях
RU2676443C1 (ru) Радиоканальный комплекс кардиоконтроля и спасения в жизнеугрожающих ситуациях
KR102099373B1 (ko)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KR20220066721A (ko) 지능형 응급상황 알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