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969B1 -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969B1
KR102131969B1 KR1020130163745A KR20130163745A KR102131969B1 KR 102131969 B1 KR102131969 B1 KR 102131969B1 KR 1020130163745 A KR1020130163745 A KR 1020130163745A KR 20130163745 A KR20130163745 A KR 20130163745A KR 102131969 B1 KR102131969 B1 KR 10213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device
subject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612A (ko
Inventor
이수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6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969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상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기반 기기설비 없이도 대상자(예컨대,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기반 서비스 이용정보를 활용하여 대상자의 댁내 신체상태 변화를 간접 확인함으로써 대상자의 위급상황 발생을 사전 예방하고 위급상황 발생 시 대상자를 구조하기 위한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일반인이라면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패턴 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신체상태 변화를 간접 확인할 수 있어, 대상자의 댁내 고독사를 사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고독사 후 댁내에서 오래 방치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체상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가정 내 별도의 센서기반 기기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따르는 비용부담 없이 대상자의 현재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환경에서 실시/운영할 수 있어 최소 비용으로 고독사 방지라는 소기의 목적에 부합하는 최적의 효과 창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the lonely death using services bas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하여 댁내 대상자의 신체상태 변화를 간접 확인함으로써 대상자의 위급상황 발생을 사전 예방하고 위급상황 발생 시 대상자를 구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핵가족화 및 노령화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도움을 줄 수 있는 부양 의무자 없이 홀로 생활하는 독거노인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독거노인의 경우 어느 날 갑자기 건강이 위독해 지거나, 위급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긴급 구조 요청을 적시에 하지 못하여 귀중한 생명을 잃게 되거나 더욱 심하게는 사망 후 장기간 방치되는 이른바 독거노인 고독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종래 이러한 독거노인 고독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 보안업체 등은 대상자의 신체상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기반의 기기설치를 통해 대상자의 활동량, 가스위험, 방법, 화재 감시 등 안전관리 전반에 대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대상자의 위급상황 발생시 119 등 구조기관 등과 연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센서기반의 기기설치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가정 내 센서 및 카메라 부착으로 인해 대상자로 하여금 감시/통제에 대한 거부감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 센서 설치비는 물론 기기 고장 등으로 인한 교체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 서비스 모니터링에 대한 인건비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서비스 비용에 대한 부담이 크게 발생한다는 점에 비추어 실제 도움이 절실한 저소득층의 독거노인에게는 효과적인/실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신체상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기반 기기설비 없이도 대상자(예컨대,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기반 서비스 이용정보를 활용하여 댁내 대상자의 신체상태 변화를 간접 확인하여 위급상황 발생의 사전 예방 및 위급상황 발생 시 대상자를 구조하기 위한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은, (a) 통신사 서버로부터 대상자가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단말장치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이용패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에 대한 대상자의 회신 여부에 따라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이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건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2) 상기 이용건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용패턴을 사전 설정된 대조군 패턴과 비교하여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조군 패턴은, 고령자의 일반적 생활패턴, 유사 그룹별 생활패턴 또는 개별 대상자 생활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대조군 패턴은, 대상자의 연령 또는 질병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c-3) 상기 (c-2)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문자기반의 헬스케어 알림정보일 수 있다.
(c-4)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중 GPS가 내장된 통신단말장치를 통해 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5) 상기 위치 확인결과, 대상자가 현재 댁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중 음성 재생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로 사전 녹음된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c-5) 단계에서,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복수차례 대상자의 음성 재생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복수차례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여부 확인에 대한 신호가 전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c-6) 상기 (c-2) 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이용건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중 GPS가 내장된 통신단말장치를 통해 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7) 상기 위치 확인결과, 대상자가 현재 댁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중 음성 재생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로 사전 녹음된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c-7) 단계에서,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복수차례 대상자의 음성 재생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복수차례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여부 확인에 대한 신호가 전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관계자에 대상자의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는 병원 또는 대상자에 의해 지정된 병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 앞서서, 대상자로부터 연령, 연락처 정보, 주소 정보, 질병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상태 정보,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의 종류 정보 및 관계자 연락망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은, 통신사 서버로부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이용정보 수집부; 상기 ICT 기반 서비스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부, 상기 이용패턴을 사전 설정된 대조군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상징후 확인부 및 상기 확인결과 이상징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문자기반 또는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헬스케어 생성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징후 확인부는, 상기 이용패턴을 고령자의 일반적 생활패턴, 유사 그룹별 생활패턴 또는 개별 대상자 생활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대조군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수신한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대상자가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 중 GPS가 내장된 통신단말장치로부터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상기 이용패턴에 기초한 건강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긴급구조 요청에 관한 안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수신한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긴급구조 신호가 회신되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일반인이라면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패턴 분석을 통해 댁내 대상자의 신체상태 변화를 간접 확인할 수 있어, 대상자의 댁내 고독사를 사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고독사 후 댁내에서 오래 방치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체상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가정 내 별도의 센서기반 기기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따르는 비용부담 없이 대상자의 현재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환경에서 실시/운영할 수 있어 최소 비용으로 고독사 방지라는 소기의 목적에 부합하는 최적의 효과 창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조군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의 개략적 흐름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의 흐름을 나태내는 절차도이다.
본 발명은 대상자(예컨대, 독거노인, 장애인 등)가 이용하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기반의 서비스 이용정보 분석을 통해 댁내 대상자의 신체상태를 간접 확인함으로써 대상자의 위급상황 발생을 사전 예방하고 위급상황 발생 시 대상자를 구조하기 위한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100)은 대상자(10)가 온전한 사회생활을 위해 댁내에서 통상 사용할 것으로 기대되는 전화기, 휴대폰, 스마트폰,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단말장치의 이용정보를 통신사업자 서버(20)를 통해 수집하고, 수집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분석기법을 통해 대상자(10)의 이상징후를 확인하며, 이상징후 발견 시 대상자(10)에게 헬스케어(healthcare) 알림 메시지/콜을 전송하여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추정하고,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관계자(30)에게 통보함으로써 댁내 건강위독 등 위급상황에 처한 대상자(10)를 효과적으로 구조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정보를 이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100)은 대상자(10)의 신체상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댁내 별도의 센서기반 기기설비 없이도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일반인이라면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신체상태 변화를 간접 확인함으로써 독거노인 등 부양자 없이 홀로 생활하는 대상자가 댁내에서 쓸쓸히 죽어가는 고독사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200)은 서비스 가입부(210), 이용정보 수집부(220), 제어부(230), 알림부(240), 위치 확인부(250), 저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가입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200)을 통해 제공되는 고독사 방지 서비스의 이용 희망자를 전자등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가입부(210)는 상기 고독사 방지 서비스의 이용 희망자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령, 집 전화번호, 휴대폰 번호 등 연락처, 주소, 직업, 주거지역, 주거형태 등 개인 프로파일 정보, 질병 등 건강상태정보, 댁내 이용하고 있는 다양한 통신단말장치(예컨대, 전화기,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IPTV 등)의 종류정보, ICT 기반 서비스의 가입정보 및 긴급상황 발생시 구조를 요청할 관계자(예컨대, 가족, 친구, 병원, 응급기관 등) 연락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가입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고독사 방지 서비스 대상자의 가입정보는 이후 상기 고독사 방지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기본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이용정보 수집부(220)는 상기 서비스 가입부(210)를 통해 등록된 대상자의 ICT 기반 서비스 이용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ICT 기반 서비스 이용정보는 대상자가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단말장치에 대한 이용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용정보 수집부(220) 는 통신사 서버로부터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단위로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이용정보는 전화기, 휴대폰 등의 통신기기의 경우 통화 및 문자메시지의 발신/수신에 대한 내역정보, 컴퓨터 등 단말장치의 경우 인터넷 사용에 따른 대상자 접속내역이 기록된 로그(log) 정보, IPTV 등 양방향 외부 통신이 가능한 가전제품의 경우 기기 조작(예컨대, 채널변경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이용정보 수집부(220)를 통해 수집된 통신단말장치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부(232), 상기 이용패턴을 사전 설정된 대조군 패턴과 비교하여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에 있어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상징후 확인부(234) 및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에 있어 이상징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상자의 신체상태 변화를 간접 확인하기 위한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알림정보 생성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정보 생성부(236)는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회신이 없는 경우 즉, 대상자 신체상태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이를 알리기 위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알림부(240)는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240)는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수신한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를 회신할 수 있다.
위치 확인부(250)는 대상자가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 중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내장된 스마트 기기(예컨대, 스마트 폰)를 통해 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되는 대상자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는 댁내에서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간접 확인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기준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생성 및 위급상황 알림정보의 생성과 관련된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다고 함은 상기 이용패턴이 일반적으로/평상시 기대되는 이용수준을 벗어난 경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는 “고령자의 일반적 생활패턴”, “유사 그룹별 생활패턴” 또는 “개별 대상자 생활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조군(Reference) 패턴으로 사전 설정하고, 설정된 대조군 패턴과 상기 이용패턴의 비교를 통해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조군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어 기준이 되는 대조군 패턴은 대상자의 연령, 지역, 직업, 주거형태 등 개인 프로파일 정보 및 질병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고령자의 일반적 생활패턴”, “유사 그룹별 생활패턴” 또는 “개별 대상자 생활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고령자의 일반적 생활패턴은 공개된 각종 통계정보, 문헌정보 등에 기초한 일반적 고령자(예컨대, 65세 이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을 지칭하는 것으로, 대조군 패턴으로 상기 고령자의 일반적 생활패턴이 설정된 경우 예컨대, 대상자가 23:00시 이후 심야에도 계속해서 TV가 켜져 있는 경우, 23:00시 이전에 대략 90%의 일반적 고령자가 취침한다는 통계정보에 기초하여 이를 이상징후로 확인할 수 있다.
유사 그룹별 생활패턴은 고독사 방지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 중 유사점을 갖는 대상자를 그룹핑(grouping)하여 도출되는 그룹 별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을 지칭하는 것으로, 예컨대 유사한 프로파일을 갖는 대상자를 그룹핑하거나 또는 상기 고독사 방지 서비스의 지속 제공을 통해 축적되는 대상자 별 축적된 이용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유사한 이용패턴을 갖는 대상자간 그룹핑 할 수 있다.
개별 대상자 생활패턴은 고독사 방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상자의 지속 서비스 이용을 통해 축적되는 통신단말장치의 표준 이용패턴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표준 이용패턴은 개인의 건강상태를 더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개별 대상자의 요청에 따라 새롭게 정의(customizing)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전술한 대조군 패턴을 통해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발견되면 대상자의 신체상태 변화를 간접 확인하기 위한 헬스케어 알림정보 생성한다.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 중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에 보다 부합하는 형태로 적절히 선택되어 생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에 따라 전송대상 통신단말장치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 예컨대, 헬스케어 콜(call)이 대상자의 사생활에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 및 대상자가 외출 등 댁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 통신단말장치의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통신단말장치의 이용내역이 전무하고 대상자가 댁내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에 대해 회신이 없는 경우에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대상자가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대상자가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 중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GPS가 내장된 스마트 기기 예컨대 스마트 폰으로부터 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발견되는 경우 대상자가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 중 음성의 재생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 예컨대, 전화기, 휴대폰, 스마트폰 등으로 전송/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통신단말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음성의 내용은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벼운 인사 멘트와 함께 건강의 위독 등 위급상황일 경우 소정 버튼을 눌러 긴급구조 요청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알림부(240)를 통해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긴급구조를 요청하는 신호가 회신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단말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음성은 대상자로 하여금 시스템에 의해 감시 받고 있다는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친숙한 목소리 예컨대 사전 녹음된 연예인의 음성일 수 있고 또한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기 위한 배경음악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성은 주기적으로 그 내용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발견되는 경우 대상자가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 중 문자 메시지의 표시가 가능한 통신단말장치 예컨대, 컴퓨터, 노트북, IPTV 등에 전송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통신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과 관련된 유의미한 건강정보 및 메시지 수신 확인을 요청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200)은 상기와 같은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받은 대상자가 이에 대한 수신확인(예컨대,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경우 수화기를 드는 행위,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경우 소정 확인버튼을 누르는 행위 등)을 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230)는 대상자의 신체상태가 위급상황에 처한 것으로 추정하여 사전 설정된 관계자에게 이와 같은 위급상황을 전파하기 위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위급상황 알림정보는 알림부(240)를 통해 관계자의 전화기 또는 휴대폰 등 통신단말장치로 전송/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급상황 알림정보는 음성기반 또는 문자기반의 데이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안의 긴급성을 고려하여 음성기반 및 문자기반의 위급사항 알림정보를 동시에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계자에는, 대상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조하기 위해 대상자가 자주가는 병원, 대상자에 의해 지정된 병원 또는 대상자의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는 병원이 포함되어 해당 병원의 응급실로 위급상황 알림정보가 전송/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위급상황 알림정보에는 위급상황에 처한 대상자의 주소 정보,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의 개략적 흐름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서비스의 이용을 희망자로부터 소정의 가입정보를 입력/전송받아 서비스 제공 대상자로 가입시킨다(S501).
상기 고독사 방지 서비스의 가입절차가 완료되면, 실시간 또는 소정시간 주기로 대상자의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 즉, 대상자가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단말장치 이용정보를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한다(S503).
상기 S503 단계의 수행을 통해 수집한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을 도출하고, 상기 이용패턴을 사전 설정된 대조군 패턴과 비교하여 대상자가 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함에 있어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5).
상기 S505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가 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함에 있어 이상징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이상징후가 대상자의 신체상태 변화에 기인한 것인지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하고 대상자가 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7).
상기 S507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가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댁내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여 사전 설정된 관계자에게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한다(S50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은 전술한 단계의 수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특히 상기 S503 단계에서부터 상기 S509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처리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의 흐름을 나태내는 절차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고독사 방지 서비스 가입 대상자의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 즉, 대상자가 이용하는 전화기, 휴대폰, 스마트폰, 컴퓨터, IPTV 등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단말장치 이용 정보를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한다(S601)
이때, 상기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는 소정 시간단위 예컨대, 30분, 1시간 또는 2시간 단위로 통신사 서버로 데이터 전송요청 및 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수집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대상자의 연령, 지역, 직업, 주거형태 등 개인 프로파일 정보 및 질병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위급상황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대상자일수록 위급상황을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이용정보의 수집 주기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601 단계의 수행을 통해 대상자가 사용하는 통신단말장치의 이용 정보가 수집되면, 수집된 통신단말장치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을 분석한다(S603).
다음으로,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에 이상징후가 있는지 확인하기 앞서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우선 상기 통신단말장치의 이용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단말장치의 이용건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5).
상기 S605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통신단말장치의 이용건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이용패턴을 사전 설정된 대조군 패턴과 비교하여 대상자가 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함에 있어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7).
상기 대조군 패턴은 “고령자의 일반적 생활패턴”, “유사 그룹별 생활패턴” 또는 “개별 대상자 생활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령자의 일반적 생활패턴”, “유사 그룹별 생활패턴”, “개별 대상자 생활패턴” 순으로 이상징후 확인을 위한 데이터의 처리량은 늘어나지만 보다 정확한 이상징후 확인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대상자의 연령, 질병정보 등의 건강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위급상황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대상자일수록 대조군 패턴에 상기 “개별 대상자 생활패턴”을 포함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607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의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 후속 처리 없이 정상 종료할 수 있다(S609).
이와 달리, 상기 S607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변화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간접확인하기 위한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하되, 우선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중 문자 메시지의 표시가 가능한 통신단말장치로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 예컨대, 헬스케어 메시지를 전송한다(S611).
이때, 상기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대상자가 댁내에서 이용하는 문자 메시지 표시가 가능한 통신단말장치 중 바람직하게는 상기 S603 단계에서 대상자에 의해 이용건수가 존재하는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611 단계의 수행 후 사전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613).
상기 S613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는 경우,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변화는 없는 것으로 간접 확인하여 정상 종료할 수 있다(S615).
이와 달리 상기 S613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대상자가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 중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GPS가 내장된 스마트 기기 예컨대 스마트 폰을 통해 대상자가 현재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17).
상기 S617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가 현재 댁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적어도 댁내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변화는 없는 것으로 간접 확인하여 정상 종료할 수 있다(S619).
이와 달리 상기 S617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가 현재 댁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상자는 일반적으로/평상시에 기대되는 이용수준을 벗어난 다른 패턴으로 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하고 있고, 댁내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를 회신하지 않은 점으로부터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중 음성의 재생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 예컨대, 전화기, 휴대폰, 스마트폰 등 연락수단으로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한다(S621).
상기 S621 단계의 수행 후 사전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대상자로부터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23).
이때, 대상자의 사적인 생활활동으로 인해 댁내에 위치하면서도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관계자에게 최대한 불필요한 위급상황 알림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대상자의 건강상태정보 등을 고려하여 소정시간 간격으로 복수차례 예컨대, 2 또는 3회의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하여 적어도 한번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623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로부터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는 경우,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변화는 없는 것으로 간접 확인하여 정상 종료할 수 있다(S625).
이와 달리, 상기 S623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로부터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여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27).
한편, 상기 S605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건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상자가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 중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GPS가 내장된 스마트 기기 예컨대 스마트 폰을 통해 대상자가 현재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17).
이때, 대상자가 복수개 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 통신단말장치 전부에 대한 이용건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그 후속 절차로 상기 S617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605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건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100)은 사전 설정된 동작시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확인결과 설정된 동작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상 종료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설정된 동작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그 후속 절차로 S617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617 에서의 확인결과에 따른 이후의 절차는 전술한 S619 내지 S627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위 내용으로 대신한다.
전술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서비스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100)은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일반인이라면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패턴 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신체상태 변화를 간접 확인할 수 있어, 대상자의 댁내 고독사를 사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고독사 후 댁내에서 오래 방치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체상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가정 내 별도의 센서기반 기기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따르는 비용부담 없이 대상자의 현재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환경에서 실시/운영할 수 있어 최소 비용으로 고독사 방지라는 소기의 목적에 부합하는 최적의 효과 창출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2)

  1. 통신단말장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에 있어서,
    (a)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사 서버가 제공하는 ICT 기반 서비스를 사용하는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이용패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에 대한 대상자의 회신 여부에 따라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이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건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2) 상기 이용건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용패턴을 사전 설정된 대조군 패턴과 비교하여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군 패턴은,
    고령자의 일반적 생활패턴, 유사 그룹별 생활패턴 또는 개별 대상자 생활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군 패턴은,
    대상자의 연령 또는 질병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c-3) 상기 (c-2) 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문자기반의 헬스케어 알림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c-4)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중 GPS가 내장된 통신단말장치를 통해 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c-5) 상기 위치 확인결과, 대상자가 현재 댁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중 음성 재생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로 사전 녹음된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5) 단계에서,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복수차례 대상자의 음성 재생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복수차례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여부 확인에 대한 신호가 전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c-6) 상기 (c-2) 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이용건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중 GPS가 내장된 통신단말장치를 통해 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c-7) 상기 위치 확인결과, 대상자가 현재 댁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중 음성 재생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로 사전 녹음된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c-7) 단계에서,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복수차례 대상자의 음성 재생이 가능한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복수차례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의 수신여부 확인에 대한 신호가 전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관계자에 대상자의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는 병원 또는 대상자에 의해 지정된 병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앞서서,
    대상자로부터 연령, 연락처 정보, 주소 정보, 질병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상태 정보,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의 종류 정보 및 관계자 연락망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방법.
  17. 통신단말장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사 서버가 제공하는 ICT 기반 서비스를 사용하는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이용정보 수집부;
    상기 ICT 기반 서비스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 이용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부, 상기 이용패턴을 사전 설정된 대조군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상징후 확인부 및 상기 확인결과 이상징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문자기반 또는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헬스케어 생성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징후 확인부는, 상기 이용패턴을 고령자의 일반적 생활패턴, 유사 그룹별 생활패턴 또는 개별 대상자 생활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대조군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시스템.
  18. 삭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수신한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수신확인에 대한 신호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시스템.
  20. 제 17항에 있어서,
    대상자가 이용하는 통신단말장치 중 GPS가 내장된 통신단말장치로부터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이용패턴에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시스템.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상기 이용패턴에 기초한 건강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시스템.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는 긴급구조 요청에 관한 안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기반 헬스케어 알림정보를 수신한 대상자의 통신단말장치로부터 긴급구조 신호가 회신되는 경우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위급상황 알림정보를 사전 설정된 관계자의 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방지 시스템.
KR1020130163745A 2013-12-26 2013-12-26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131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745A KR102131969B1 (ko) 2013-12-26 2013-12-26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745A KR102131969B1 (ko) 2013-12-26 2013-12-26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612A KR20150075612A (ko) 2015-07-06
KR102131969B1 true KR102131969B1 (ko) 2020-07-08

Family

ID=5378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745A KR102131969B1 (ko) 2013-12-26 2013-12-26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154B1 (ko) 2023-01-25 2023-08-0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5765A (zh) * 2017-05-27 2017-08-08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独居老人预警提醒装置
KR101952286B1 (ko) * 2017-11-22 2019-02-26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이벤트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93307B1 (ko) * 2018-03-26 2019-09-26 주식회사 에이엘에이엔 이웃을 이용한 독거인의 위험상황 처리방법
KR101999377B1 (ko) * 2019-02-08 2019-07-12 주식회사 에이엘에이엔 이웃을 이용한 독거인의 위험상황 처리방법
KR102359660B1 (ko) * 2019-12-19 2022-02-07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이상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05466B1 (ko) 2021-01-25 2022-06-07 (주)텔트론 고독사 통합 감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380B1 (ko) * 2008-06-25 2010-06-07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음성 인식이 가능한 디지털셋탑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621B1 (ko) * 2007-11-23 2009-12-03 (주)테크바일 개인위급상황 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9001B1 (ko) * 2008-12-30 2011-09-30 유넷웨어(주) 낙상 감지 장치 및 낙상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380B1 (ko) * 2008-06-25 2010-06-07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음성 인식이 가능한 디지털셋탑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154B1 (ko) 2023-01-25 2023-08-0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방 패널을 이용한 고독사 및 화재 예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612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969B1 (ko)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US95479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s
US100448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n emergency response
KR102077594B1 (ko)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EP2711906A2 (en) Event notification according to user-definable rules
CA2951761A1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with predictive emergency dispatch risk assessment
KR20140134109A (ko) 독거노인 케어 시스템
JP2016077522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20160122386A (ko) 독거노인 고독사 방치 방지를 위한 센서정보 수집 및 이벤트 발생 시에만 모니터링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반 영상 관리 시스템
US20170295481A1 (en) Auto-Generate Emergency Voice Call Based on Sensor Response and Pre-Entered Data
US10594799B1 (en) Remote monitoring of activity triggered sensors and a customized updating application
KR20090100965A (ko) 보호관찰대상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7452862B2 (ja) 通報処理装置、及び通報処理方法
JP2016170566A (ja) 管理装置、遠隔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77522A1 (en) Emergency data communications for citizen engagement
US103276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validating an alarm situation
KR101409299B1 (ko) 셀프 콜 기능을 갖는 게이트 웨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40308914A1 (en) Mobile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notifying urgent events
KR100886411B1 (ko) 피감시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362223B1 (ko) 취약계층 안전 주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9886840B2 (en) Method for guaranteed delivery of alert notifications through chain-of-command escalation procedures
KR101451010B1 (ko) 실시간 영상정보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TWI816214B (zh) 緊急急救系統及其方法
KR102407150B1 (ko) 지능형 응급상황 알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7409609B2 (ja) 安否確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