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152B1 -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152B1
KR102482152B1 KR1020220014748A KR20220014748A KR102482152B1 KR 102482152 B1 KR102482152 B1 KR 102482152B1 KR 1020220014748 A KR1020220014748 A KR 1020220014748A KR 20220014748 A KR20220014748 A KR 20220014748A KR 102482152 B1 KR102482152 B1 KR 102482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user terminal
service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7102A (ko
Inventor
김종우
윤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드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드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드림스
Priority to KR102022001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1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를 건강 상태에 따라 또는 근무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사용자가 소지한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시간 상태를 추적한 후 최적의 맞춤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상 징후가 확인되었을 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user classification}
본 발명은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를 위험도에 따라 또는 근무환경에 따라 분류를 한 후, 고위험군 사용자나 특수근무투입자의 상태를 실시간 추적한 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산업 발달을 통해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고, 자동차 등의 각종 운송 수단의 보급으로 먼 거리도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인간의 고된 노동과 장소 이동이 기계의 도움으로 한결 수월해 진 것이다.
하지만 육체노동과 도보 이동이 줄어든다는 것은 그만큼 운동량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과거에는 도보 이동과 육체노동을 통해 자연스러운 운동 효과도 기대할 수 있었지만, 사무 업무와 차량 이동이 보편화 된 지금은 따로 계획을 세워 운동을 해야만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 운동 계획을 세우더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의지가 약해지면서 다시 운동 부족에 시달리게 되고, 운동 부족은 비만 등의 각종 질병으로 이어져 개인은 물론 사회적 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건강 상태를 끊임 없이 체크해야 하는 고위험군 환자나, 위험 상황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특수근무자의 경우, 미세한 신체 변화나 환경 변화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본인 스스로 신체나 환경 변화를 인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IT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신체정보를 취득하고 운동 정보나 건강 정보를 제공해 주는 헬스케어 서비스 기술들이 다수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헬스케어 서비스는 질병 예방이나 식단 관리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운동 기록을 저장하고 보여주는 데 그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33898호(2012.04.09.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운동처방 및 운동관리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를 건강 상태에 따라 또는 근무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사용자가 소지한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시간 상태를 추적한 후 최적의 맞춤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상 징후가 확인되었을 시 신속한 조치가 가능토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신체정보를 수신하여 운용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신체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운용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운용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신체정보를 수집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운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운용부는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유형을 분류한 후, 분류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운용부는 상기 신체정보에 포함된 복수 종류의 신체정보들을 기 저장된 통계 데이터와 비교하여 종류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점수화하여 고위험군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수근무자 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운용서버 측으로 전송하며, 상기 운용서버의 서비스 운용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특수근무자로 확인된 사용자가 특수근무에 투입되는지를 확인하고, 특수근무에 투입된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복수 사용자를 그룹화 하며, 그룹화된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모니터링 한 후 특정 사용자에게 이상 징후가 확인되면 상기 그룹화된 사용자 모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그룹화된 사용자 모두에게 알림 메시지에 대한 회신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미리 지정돤 지정관리자 측으로 응급 구호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단말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신체정보를 수집하고, 실시간 신체정보의 변화 또는 일정 기간 동안의 신체정보 변화를 분석하여 고위험군 환자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고, 사용자의 등급 분류에 따라 복약지도, 운동정보 제공, 식단 정보 제공, 위험 활동 중단 권고 등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토록 할 수 있다.
더불어 특수근무자인 사용자의 경우 특수근무 투입이 확인될 경우 측정정보 수집 주기를 단축하여 집중 모니터링 하고, 일정 반경 아내의 특수근무 투입자들을 그룹화 하여 특정인에게 이상 징후가 발생하였을 시, 그룹 내에 있거나 그룹에서 막 벗어난 사용자에게 통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위험 상황에 처한 특수근무자를 관리하고 신속한 구호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을 맞춤 정보가 제공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특수근무지에서 근무하는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확인하고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고 함)은 운용서버(10), 사용자단말(20), 웨어러블 디바이스(30), 건강관리 디바이스(40) 및 외부서버(50)를 포함한다.
운용서버(10)는 사용자 측으로 맞춤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등록된 사용자정보를 관리하며, 사용자단말(2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들을 통해 고위험군 사용자나 특수근무자의 이상 징후를 파악하고 후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운용서버(10)는 통신부(11), 서비스운용부(12) 및 데이터베이스(13)를 포함한다.
통신부(11)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20) 및 외부서버(5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서비스운용부(12)는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반적인 데이터를 분석 및 관리한다. 즉 서비스운용부(12)는 통신부(11)를 통해 사용자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기본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하고, 또한 사용자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정보와 추가정보를 분석하여 고위험군 사용자인지 등을 분류하여 판단정보로써 저장하고 밀착 추적을 수행하며, 고위험군 사용자나 특수근무자가 특수근무지에 투입되었을 경우 이상 징후를 판단한 뒤 맞춤 건강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운용부(12)는 사용자의 유형을 분류한 뒤 사용자에게 특화된 맞춤 건강 서비스를 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단말(20)로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13)는 사용자단말(20)이나 외부서버(5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여 회원관리를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측정정보나 추가정보를 각 사용자별로 매칭 저장하여 서비스운용부(12)에서 분석이나 맞춤 정보 제공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크게 기본정보, 측정정보, 추가정보, 판단정보 및 서비스정보를 포함한다.
기본정보란 회원정보, 즉 사용자에 대한 기초정보를 말한다. 예컨대 기본정보로는 소속, 특수근무자 여부, 이름, 성별, 나이, 키, 체중, 지정관리자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정보는 사용자단말(20)에서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회원가입 과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들일 수 있다. 또한 지정관리자정보의 경우 본 서비스를 단체 이용하기 위해 제휴를 맺은 제휴사의 지정관리자로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측정정보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단말(20), 웨어러블 디바이스(30), 또는 건강관리 디바이스(40)에서 수집되어 통신부(11)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말한다. 예컨대 측정정보는 위치정보, 걸음수, 계단오르기정보, 혈압, 혈당, 심박수, 산소포화도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정보는 각 사용자의 기본정보에 매칭 저장된다. 또한 측정정보는 사용자단말(2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된 바에 따라 일정 주기로 수집되며, 만약 특정 사용자가 고위험군이거나 특수근무지에 투입된 사용자인 것이 판단되었다면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측정 주기를 줄여주어 집중 추적 관리가 가능토록 할 수 있다.
추가정보란 사용자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또는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시 추가로 수집하는 정보를 말한다. 예컨대 추가정보로는 사용자단말(20)에서 입력된 설문조사정보이거나, 제휴 병원 등에서 운영하는 외부서버(50)로부터 수집되는 진단정보(건강검진 데이터 등)이거나, 사용자단말(20)에서 직접 입력한 수면시간정보, 스트레스지수 정보, 감정지수 정보 등일 수 있다.
판단정보란 서비스운용부(12)에서 기본정보, 측정정보 및 추가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한 사용자 유형에 대한 분류정보를 말한다. 예컨대 서비스운용부(12)는 사용자를 일반 사용자, 관심 사용자, 고위험군 사용자로 분류하여 판단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운용부(12)는 사용자를 일반근무자와 특수근무자로 분류하여 판단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근무자란 업무 특성상 위험 요소가 높은 직종이거나 근무지가 위험지역(산악, 하천 등)인 경우를 말하며, 소속에 따라 자동 분류되거나 위치정보를 통해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판단정보로 보조관리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기본정보에서 설명한 지정관리자는 사용자의 소속 회사의 건강관리 담당자나 인사 담당자 등의 책임자로 미리 고정될 수 있지만, 보조관리자는 특수근무자의 근무 위치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된다. 보조관리자에 대해서는 도6을 통해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서비스정보란 사용자단말(20)로 제공되는 건강 및 운동관련 정보들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정보가 미리 분류된 사용자 유형(판단정보)에 따라 카테고리가 분류되어 있고, 각 사용자마다 분류 유형에 맞는 최적화된 카테고리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은 운용서버(10) 측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나 측정된 정보를 제공하고, 운용서버(10)에서 제공하는 맞춤 건강 서비스 정보를 출력해주는 단말이다. 이러한 사용자단말(2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스마트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20)은 통신수단(21), 화면출력수단(22), 키입력수단(23), 음성출력수단(24), GPS모듈(25), 센싱수단(26) 및 앱운용수단(27)을 포함한다.
통신수단(21)은 운용서버(10), 웨어러블 디바이스(30) 및 건강관리 디바이스(4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통신수단(21)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용서버(10)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30)나 건강관리 디바이스(40)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화면출력수단(22)은 전용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하거나, 운용서버(10)에서 제공되는 맞춤 건강 서비스 정보를 화면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키입력수단(23)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 화면출력수단(22)과 일체형인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출력수단(24)은 사용자 측으로 오디오 형태의 맞춤 건강 서비스 정보를 출력해주거나, 이상 징후 발생시 사용자에게 경고를 발생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GPS모듈(25)은 사용자단말(2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
센싱수단(26)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등을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센싱수단(26)으로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방위각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앱운용수단(27)은 사용자단말(20)에 설치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전반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운용서버(10) 측으로 전송하거나, 센싱수단(26)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30)의 정보 측정 주기 등을 제어하고 수집된 정보를 운용서버(10) 측으로 전송해 주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앱운용수단(27)은 운용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맞춤 건강 서비스 정보를 화면출력수단(22)이나 음성출력수단(24)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사용자의 건강정보나 운동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통신모듈(31) 및 센서모듈(32)을 포함한다.
통신모듈(31)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20)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센서모듈(32)에서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센서모듈(32)은 사용자의 건강정보 또는 운동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을 말한다. 예컨대 센서모듈(32)로는 체온, 혈압, 심박수 등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건강관리 디바이스(40)는 사용자단말(20)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서 측정하지 못하는 건강정보 또는 운동정보를 수집하고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수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말한다. 예컨대 건강관리 디바이스(40)로는 스마트체중계, 혈당측정기가 있을 수 있다.
외부서버(50)는 본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제휴된 병원에서 운용하는 서버이거나, 개인 또는 특정 그룹의 사용자들을 관리하는 지정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이거나, 응급구조를 위한 소방서 등의 구호단체에서 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상 도1 및 도2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하 도3 내지 도5를 통해 설명하게 되는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해 더욱 구체화 될 것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맞춤 건강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운용서버(10)와 미리 제휴를 맺은 회사나 단체에 소속된 사용자라고 가정하며, 운용서버(1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사용자단말(20)에 설치되어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30)도 착용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을 통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 소속, 특수근무자 여부, 이름, 성별, 나이, 키, 체중, 지정관리자 정보 등의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운용서버(10)의 서비스운용부(12)는 통신부(11)를 통해 기본정보를 수집한 후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마친다. 물론 회원가입 절차에 있어서 사용자단말(20)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신체정보가 운용서버(10)에 제공된 후 활용될 것이라는 동의 절차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후 사용자단말(20)의 앱운용수단(27)은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센싱수단(26),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의 센서모듈(32), 또는 건강관리 디바이스(40)에서 측정한 측정정보를 운용서버(10) 측으로 전송한다. 앱운용수단(27)은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측정정보를 운용서버(1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앱운용수단(27)은 화면출력수단(22)을 통해 건강관련 설문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키입력수단(23)을 통해 설문에 응하면 취합된 설문조사 정보를 운용서버(1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앱운용수단(27)에서 주기적으로 측정된 측정정보와 설문조사 등의 추가정보를 운용서버(10)로 전송하면, 운용서버(10)의 서비스운용부(12)는 측정정보와 추가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의 해당 사용자 기본정보에 매칭 저장한다.
더불어 운용서버(10)는 제휴 병원 등의 외부서버(50)로부터 사용자의 건강검진 데이터나 진단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운용부(12)는 해당 사용자 기본정보에 진단정보 등의 추가정보를 매칭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운용서버(10)의 서비스운용부(12)에서 사용자단말(20) 및 외부서버(50)로부터 기본정보, 측정정보 및 추가정보를 수신<S305>하고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한 이후, 서비스운용부(12)는 기본정보, 측정정보 및 추가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유형을 분류한 후 판단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에 업데이트 한다. 예컨대 서비스운용부(12)는 사용자를 일반사용자, 관심사용자 및 고위험군 사용자로 분류하고 판단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운용부(12)는 사용자단말(20) 측으로 건강관리 또는 운동관련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서비스운용부(12)는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된 서비스정보 중 사용자의 분류정보에 따라 추출된 맞춤형 정보를 제공<S315>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분류 유형 중 고위험군 사용자의 경우 다른 사용자보다 정밀하게 추적하고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서버(10)는 고위험군 사용자를 객관적인 지표를 통해 자동 분류토록 하고 있다. 고위험군 사용자를 분류하는 방식에 대해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용서버(10)의 서비스운용부(12)는 수집된 기본정보, 측정정보 및 추가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분류할 시 일반적인 사용자의 평균 데이터에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를 점수화 한 후 고위험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미국 질병 통제 예방센터의 보고서에 따르면 20세에서 39세 사이의 남성은 심박수가 평균 61~76bpm, 총범위는 52~89bpm인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사전 통계 자료는 미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만약 특정 사용자가 38세 남성이고 안정시의 심박수가 70bpm으로 측정되었다면, 서비스운용부(12)는 해당 사용자의 점수를 100점으로 부여하고, 만약 80bpm으로 나왔다면 92점으로 점수화 할 수 있다. 점수 부여 알고리즘은 기준치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곱하여 차감하는 방식이다. 또한 서비스운용부(12)는 산출된 점수의 범위에 따라 질병으로 구분되는 수준에 이르렀다면,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운동중인지 여부를 묻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단말(20)에서 운동중이라는 확인 버튼이 입력되면, 서비스운용부(12)는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정상으로 판단한다. 반면 사용자단말(20)로부터 운동중이 아니라는 회신을 받았다면 서비스운용부(12)는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재측정을 권고하고, 재측정 후에도 비정상 수치가 계속되면 사용자에게 안정을 취할 것을 권고한다.
한편 서비스운용부(12)는 사용자의 유형을 분류할 시 단일 측정정보만으로 분류하지 아니하고 장기간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하여 분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수개월동안 수집되어 누적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평균 심박수가 지난달 기준으로 70bpm이 나왔다면, 이번달 평균 심박수가 70bpm으로부터 얼만큼 떨어져 있는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점수를 산출하고 고위험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서비스운용부(12)는 사용자의 월별 평균 수치를 통계에 따른 일반적인 수치와 비교하여 질병 분류 기준을 넘어간다면, 사용자단말(20) 측으로 병원 내원을 안내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판단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병원 진료를 받은 후 이상이 없다는 것을 사용자단말(20)에서 입력하여 운용서버(10)로 전송하거나, 병원에서 운용하는 외부서버(50)에서 해당 사용자의 진단정보를 운용서버(10)로 전송하였다면, 서비스운용부(12)가 해당 사용자의 위험군 분류를 조절한 후 이력관리에 첨부하고, 다음달 재등급 심사를 통해 고위험군 여부를 자동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심박수를 통해 점수를 부여하고 위험 등급을 나누었는데, 심박수 외에도 수면시간, 걸음수, 운동시간, 칼로리 소모, 스트레스 지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점수화 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고 종합 점수를 산출 한후 위험군을 분류할 수도 있다.
더불어 사용자단말(20)에서 입력한 건강관련 설문조사 정보를 분석하여 고위험군 사용자로 분류하고, 추후 운용자단말 또는 지정관리자가 사용하는 운용서버(10) 측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데이터를 검토한 후 고위험군 판단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물론 운용서버(10)의 서비스운용부(12)에서 기본정보, 측정정보, 추가정보를 이용하여 고위험군 사용자를 자동 분류하는 방식 외에도 운용자나 지정관리자가 사용자의 등급을 분류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나면 서비스운용부(12)는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서비스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의 분류 유형에 따라 서비스정보의 카테고리도 분류하여 제공한다.
예컨대 혈압 수치에 따라 매우좋음, 좋음, 보통, 주의, 위험, 고위험으로 등급을 분류하고 걸음수, 혈당, 운동시간, 수면시간, 스트레스지수, 감정지수 등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등급을 분류한 후, 서비스운용부(12)가 각각의 등급 분류에 대응하는 서비스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에서 추출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4는 사용자단말(20)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4의 (a)를 참조하면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으로 사용자의 종합 건강지수, 그리고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통계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도4의 (b)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지표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도4의 (c)를 통해 사용자의 감정지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4의 (d)를 통해 사용자 주변의 산책 또는 운동 코스 등의 정보를 추천해 줄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운용부(12)는 고위험군 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에 대해 알림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예컨대 저혈압으로 분류된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30)를 통해 혈압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확인하였을 때, 평소 수치보다 10mmHg 이상 낮은 것이 확인되면 사용자단말(20) 측으로 경고 알림 정보를 제공하고, 추가로 저혈압과 관련된 음식 정보, 운동 정보, 복약 지도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서비스운용부(12)는 비만군으로 분류된 사용자에게는 매일 오후 6시에 걸음수를 확인하여 동일 성별, 동일 나이대 사용자의 평균 걸음수를 비교한 후, 일정 걸음수 이상 차이가 날 경우 운동을 격려하는 알림 정보를 보내어 운동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서비스운용부(12)는 고위험군 사용자로 분류된 사용자에 대하여 지정관리자에게 명단을 제공하고 상담이나 업무상 배려, 업무 이동 등의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감정지수가 불안정한 사용자에 대하여 그의 지정관리자에게 안내 정보를 제공하면,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고위험군 사용자에게 관심을 갖고 상담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빠른 회복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특수근무지에서 근무하는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확인하고 맞춤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도3의 과정에서 서비스운용부(12)가 사용자단말(20)로부터 기본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한 결과 해당 사용자가 특수근무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운용부(12)는 측정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위치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가 특수근무에 투입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물론 특수근무지에 투입되었는지 여부는 사용자단말(20)의 앱운용수단(27)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즉 전용애플리케이션에 특수근무자임이 설정되면 앱운용수단(27)은 GPS모듈(25)을 통해 수집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가 고위험지역(산악, 하천 등)에 투입되어 특수근무를 시작하였는지 확인<S505>하는 것이다.
만약 앱운용수단(27)에서 또는 서비스운용부(12)에서 특수근무에 투입된 것이 확인되었다면<S510>, 앱운용수단(27)은 측정정보의 수집 및 운용서버(10)로 전송하는 주기를 단축시킨다. 즉 특수근무를 시작하는 경우 위험 요소에 직접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집중 모니터링이 필요하므로 측정정보 전송 주기를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용서버(10)의 서비스운용부(12)는 특정 사용자가 특수근무에 투입된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 해당 사용자의 일정 반경 이내에 또 다른 특수근무 투입자가 있는지 확인하고, 일정 반경 이내에 투입된 특수근무자 들에 대하여 사용자들을 그룹화<S515> 시킨다. 일정 반경 이내에 투입된 특수근무자들을 그룹화 하는 이유는 각 사용자 모두가 모니터링 되어야 하는 이유도 있지만, 어느 한명의 사용자에게 위험이 닥쳤을 때 가장 근거리에 있는 다른 사용자는 관리자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한번 그룹화가 이루어진 두명 이상의 사용자 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 멀어진 사용자들은 그룹에서 해제되지만, 서비스운용부(12)는 상대방 사용자를 보조관리자로써 판단정보에 업데이트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단말(2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수근무에 투입이 시작된 것을 확인하여 단축된 주기로 측정정보를 운용서버(10)로 전송하면, 운용서버(10)의 서비스운용부(12)는 기본정보 및 측정정보를 실시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발생하였는지 판단<S520>한다. 예컨대 걸음수의 변화가 없다거나, 심박수나 혈압 수치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만약 특정 사용자에게 이상 징후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다면<S525>, 서비스운용부(12)는 그룹화된 사용자 모두에게 이상 징후가 확인 되었다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회신이 오는지 확인<S530>한다. 이상 징후가 발생한 사용자 뿐 아니라 그룹화된 사용자에게 모두 전송하는 이유는, 이상 징후가 발생한 사용자의 경우 실제 몸에 이상이 생겨 확인 버튼이나, 도움 버튼을 직접 누를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을 수도 있고, 다른 사용자의 경우 해당 메시지를 확인하고 즉시 동료에게 접근하여 상태를 확인한 후 외부 도움을 요청하거나 응급 구호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룹화된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단말(20)에서라도 정상 상태라는 회신이 접수되었다면<S535> 이상이 없음이 확인된 것이므로 비상 상황을 해제한다.
반면 그룹화된 양쪽 사용자 모두에게 회신이 없다면, 사용자의 상태 확인이 되지 않은 것이므로, 서비스운용부(12)는 즉시 지정관리자와 응급구호센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S540>한다. 이때 서비스운용부(12)는 미리 지정된 지정관리자 외에 최근에 그룹화되었다가 장소를 이탈하여 그룹이 해제된 보조관리자에게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보조관리자는 가장 최근 시간까지 해당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현장에 관한 정보를 많이 알고 있는 자이다. 따라서 보조관리자를 통해 현장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응급 구호 조치가 원활해질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예시 외에도, 운용서버(10)는 GPS모듈(25)을 통한 좌표 정보와 지도데이터 및 사용자의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다른 맞춤 건강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심박수가 급격히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는데, GPS모듈(25)을 통한 좌표 정보와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한 결과, 사용자의 위치가 산악 지대 또는 체육시설인 것이 함께 확인되었다면,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산악활동이나 체육활동을 중단할 수 있도록 경고 메시지를 전송해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심박수 등의 신체관련 정보의 수치가 기준을 벗어난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때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빠르고 이동 궤적이 도로인 것이 확인되었다면, 사용자가 운전중인 것이라 판단하고 즉시 운전을 중단토록 하는 알람을 사용자단말(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 사용자의 위치가 체육시설인 것이 확인된 상태에서 심박수가 소정 범위 이내에서 증가하였다면 별도의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운동중인지 확인하는 메시지를 사용자단말(20)로 전송할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운동중이라는 확인 메시지에 회신을 하면 추가 조치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회신이 없다면 지정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위치가 의료시설인 것이 확인된 상태에서 혈압이나 다른 신체정보가 급격히 변동되는 것이 확인되었다면, 서비스운용부(12)는 사용자단말(20) 측으로 투약 또는 치료 중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회신이 없을 경우 당사자와 지정관리자에게 즉시 통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단말(2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30)를 통해 신체정보를 수집하고, 실시간 신체정보의 변화 또는 일정 기간 동안의 신체정보 변화를 분석하여 고위험군 환자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고, 사용자의 등급 분류에 따라 복약지도, 운동정보 제공, 식단 정보 제공, 위험 활동 중단 권고 등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토록 할 수 있다.
더불어 특수근무자인 사용자의 경우 특수근무 투입이 확인될 경우 측정정보 수집 주기를 단축하여 집중 모니터링 하고, 일정 반경 아내의 특수근무 투입자들을 그룹화 하여 특정인에게 이상 징후가 발생하였을 시, 그룹 내에 있거나 그룹에서 막 벗어난 사용자에게 통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위험 상황에 처한 특수근무자를 관리하고 신속한 구호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운용서버
11 : 통신부
12 : 서비스운용부
13 : 데이터베이스
20 : 사용자단말
21 : 통신수단
22 : 화면출력수단
23 : 키입력수단
24 : 음성출력수단
25 : GPS모듈
26 : 센싱수단
27 : 앱운용수단
30 : 웨어러블 디바이스
31 : 통신모듈
32 : 센서모듈
40 : 건강관리 디바이스
50 : 외부서버

Claims (3)

  1. 삭제
  2.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신체정보를 수신하여 운용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신체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운용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용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신체정보를 수집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운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운용부는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유형을 분류한 후, 분류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수근무자 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운용서버 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위치정보를 통해 특수근무에 투입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수집된 신체정보를 상기 운용서버로 전송하는 주기를 단축시키고,
    상기 운용서버의 서비스운용부는, 특수근무에 투입된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복수 사용자를 그룹화 하며 그룹화된 사용자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멀어진 사용자를 그룹에서 해제하면서 보조관리자로서 업데이트 저장하고, 그룹화된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모니터링 한 후 특정 사용자에게 이상 징후가 확인되면 상기 그룹화된 사용자 모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그룹화된 사용자 모두에게 알림 메시지에 대한 회신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미리 지정된 지정관리자와 그룹에서 해제된 보조관리자 측으로 응급 구호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운용부는 상기 신체정보에 포함된 복수 종류의 신체정보들을 기 저장된 통계 데이터와 비교하여 종류별 가중치를 부여한 후 점수화하여 고위험군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14748A 2019-09-30 2022-02-04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8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748A KR102482152B1 (ko) 2019-09-30 2022-02-04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42A KR20210038202A (ko) 2019-09-30 2019-09-30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14748A KR102482152B1 (ko) 2019-09-30 2022-02-04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042A Division KR20210038202A (ko) 2019-09-30 2019-09-30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102A KR20220027102A (ko) 2022-03-07
KR102482152B1 true KR102482152B1 (ko) 2022-12-29

Family

ID=754695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042A KR20210038202A (ko) 2019-09-30 2019-09-30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14748A KR102482152B1 (ko) 2019-09-30 2022-02-04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042A KR20210038202A (ko) 2019-09-30 2019-09-30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382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945B1 (ko) * 2021-04-09 2023-06-20 주식회사 이엠비 집단시설 인원들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151B1 (ko) * 2018-03-28 2019-02-14 주식회사 라이프트리솔루션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048B1 (ko) * 2018-01-29 2019-10-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 기반의 예방 의료정보 제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151B1 (ko) * 2018-03-28 2019-02-14 주식회사 라이프트리솔루션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102A (ko) 2022-03-07
KR20210038202A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0069B2 (en) Computer-aided dispatch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biometrics to assess responder condition and suitability
US10607469B2 (en) Methods for detecting and handling fall and perimeter breach events for residents of an assisted living facility
US8852093B2 (en) Home care logistics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CN10360591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社区智能医护系统控制方法
US201400524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JP6551959B1 (ja) ソフトウェア、健康状態判定装置及び健康状態判定方法
US20190378620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medical for optimizing clinical care delivery
JP6719799B1 (ja) ソフトウェア、健康状態判定装置及び健康状態判定方法
KR102482152B1 (ko) 고위험군 사용자 분류를 통한 맞춤 건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60015431A (ko)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7407419B2 (ja) 体調評価方法、および、体調評価システム
CN107516003A (zh) 动态问卷调查方法
KR101879749B1 (ko)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4092946A (ja) 個人情報公開システム及び個人情報公開方法
JP2014092945A (ja) 身体状況判定システム及び身体状況判定方法
AU20222013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an operator in an emergency situation involving a patient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Caporusso et al. A pervasive solution for risk awareness in the context of fall prevention
JP2022086699A (ja) 体調評価方法、および、体調評価システム
KR102380129B1 (ko) 심박수를 활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20732B1 (ja) ウエアラブル端末を用いた総合体調管理システムおよび総合体調管理方法
KR20220060087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수집 및 개인 의료용 클라우드 시스템
JP2020018675A (ja) 表示システム
KR20200141612A (ko)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및 긴급알림 시스템
CN117238533A (zh) 基于智能穿戴和实时诊断以及知识图谱的医疗护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