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561B1 - 복수 기준값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기준값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561B1
KR101851561B1 KR1020170107422A KR20170107422A KR101851561B1 KR 101851561 B1 KR101851561 B1 KR 101851561B1 KR 1020170107422 A KR1020170107422 A KR 1020170107422A KR 20170107422 A KR20170107422 A KR 20170107422A KR 101851561 B1 KR101851561 B1 KR 101851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alue
sensing means
monitoring mode
warn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홍
양홍석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7010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층간 소음의 주요 원인인 아이들의 뛰는 소리를 아이들에게 구속감을 덜 주면서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자발적 참여를 통해 통제하게 할 수 있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은 세대 내에 기 설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세대 내 바닥에서의 진동을 모니터링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경고 요청에 따라 경고를 제공하는 경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 수단은 복수의 기준값에 기반하여 다중 모드에서 진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 기준값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VERTING INTERLAYER NOISE BASED ON MULTI-REFERENCE VALUE}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기준값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층간소음이란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 공동주거 공간에서 주로 발생하는 소음 공해이다. 아이들 뛰는 소리, 발걸음 소리, 화장실 물소리, 가구 끄는 소리, 피아노 소리, 오디오 소리, TV 소리 등이 그 예이다. 층간소음은 가볍고 딱딱한 경량충격음, 무겁고 충격이 큰 중량충격음, 그리고 기체를 통해 전달되는 가벼운 소리인 공기전달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층간소음은 도시화 및 산업화로 주거양식이 아파트 등 공동주거 형태로 변하면서 일상생활에서 가장 자주 노출되는 환경오염원이 되었다. 층간소음은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쾌적하게 살고 싶은 개인적 욕구에 반하게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이기 때문에 심리적 저항이 크다. 직장 등 공동 공간이 아닌 가정이라는 사적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라는 측면에서 견딜 수 없을 만큼 고통스러울 수 있다. 이에 과거에는 크게 문제되지 않던 층간소음이 최근에는 환경민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소음 피해를 호소하는 민원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소음피해 민원을 분석해보면 중요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시간대별로는 저녁시간(18~22시) 48.5%, 밤(22~05시) 31.9%, 낮(08~18시) 15.3%, 아침(05~08시) 4.3% 순으로 많다. 대부분 저녁과 밤에 층간소음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층간소음으로 방해를 받는 일상생활은 휴식 42%, 독서(공부) 28%, 수면 24%, TV 청취 3%, 대화 3% 순으로 나타났다. 휴식과 공부, 수면에 방해를 받는다고 생각할 때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층간소음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아이들 뛰는 소리(73%), 망치질 소리(4.7%) 등과 같은 인적요인과 화장실 물소리, 문 여닫는 소리 등과 같은 건물의 구조적 요인, 그리고 이를 예방하고 해결해야 하는 제도적 요인 등이다. 인적 요인은 소통으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구조적 요인은 개인이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구조적 문제는 국내 아파트의 85%를 차지하는 벽식구조 아파트가 실내소음 차단에 취약하다는 데서 기인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주택건설 등에 관한 규정에서 바닥두께(150~210mm) 또는 바닥충격음 기준(경량 58dB, 중량 50dB) 중 하나만 충족하면 됐다. 소음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공동체 의식의 부재도 층간소음 분쟁의 주요 원인이다. 국민 대부분이 공동주택에서 살고 있지만 이웃을 배려하는 마음이 부족하여 층간소음 분쟁의 씨앗이 되고 있다.
층간 소음의 주요 발생 원인(73%)인 아이들의 뛰는 소리는 진동에 의해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아이들의 뛰는 소리의 정도를 청각으로 인지하기는 어렵다. 층간 소음을 방지하고자 아이들이 집에서 전혀 뛰지 못하게 하는 것도 아이들에게는 매우 구속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층간 소음의 주요 원인인 아이들의 뛰는 소리를 아이들에게 구속감을 덜 주면서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자발적 참여를 통해 통제를 할 필요가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84639호(공개일: 2017-07-20) 2.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81560호(공개일: 2009-07-29)
이에 본 발명은 층간 소음의 주요 원인인 아이들의 뛰는 소리를 아이들에게 구속감을 덜 주면서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자발적 참여를 통해 통제하게 할 수 있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은 세대 내에 기 설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세대 내 바닥에서의 진동을 모니터링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경고 요청에 따라 경고를 제공하는 경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 수단은 복수의 기준값에 기반하여 다중 모드에서 진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싱 수단은 진동 계측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 수단은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 초과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를 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센싱 수단에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센싱 수단은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기준값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다른 센싱 수단이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기준값을 요청하면 상기 요청한 기준 패턴을 상기 다른 센싱 수단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면 실시간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이고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제 2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해지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다른 센싱 수단으로부터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2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다른 센싱 수단에 제 2 기준값을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진동 계측값이 제 2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진동 계측값이 제 2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 1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준값은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진동 계측값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준값은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진동 계측값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임시 제 2 기준값 생성하고, 상기 임시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작으면 임시 제 2 기준값을 제 2 기준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임시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크면 제 1 기준값의 기 설정 비율을 제 2 기준값으로 확정하는 것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방법은 센싱 수단이 세대 내에 기 설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세대 내 바닥에서의 진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경고 요청에 따라 경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수단은 복수의 기준값에 기반하여 다중 모드에서 진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대 내에 기 설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세대 내 바닥에서의 진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진동 계측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 초과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를 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센싱 수단에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기준값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다른 센싱 수단이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 2 기준값을 요청하면 상기 요청한 기준 패턴을 상기 다른 센싱 수단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면 실시간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이고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제 2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해지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다른 센싱 수단으로부터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2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다른 센싱 수단에 제 2 기준값을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진동 계측값이 제 2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진동 계측값이 제 2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 1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기준값은 제 1 기준값 및 제 2 기준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준값은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진동 계측값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준값은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진동 계측값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임시 제 2 기준값 생성하고, 상기 임시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작으면 임시 제 2 기준값을 제 2 기준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임시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크면 제 1 기준값의 기 설정 비율을 제 2 기준값으로 확정하는 것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된 진동 센서를 통해 층간 소음을 인지하고 층간 소음이 인지되면 경고 조치를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층간 소음의 주요 원인인 아이들의 뛰는 소리를 아이들에게 구속감을 덜 주면서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자발적 참여를 통해 통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기준값을 활용하여 소수의 진동 센서로 넓은 공간에서의 소음 발생 행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센싱 수단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센싱 수단이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동작하는 절차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4는 센싱 수단이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동작하는 절차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센싱 수단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요지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일 세대(10)는 복수의 공간(11(제 1 공간), 12(제 2 공간), 13(제 3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각각의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100) 및 경고 수단(2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달리, 층간 소음 경고를 위해 복수의 센싱 수단(100)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단일 경고 수단(200)이 세대(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공간에 설치된 센싱 수단(100)은 서로 통신할 수 있고, 센싱 수단(100)과 경고 수단(200)은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설치 공사의 편의 및 설치 비용을 고려할 때, 각각의 공간에 센서를 하나 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센싱 수단(100)은 센싱부(110), 모니터링부(120),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센싱이 용이하도록 센싱 수단(100)은 세대 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싱 수단(100)은 바닥에서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110)는 진동 센서일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센싱부(110)는 기 설정된 샘플링 주기에 따라, 진동을 감지하고 그 진동의 크기에 대응한 전기적인 신호(예를 들어, 전압)를 출력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20)는 센싱부(110)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진동의 크기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120)는 진동 계측값을 사용해 진동 발생 행위에 대한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부(120)는 다양한 진동 발생 상황에 대하여 다양한 모드로 진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20)는 대기 모드일 때, 기 설정된 주기로 진동 센서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진동 센서의 출력 신호를 사용해 센싱 수단이 설치된 공간에서의 진동을 계측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부(120)는 진동 계측치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진동이 감지되면, 모니터링부(120)의 모니터링 모드를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 모드 상태에서 진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20)는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먼저, 모니터링부(120)는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대기 모드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된다고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초기 경고를 경고 수단(200)에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소음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새대 내의 다른 센싱 수단(100)에 알리기 위해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다른 센싱 수단(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120)는 제 2 기준값을 추출하고 이를 세대 내의 다른 센싱 수단(100)에 공유할 수 있다. 제 2 기준값은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진동 계측값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일 수 있다. 어린이의 행동 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마다의 진동 계측치의 분포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시간 동안(예를 들면 5 sec 동안) 진동 계측치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예를 들어 70 %)을 제 2 기준값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제 2 기준값은 그 기능을 할 수가 없다. 이는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작으나 동일한 진동 발생 행위를 제 2 기준값을 기초로 감지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니터링부(120)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제 2 기준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1)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진동 계측값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임시 제 2 기준값 생성
단계 2) 임시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작으면 임시 제 2 기준값을 제 2 기준값으로 확정 / 이와 달리, 임시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크면 제 1 기준값의 기 설정 비율(예를 들어, 80 %)을 제 2 기준값으로 확정
모니터링부(120)는 기준 패턴을 추출한 후 다른 센싱 수단의 요청이 있으면 제 2 기준값을 공유할 수 있다. 제 1 기준값을 초과한 진동 계측값을 최초로 감지한 센싱 수단은 다른 센싱 수단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 2 기준값을 해당 요청을 한 다른 센싱 수단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120)는 진동 계측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센싱 수단(200)에 경고를 유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해당 진동 계측값이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 2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경고 수단(200)에 경고 해지 요청을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경고 수단(120)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의 센싱 수단의 동작은 모든 센싱 수단에 대하여 공통될 수 있다.
센싱 수단이 댁내에서 최소의 개수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센싱 수단으로부터 진동을 발생시키는 어린이가 멀리 있는 경우(예를 들어, 1.5m 이상 거리) 동일하게 진동을 발생시키는 행위에 대하여 진동 센서가 제 1 기준값 이하라는 이유로 경고를 요청하지 않는 경우 층간 소음은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준값 보다는 작으나, 제 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재를 가하여야 하는 진동 발생 행위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에 의해, 설치되는 센싱 수단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 어린이의 진동 발생 행위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경고 조치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니터링부(120)는 다음과 같이 제 2 모니터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20)는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진동 계측값을 수신하지 않으면, 앞서와 같이, 대기 모드에 있을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모니터링부(120)는 다른 센싱 수단으로부터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지속적으로 대기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제 2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모니터링부(120)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센싱 수단에 제 2 기준값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120)는 제 2 기준값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앞서 본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가 제 2 모니터링 모드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어린이가 공간을 변경하며 뛰어다니는 경우에도 끊김 없이 어린이의 진동 발생 행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복수의 기준값으로 인식하는 방식을 통해, 적은 센싱 수단으로도 넓은 구역에서의 진동 발생 행위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니터링부(120)는 평상시에 대기 모드에 있고,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진동 계측값이 감지되면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진동을 모니터링하고, 소음 이벤트를 세대 내의 다른 센싱 수단이 감지하면 제 2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하는 로직으로 동작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센싱 수단이 다른 센싱 수단 및 경고 수단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경고 수단(200)은 기 설정된 방식으로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경고 수단(200)은 시각 및/또는 청각 방식으로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경고 수단(200)는 LED 조명 수단을 탑재하여 깜박임, 조도 및 색온도 제어 등의 방식으로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경고 수단(200)은 스피커를 탑재하여 경고 방송으로 경고를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센싱 수단이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동작하는 절차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4는 센싱 수단이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동작하는 절차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의해 앞서의 구성이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제 1 모니터링 모드 관련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니터링부(120)는 대기 모드일 때, 기 설정된 주기로 진동 센서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진동 센서의 출력 신호를 사용해 센싱 수단이 설치된 공간에서의 진동을 계측할 수 있다(S301).
이때, 모니터링부(120)는 진동 계측치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2).
S302에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진동이 감지되면, 모니터링부(120)의 모니터링 모드를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303). 이와 달리,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 모드 상태에서 진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20)는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S304 내지 S311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모니터링부(120)는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4). S304에서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대기 모드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S304에서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된다고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초기 경고를 경고 수단(200)에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소음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새대 내의 다른 센싱 수단(100)에 알리기 위해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다른 센싱 수단(100)에 전송할 수 있다(S305).
그리고, 모니터링부(120)는 제 2 기준값을 추출하고 이를 세대 내의 다른 센싱 수단(100)에 공유할 수 있다(S306). 제 2 기준값은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진동 계측값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일 수 있다. 어린이의 행동 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마다의 진동 계측치의 분포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시간 동안(예를 들면 5 sec 동안) 진동 계측치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예를 들어 70 %)을 제 2 기준값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제 2 기준값은 그 기능을 할 수가 없다. 이는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작으나 동일한 진동 발생 행위를 제 2 기준값을 기초로 감지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니터링부(120)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제 2 기준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1)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진동 계측값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임시 제 2 기준값 생성
단계 2) 임시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작으면 임시 제 2 기준값을 제 2 기준값으로 확정 / 이와 달리, 임시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크면 제 1 기준값의 기 설정 비율(예를 들어, 80 %)을 제 2 기준값으로 확정
그리고, 모니터링부(120)는 진동 계측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7).
S307에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센싱 수단(200)에 경고를 유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308).
S307에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해당 진동 계측값이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9).
S309에서 제 2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경고 수단(200)에 경고 해지 요청을 할 수 있다(S310).
S309에서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경고 수단(120)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할 수 있다(S308).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의 센싱 수단의 동작은 모든 센싱 수단에 대하여 공통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센싱 수단의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니터링부(120)는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진동 계측값을 수신하지 않으면, 대기 모드에 있을 수 있다(S401).
대기 모드에서, 모니터링부(120)는 다른 센싱 수단으로부터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2).
S402에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지속적으로 대기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S402에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제 2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403).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모니터링부(120)는 S404 내지 S409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센싱 수단에 제 2 기준값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S404).
그리고, 모니터링부(120)는 제 2 기준값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5).
S405에서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S405에서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6).
S406에서,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407).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되면, 모니터링부(120)는 앞서 본 도 3의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S406에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링부(120)는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할 수 있다(S408).
10: 단일 세대
11: 제 1 공간
12: 제 2 공간
13: 제 3 공간
100: 센싱 수단
110: 센싱부
120: 모니터링부
130: 통신부

Claims (26)

  1. 세대 내에 기 설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세대 내 바닥에서의 진동을 모니터링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경고 요청에 따라 경고를 제공하는 경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 수단은 복수의 기준값에 기반하여 다중 모드에서 진동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센싱 수단은 진동 계측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센싱 수단은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 초과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를 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센싱 수단은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센싱 수단에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기준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다른 센싱 수단이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기준값을 요청하면 상기 요청한 제 2 기준값을 상기 다른 센싱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면 실시간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이고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제 2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해지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다른 센싱 수단으로부터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2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다른 센싱 수단에 제 2 기준값을 요청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진동 계측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2 모니터링 모드에서 진동 계측값이 제 2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진동 계측값이 제 2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 1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값은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진동 계측값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값은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진동 계측값의 평균치의 기 설정 비율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임시 제 2 기준값 생성하고, 상기 임시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작으면 임시 제 2 기준값을 제 2 기준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임시 제 2 기준값이 제 1 기준값 보다 크면 제 1 기준값의 기 설정 비율을 제 2 기준값으로 확정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17. 센싱 수단이 세대 내에 기 설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세대 내 바닥에서의 진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경고 요청에 따라 경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수단은 복수의 기준값에 기반하여 다중 모드에서 진동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세대 내에 기 설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세대 내 바닥에서의 진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진동 계측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 초과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를 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센싱 수단에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기준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다른 센싱 수단이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 2 기준값을 요청하면 상기 요청한 제 2 기준값을 상기 다른 센싱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면 실시간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이고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유지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제 1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이벤트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진동 계측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제 2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경고 수단에 경고 해지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방법.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다른 센싱 수단으로부터 소음 이벤트 발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2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 방법.
KR1020170107422A 2017-08-24 2017-08-24 복수 기준값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851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22A KR101851561B1 (ko) 2017-08-24 2017-08-24 복수 기준값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22A KR101851561B1 (ko) 2017-08-24 2017-08-24 복수 기준값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561B1 true KR101851561B1 (ko) 2018-04-24

Family

ID=6208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422A KR101851561B1 (ko) 2017-08-24 2017-08-24 복수 기준값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659B1 (ko) * 2018-09-28 2019-08-13 한국토지주택공사 거주자 성향에 기반한 층간 소음 방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61B1 (ko) 2013-05-08 2013-07-22 동하정보기술 주식회사 층간소음 발생근원지 판별 기능이 구비된 전등 스위치 및 층간소음 판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61B1 (ko) 2013-05-08 2013-07-22 동하정보기술 주식회사 층간소음 발생근원지 판별 기능이 구비된 전등 스위치 및 층간소음 판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659B1 (ko) * 2018-09-28 2019-08-13 한국토지주택공사 거주자 성향에 기반한 층간 소음 방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58158A (en) Monitoring and automatically switching off electrical appliances when no one is present
CN204536890U (zh) 可保护隐私的居家安全监护系统
JP2013187599A (ja) センサー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4581082A (zh) 一种家居监控系统及方法
JP2008077185A (ja) 省電力機能を備え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WO2016075887A1 (ja) 外出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350705B2 (ja) コントローラ装置
KR101851561B1 (ko) 복수 기준값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852464B1 (ko) 기준 패턴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TWM613244U (zh) 多重輸入模式及多重輸出通道預警系統
KR20030027920A (ko)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CN104978835A (zh) 一种明火炉灶离人提醒装置及方法
KR20230016556A (ko)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KR102010806B1 (ko) 소음의 주파수 분석 기반 세대 간 소음 방지 장치 및 방법
WO2016075876A1 (ja) 就寝監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215643046U (zh) 一种独居老人安全监测系统
KR102403237B1 (ko) 세대 단말기를 이용한 약자 케어 방법 및 프로그램
CN114821951A (zh) 一种多功能安全防护报警系统
CN113450536A (zh) 一种独居老人安全监测系统
KR101996999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방법
JP2009260849A (ja) 報知システム
TWI815424B (zh) 主動關懷型居住安全監視系統
CN110859543A (zh) 具有厕位占用状态自动检测功能的供纸装置和检测系统
KR20210076694A (ko) 홈 edge 허브를 활용한 공동주택 환경에서 긴급 상황 대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