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154B1 -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154B1
KR102563154B1 KR1020230009261A KR20230009261A KR102563154B1 KR 102563154 B1 KR102563154 B1 KR 102563154B1 KR 1020230009261 A KR1020230009261 A KR 1020230009261A KR 20230009261 A KR20230009261 A KR 20230009261A KR 102563154 B1 KR102563154 B1 KR 102563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ar heating
heating element
detection sensor
control uni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요섭
나재훈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트윈나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트윈나노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0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1Sensor means for detecting integrated or attached to an it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 but not worn by the person, e.g. chair, walking stick, bed sens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15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bsence of activity per 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화장실 도어와 바닥에 설치되는 난방 패널 그리고 현관 도어에 설치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자택에 위치한 사용자의 활동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관리자 알림이나 난방 제어를 실시하여 고독사 방지와 화재 예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화장실 도어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감지부, 바닥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방 패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감지부, 현관 도어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3 감지부 및, 수신된 감지값과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외출, 활동, 위치를 판단하여 난방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상 외출하지 않은 사용자의 활동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주변의 통신 중계기로 전송하여 지정된 서버로 전송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Solitary Death and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heating panel}
본 발명은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 도어와 바닥에 설치되는 난방 패널 그리고 현관 도어에 설치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자택에 위치한 사용자의 활동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관리자 알림이나 난방 제어를 실시하여 고독사 방지와 화재 예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1인 가구가 크게 증가하는 사회적인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1인 가구는 돌발적으로 발생한 위급 상황에서의 대응에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는데, 특히, 독거 노인의 경우에는 위급 상황에서의 대응이 매우 어려울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안타까운 고독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1인 가구 특히, 독거 노인의 고독사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3471호의 “움직임 센서를 탑재한 조명을 사용한 고독사 감지 시스템”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1969호의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다만, 상기한 선행 발명들은 이상 상태의 감지를 위한 목적으로 자택내 이산화탄소 농도의 수집을 필요로 하고 있거나 통신단말장치의 이용 정보 수집을 필요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들로는 다량의 C02가 발생한 상황을 제외한 다른 상황에서의 이상 상태의 감지가 어려운 문제와 휴대폰의 이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노인층에 대한 실효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1인 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의 고독사의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독거 노인의 증가 문제와 연계하여 겨울철 전기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발명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3471호(2018. 04. 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1969호(2020. 07. 02)
본 발명은 1인 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고독사 문제 특히, 독거 노인의 고독사가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독거 노인의 증가 문제와 연계하여, 독거 노인들의 부주의나 기억력 감퇴로 인한 겨울철 전기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화장실 도어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감지부; 바닥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방 패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감지부; 현관 도어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3 감지부; 및, 수신된 감지값과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외출, 활동, 위치를 판단하여 난방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상 외출하지 않은 사용자의 활동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주변의 통신 중계기로 전송하여 지정된 서버로 전송되게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은,
화장실 도어와 바닥에 설치되는 난방 패널 그리고 현관 도어에 설치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자택에 위치한 사용자의 활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른 관리자 알림이나 난방 제어가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자택에서 홀로 거주하는 사용자의 고독사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화재 예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어부의 기능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난방 패널의 분해 단면 구성도.
도 4는 제1 및 제2 면상발열체와 커넥팅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5는 도 3의 평면 구성도.
도 6은 결합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A”에 대한 요부 확대 구성도.
도 8은 결합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결합수단의 유통홀, 플랜지, 슬라이더 및 마감캡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구성도.
본 발명은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화장실 도어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감지부(100); 바닥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방 패널(P)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감지부(110); 현관 도어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3 감지부(120); 및, 수신된 감지값과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외출, 활동, 위치를 판단하여 난방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상 외출하지 않은 사용자의 활동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주변의 통신 중계기로 전송하여 지정된 서버로 전송되게 하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의 제1 감지부(100)는 사용자의 활동 감지를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센서 장치이며, 화장실 도어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와 그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감지부(100)는 자택에서 머무르는 사용자가 반드시 이용하여야 하는 화장실 도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활동이 하루에 수차례 감지되게 할 수 있으며, 활동이 감지될 때마다 생성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여 고독사 방지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감지부(100)를 구성하는 감지 센서는 화장실 도어의 하부나 중부 측에 하나 이상이 최소 50cm 이상의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 센서 또는 적외선 인체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일부 구성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간단한 정보의 전송에 적합하고 배터리 수명이 긴 지그비(Zigbee) 통신을 구현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의 제한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제2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활동 감지를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센서 장치이며, 바닥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방 패널(P)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그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 감지부(110)는 자택에서 머무르는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주로 활동하는 바닥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방 패널(P)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활동이 하루에 수차례 감지되게 할 수 있으며, 활동이 감지될 때마다 생성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여 고독사 방지와 화재 예방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감지부(110)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인 감지 센서는 제1 감지부(100)를 구성하는 감지 센서와 동일하게 모션 센서 또는 적외선 인체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닥에 설치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무게감지 센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종류의 센서들을 혼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감지부(110)의 다른 일부 구성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도 제1 감지부(100)를 구성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와 동일하게 간단한 정보의 전송에 적합하고 배터리 수명이 긴 지그비(Zigbee) 통신을 구현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의 제한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제3 감지부(120)는 사용자의 출입 감지를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센서 장치이며, 현관 도어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와 그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3 감지부(120)는 자택에서 머무르는 사용자가 외출하거나 외출한 사용자가 자택으로의 복귀를 위해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현관 도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이 감지되게 할 수 있으며, 출입이 감지될 때마다 생성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여 고독사 방지와 화재 예방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3 감지부(120)를 구성하는 감지 센서는 현관 도어의 양 측면 중 자택 내부 측에 위치하는 일 측면의 하부나 중부 측에 하나 이상이 최소 50cm 이상의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 센서는 제1 감지부(100)를 구성하는 감지 센서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 센서 또는 적외선 인체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도 지그비(Zigbee) 통신을 구현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의 제한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3 감지부(120)를 구성하는 감지 센서는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후 제어부(130)에서의 사용자의 출입 감지가 더 명확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제어부(130)는 상기 난방 패널(P)의 온오프에 이용되는 난방 제어 장치에 구비되는 정보처리 장치이며, 상기 제1 내지 제3 감지부(120)가 전송하는 감지값과 고유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방식대로의 정보처리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인 고독사 방지와 화재 예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감지부(100)가 전송하는 고유의 식별 정보와 감지값이 수신되면 해당 식별 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활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감지부(110)가 전송하는 고유의 식별 정보와 감지값이 수신되면 해당 식별 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확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3 감지부(120)가 전송하는 고유의 식별 정보와 감지값이 수신되면 해당 식별 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출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마지막 활동 정보의 생성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계산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지정된 관리 서버로 전송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관리자의 안부 확인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에 의한 관리 서버로의 경고 신호의 전송 방식은 저전력으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해주는 로라(LoRa) 통신을 이용한 주변 통신 중계기로의 전송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으로의 구현이 가능하다.
다만, 사용자가 외출한 상태에서는 경고 신호의 생성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에 있어 사전에 생성된 출입 정보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현관 도어에 설치된 감지 센서가 전송하는 감지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외출한 상태의 출입 정보(제1 출입 정보)와 사용자가 복귀한 상태의 출입 정보(제2 출입 정보)를 번갈아가며 생성할 수 있으며, 현 시점에서의 출입 정보의 종류에 따라 경고 신호를 생성하거나(제2 출입 정보 생성 상태)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제1 출입 정보 생성 상태).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마지막 확인 정보의 생성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계산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난방 패널(P)의 난방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화재 예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감지부(110)가 설치되는 난방 패널(P)은 겨울철 난방을 위한 용도로 바닥에 시공되는 특수 패널이며, 모듈형 구조로 구성되어 조립 방식으로의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고, 전기 접속 방식을 개선하여 전자파 누출을 최소화활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도 5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방 패널(P)은 하방 개구(開口)된 내부 공간부를 갖는 사각의 패널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제1 면상발열체,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 면상발열체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보온재,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보온재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2 면상발열체, 상기 제1 및 제2 면상발열체 간의 전기적 접속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팅수단 및, 상기 본체의 공간부를 차단하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네 모서리 영역에는 후술할 커넥팅수단(50)의 제1 및 제2 케이블(53, 54)이 인출될 수 있도록 네 개의 인출구(1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인출구(12)는 항시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커버는 볼팅에 의해 조립되거나 접착테이프를 이용해 임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면상발열체(20, 40)는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부에 상기 제1 면상발열체(20)가 배치되고 이의 하부 측에 상기 제2 면상발열체(40)가 배치됨으로써 적층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면상발열체(20, 40)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면에 카본잉크를 사용하여 직사각형의 긴 띠 형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인쇄되는 카본 패턴과, 상기 카본 패턴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되는 2개 이상의 구리 전극과, 상기 구리 전극의 길이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되는 2개 이상의 실버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370111호를 통하여 온도 조절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컨테이너 내부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면상 발열체를 개발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면상 발열체의 패턴뿐만 아니라 카본 패턴을 구성하는 카본잉크를 최적화함으로써 1,000 내지 6,000W/㎡의 출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제1 및 제2 면상발열체(20, 40)에서는 컨테이너와 같은 특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종래기술과 같은 고출력은 요구되지 않는다. 다만 종래의 면상발열체의 문제점이었던 온도 증가에 따른 소모전력의 감소와 최대출력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을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상기 카본잉크를 최적화하고 있다.
본 발명의 카본잉크는 PTC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나노튜브 0.5 내지 3.5 중량부, 흑연 5 내지 10 중량부, 실리콘계 소포제 0.01 내지 0.5 중량부, 음이온성 분산제 0.01 내지 0.3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0.5 중량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cellurose nanofibril) 및 폴리에스터(polyester)로 이루어진 바인더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370111호와는 바인더 수지의 종류를 달리하는 것인데, 종래기술과 같이 에틸 셀룰로오스 수지(ethyl cellulose, EC) 및 염소화 올레핀 수지(chlorinated polyolefin, CPO)로 이루어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하면 도포 특성이나 열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나, 고가의 원료를 사용하므로 컨테이너와 같은 고출력이 요구되는 특수 용도가 아닌 일반적인 면상발열체로 적용하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에틸 셀룰로오스 수지와 염소화 올레핀 수지의 조합이 아닌 폴리에틸렌 및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조합으로 바인더 수지의 종류를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폴리에틸렌 및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조합에 대해서는 Carbohydrate Polymers, 173, 50(2017)과 같은 문헌에도 개시되어 있는데, 폴리에틸렌 수성 분산액과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현탁액을 혼합하는 것만으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와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로 이루어진 수지는 점도 및 탄성이 높아 유변학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용융 온도(Tm)이 50℃에 불과하여 면상발열체의 카본 잉크에서 요구되는 용융 온도인 80 내지 105℃에 비해 너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는 상기 폴리에틸렌 및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혼합물에 용융 온도가 95 내지 100℃인 폴리에스터를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용융 온도를 높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용융 온도를 가진 폴리에스터로는 TOYOBO사의 BYRON GA6300(Tm: 100℃), GA-6400(Tm: 96℃) 등의 시판되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고형분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40 내지 50 중량%,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15 내지 20 중량% 및 폴리에스터 30 내지 40 중량%가 되도록 배합하는 경우 유변학적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용융 온도가 85 내지 90℃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상온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성 분산액과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현탁액을 혼합한 후 여기에 폴리에스터 수성 분산액을 혼합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재(30)는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면상 발열체(2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면상발열체(20, 40)의 사이에 개재(介在)되도록 배치된다. 결국 상기 제2 면상발열체(40)는 상기 보온재(3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온재(30)로는 보온이나 보냉의 목적에 사용하는 것으로, 열의 유실을 최대한 방지하며 보온력이 풍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코르크, 톱밥, 폼, 폴리스티렌, 연질섬유판, 펠트 등의 유기질 또는, 석면, 암면, 글라스울, 규조토,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등의 무기질로 제작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수단(50)은 상기 제1 및 제2 면상발열체(20, 40) 간의 전기적 접속 및 전원 공급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면상발열체(20)의 일측 양극과 상기 제2 면상발열체의 타측 양극 간의 동극(同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커넥팅라인(51), 상기 제1 면상발열체(20)의 타측 음극과 상기 제2 면상발열체의 일측 음극 간의 동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커넥팅라인(52), 상기 제1 면상발열체(20)의 일측 양극과 타측 음극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케이블(53), 그리고 상기 제2 면상발열체(40)의 일측 음극과 타측 양극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케이블(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본 발명의 난방 패널(P)이 건물 실내 바닥에 격자 형태로 시공될 때에 인접한 난방 패널(P)끼리는 상기 제1 케이블(53)들이 서로 암수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 상기 제2 케이블(54)들이 서로 암수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면상발열체(20)와 상기 제2 면상발열체(40) 간의 양극과 음극 연결 구조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함에 따라 난방 패널(P)의 상방으로 전자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재(60)는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방 패널(P)은 불연성 시트(70), 단열 시트(80), 결합수단(90)을 더 포함하도록 구될 수 있다.
이때,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연성 시트(70)는 적층된 상기 제1 면상발열체(20), 보온재(30), 제2 면상발열체(4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규사, 석회석, 붕사 등이 주를 이루며, 열을 빠르게 발산하고,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화재 위험성이 노출된 곳에 사용할 수 있는 불연성의 유리섬유로 이루어져, 일정 두께를 갖는 속이 빈 사각형 구조를 갖는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 시트(80)는 상기 마감재(60)의 하부면을 감싸는 것으로, 알루미늄을 아주 얇게 늘여 만든 사각의 판 구조의 알루미늄 박지로서, 내식성이 뛰어나고 인체에 해가 없어서 포장재, 단열재 등으로 사용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90)은 상기 불연성 시트(70)의 일부를 이용해 상기 단열 시트(80)와 상호 접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내부면에서 네 모서리 영역에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는 네 개의 니들(91), 상기 단열 시트(80)의 네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각 니들(91)에 의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네 개의 니들홀(92), 상기 각 니들(91)에 의해서 상기 불연성 시트(70)의 일부가 상기 각 니들홀(92)을 차지하는 형태로 삽입되는 네 개의 필러(93), 그리고 상기 각 필러(93)에서 연장되어 상기 각 니들홀(92)의 주변 영역을 따라 걸리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헤드(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니들(91)에는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되면서 하방을 향해 뾰쪽한 둘 이상의 미늘(911)이 형성되는데, 각 미늘(911) 중 좌측에 위치한 미늘(911)을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자 형상을 이루고, 우측에 위치한 미늘(911)은 좌측 미늘(911)과 대향(對向)된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각 미늘(911)의 형상은 상기 니들(91)에 상기 불연성 시트(70) 삽입 시 상기 불연성 시트(70)의 일부가 상기 미늘(911)에 의해 잡아 당기면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반대로 후술할 유통홀(95) 등을 이용해 상기 니들(91)을 상방으로 제거할 때에 상기 니들(91) 상승 시 간섭없이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기에 불연성 시트(70)의 일부를 그대로 놓고 상방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결국,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들(91)에 의해 상기 단열 시트(80)에 니들홀(92)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를 통해서 상기 불연성 시트(70)의 일부가 끌려 내려와 채워져 필러(93)로 형성되고, 또 니들홀(92)로부터 빠져나온 상기 불연성 시트(70)의 일부가 대략 타원형의 뭉치 구조인 헤드(94)로 형성됨으로써, 접착제나 초음파 융착 등의 접합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니들링 방식만으로 손쉽게 상기 불연성 시트(70)와 상기 단열 시트(80)를 상호 접합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90)에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네 모서리 영역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네 개의 유통홀(95)과, 상기 각 유통홀(95)에 배치되면서 상기 각 니들(91)에 연결되는 플랜지(96)와, 상기 본체(10)의 측부에 삽입되어 상기 각 유통홀(95)을 막으면서 상기 플랜지(96)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더(97)와, 상기 각 유통홀(95)로부터 상기 슬라이더(97) 제거 후 상기 플랜지(96)를 당겨 상기 니들(91)이 빠져나오면 상기 유통홀(95)에 끼워지는 마감캡(98)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97)에는 첨단(尖端)부를 갖는 공구를 이용해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첨단부 삽입구(97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96)에는 내부에 원형홈과 이의 상부에 일자홈을 갖는 공구 삽입구(961)가 더 형성되어 있어 대략 ‘ㅗ’자형 공구를 이용해 상기 일자홈에 삽입 후 일정 각도 회전시켜 걸리게 한 다음에 잡아당기게 되면 쉽게 상기 니들(91)이 상방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니들(91)이 제거되면 상기 마감캡(98)을 이용해 상기 유통홀(95)을 막아 마감하며, 상기 마감캡(98)은 상기 유통홀(95)에 억지 끼움 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갖거나, 별도의 접착제 등을 이용해 고정할 수도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제1 감지부
110 : 제2 감지부
120 : 제3 감지부
130 : 제어부
P : 난방 패널
10 : 본체 → 11 : 공간부
→ 12 : 인출구
20 : 제1 면상발열체
30 : 보온재
40 : 제2 면상발열체
50 : 커넥팅수단 → 51 : 제1 커넥팅라인
→ 52 : 제2 커넥팅라인
→ 53 : 제1 케이블
→ 54 : 제2 케이블
60 : 마감재
70 : 불연성 시트
80 : 단열 시트
90 : 결합수단
91 : 니들 → 911 : 미늘
92 : 니들홀
93 : 필러
94 : 헤드
95 : 유통홀
96 : 플랜지 → 961 : 공구 삽입구
97 : 슬라이더 → 971 : 첨단부 삽입구
98 : 마감캡

Claims (5)

  1. 화장실 도어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감지부(100);
    바닥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방 패널(P)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감지부(110);
    현관 도어에 설치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가 생성하는 감지값을 고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3 감지부(120); 및,
    수신된 감지값과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외출, 활동, 위치를 판단하여 난방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상 외출하지 않은 사용자의 활동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주변의 통신 중계기로 전송하여 지정된 서버로 전송되게 하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난방 패널(P)은,
    하방 개구(開口)된 내부 공간부(11)를 갖는 사각의 패널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수용되는 제1 면상발열체(20);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 면상발열체(2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보온재(30);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수용되면서 상기 보온재(3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2 면상발열체(40);
    상기 제1 및 제2 면상발열체(20, 40) 간의 전기적 접속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팅수단(50);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를 차단하는 마감재(60);
    적층된 상기 제1 면상발열체(20), 보온재(30), 제2 면상발열체(4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불연성 시트(70);
    상기 마감재(60)의 하부면을 감싸는 단열 시트(80); 및,
    상기 불연성 시트(70)의 일부를 이용해 상기 단열 시트(80)와 상호 접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수단(9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수단(90)은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내부면에서 네 모서리 영역에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는 네 개의 니들(91), 상기 단열 시트(80)의 네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각 니들(91)에 의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네 개의 니들홀(92), 상기 각 니들(91)에 의해서 상기 불연성 시트(70)의 일부가 상기 각 니들홀(92)을 차지하는 형태로 삽입되는 네 개의 필러(93), 그리고 상기 각 필러(93)에서 연장되어 상기 각 니들홀(92)의 주변 영역을 따라 걸리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헤드(9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수단(50)은,
    상기 제1 면상발열체(20)의 일측 양극과 상기 제2 면상발열체(40)의 타측 양극 간의 동극(同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커넥팅라인(51);
    상기 제1 면상발열체(20)의 타측 음극과 상기 제2 면상발열체(40)의 일측 음극 간의 동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커넥팅라인(52);
    상기 제1 면상발열체(20)의 일측 양극과 타측 음극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케이블(53); 및,
    상기 제2 면상발열체(40)의 일측 음극과 타측 양극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케이블(5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면상발열체(20, 40)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면에 카본잉크를 사용하여 직사각형의 긴 띠 형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인쇄되는 카본 패턴과, 상기 카본 패턴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되는 2개 이상의 구리 전극과, 상기 구리 전극의 길이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되는 2개 이상의 실버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본잉크는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나노튜브 0.5 내지 3.5 중량부, 흑연 5 내지 10 중량부, 실리콘계 소포제 0.01 내지 0.5 중량부, 음이온성 분산제 0.01 내지 0.3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0.5 중량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cellurose nanofibril) 및 폴리에스터(polyester)로 이루어진 바인더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5. 삭제
KR1020230009261A 2023-01-25 2023-01-25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563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261A KR102563154B1 (ko) 2023-01-25 2023-01-25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261A KR102563154B1 (ko) 2023-01-25 2023-01-25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154B1 true KR102563154B1 (ko) 2023-08-07

Family

ID=8756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261A KR102563154B1 (ko) 2023-01-25 2023-01-25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1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612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케이티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853471B1 (ko) 2018-01-17 2018-04-30 (주)텔트론 움직임 센서를 탑재한 조명을 사용한 고독사 감지 시스템
JP2019070514A (ja) * 2017-10-10 2019-05-09 株式会社イシミック ヒーターパネル及び暖房システム
KR20210091592A (ko) * 2020-01-14 2021-07-22 김영록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70111B1 (ko) * 2021-08-31 2022-03-04 (주)트윈나노 컨테이너용 정온특성의 면상 발열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612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케이티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131969B1 (ko) 2013-12-26 2020-07-08 주식회사 케이티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JP2019070514A (ja) * 2017-10-10 2019-05-09 株式会社イシミック ヒーターパネル及び暖房システム
KR101853471B1 (ko) 2018-01-17 2018-04-30 (주)텔트론 움직임 센서를 탑재한 조명을 사용한 고독사 감지 시스템
KR20210091592A (ko) * 2020-01-14 2021-07-22 김영록 고독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70111B1 (ko) * 2021-08-31 2022-03-04 (주)트윈나노 컨테이너용 정온특성의 면상 발열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26473B (zh) 智能型防火保温板
EP1731685A3 (de) Hinterlüftete wärmegedämmte Gebäudefassade
KR101771589B1 (ko) 샌드위치 패널
KR102563154B1 (ko)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CN211229996U (zh) 一种防火防爆金库门
CN209742732U (zh) 防火防潮卷帘门
KR20150012789A (ko) 무결로 기능성 도어
CN204166639U (zh) 一种安防用的踩踏式报警器
CN214696209U (zh) 一种带有防火功能的建筑节能建材
CN213540196U (zh) 一种喷水防火卷帘门
KR20110116817A (ko) 열전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단열재
CN209837786U (zh) 一种集装箱移动房屋
KR102539535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모듈형 난방 패널
CN204613666U (zh) Ap面板无线自组网室内监控系统
CN208501942U (zh) 一种新型保温板
CN205502949U (zh) 一种防火防盗卷帘门
CN210940742U (zh) 一种防火隔音防水卷材
CN203083006U (zh) 一种防漏电保护器跳闸的电地暖
CN105780949A (zh) 智能型防火保温板
AU2012201247A1 (en) High Temperature Reflective Insulation Sheeting
CN211507201U (zh) 一种环保节能防火电力电缆
CN203531163U (zh) 聚乙烯塑料耐腐蚀保温板
CN212478232U (zh) 一种装配式隔声楼板以及装配式房屋
CN205329885U (zh) 一种具有防火功能的复合硅酸盐板
CN213391863U (zh) 一种防火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