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556A -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556A
KR20230016556A KR1020210176337A KR20210176337A KR20230016556A KR 20230016556 A KR20230016556 A KR 20230016556A KR 1020210176337 A KR1020210176337 A KR 1020210176337A KR 20210176337 A KR20210176337 A KR 20210176337A KR 20230016556 A KR20230016556 A KR 20230016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ibration
unit
black box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586B1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큐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큐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큐리스
Priority to KR1020210176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58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7633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458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진동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음.진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물인터넷 소음.진동 센서와 사물인터넷 소음.진동 센서를 통해 수집된 소음.진동데이터를 전달받아 소음.진동데이터가 생성된 시간과 소음.진동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소음.진동 관련 민원 발생시, 민원에 접수된 이벤트 발생시간을 중심으로 구간별 검색을 수행하여, 신고 접수 후 이미 지나가버린 소음.진동에 대해서도, 소음.진동의 근원지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고, 수집된 소음.진동 데이터를 인공지능 서버에 전송하여, 빅데이터의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소음.진동 발생에 대해 사전 예측하고, 공사장 등의 현장에서 이상 소음을 탐지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Web-based intelligent integrated noise and vibration monitoring, storage and management black box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noise and vibration sensors}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소음.진동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지능형 소음.진동 블랙박스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장기 저장하면서 이를 감시, 분석하여 실시간소음도, 소음 스트레스지수, 소음 스펙트럼 등의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을 하며 관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사현장, 산업단지, 주거단지 등 각 설치 현장의 소음.진동 법적 허용기준을 미리 설정하여 기준을 초과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이를 검출하고 실시간으로 경보를 발생하고 관리자 혹은 관리기관 및 관계자 혹은 관계기관에 통지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소음.진동 블랙박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통신망을 통해 인공지능 서버에 연동되어 빅데이터 지능형 분석 시스템을 통해 소음.진동 발생원을 판별하고 시간대별, 센서별, 공간별 분석을 통해 소음 발생 시점과 소음 발생원, 소음 레벨을 미리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공사장 등의 현장에서 일상적인 소음과 상이한 이상 소음 발생 시 이를 탐지하여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사물 인터넷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 장기 저장 및 관리하는 지능형 소음.진동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은 시끄러워서 불쾌함을 느끼게 만드는 소리를 칭하며, 인간은 각자의 현재 상태라든가 주위 환경에 따라서 어떠한 소리든 소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는 개인의 주관적인 감각에 의한 것으로서 어떤 사람에게는 좋은 소리로 들리더라도 다른 사람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다란 소리, 불협화음, 높은 주파수의 음 등이 소음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소음으로 느끼느냐 하는 것은 개인의 심리 상태에 따라서 다르다.
소음의 발생 원인은 주로 자동차, 철도, 비행기와 같은 교통수단의 이동에서 나오는 소음이나 공장에서 나는 기계음 등이 있다. 최근에는 아파트 생활이 늘어남에 따라 가정에서 사용하는 TV, 오디오, 피아노, 세탁기 등이 유발하는 생활소음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소음은 공업 및 산업단지, 운동장, 도로 교통, 관공서, 사무실, 유흥시설, 아파트 등 우리 주위의 모든 곳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음에 대처하기 위해 수많은 시스템이 나왔으나, 현재 소음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소음측정망의 96%가 자동측정이 아닌 고가의 장비를 이용한 수동측정으로 이루어져 측정망 데이터의 활용도가 매우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3036호에는 "환경소음 관리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분산된 현장에 환경 소음 자동 측정장치를 설치한 후 중앙의 환경 소음 관제센터에서 통합하여 환경소음을 관리하는 환경소음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시스템은, 소음규제가 필요한 각 지역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환경 소음 측정시스템과, 환경 소음 측정시스템으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측정 데이터를 전달받아 전체 지역의 환경 소음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환경 소음 관제센터와, 환경 소음 관제센터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 받아 실시간으로 해당 지역 혹은 각 지역의 환경 소음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실시간 전광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소음.진동의 특성상, 민원이 발생하고 이를 처리할 때까지 소음이 유지되는 것은 아닌바, 민원이 발생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이미 줄어들어버린 소음에 대해서는 용이하게 대응하게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소음.진동 유형의 등장 패턴과 상이한 유형으로 발생되는 소음.진동을 감지하는 대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신고 접수 된 시점의 이미 지나가버린 소음.진동에 대해, 소음.진동을 발생시킨 소음 발생원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며,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소음.진동 유형의 등장 패턴과 상이한 유형으로 발생되는 소음.진동을 감지하여 소음.진동 관련 민원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히 대처하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해서 미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처리방법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036호(2012.10.18.공고), "환경소음 관리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음.진동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의 효율화 및 선진화하여, 빠르고 손쉽고 명확한 소음.진동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소음.진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물 인터넷 소음.진동 센서와 소음.진동 상시 감시, 장기 저장 및 관리하는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블랙박스 시스템, 인공지능 소음.진동 서버에 대한 데이터의 정의, 처리 방법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소음.진동 센서와, 소음.진동 블랙박스,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를 포함하여, 소음 및 민원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소음.진동 센서와 소음.진동 블랙박스를 통해 수집된 소음.진동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가 연결되되,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는, 소음.진동관련 민원을 수신 및 접수하며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기록하는 소음.진동민원 수신부; 상기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소음.진동데이터에 대해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중심으로 구간별 검색을 수행하는 구간별 탐색부; 소음.진동 민원 발생 시점에서 소음.진동을 야기한 위치를 특정하는 소음.진동발생 추산부; 추산된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소음.진동이 기준 소음에 해당하는지 판별하는 소음.진동원 판별부; 및, 소음.진동관련 경고메시지를 생성하고 발신하는 안내문구 생성부와 소음.진동민원 발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음.진동 센서는 소음.진동 센서 주처리장치 및 아이디 셀렉터를 구성으로 포함하되, 상기 소음.진동 센서는 아이디 셀렉터를 통해 소음.진동데이터의 생성 위치 정보를 소음.진동데이터에 부여하며, 소음.진동 센서 주처리장치를 통해 소음.진동데이터의 생성 시간 정보를 소음.진동데이터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소음.진동 블랙박스의 설정을 조작하기 위한 블랙박스 컨트롤부; 실시간 소음.진동 데이터값을 정량화하기 위한 소음.진동데이터 계산부; 기준 소음.진동 데이터값을 보관하며 관리하는 기준 소음.진동 관리부; 소음.진동 발생 시의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이벤트로그 저장부; 각 위치별 소음.진동 현황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을 위한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외부 기관 서버와 연결되어, 지자체를 포함하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민원을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은 사용 현장에서는 자가 진단을 통해 소음 발생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소음.진동 관리를 요하는 급증하는 소음 관련 민원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실시간으로 장기 저장되는 소음.진동 데이터를 이용해서 빠른 민원 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현장에서도 자가 진단을 통해 소음.진동 발생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소음.진동 센서를 통해 수집된 소음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중심으로 구간별 검색을 수행하여, 신고 접수 후 이미 지나가버린 소음.진동에 대해서도, 소음.진동 발생원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관련 민원에 대해 정확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진동 센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진동 블랙박스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도.
도 5는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 중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 처리 단계(S3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진동 센서의 구성도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진동 블랙박스의 구성도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도며, 도 5는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고, 도 6은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 중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 처리 단계(S3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다.
우선,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진동 센서(100)와, 소음.진동 블랙박스(200),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200)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와, 소음.진동 블랙박스(200)를 연결하는 내부통신망(500)과,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200),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를 연결하는 외부통신망(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소음.진동데이터(ND)를 수집하여, 전달하는 소음.진동 센서(100) 및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음.진동데이터(ND)는 소음.진동 센서(100)를 통해 수집되어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의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에 저장된다.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는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공간 영역 마다 최소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각 층의 각 호실마다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는 공사현장, 산업현장 등 소음.진동이 주로 발생하는 위치에 각 구획마다 설치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 외에도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에 있어서, 소음.진동 센서(100)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100_n_n의 식별기호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100_n_n에서, n은 소음.진동 센서(100)가 설치된 위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첫 번째 n은 행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두 번째 n은 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진동 센서(100)가 설치되는 위치가 건물의 각 호실일 경우, 첫 번째 n은 호실이 위치한 층수를 의미하며, 두 번째 n은 해당 층에서 해당 호실의 순번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는 소음.진동을 수음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여, 아날로그 방식으로 수집되는 사운드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를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는 소음.진동 센서 주처리장치(S.MCU, 100-C), 포트인 슬레이브(Port-In(Slave), 110), 포트아웃 마스터(Port-Out(Master), 120), 아이디 셀렉터(ID selector, 130), 익스터널 MIC(External MIC, 141), 센서인풋(Sensor Input, 142), DSP 콘트롤(DSP Control, 140) 및 소음.진동 센서 파워드라이브(S.Power Drive,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진동 센서 주처리장치(S.MCU, 100-C)는 소음.진동 센서(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처리장치이다.
상기 포트인 슬레이브(Port-In(Slave), 110)는 해당 소음.진동 센서(100)와 연결되는 다른 소음.진동 센서(100_n_n)의 데이터 또는 신호를 받는 포트를 칭한다. 다시 말해, 상기 포트인 슬레이브(Port-In(Slave), 110)는 외부로부터 소음.진동 센서(100)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포트를 칭한다 할 것이다.
상기 포트아웃 마스터(Port-Out(Master), 120)는 해당 소음.진동 센서(100)의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 또는, 다른 소음.진동 센서(100_n_n)로 전송하는 포트를 칭한다. 다시 말해, 상기 포트아웃 마스터(Port-Out(Master), 120)는 소음.진동 센서(100)에서 외부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내보내는 포트를 칭한다 할 것이다.
상기 아이디 셀렉터(ID selector, 130)는 해당 소음.진동 센서(100)의 ID정보를 저장하는 칩을 칭한다. 상기 아이디 셀렉터(ID selector, 130)를 통하여, 소음.진동 센서(100)에서 생성된 소음.진동데이터(ND)에는 소음.진동데이터(ND)가 생성된 위치 정보(세대 정보 or 구획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익스터널 MIC(External MIC, 141)는 외부 연장 마이크로, 소음.진동을 수음하기 위한 마이크를 칭한다. 상기 익스터널 MIC(External MIC, 141)는 수음을 원하는 위치에,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센서의 직접적인 설치가 어려울 경우 사용하는 외부 마이크다.
상기 센서인풋(Sensor Input, 142)은 외부 마이크로부터 수음된 데이터를 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DSP 콘트롤(DSP Control, 140)은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들의 묶음이다.
상기 소음.진동 센서 파워드라이브(S.Power Drive, 150)는 소음.진동 센서(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이다.
한편, 상기 DSP 콘트롤(DSP Controlm 140)은 프리-앰프(Pre-AMP, 143), 에이엘씨 게인(ALC(Gain), 144), A-D 컨버터(A-D Converter, 145), 디지털필터(Digital Filter, 146), 볼륨컨트롤(Volume Control, 147) 및 DSP(DSP, 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앰프(Pre-AMP, 143)는 미약한 전기 신호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수준으로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이엘씨 게인(ALC(Gain), 144)은 입력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약한 신호에는 더 많은 증폭을 주고 강한 신호에는 더 적은 증폭을 줘서, 출력신호가 일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A-D 컨버터(A-D Converter, 145)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지털필터(Digital Filter, 146)는 필터란 입력 신호에 대해 변경을 가한 후 출력 신호를 내보내는 역할을 하며, 주파수 영역에서 특정한 성분만을 통과시키거나 특정한 성분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신호의 잡음 제거나, 특정한 주파수 성분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륨컨트롤(Volume Control, 147)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기이다.
상기 DSP(DSP, 148)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하는 프로세서이다. 상기 프리-앰프(Pre-AMP, 143), 에이엘씨 게인(ALC(Gain), 144), A-D 컨버터(A-D Converter, 145), 디지털필터(Digital Filter, 146), 볼륨컨트롤(Volume Control, 147) 및 DSP(DSP, 148)를 거치면서 아날로그 형태의 소음.진동은 디지털 형태의 소음.진동데이터(ND)로 변환될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하자면,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는 소음.진동 센서 주처리장치(S.MCU, 100-C), 포트인 슬레이브(Port-In(Slave), 110), 포트아웃 마스터(Port-Out(Master), 120), 아이디 셀렉터(ID selector, 130), 익스터널 MIC(External MIC, 141), 센서인풋(Sensor Input, 142), DSP 콘트롤(DSP Control, 140) 및 소음.진동 센서 파워드라이브(S.Power Drive, 150)를 포함하여 아날로그 방식의 소음.진동 사운드를 디지털 방식의 소음.진동데이터(ND)로 변환하되, 상기 소음.진동 센서 주처리장치(S.MCU, 100-C)는 아이디 셀렉터(ID selector, 130)를 통해 해당 소음.진동 데이터(ND)가 생성된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소음.진동데이터(ND)에 부여하고, 소음.진동데이터(ND)가 생성된 시간 정보를 소음.진동데이터(ND)에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박스 주처리장치(B.MCU, B200-C), 컨트롤 디스플레이(Control Display, B210), 컨트롤 버튼(Control Button, B220), 센서인 포트(Sensor-In(1-port), B230), USB포트(USB(1-port), B240), Lan포트(Lan(1-port), B250), 메모리(B260), 블랙박스 파워드라이브(B.Power Drive, B270) 및 블랙박스 파워인(B.Power-In(1-port), B2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는 소음.진동 센서(100),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 디스플레이 장치(400) 및 클라우드서버(CS)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 주처리장치(B.MCU, B200-C)는 블랙박스(B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처리장치이다.
상기 컨트롤 디스플레이(Control Display, B210)는 블랙박스(B200)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화면 표시기를 지칭한다.
상기 컨트롤 버튼(Control Button, B220)은 블랙박스(B200)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을 지칭한다.
상기 센서인 포트(Sensor-In(1-port), B230)는 블랙박스(B200)가 소음.진동 센서(100)와 연결되기 위한 소음.진동 센서 인입 포트를 지칭한다.
상기 USB포트(USB(1-port), B240)는 블랙박스(B200)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직렬 연결되기 위한 USB포트를 지칭한다.
상기 Lan포트(Lan(1-port), B250)는 블랙박스(B200)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연결되거나,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의 제어부(A-200C)와 연결되기 위한 네트워크 포트를 지칭한다.
상기 메모리(B260)는 소음.진동 센서(100)로부터 들어오는 사운드 데이터를 1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1차 저장 공간을 지칭한다.
상기 블랙박스 파워드라이브(B.Power Drive, B270)는 블랙박스(B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이며, 상기 블랙박스 파워인(B.Power-In(1-port), B280)은 블랙박스 파워드라이브(B.Power Drive, B270)에 대한 인입 전원을 지칭한다.
한편,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는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A200-C),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계되는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A210),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결되며 소음.진동 센서(100)와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소음.진동치의 데이터값을 저장하는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결되며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의 설정을 조작하기 위한 블랙박스 컨트롤부(A240),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결되며 실시간 소음.진동 데이터값을 정량화시키기 위한 소음.진동데이터 계산부(A250), 각 설치사이트의 기준 소음.진동 데이터값을 보관하며 관리하는 기준 소음.진동 관리부(A260) 및,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결되며 기준치 이상의 소음.진동 혹은 이상 소음.진동 발생 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이벤트 로그 저장부(A270), 그리고, 외부의 장치 또는 서버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A280) 및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부(A2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A210)는 소음.진동민원 수신부(A211), 구간별 탐색부(A212), 소음.진동 발생 추산부(A213), 소음.진동원 판별부(A214), 안내문구 생성부(A215) 및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은 소음.진동 센서(100),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 디스플레이장치(400), 통신서버(TS),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 및 외부기관 서버(OS)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은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부(A230)를 통해 통신서버(TS),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 및 외부기관 서버(OS)와 연결되며, 지자체 등의 외부 기관과 연계되어, 해당 기관에서 외부기관 서버(OS)를 통하여 의뢰하는 민원을 전달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으로 직접 민원을 신청받을 수도 있으며, 이는 당업자의 실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은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A28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관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소음.진동 현황을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소음.진동 센서(100)가 설치된 각 위치별 소음.진동 현황을 나타내며, 다양한 색상을 갖는 기호 또는 그래프 등으로 표시되어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이 포함하는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A200-C)는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처리부다.
상기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A210)는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제어부(A200-C) 내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A210)는 소음.진동과 관련된 민원을 전달받고, 민원이 발생한 시간을 저장하며, 저장된 시간을 토대로 전, 후 일정시간 동안에 대하여 구간별 탐색을 수행하며, 소음.진동이 발생된 위치를 특정하고, 해당 위치에서 발생한 소음.진동이 기준 소음에 해당하는 지를 판별하여, 기준 소음에 해당될 경우, 안내문구를 생성하여 발신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A210)는 제어부(A200-C)와 별도로 형성되는 연산부 수도 있고, 제어부 내에 포함되는 연산부일 수도 있다. 이는 당업자의 실시에 다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는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결되며 소음.진동 센서(100)를 통해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로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소음.진동치의 데이터값을 저장한다. 상기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는 통상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해당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에 저장되는 소음.진동데이터(ND)는 디지털 형식인 것이 바람직하며, 소음.진동데이터(ND)는 소음.진동이 생성된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블랙박스 컨트롤부(A240)는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결되며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의 설정을 조작하기 위한 처리부다.
상기 소음.진동데이터 계산부(A250)는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결되며 실시간 소음.진동 데이터값을 정량화 시키기 위한 처리부다.
상기 기준 소음.진동 관리부(A260)는 각 설치사이트의 기준 소음.진동 데이터 값을 보관하며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결되는 상기 이벤트 로그 저장부(A270)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이벤트 로그 저장부(A270)는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결되며 기준치 이상의 소음.진동 혹은 이상 소음.진동 발생 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한편,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은 외부의 장치 또는 서버와 연결되기 위한 구성으로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A280) 및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부(A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A28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처리부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각 위치의 현재 소음.진동 레벨을 알려주는 현황판을 지칭한다.
상기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부(A230)는 통신 서버(TS), 클라우드 서버(CS), 외부 기관 서버(OS)와 연결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처리부다.
상기 통신서버(TS)는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이 소음.진동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 및 외부기관 서버(OS)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소음.진동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는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에 저장된 소음.진동데이터(ND)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다.
상기 외부 기관 서버(OS)는 소음.진동관련 데이터를 필요로하는 지자체 등의 외부 관리 기관의 서버를 지칭한다. 상기 외부 기관 서버(OS)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이 지자체 등 외부 기관의 소음.진동 관련 민원을 대행하기 위한 곳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은 외부 기관의 의뢰를 받아, 소음.진동 관련 민원을 대행하여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은 제어부(A200-C)와, 상기 제어부(A200-C)에 연계되는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A210) 및, 소음.진동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A200-C)에는 블랙박스 컨트롤부(A240), 소음.진동데이터 계산부(A250), 기준 소음.진동 관리부(A260), 이벤트 로그 저장부(A270),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A280) 및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부(A230)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A200-C)는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부(A230) 및 통신서버(TS)를 통해 소음.진동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 및 외부기관 서버(OS)와 연결되며, 지자체를 포함하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민원을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A210)는 소음.진동민원 수신부(A211), 구간별 탐색부(A212), 소음.진동발생 추산부(A213), 소음.진동원 판별부(A214), 안내문구 생성부(A215) 및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진동민원 수신부(A211)는 소음.진동관련 민원을 수신 및 접수하며,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기록하는 이유는, 민원이 접수된 시간에, 각 위치의 소음.진동 센서(100)에서 수음된 소음.진동을 추적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간별 탐색부(A212)는 상기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소음.진동데이터에 대해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중심으로 구간별 탐색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구간별 탐색부(A212)는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중심으로 전, 후 일정시간 동안 발생한 소음.진동을 추적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민원이 접수된 시간이 오후 4시 30분일 경우, 상기 구간별 탐색부(A212)는 각 위치의 소음.진동 센서(100)에서 수음된 소음.진동데이터(ND) 중 오후 4시 25분에서 오후 4시 35분 사이에 발생한 소음.진동에 대하여 구간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음.진동발생 추산부(A213)는 소음.진동 민원 발생 시점에서 소음.진동을 야기한 위치를 특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소음.진동발생 추산부(A213)는 소음.진동 민원 발생 시점에서 소음.진동을 야기한 위치를 특정하되, 소음.진동 민원이 발생한 위치와의 거리 차이에 따라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소음.진동데이터에 보정값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데, 소음.진동 민원이 발생한 위치에 대해 해당 위치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우면 소음.진동의 데시벨(dB) 크기를 상대적으로 높게 보정하고, 소음.진동 민원이 발생한 위치에 대해 해당 위치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면 소음.진동의 데시벨(dB) 크기를 상대적으로 낮게 보정하여 소음.진동 민원이 발생한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소음.진동의 데시벨(dB) 크기를 보정하여 적용한다. 이는, 특정 공간 내에 동일한 크기의 소음.진동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는 적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거리에 따라 미치는 소음.진동의 영향을 다르게 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좀 더 높은 정확도를 갖는 소음.진동측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소음.진동원 판별부(A214)는 추산된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소음.진동이 기준 소음.진동에 해당하는지 판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음.진동원 판별부(A214)는 해당 소음.진동원에서 발생한 소음.진동데이터(ND)의 데시벨(dB)이 관리자가 기설정한 기준 데시벨(dB)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관리자가 기설정한 기준 데시벨(dB)은 기준소음.진동관리부(A260)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는 기준소음.진동관리부(A260)에 기준 데시벨(dB)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안내문구 생성부(A215)는 소음.진동관련 경고메시지를 생성하고 발신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소음.진동원의 소음.진동데이터(ND)가 기설정한 기준치 이상의 데시벨(dB) 값을 가짐을 확인하면, 상기 안내문구 생성부(A215)는 "XXXXX에서 **월 **일 **시 **분 기준치 이상의 소음.진동이 탐지되어 민원이 발생하였습니다. 쾌적한 환경을 위해 소음.진동을 줄여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문구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는 소음.진동관련 경고메시지를 발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는 안내문구 생성부(A215)에서 생성한 문구를 소음.진동을 야기한 세대(소음.진동원)의 관련자에게 발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는 소음.진동 민원을 의뢰한 외뢰인 및 관리자에게도, 소음.진동 민원에 대한 처리 결과를 발신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소음.진동 센서(100)와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를 통해 수집된 소음.진동데이터(ND)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제어부(C) 및,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는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A210)를 통해 소음 및 민원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C)에는 소음.진동 센서(100)와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를 통해 수집된 소음.진동데이터를 전달받아 소음.진동데이터가 생성된 시간과 함께 저장하는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가 연결되며, 상기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A210)는, 소음.진동관련 민원을 수신 및 접수하며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기록하는 소음.진동민원 수신부(A211); 상기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소음.진동데이터에 대해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중심으로 구간별 검색을 수행하는 구간별 탐색부(A212); 소음.진동 민원 발생 시점에서 최대 소음.진동 발생 위치를 특정하는 소음.진동발생 추산부(A213); 추산된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소음.진동이 기준 소음.진동에 해당하는지 판별하는 소음.진동원 판별부(A214); 및, 소음.진동관련 경고메시지를 생성하고 발신하는 안내문구 생성부(A215)와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이 소음.진동 민원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어느 특정 건물, 특정 공사 현장, 특정 산업 단지 등 소음.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현장에, 소음.진동 센서(100),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와, 본 발명에 따른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는 각 세대(소음.진동원) 등 개별적인 공간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에는 디스플레이장치(400), 통신서버(TS), 소음.진동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 외부기관서버(OS) 등을 추가로 연결한다.
설치가 완료된 다음, 각 구성을 작동하며,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는 해당 위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진동을 실시간으로 수음하고, 이를 소음.진동데이터(ND)로 변환하여,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 및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는 소음.진동을 수음하고 소음.진동데이터(ND)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소음.진동이 수음된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특정 위치에서 소음.진동이 발생하면, 해당 위치의 거주자 또는 관련자는 소음.진동 관련 민원을 접수한다. 이는 개인용 단말기 등을 통하여 접수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위치의 거주자 또는 관련자는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의 소음.진동 민원 수신부(A211)에 바로 신고를 접수할 수도 있고, 또는, 지자체 등 외부기관을 통해 신고를 접수할 수도 있다. 지자체 등 외부기관을 통해 신고된 민원은, 지자체의 담당자가, 외부기관서버(OS)를 통해, 소음.진동 민원 수신부(A211)로 전달한다. 이는 본 발명의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의 소음.진동 민원 접수가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소음.진동 민원 수신부(A211)에 소음.진동 관련 민원이 접수되면, 소음.진동 민원 수신부(A211)는 소음.진동 관련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저장하고, 소음.진동 관련 민원과, 해당 민원이 접수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함께 구간별 탐색부(A212)로 전달한다.
상기 구간별 탐색부(A212)에 소음.진동 관련 민원과, 해당 민원이 접수된 시간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구간별 탐색부(A212)는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의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에 저장된 각 위치의 소음.진동데이터(ND)에 대해 구간별 탐색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A200-C)는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에 저장된 각 위치의 소음.진동데이터(ND)를 구간별 탐색부(A212)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에는 각 위치에서 발생한 소음.진동데이터(ND)가 상시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의 소음.진동데이터(ND)에는, 각 위치에 설치된 소음.진동 센서(100)의 아이디 셀렉터(ID selector, 130)를 통해 소음.진동데이터(ND)가 생성된 위치 정보(구획 정보)가 함께 기록되어 저장되며, 이를 통해, 특정 소음.진동데이터(ND)가 어느 위치에서 발생한 소음.진동데이터(ND)인지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구간별 탐색부(A212)는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과 연결된 모든 위치의 소음.진동 센서(100)에서 발생한 소음.진동데이터(ND)에 대해 구간별 검색을 수행하고, 해당 구간의 소음.진동데이터(ND)를 소음.진동발생 추산부(A213)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소음.진동발생 추산부(A213)를 통해 소음.진동 민원 발생 시점에서, 민원을 신고한 위치에 대하여, 소음.진동을 야기한 위치를 특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음.진동 민원 발생 시점에서 최대 소음.진동 발생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소음.진동 민원 발생 시점에서의 최대 소음.진동 발생 위치는 최소 1 곳의 소음.진동원, 또는 그 보다 다수의 소음.진동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소음.진동의 크기가 높은 순서대로 1 곳 내지 일정 순위까지의 소음.진동원을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소음.진동발생 추산부(A213)를 통해 소음.진동을 야기한 위치가 특정되면, 소음.진동발생 추산부(A213)는 소음.진동을 야기한 위치의 소음.진동데이터(ND)를 소음.진동원 판별부(A214)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소음.진동원 판별부(A214)를 통해, 해당 위치의 소음.진동데이터(ND)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소음.진동원 판별부(A214)는 각 소음.진동원에서 발생한 소음.진동데이터(ND)가 기설정된 데시벨(dB)값을 초과하는지 확인하며, 이 때, 관리자가 기설정한 기준 데시벨(dB)은 기준소음.진동관리부(A260)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관리자는 기준소음.진동관리부(A260)에 기준 데시벨(dB)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는 각종 기관의 지침에 따라 시스템의 관리자가 미리 기준값을 기입해 놓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소음.진동원 판별부(A214)를 통해 해당 위치의 소음.진동데이터(ND)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였다고 판단되면, 해당 정보를 안내문구 생성부(A215)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안내문구 생성부(A215)를 통해, 소음.진동을 야기한 세대(소음.진동원)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안내문구 생성부(A215)는 소음.진동을 야기한 세대(소음.진동원)의 위치 정보와, 소음.진동이 발생된 시간정보 등을 기입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며, 소음.진동을 줄이라는 안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문구 생성부(A215)에서 생성하는 메시지는 관리자가 기설정한 메시지 양식을 토대로 소음.진동을 야기한 세대(소음.진동원)의 위치 정보와, 소음.진동이 발생된 시간정보를 추가 기입하여 완성되는 것일 수 있다. 안내문구 생성부(A215)를 통해, 소음.진동을 야기한 세대(소음.진동원)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나면, 안내문구 생성부(A215)는 이를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안내문구 생성부(A215)는 소음.진동 민원 처리결과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작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안내문구 생성부(A215)는 해당 소음.진동원에 대한 안내 메시지의 누적 발송 횟수에 따라 안내, 경고, 또는 벌칙금 등과 관련된 각각 상이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문구 생성부(A215)는 해당 소음.진동원에서 최초 소음.진동 발생시에는 소음.진동 안내와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하며, 2회차에는 소음.진동 경고와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하고, 3회차에는 소음.진동 벌칙금과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관리자가 메시지 양식을 미리 설정하여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를 통해, 안내문구 생성부(A215)에서 생성된 안내문구를 소음.진동을 야기한 세대(소음.진동원)에 발신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를 통해 소음.진동 민원 처리결과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신고자 또는 지자체에 발신할 수 있다. 이는, 본 시스템의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시스템이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를 통해 소음.진동을 야기한 세대(소음.진동원)에 소음.진동 관련 안내 메시지가 발신되면, 소음.진동을 야기한 세대(소음.진동원)가 이를 전달받아 소음.진동을 줄이는 등의 행동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소음.진동 민원 처리결과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신고자 또는 지자체에 발신함으로써, 신고자 또는 지자체가 소음.진동 민원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은 복수의 소음.진동 센서와, 소음.진동 블랙박스,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를 포함하여, 소음 및 민원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음.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소음.진동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단계(S10); 상기 데이터 수집 단계(S10)에서 수집된 소음.진동데이터를 전송받아,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소음.진동 블랙박스 처리 단계(S20);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 처리단계(S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 처리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데이터 수집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 단계(S10)에서는 상기 소음.진동 센서(100)를 이용하여 소음.진동데이터(ND)를 수집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 단계(S10)에서는 소음.진동 센서(100)를 이용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 소음.진동데이터(ND)를 형성하고, 이를 내부 통신망(500)을 이용해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 및, 이를 제어하는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으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소음.진동 블랙박스 처리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 처리 단계(S20)는 소음.진동 블랙박스(B200)를 제어하는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통틀어 지칭한다.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 처리 단계(S20)에서는 상기 데이터 수집 단계(S10)에서 수집된 소음.진동데이터를 전송받아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을 통해 일련의 관정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소음.진동 블랙박스 처리 단계(S20)는 실시간 소음.진동 저장 단계(S21); 실시간 소음.진동 데이터 측정 및 감시 단계(S22); 실시간 소음.진동 데이터 출력 단계(S23); 이벤트 검출 단계(S24); 이벤트 로그 저장 단계(S25); 저장 데이터 검색 단계(S26); 이벤트 경보 생성 단계(S27); 및, 경보 발송 및 관리자 통보 단계(S28)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 소음.진동 저장 단계(S21)에서는 전달받은 소음.진동데이터(ND)를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실시간 소음.진동 데이터 측정 및 감시 단계(S22)에서는 실시간 소음.진동 데이터를 측정한다. 상기 상기 실시간 소음.진동 저장 단계(S21)와, 실시간 소음.진동 데이터 측정 및 감시 단계(S22)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소음.진동 데이터 출력 단계(S23)에서는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A280)를 통해, 소음.진동 데이터 출력하여 표시한다. 이를 위해, 소음.진동 데이터 출력 단계(S23)를 수행 후, 실시간 소음.진동 레벨 표시 단계(S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소음.진동 레벨 표시 단계(S235)는 디스플레이장치(4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현재 실시간 소음.진동 레벨이 어느 정도인지 표시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벤트 검출 단계(S24)에서는 기준치 이상의 소음.진동 혹은 이상 소음.진동 발생을 검출한다. 상기 이벤트 검출 단계(S24)에서는 기준치 이상의 소음.진동 혹은 이상 소음.진동 발생이 감지되거나, 혹은 민원이 접수될 경우, 그 발생 시간을 함께 검출한다.
상기 이벤트 로그 저장 단계(S25)에서는 상기 이벤트 검출 단계(S24)에서 검출된 로그를 저장한다. 상기 이벤트 로그 저장 단계(S25)는 이벤트 로그 저장부(A27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벤트 로그 저장 단계(S25)에서, 상기 이벤트 로그 저장부(A270)는 기준치 이상의 소음.진동 혹은 이상 소음.진동 발생, 혹은 민원 발생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고 발생시간과 함께 저장한다.
상기 저장 데이터 검색 단계(S26)에서는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에 저장된 각 소음.진동탐지부(100)가 설치된 위치의 소음진동데이터(ND)로부터 구간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 데이터 검색 단계(S26)는 구간별 탐색부(A212)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데이터 검색 단계(S26)에서 구간별 탐색부(A212)는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A220)에 저장된 소음.진동데이터(ND)에 대해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중심으로 구간별 탐색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저장 데이터 검색 단계(S26)에서 상기 구간별 탐색부(A212)는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중심으로 전, 후 일정시간 동안 발생한 소음.진동을 추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음.진동 발생 추산부(A213), 소음.진동원 판별부(A214)를 통해 소음이 기준치 이상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더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경보 생성 단계(S27)에서는 안내문구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산기 이벤트 경보 생성 단계(S27)는 안내문구 생성부(A215)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문구 생성부(A215)는 소음.진동관련 경고메시지를 생성하고 발신한다.
상기 경보 발송 및 관리자 통보 단계(S28)에서는 소음.진동관련 경고메시지를 발신한다. 상기 상기 경보 발송 및 관리자 통보 단계(S28)는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는 소음.진동관련 경고메시지를 발신한다. 상기 경보 발송 및 관리자 통보 단계(S28)에서 상기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는 안내문구 생성부(A215)에서 생성한 문구를 소음.진동을 야기한 세대(소음.진동원)의 관련자에게 발신한다. 한편, 상기 경보 발송 및 관리자 통보 단계(S28)에서 상기 소음.진동민원 발신부(A216)는 소음.진동 민원을 의뢰한 외뢰인 및 시설의 관리자에게도, 소음.진동 민원에 대한 처리 결과를 발신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 처리단계(S20)를 수행한 다음,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 처리 단계(S3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 처리 단계(S30)는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 처리단계(S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를 통해 수행된다. 상기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 처리 단계(S30)는 소음에 대한 복합적인 분석을 담당한다. 상기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 처리 단계(S30)는 처리된 별도의 데이터가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로 보내지며,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에서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 처리 단계(S30)는 소음.진동 데이터 저장 단계(S31), 소음.진동 발생원 판별 단계(S32), 소음.진동 레벨 예측 단계(S33), 이상 소음.진동 판별 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진동 데이터 저장 단계(S31)에서는 발생된 소음.진동 데이터를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에는 별도의 storage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소음.진동 발생원 판별 단계(S32)에서는 소음.진동을 발생시킨 발생원을 판별한다. 상기 소음.진동 발생원 판별 단계(S32)는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음.진동 레벨 예측 단계(S33)에서는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를 통해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소음.진동 유형의 등장 패턴을 학습하여 예측한다. 예를 들어,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가 못 질 소리가 발생한 다음에 그라인더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학습한다면, 다음날 못질 소리가 들려올 때에는, 그 다음으로 그라인더 소리가 발생하게 될 것을 예상하는 것이다.
상기 이상 소음.진동 판별 단계(S34)에서는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를 통해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소음.진동 유형의 등장 패턴과 상이한 유형으로 발생되는 소음.진동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가 못 질 소리가 발생한 다음에 그라인더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학습된 경우에, 못 질 소리가 발생한 후, 다른 소리가 들려오게 되면, 이상 신호로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이상 소음.진동 판별 단계(S34)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소음.진동 유형의 등장 패턴과 상이한 유형으로 발생되는 소음.진동을 감지하는 경우,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는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으로 상이한 유형의 소음이 등장하였음을 알리고,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A200)에서는 이벤트 검출 단계(S24)를 재실행하여, 이상 소음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소음.진동 레벨 예측 단계(S33) 및 상기 이상 소음.진동 판별 단계(S34)에는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300)에 탑재된 별도의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300-1)를 이용한다. 상기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300-1)는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소음 패턴에 대한 예측 또는 판단 기능을 할 수 있는 자가학습 데이터를 칭하며, 빅데이터 내지는 딥러닝과 동일 내지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상기 소음.진동 레벨 예측 단계(S33) 및 상기 이상 소음.진동 판별 단계(S34)를 통해, 침입 방지 효과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소음.진동 유형의 등장 패턴과 상이한 유형으로 발생되는 소음.진동을 감지할 경우, 외부인이 침입한 것으로 인지하여, 해당 세대의 거주민에게 이를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소음.진동 레벨 예측 단계(S33) 및 상기 이상 소음.진동 판별 단계(S34)에서는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소음.진동 유형의 등장 패턴을 학습하고,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소음.진동 유형의 등장 패턴과 상이한 유형으로 발생되는 소음.진동을 감지하여, 이상 소음 상황에 대해 유연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본 발명은 복수의 소음.진동 센서와 소음.진동 블랙박스를 통해 수집된 소음.진동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를 통해 소음 및 민원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소음.진동 센서와 소음.진동 블랙박스를 통해 수집된 소음.진동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가 연결되며, 상기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는, 소음.진동관련 민원을 수신 및 접수하며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기록하는 소음.진동민원 수신부; 상기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소음.진동데이터에 대해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중심으로 구간별 검색을 수행하는 구간별 탐색부; 소음.진동 민원 발생 시점에서 소음.진동을 야기한 위치를 특정하는 소음.진동발생 추산부; 추산된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소음.진동이 기준 소음.진동에 해당하는지 판별하는 소음.진동원 판별부; 및, 소음.진동관련 경고메시지를 생성하고 발신하는 안내문구 생성부와 소음.진동민원 발신부를 포함하여, 신고 접수 후 시기가 경과한 소음.진동에 대해서도, 소음.진동의 근원지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진동관련 민원에 대해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한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소음.진동 센서와, 소음.진동 블랙박스,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를 포함하여, 소음 및 민원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음.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소음.진동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단계(S10); 상기 데이터 수집 단계(S10)에서 수집된 소음.진동데이터를 전송받아,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소음.진동 블랙박스 처리 단계(S20);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 처리단계(S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 처리 단계(S30);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소음.진동 센서 100-C: 소음.진동 센서 주처리장치
110: 포트인 슬레이브 120: 포트아웃 마스터
130: 아이디 셀렉터 140: DSP 콘트롤
141: 익스터널 MIC 142: 센서인풋
143: 프리-앰프 144: 에이엘씨 게인
145: A-D 컨버터 146: 디지털필터
147: 볼륨컨트롤 148: DSP
150: 소음.진동 센서 파워드라이브
A200: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
A200-C: 제어부 A210: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
A211: 소음.진동민원 수신부 A212: 구간별 탐색부
A213: 소음.진동 발생 추산부 A214: 소음.진동원 판별부
A215: 안내문구 생성부 A216: 소음.진동민원 발신부
A220: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 A230: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부
A240: 블랙박스 컨트롤부 A250: 소음.진동데이터 계산부
A260: 기준 소음.진동 관리부 A270: 이벤트 로그 저장부
A280: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
B200: 소음.진동 블랙박스 B200-C: 블랙박스 주처리장치
B210: 컨트롤 디스플레이 B220: 컨트롤 버튼
B230: 센서인 포트 B240: USB포트
B250: Lan포트 B260: 메모리
B270: 블랙박스 파워드라이브 B280: 블랙박스 파워인
300: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
400: 디스플레이 장치
OS: 외부 기관 서버
ND: 소음.진동데이터
TS: 통신 서버

Claims (5)

  1. 복수의 소음.진동 센서와, 소음.진동 블랙박스,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 소음.진동 데이터 인공지능 서버를 포함하여, 소음 및 민원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음.진동 블랙박스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소음.진동 센서와 소음.진동 블랙박스를 통해 수집된 소음.진동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가 연결되되, 소음.진동민원 관리-응대부는, 소음.진동관련 민원을 수신 및 접수하며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기록하는 소음.진동민원 수신부; 상기 소음.진동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소음.진동데이터에 대해 민원이 접수된 시간을 중심으로 구간별 검색을 수행하는 구간별 탐색부; 소음.진동 민원 발생 시점에서 소음.진동을 야기한 위치를 특정하는 소음.진동발생 추산부; 추산된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소음.진동이 기준 소음.진동에 해당하는지 판별하는 소음.진동원 판별부; 및, 소음.진동관련 경고메시지를 생성하고 발신하는 안내문구 생성부와 소음.진동민원 발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진동 센서는 소음.진동 센서 주처리장치 및 아이디 셀렉터를 구성으로 포함하되,
    상기 소음.진동 센서는 아이디 셀렉터를 통해 소음.진동데이터의 생성 위치 정보를 소음.진동데이터에 부여하며, 소음.진동 센서 주처리장치를 통해 소음.진동데이터의 생성 시간 정보를 소음.진동데이터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소음.진동 블랙박스의 설정을 조작하기 위한 블랙박스 컨트롤부; 실시간 소음.진동 데이터값을 정량화하기 위한 소음.진동데이터 계산부; 기준 소음.진동 데이터값을 보관하며 관리하는 기준 소음.진동 관리부; 소음.진동 발생 시의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이벤트로그 저장부; 각 위치별 소음.진동 현황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을 위한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외부 기관 서버와 연결되어, 지자체를 포함하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민원을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KR1020210176337A 2021-12-10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KR102674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37A KR102674586B1 (ko) 2021-12-10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566A KR102368440B1 (ko) 2021-07-26 2021-07-26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20210176337A KR102674586B1 (ko) 2021-12-10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566A Division KR102368440B1 (ko) 2021-07-26 2021-07-26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556A true KR20230016556A (ko) 2023-02-02
KR102674586B1 KR102674586B1 (ko) 2024-06-13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36Y1 (ko) 2012-06-11 2012-10-18 허찬영 환경소음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36Y1 (ko) 2012-06-11 2012-10-18 허찬영 환경소음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440B1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2032B2 (ja) 音響装置および音響装置を用いた監視方法
KR102368440B1 (ko)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US202303349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lert based on noise
KR101343345B1 (ko) 층간소음민원 및 방범관리가 가능한 층간소음정보 생성시스템
US101528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detection of audio alarms
JPWO2005006806A1 (ja)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用通信システム
JPS59500536A (ja) 光フアイバ音響変換器を用いた侵入検出装置
KR102203571B1 (ko) 비상 및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20130097306A (ko)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57683B1 (ko) 층간소음진동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74586B1 (ko) 사물 인터넷(IoT) 소음.진동 센서를 활용한 웹 기반의 지능형 통합 소음.진동 상시 감시,저장 및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JP6499525B2 (ja) 火災受信機
CN111784991A (zh) 智能报警系统
KR102228265B1 (ko) 불법 송신기 탐지 시스템
JP2010025865A (ja) 地震警報システム
KR20160093333A (ko) 층간 소음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23025B1 (ko) 층간소음 방지 방법
KR101852464B1 (ko) 기준 패턴 기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666092B1 (ko) 다른 화재감지기에서 감지된 화재에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아날로그형 감지기 및 경보장치
JP2020061644A (ja) 騒音検出システム
KR102140932B1 (ko) Ai를 이용하는 방송제어 및 최적 대피로를 구현하는 재난 방송시스템
KR102469970B1 (ko) 층간 소음 알림 기능을 갖는 시스템
KR101816690B1 (ko) 하나 이상의 방송시스템에 원격 진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433518B1 (ko) 거주지 경보 시스템에서의 경보 방법 및 장치
KR20190131917A (ko) 센서 통신을 활용한 층간소음측정 및 알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