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592A -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592A
KR20210091592A KR1020200004964A KR20200004964A KR20210091592A KR 20210091592 A KR20210091592 A KR 20210091592A KR 1020200004964 A KR1020200004964 A KR 1020200004964A KR 20200004964 A KR20200004964 A KR 20200004964A KR 20210091592 A KR20210091592 A KR 20210091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time
risk
maintenance tim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421B1 (ko
Inventor
김영록
Original Assignee
김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록 filed Critical 김영록
Priority to KR1020200004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4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는 거주지에 설치된 감지장치로부터 문열림 신호 및 인체활동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문열림 신호 및 인체활동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외부활동 유지시간 및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하는 활동시간 산출부, 외부활동 유지시간 및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위험단계 중 어느 하나로 고독사 위험도를 평가하는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 및 화면상에 고독사 위험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SOLITARY DEATHS}
본 발명은 복수의 거주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고독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핵 가족화,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들만이 거주하는 독거노인 형태의 가구와 1인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고독사를 예측하고 고독사 발생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관찰 대상자의 건강 상태와 활동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독립된 고독사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 정부의 사회복지사 및 민간 봉사 단체에서 독거노인들을 관리하여 주고 있으나,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매년 증가하는 관찰대상자를 모두 관리하기에는 인력이 부족한 현실이며, 관찰대상자 지속적인 상주가 어렵고 독거노인의 위급상황 또는 신변 이상에 대하여 신속하게 알 수 없으며 독거노인 고독사 방치에 대한 조치를 취하기가 쉽지 않다.
이런 부족한 인력난을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고, 사회복지사나 민간 봉사 단체 또는 개인 누구나 간편한 설정을 통해 단말기를 간단히 부착하는 것만으로 독거노인의 상황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독거노인의 고독사 징후를 인지하여 사전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KR 10-1911039 B1 KR 10-1853471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열림 센서를 통해 문열림을 감지하여 외부활동 유지시간,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한 활동 유형, 위험도를 분류하여 고독사 위험도를 평가하는 문열림 센서를 이용한 고독사 위험도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고독사 위험도 제공 방법은 거주지에 설치된 감지장치로부터 문열림 신호 및 인체활동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문열림 신호와 인체활동 감지 신호의 수신 시점에 기초하여 외부활동 유지시간 또는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포함하는 활동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활동시간에 기초하여 고독사 위험도를 기설정된 복수의 위험단계 중 어느 하나로 평가하는 단계 및 화면상에 고독사 위험도를 표시하기 위한 고독사 위험도 표시영역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독사 위험도 표시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고독사 위험도 표시영역은 복수의 위험단계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위험단계 이미지와, 고독사 위험도에 기초하여 고독사 위험도와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위험단계 이미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이미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면에 따른 고독사 위험도 제공 장치는 거주지에 설치된 감지장치로부터 문열림 신호 및 인체활동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문열림 신호 및 인체활동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외부활동 유지시간 및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하는 활동시간 산출부, 외부활동 유지시간 및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위험단계 중 어느 하나로 고독사 위험도를 평가하는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 화면상에 고독사 위험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면에 따른 고독사 위험도 제공 장치의 표시부는 복수의 위험단계와 대응되는 복수의 위험단계 이미지를 표시하고, 고독사 위험도에 따라 복수의 위험단계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이미지를 더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활동 유형, 위험도를 분류하여 고독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를 활동유형별로 분류하여 사용자마다 각 활동유형에 어긋나는 징후를 관찰하여 고독사의 발생 가능성을 효율적으로 예측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의 활동유형 분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의 위험도 평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기본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상세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상세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상세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상세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레포트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1)는 수신부(11), 거주자DB(12), 재실여부 판단부(13), 활동시간 산출부(14), 활동유형 분류부(15),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 표시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11)는 관찰대상자의 거주지에 설치된 감지장치(2)로부터 문열림 신호 및 인체활동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장치(2)는 관찰대상자의 거주지에 설치되어 문열림에 따라 문열림 신호를 생성하고, 인체 움직임에 따라 인체활동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감지장치(2)는 사용자 가구의 현관문, 방문, 화장실문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문이 열릴때 마다 각 문의 문열림을 인지하여 문열림 신호를 생성하는 문열림 감지부(21)와 미리 정해진 패턴의 신호를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하여 발신하고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되,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하여 인체 활동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의 출력을 인체활동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인체활동 감지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활동 감지부(22)는 IR-UWB 레이더 센서를 구비하여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인체활동 감지부(22)는 센서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자 가구의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에 기설정된 주기로 발신하고 발신한 신호를 수신함에 있어서, 각 영역에 대해 발신한 신호를 수신할 때 출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은 사용자 가구의 거실, 방, 화장실, 부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인체활동 감지부(22)는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에 기설정된 주기로 제1 전압의 아날로그 신호를 발신하고 발신한 신호를 수신하되,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제2 전압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가 수신되면 인체 활동으로 감지하여 인체활동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활동 감지부(22)는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에 기설정된 주기로 4~6V의 아날로그 신호를 발신하고 발신한 신호를 수신하되, 2~4초 이상 2~3V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가 수신되면 인체 활동으로 감지하여 인체활동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감지장치(2)는 화재감지 센서, 연기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1)에 전송하거나,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연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거주자DB(12)는 복수의 감지장치(2)에 대응되는 거주자 이름, 성별, 나이, 주소를 포함하는 거주자 정보가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재실여부 판단부(13)는 인체활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관찰대상자가 거주공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활동시간 산출부(14)는 문열림 신호 및 상기 인체활동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외부활동 유지시간 및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활동시간 산출부(14)는 문열림 신호가 수신되고 기설정된 시간내에 인체 활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외부활동상태로 판단하고, 외부활동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인 외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활동시간 산출부(14)는 문열림이 인지되고, 문열림이 인지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인체 활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외부활동상태로 판단하고, 외부활동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활동시간 산출부(14)는 현관문, 방문, 화장실문 중 어느 하나의 문열림이 인지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인체활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외부활동상태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활동시간 산출부(14)는 현관문의 문열림을 인지하고, 현관문의 문열림이 인지된 시점부터 인체활동 감지부(22)가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에 기설정된 주기로 아날로그 신호를 발신하고 발신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출력의 변화가 없어 기설정된 시간동안 내부 인체 활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외부활동상태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활동시간 산출부(14)는 문열림이 인지되고 인체활동 감지부(22)에 의해 인체 활동이 감지되지 않은 시점부터 시작하여 문열림이 재인지되고 인체활동 감지부(22)에 의해 인체 활동이 감지되는 시점을 끝으로 하여 외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활동시간 산출부(14)는 '14시 00분'에 문열림이 인지되고 '14:00시'부터 인체 활동이 감지되지 않고, '17시 38분'에 문열림이 인지되고 '17시 38분'부터 인체활동 감지부(22)에 의해 인체 활동이 감지되면 '14시 00분'부터 '17시 38분'까지의 시간인 '3시간 38분'을 외부활동 유지시간으로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활동시간 산출부(14)는 제1 시점에 있어서 인체 활동이 감지되고 제1 시점 이후의 유휴 감지 기간 이후의 제2 시점에 있어서 인체 활동이 재감지되는 경우 내부활동상태로 판단하고 내부활동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활동시간 산출부(14)는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에 있어서 제1 시점에 인체 활동이 감지되고 제1 시점 이후의 기설정된 유휴 감지 기간을 두고 유휴 감지 기간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인체 활동이 재감지되는 경우 내부활동상태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활동시간 산출부(14)는 인체활동 감지부(22)가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에 기설정된 주기로 아날로그 신호를 발신하고 발신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기설정된 레벨 이상의 출력을 가지면 인체 활동으로 감지하고 인체 활동이 감지된 제1 시점 이후에 기설정된 유휴 감지 기간(예를 들면, 30분)을 두고 유휴 감지 기간 이후의 제2 시점에서 다시 발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기설정된 레벨 이상의 출력 가지는 경우 내부활동상태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활동시간 산출부(14)는 제1 시점에 있어서 인체 활동이 감지되고 제1 시점부터 제1 시점 이후의 유휴 감지 기간을 두고 유휴 감지 기간 이후에 인체 활동이 재감지되는 제2 시점까지의 시간을 내부활동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활동시간 산출부(14)는 '10시 00분'에 인체 활동이 감지되고 '10시 00분' 이후에 유휴 감지 기간 '30분'을 두고 유휴 감지 기간 이후에 '12시 00분'에 인체 활동이 재감지되면, '2시간'을 내부활동 유지시간으로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인체 활동이 감지된다는 것은 센서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아날로그 신호를 발신하고 발신한 신호를 수신함에 있어서 기설정된 레벨 이상의 출력을 가지면 인체 활동으로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를 이용하여 4~6V의 아날로그 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신호를 계속 발신하고 발신한 신호를 수신하되, 2~4초 이상 2~3V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가 수신되면 인체 활동으로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활동유형 분류부(15)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누적된 내부활동 유지시간과 외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한 후 내부활동 유지시간과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상대적 비율을 산출하고, 외부활동 유지시간 또는 내부활동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와 상대적 비율에 기초하여 인체 활동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활동유형 분류부(15)는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며,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비율이 제1 비율값 이상인 경우 제1 활동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활동유형 분류부(15)는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 이상이며,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제1 비율값이 기설정된 비율 미만인 경우 제2 활동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활동유형 분류부(15)는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 미만이며,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제1 비율값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제3 활동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활동유형 분류부(15)는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 미만이며,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제1 비율값이 기설정된 비율 미만인 경우 제4 활동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활동유형 절대평가 상대평가
제1 활동유형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5시간 이상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비율이 30%이상 차이
제2 활동유형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5시간 이상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비율이 30%미만 차이
제3 활동유형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5시간 미만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비율이 30%이상 차이
제4 활동유형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5시간 미만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비율이 30%미만 차이
표 1는 활동유형 분류부(15)가 절대평가, 상대평가로 나누어 제1 활동유형 내지 제4 활동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표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설정된 임계값이 '5시간'이고 기설정된 비율이 '30%'의 가정 하에, 제1 사용자의 내부활동 유지시간은 '17시간'이고 외부활동 유지시간은 '7시간'이므로, 제1 사용자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5시간' 이상이며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비율이 '30%'이상(41%)이기 때문에 활동 유형 분류부(14)는 제1 사용자를 제1 활동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의 내부활동 유지시간은 '19시간'이고 외부활동 유지시간은 '5시간'이므로, 제2 사용자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5시간' 이상이며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비율이 '30%'미만(26%)이기 때문에 활동 유형 분류부(14)는 제2 사용자를 제2 활동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3 사용자의 내부활동 유지시간은 '13시간'이고 외부활동 유지시간은 '4시간'이므로, 제3 사용자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5시간' 미만이며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비율이 '30%'이상(30.7%)이기 때문에 활동 유형 분류부(14)는 제3 사용자를 제3 활동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4 사용자의 내부활동 유지시간은 '15시간'이고 외부활동 유지시간은 '3시간'이므로, 제4 사용자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5시간' 미만이며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비율이 '30%'미만(20%)이기 때문에 활동 유형 분류부(14)는 제4 사용자를 제4 활동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동 유형 분류부(14)에 의해 사용자를 제1 활동유형 내지 제4 활동유형(예를 들어, 외부활동형, 균형활동형, 내부활동형, 소극활동형)으로 분류하여 사용자마다 각 활동유형에 어긋나는 징후를 관찰하여 고독사의 발생 가능성을 효율적으로 예측 가능한 효과가 있다.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외부활동 유지시간 및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위험단계 중 어느 하나로 고독사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제1 기간에 산출된 외부활동 유지시간과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하여 확률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제1 기간 이후에 산출된 외부활동 유지시간과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확률분포 모델에 적용하여 고독사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제1 기간에 사용자들의 내부활동 유지시간과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확률분포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확률분포 모델은 정규분포일 수 있고,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제1 기간에 사용자들의 내부활동 유지시간과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완전한 동형의 대칭분포를 가지는 확률분포 모델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제1 기간의 내부활동 유지시간과 외부활동 유지시간에 사용자의 제1 활동유형 내지 제4 활동유형에 따른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기간 이후에 내부활동 유지시간과 외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한다.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제1 기간에 사용자의 내부활동 유지시간과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확률분포 모델에 사용자의 활동유형에 따른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한 제1 기간 이후에 내부활동 유지시간과 외부활동 유지시간을 비교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활동 유형 분류부(14)에서 사용자별로 유형을 분류한 것에 기초하여,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하여 내부활동 위험도를 평가하고 외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하여 외부활동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사용자의 활동유형에 따른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기간 이후에 산출된 내부활동 유지시간과 외부활동 유지시간이 제1 기간의 내부활동 유지시간과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각 평균값의 제1 임계값 내에 속하면 제1 위험도, 제1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2 임계값 내에 존재하면 제2 위험도, 제2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3 임계값 내에 존재하면 제3 위험도, 제3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4 위험도로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제1 활동유형 내지 제4 활동유형에 따라 제1 가중치 내지 제4 가중치를 적용한 외부활동 유지시간 또는 내부활동 유지시간이 평균의 '30%'내에 속하면 제1 위험도, '30%'를 초과하고 '60%'내에 존재하면 제2 위험도, '60%'를 초과하고 '80%'내에 속하면 제3 위험도, '80%'를 초과하면 제4 위험도로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의 내부활동 유지시간의 평균은 '16시간'이고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평균은 '4.75시간'이다.
이하,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에서 제1 활동유형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0.8',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0.6'으로 가정하고, 제2 활동유형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0.8',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0.8'로 가정하고, 제3 활동유형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0.6',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1'로 가정하고, 제4 활동유형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1',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1'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활동 유형 분류부(14)에서 사용자별로 유형을 분류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를 참고하면, 제1 사용자는 제1 활동유형이므로 제1 활동유형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한 내부활동 유지시간은 '13.6시간' 이므로,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의 내부활동 유지시간의 평균인 '16시간'의 '30%'내에 속하여(15%)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제1 사용자의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한 위험도를 제1 위험도로 평가하고, 제1 사용자의 제1 활동유형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은 '4.2시간'이므로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평균인 '4.75시간'의 '30%'내에 속하여(11.58%)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제1 사용자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한 위험도를 제1 위험도로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3 사용자를 참고하면, 제3 사용자는 제3 활동유형이므로 제3 활동유형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한 내부활동 유지시간은 '7.8시간' 이므로,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의 내부활동 유지시간의 평균인 '16시간'의 '30%'를 초과하고 '60%'내에 속하여(51.25%)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제3 사용자의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한 위험도를 제2 위험도로 평가하고, 제3 사용자의 제3 활동유형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한 외부활동 유지시간은 '4시간'이므로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의 평균인 '4.75시간'의 '30%'내에 속하여(15.79%)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제3 사용자의 외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한 위험도를 제1 위험도로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마다 제1 위험도 내지 제4 위험도를 안전, 주의, 경계, 위험으로 평가하여 위험도에 따라 사용자를 더욱 주의깊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시부(17)는 화면상에 고독사 위험도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7)는 복수의 위험단계와 대응되는 복수의 위험단계 이미지를 표시하고, 고독사 위험도에 따라 복수의 위험단계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이미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와 중복되는 내용 및 구성은 도면 부호를 일치시키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수신부(11)는 거주지에 설치된 감지장치(2)로부터 문열림 신호 및 인체활동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S101).
활동시간 산출부(14)는 문열림 신호와 인체활동 감지 신호의 수신 시점에 기초하여 외부활동 유지시간 또는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포함하는 활동시간을 산출한다(S102).
S102 단계에서 활동시간 산출부(14)는 문열림 신호가 수신되고 기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인체 활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외부활동상태로 판단하고, 외부활동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인 외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하고, 제1 시점에서 인체 활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고 제1 시점 이후의 유후 감지 기간내의 제2 시점에 있어서 인체 활동 감지 신호가 재수신되는 경우 내부활동상태로 판단하고, 내부활동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인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16)는 제1 기간에 산출된 외부활동 유지시간과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하여 확률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제1 기간 이후에 산출된 외부활동 유지시간과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확률분포 모델에 적용하여 고독사 위험도를 기설정된 복수의 위험단계 중 어느 하나로 평가하고(S103), 표시부(17)는 화면상에 상기 고독사 위험도를 표시하기 위한 고독사 위험도 표시영역을 생성하여 출력한다(S104).
S104 단계에 있어서 고독사 위험도 표시영역은 복수의 위험단계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위험단계 이미지와, 고독사 위험도에 기초하여 일단이 고독사 위험도와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위험단계 이미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마다 제1 위험도 내지 제4 위험도를 안전, 주의, 경계, 위험으로 평가하여 위험도에 따라 사용자를 더욱 주의깊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1)의 표시부(17)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17)를 통해 기본창(100)이 표시될 수 있다.
기본창(100)은 선택영역(101), 사용자정보영역(102), 위험도표시영역(103), 비상벨영역(104), 선택정보영역(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택영역(101)은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어느 한 명의 관찰 대상자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관찰 대상자와 대응되는 복수의 네모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정보영역(102)은 관찰 대상자, 즉 감지장치(2)가 설치된 거주지의 거주자이름, 성별, 나이, 주소를 포함하는 거주자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위험도표시영역(103)은 각 관찰 대상자별 고독사 위험도가 표시될 수 있다.
위험도표시영역(103)은 각 관찰 대상자의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하여 평가한 내부활동 위험도와 외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하여 평가한 외부활동 위험도를 포함하는 고독사 위험도가 표시될 수 있다.
비상벨영역(104)은 관찰 대상자의 보호자 또는 관찰 대상자의 조작에 따른 비상벨의 동작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정보영역(110)은 선택영역(101)을 통해 선택된 관찰 대상자의 거주지 문 열림 여부, 비상벨 동작 감지 여부, 화재 감지 여부, 충격 감지 여부, 재실 감지 여부, 온습도를 표시하는 현재상태영역(111)과 자세히보기버튼(12), 레포트보기버튼(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세히보기버튼(112)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관찰 대상자의 평가기간 동안의 고독사 위험도를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상세정보화면(200)을 표시할 수 있다.
도6a 내지 도6d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서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1)를 통해 제공되는 상세화면(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화면(200)은 평가시점을 기준으로 평가기간 동안의 활동량, 문열림, 온습도/조도, 화재/충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활동정보가 표시되는 활동정보영역(210), 평가시점 및 평가기간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평가시점 또는 평가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간영역(220), 직전 비동작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직전비동작시간영역(230), 문열림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문열림횟수영역(240), 고독사 위험도를 표시하기 위한 고독사 위험도 표시영역(250)을 포함할 수 있다.
활동정보영역(2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활동량, 문열림, 온습도/조도, 화재/충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가 표시되도록 하는 항목선택영역(211)과 항목선택영역(211)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한 평가기간 동안의 활동정보가 표시되는 활동정보표시영역(212a, 212b, 212c, 212d)을 포함할 수 있다.
항목선택영역(21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평가기간 동안 활동량을 포함하는 활동정보가 활동정보표시영역(212a)에 표시되도록 하는 활동량버튼(211a),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평가기간 동안 문열림 횟수를 포함하는 활동정보가 활동정보표시영역(212b)에 표시되도록 하는 문열림버튼(211b),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평가기간 동안 온습도/조도를 포함하는 활동정보가 활동정보표시영역(212c)에 표시되도록 하는 온습도/조도버튼(211c),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평가기간 동안 화재/충격 감지 횟수를 포함하는 활동정보가 활동정보표시영역(212d)에 표시되도록 하는 화재/충격버튼(211d)을 포함할 수 있다.
기간영역(2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평가시점 또는 평가기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시점 및 평가기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평가시점 및 평가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 기간영역(220)에는 사용자가 자세히보기버튼(112)을 선택함에 따라 상세화면(200)이 출력되는 시점인 상세화면출력시점에 기초한 평가시점과 기설정된 초기평가기간에 기초한 평가기간을 표시할 수 있다.
기간영역(2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선택평가기간 또는 선택평가시점에 기초하여, 선택평가시점에 기초한 평가시점 또는 선택평가기간에 기초한 평가기간을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직전비동작시간영역(230)은 상세화면(200)이 출력되는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현재시점 이전에 인체활동 감지 신호가 수신된 가장 인접한 시점인 직전 인체활동 감지시점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직전비동작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직전비동작시간영역(230)은 현재시점에 직전인체활동감지시점을 뺀 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직전비동작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문열림횟수영역(240)은 기준시점을 기준으로 상세화면출력시점까지 각 문열림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문열림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시점은 00시 00분 00초와 대응되는 값을 가지고 년월일은 상세화면출력시점의 년월일과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문열림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문열림횟수영역(240), 고독사 위험도를 표시하기 위한 고독사 위험도 표시영역(2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독사 위험도 표시영역(250)은 복수의 위험단계와 대응되는 복수의 위험단계 이미지(251a, 251b)와 상세화면출력시점에서의 고독사 위험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위험단계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이미지(252a, 252b)를 포함할 수 있다.
레포트보기버튼(13)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관찰 대상자의 평가기간 동안의 레포트를 표시하기 위한 레포트화면(30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레포트화면(300)은 평가시점과 평가기간을 표시하는 기간영역(310), 평가시점을 기준으로 평가기간동안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누적한 제1 내부활동 누적시간과 외부활동 유지시간을 누적한 제1 외부활동 누적시간의 비를 표시하는 활동량영역(321), 평가시점에서 평가기간 이전의 시점인 이전평가시점을 기준으로 평가기간동안 누적한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누적한 제2 내부활동 누적시간, 외부활동 유지시간을 누적한 제2 외부활동 누적시간, 제1 내부활동 누적시간, 제2 내부활동 누적시간의 비를 표시하기 위한 비교활동량영역(322), 평가시점을 기준으로 평가기간동안 온도, 습도, 외부활동 유지시간, 인체활동 감지 빈도의 비율을 표시하는 사방그래프영역(331), 평가시점을 기준으로 평가기간동안 시간에 따른 온도, 습도, 외부활동 유지시간, 인체활동 감지 빈도을 표시하는 시간그래프영역(332), 평가시점을 기준으로 평가기간동안 문열림 횟수, 재실감지 횟수, 충격감지 횟수, 화재감지 횟수를 표시하는 감지회수 표시영역(3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간영역(310)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레포트보기버튼(113)을 선택함에 따라 레포트화면(300)이 출력되는 시점인 레포트화면출력시점에 기초한 평가시점과 기설정된 초기평가기간에 기초한 평가기간을 표시할 수 있다.
기간영역(3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평가기간 또는 선택평가시점을 입력받아 선택평가시점에 기초한 평가시점 또는 선택평가기간에 기초한 평가기간을 표시되게 하고, 활동정보표시영역(212)에 평가시점 및 평가기간에 기초하여 생성한 활동정보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선택평가기간은 일, 주, 월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선택평가시점은 선택평가기간이 일인 경우 년월일과 대응되는 값을 가지고, 선택평가기간이 주인 경우 년월주와 대응되는 값을 가지고, 선택평가기간이 월인 경우 년월과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변경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후술할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수신부
12 : 재실여부 판단부
13 : 활동시간 산출부
14 : 활동유형 분류부
15 :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
16 : 표시부

Claims (6)

  1. 거주지에 설치된 감지장치로부터 문열림 신호 및 인체활동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문열림 신호와 상기 인체활동 감지 신호의 수신 시점에 기초하여 외부활동 유지시간 또는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포함하는 활동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활동시간에 기초하여 고독사 위험도를 기설정된 복수의 위험단계 중 어느 하나로 평가하는 단계; 및
    화면상에 상기 고독사 위험도를 표시하기 위한 고독사 위험도 표시영역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독사 위험도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독사 위험도 표시영역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고독사 위험도 표시영역은
    상기 복수의 위험단계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위험단계 이미지와, 상기 고독사 위험도에 기초하여 일단이 상기 고독사 위험도와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위험단계 이미지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이미지를 포함하는 것
    인 고독사 위험도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문열림 신호가 수신되고 기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인체 활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외부활동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외부활동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인 상기 외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하고,
    제1 시점에서 상기 인체 활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유후 감지 기간내의 제2 시점에 있어서 상기 인체 활동 감지 신호가 재수신되는 경우 내부활동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내부활동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인 상기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하는 것
    인 고독사 위험도 제공 방법.
  4. 거주지에 설치된 감지장치로부터 문열림 신호 및 인체활동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문열림 신호 및 상기 인체활동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외부활동 유지시간 및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하는 활동시간 산출부;
    상기 외부활동 유지시간 및 내부활동 유지시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위험단계 중 어느 하나로 고독사 위험도를 평가하는 고독사 위험도 평가부; 및
    화면상에 상기 고독사 위험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위험단계와 대응되는 복수의 위험단계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고독사 위험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험단계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이미지를 더 표시하는 것
    인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시간 산출부는
    상기 문열림 신호가 수신되고 기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인체 활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외부활동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외부활동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인 상기 외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하고,
    제1 시점에서 상기 인체 활동 감지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유후 감지 기간내의 제2 시점에 있어서 상기 인체 활동 감지 신호가 재수신되는 경우 내부활동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내부활동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인 상기 내부활동 유지시간을 산출하는 것
    인 고독사 정보 제공 장치.

KR1020200004964A 2020-01-14 2020-01-14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18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64A KR102318421B1 (ko) 2020-01-14 2020-01-14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64A KR102318421B1 (ko) 2020-01-14 2020-01-14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592A true KR20210091592A (ko) 2021-07-22
KR102318421B1 KR102318421B1 (ko) 2021-10-26

Family

ID=7715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964A KR102318421B1 (ko) 2020-01-14 2020-01-14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154B1 (ko) * 2023-01-25 2023-08-0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471B1 (ko) 2018-01-17 2018-04-30 (주)텔트론 움직임 센서를 탑재한 조명을 사용한 고독사 감지 시스템
KR101911039B1 (ko) 2016-12-06 2018-10-24 (주)오픈오브젝트 고독사 관리 시스템
KR20190051353A (ko) * 2017-11-06 2019-05-1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독사 방지 알림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039B1 (ko) 2016-12-06 2018-10-24 (주)오픈오브젝트 고독사 관리 시스템
KR20190051353A (ko) * 2017-11-06 2019-05-1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독사 방지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101853471B1 (ko) 2018-01-17 2018-04-30 (주)텔트론 움직임 센서를 탑재한 조명을 사용한 고독사 감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154B1 (ko) * 2023-01-25 2023-08-0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421B1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2504B2 (ja) 安否監視装置
Khan et al. Method for long-term mapping of occupancy patterns in open-plan and single office spaces by using passive-infrared (PIR) sensors mounted below desks
US20090143875A1 (en) Action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Camusso et al. A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traffic noise and annoyance for different urban site typologies
CN110009869A (zh) 活动信息的监控方法、装置和系统
KR20160085033A (ko) 학습형 다중센서 재난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CN108614989A (zh) 一种基于WiFi的老人智能监护方法、系统及介质
US98526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ound and performing an action on the detected sound
KR20150051041A (ko) 실시간 교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79640A (ko) 세대 간 소음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8421B1 (ko)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Reynald et al. The routine activity of guardianship: Comparing self-reports of guardianship intensity patterns with proxy measures
KR100950062B1 (ko) 노약자를 위한 스마트 홈의 모니터링 및 알림 서비스 장치및 그 방법
CN108281203A (zh) 一种异常行为的预测方法及装置
DE102012209612A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wachung der momentanen Mobilität von Personen in privaten oder öffentlichen Räumen
EP26594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hysical security via detecting potential intrusion
Pfeiffer et al. A discrete event oriented framework for a smart house behavior monitor system
KR102153238B1 (ko) 문열림 센서를 이용한 고독사 위험도 평가 장치 및 방법, 고독사 위험도 평가를 위한 led 시스템
CN115376268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监控报警消防联动系统
JP2022129035A (ja) 検知装置
EP37453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audience characterisation
KR101852464B1 (ko) 기준 패턴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851561B1 (ko) 복수 기준값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0637A (ko) 공공 시설의 좌석 점유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ydes et al. Distance to crime: How proximity shapes residents' perceptions of neighbourhood viol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