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749B1 -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749B1
KR101879749B1 KR1020100134224A KR20100134224A KR101879749B1 KR 101879749 B1 KR101879749 B1 KR 101879749B1 KR 1020100134224 A KR1020100134224 A KR 1020100134224A KR 20100134224 A KR20100134224 A KR 20100134224A KR 101879749 B1 KR101879749 B1 KR 101879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thmatic
symptom
data
patien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464A (ko
Inventor
박진우
장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3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7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식 질환을 가진 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천식 질환에 대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직접 입력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전송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송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및 약물 처방을 수행한 후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식 환자가 시간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 없이 천식 증상을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Mobile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sthma for patient and medical team}
본 발명은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인 천식 질환을 가진 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진의 진료를 받지 않고도 모바일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든지 천식 질환에 대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식은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나타나는 대표적인 환경성 질환으로 주요 원인 및 악화 인자로는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바퀴 항원 등 원인 알레르겐 노출과 감기, 인플루엔자, 담배연기, 및 대기오염 등이 있으며, 평소에는 멀쩡해 보이던 환자가 치료를 제대로 받지 않거나 악화 인자에 노출되는 경우 숨을 쉴 수 없을 정도로 심한 호홉 곤란을 동반하는 천식 발작을 일으켜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환자 스스로에 의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최근 의학 기술의 발달에 따라 환자 개인이 자신의 질환에 대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심전도, 체온, 혈압, 맥박, 및 혈전량 등 환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다수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만, 천식의 경우 꾸준한 치료 외에 급성 악화 시의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므로 상기와 같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이용한 관리만으로는 천식 질환이 관리에 한계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천식 질환에 대한 염증의 꾸준한 치료뿐만 아니라 급성 악화 시의 긴밀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천식 질환을 가진 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조와 소통에 의해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천식 질환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미리 판단된 주기에 따라 천식 환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증상 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진이 언제 어디서든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 천식 증상 진단, 및 천식 증상 진단에 따른 약물 처방을 수행한 후 천식 증상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다시 천식 환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천식 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진의 진료를 받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든 천식 질환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의 천식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으로 의료진과 천식 환자 간의 양방향 소통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관리를 위한 환자와 의료진과의 상호 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의 천식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방법은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직접 입력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전송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송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및 약물 처방을 수행한 후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은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직접 입력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 및 상기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및 약물 처방을 수행한 후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천식 증상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식 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진의 진료를 받지 않고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태 진단을 위한 증상 판단 데이터를 의료진 측으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천식 증상에 대한 진단 및 진단에 따른 약물 처방을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시간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 없이 천식 증상을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의료진이 천식 환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천식 증상 판단 데이터 및 천식 증상 판단 데이터를 토대로 천식 증상 위험 판단부에서 판단되는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전송받아 천식 환자의 증상에 대한 진단 및 진단에 따른 약물 처방을 제공할 수 천식 환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이 시간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 없이 천식 환자의 관리를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의료진과 천식 환자 간의 양방향 소통이 천식 환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와 의료진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관리를 위한 환자와 의료진과의 상호 작용이 원활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에 대한 참고도,
도 3는 도 1의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에 대한 상세 블록도,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과정에 대한 참고도,
도 9 내지 도 12는 도 1의 천식 증상 진단부의 동작 과정에 대한 참고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4는 도 13의 S20에 대한 상세 순서도, 및
도 15는 도 13의 S30에 대한 상세 순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1)은 모바일 단말기(10),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 최대 호기 속도 데이터 베이스(30), 및 천식 증상 진단부(40)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직접 입력되는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로 전송한다.
이때, 외부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에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는 호기 속도(Peak Expiratory Flow:PEF) 데이터 또는 1초강제날숨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데이터 등의 폐기능 데이터일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10)에 직접 입력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는 상기 천식 환자의 호홉음 데이터 또는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문진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호기 속도 데이터 또는 상기 1초강제날숨량 데이터 등의 폐기능 데이터의 입력은 외부의 호기 속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호기 속도 데이터 또는 외부의 1초강제날숨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1초강제날숨량 데이터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10)에 전송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호홉음 데이터의 입력은 모바일 단말기(10)에 내장되는 녹음 기능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문진 데이터의 입력은 기침, 쌕쌕거림(청명음), 호홉곤란, 일상생활 지장, 천식으로 잠을 깸, 숨차서 말을 못함, 숨차서 못 움직임, 입술 또는 손가락이 파래짐, 및 증상 없음 등과 같이 모바일 단말기(10) 상에 제시되는 복수 개의 항목들 중 상기 천식 환자가 해당하는 항목을 모바일 단말기(10) 상에서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모바일 태블릿일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10)가 수행하는 기능을 스마트폰 또는 모바일 태블릿에서 활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로 구현하여 모바일 단말기(10) 상에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는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를 판단한 후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상기 천식 환자가 상기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 및 상기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천식 증상 진단부(40)로 전송한다.
최대 호기 속도 데이터베이스(30)는 복수의 천식 환자별로 폐기능 데이터인 호기 속도 예측최고치 데이터와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이전에 전송되었던 복수개의 최대 호기 속도 데이터가 누적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고,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증상 판단 데이터와 매칭되는 천식 환자의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 또는 상기 이전에 전송되었던 복수 개의 최대 호기 속도 데이터 중 측정치가 가장 높은 최대 호기 속도 데이터인 개인 측정 최고치 데이터를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로 전송하여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에서 상기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 또는 상기 개인 측정 최고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최대 호기 속도 데이터베이스(30)는 상기 호기 속도 예측치 데이터 또는 상기 이전에 전송되었던 복수 개의 최대 호기 속도 데이터를 천식 증상 판단부(40)로 전송하여 천식 증상 판단부(40)에서 상기 천식 환자의 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천식 환자별 성별, 나이, 및 신장 등에 따라 산출 가능한 예측 최고치일 수 있으며 상기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의 일 예인 Hankinson(NHANES III) Predicted Values 의 경우 상기 환자의 성별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0085496704-pat00001
여기에서, MPEFR은 남성의 최대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A는 나이, 및 H는 신장을 의미한다.
Figure 112010085496704-pat00002
여기에서, FPEFR은 여성의 최대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A는 나이, 및 H는 신장을 의미한다.
이때,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의 상세 구성 및 동작 과정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천식 증상 진단부(40)는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및 약물 처방을 수행한 후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때, 천식 증상 진단부(4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의 전자 의무 기록(Electronic Medial Record:EMR) 시스템과 연계하여 기존에 이루어진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약물 처방 정보를 상기 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후 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천식 증상 진단부(40)는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로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판단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천식 증상 진단부(40)의 상세 동작 과정은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의 참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의 경우 천식 증상 진단부(40)가 수행하는 기능을 스마트폰 또는 모바일 태블릿 등에서 활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로 구현하여 스마트폰 또는 모바일 태블릿 등의 의료진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M)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의료진이 퇴근 또는 출장 등과 같이 천식 증상 진단부(40)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이탈하여 천식 증상 진단부(40)를 직접 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의료진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M)를 이용하여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및 약물 처방을 수행한 후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여 천식 환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언제 어디서든 환자 및 의료진간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해진다.
또한, 의료진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M)를 이용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 형식의 환자 관리 메시지인 주치의 메시지를 천식 환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천식 환자와 영상 통화 또는 직접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천식 증상 진단부(40)가 의료진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M)로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외에 천식 증상 판단부(40)에서 생성되는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의료진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M)로 전송함으로써 천식 전문의가 아닌 의료진의 경우에도 천식 증상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M) 상에서 확인하여 천식 환자에 대한 진료가 가능한 일종의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는 도 1의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는 데이터 송수신부(21),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23), 및 제2 증상 위험도 판단부(25)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수신부(21)는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 및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23)와 제2 증상 위험도 판단부(25)에서 1차 판단 및 2차 판단이 이루어진 후 생성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천식 증상 진단부(40)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21),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 중 호기 속도 데이터와 최대 호기 속도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폐기능 데이터인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 또는 개인 최고 측정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를 1차 판단하는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23), 및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23)에서 1차 판단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와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 중 문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를 2차 판단한 후 상기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증상 위험도 판단부(25)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23)는 상기 천식 환자의 호기 속도 데이터와 상기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호기 속도 데이터가 상기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 또는 상기 개인 최고 측정치 데이터의 80퍼센트 이상인 경우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를 '양호' 상태로 1차 판단하고, 상기 천식 환자의 호기 속도 데이터가 상기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 또는 상기 개인 최고 측정치 데이터의 60퍼센트 이상 내지 80퍼센트 미만인 경우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를 '주의' 상태로 1차 판단하며, 상기 천식 환자의 호기 속도 데이터가 상기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 또는 상기 개인 최고 측정치 데이터의 60퍼센트 미만인 경우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를 '응급' 상태로 1차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증상 위험도 판단부(25)는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23)에서 1차 판단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가 '양호' 상태이고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환자에 대한 문진 데이터 중 '증상 없음'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를 '양호' 상태로 2차 판단할 수 있고, 상기 1차 판단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가 '주의' 상태이고 상기 환자에 대한 문진 데이터 중 '기침', '쌕쌕거림(청명음)', '호홉곤란', 및 '일상생활 지장'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를 '주의' 상태로 2차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1차 판단된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가 '주의' 상태이고 이전에 1차 판단되었던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가 '주의' 상태인 경우 상기 환자에 대한 문진 데이터와 상관없이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를 '위험' 상태로 2차 판단할 수 있고, 상기 1차 판단된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가 '응급' 상태이고 상기 환자에 대한 문진 데이터 중 '숨차서 말 못함', '숨차서 못 움직임',및 '입술 또는 손가락 파래짐'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를 '응급' 상태로 2차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는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양호', '주의', '위험', 및 '응급'의 4단계로 판단할 수 있으며, 단순히 미리 결정된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에 의해 의해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에 비해 천식 환자에 의해 개인 측정되어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미리 결정된 주기로 지속적으로 전송되며 환자의 측정 당시의 상태에 따라 변동되는 호기 속도(Peak Expiratory Flow:PEF)데이터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판단하므로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의 정확성이 담보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에 대한 참고도이다.
이때,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모바일 단말기(10)가 수행하는 기능을 스마트폰 또는 PDA 폰에서 활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로 구현한 경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써, 도 4의 (a) 내지 (c)와 같이 천식 증상 진단부(40)가 모바일 단말기(10)에 부여할 수 있는 인증 번호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로그인 과정에서 입력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천식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5의 (a) 내지 (c)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천식 환자가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10) 화면상에서 입력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서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입력하는 날짜와 시간을 지정하고,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 중 외부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에 전송될 수 있는 호기 속도(Peak Expiratory Flow:PEF)를 입력하며, 도 5의 (c)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 상에 제시되는 복수 개의 문진 데이터 항목들 중 상기 천식 환자가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 중 문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a) 내지 (c)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천식 환자가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상기 증상 판단 데이터에 따라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에서 판단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 및 천식 증상 진단부(40)에서 진단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진단 데이터와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상기 증상 판단 데이터가 입력된 날짜와 시간을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서 도 6의 (a)와 같이 날짜와 시간별로 나열된 상기 증상 판단 데이터 입력 목록을 확인한 후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고,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선택에 따른 상기 증상 판단 데이터를 확인하며, 도 6의 (c)와 같이 상기 확인된 증상 판단 데이터에 따른 천식 진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a) 내지 (c)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천식 환자가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에서 판단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 데이터와 천식 증상 진단부(40)에서 판단된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받은 후 이에 따라 환자 자신의 능동적인 행동 또는 의료진과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데, 다시 말해서 도 7의 (a)와 같이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가 '양호' 상태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의료진의 가이드 정보 및 치료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도 7의 (b)와 같이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가 '위험' 상태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의료진의 가이드 정보 확인 및 의료진 또는 119와 전화 직통 연결이 가능하며, 도 7의 (c)와 같이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위험도가 '응급' 상태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의료진의 가이드 정보 확인 및 의료진과 또는 119와 전화 직통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천식 환자가 천식 증상 진단부(40)를 운용하는 의료진으로부터 직접 문자 메세지를 전송받거나, 도 8의 (b)와 같이 상기 천식 환자의 폐기능을 일자별로 형성되는 그래프 형태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질병 관리에 대한 능동적인 관심과 노력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2은 도 1의 천식 증상 진단부의 동작에 대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식 증상 진단부(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천식 환자에 대한 증상 판단 데이터 및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한 후 선택된 천식 환자별 증상 판단 데이터 및 천식 증상 위험 데이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천식 환자에 대한 진단을 위해 천식 환자의 호기 속도를 상기 선택된 천식 환자에 대한 증상 판단 데이터가 수신된 날짜를 기준으로 그래프 형태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천식 환자에 대한 증상 판단 데이터가 수신된 날짜를 기준으로 호기 속도(Peak Expiratory Flow:PEF) 데이터,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 및 개인 최고 측정치 데이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자 의무 기록(Electronic Medial Record:EMR) 시스템과 연계하여 상기 선택된 천식 환자에 대한 약물 처방 정보를 상기 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후 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선택된 천식 환자에 대한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방법의 순서도 이다.
S10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외부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되거나 모바일 단말기(10)에 직접 입력되는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로 전송한다.
이때, S10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모바일 태블릿일 수 있고, 외부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에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는 호기 속도(Peak Expiratory Flow:PEF)데이터 또는 1초강제날숨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데이터 등의 폐기능 데이터일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10)에 직접 입력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는 상기 천식 환자의 호홉음 데이터 또는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문진 데이터일 수 있다.
S20에서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가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 및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천식 증상 진단부(40)로 전송한다.
이때, S20의 상세 과정은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S30에서 천식 증상 진단부(40)가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로부터 전송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및 상기 천식 증상 진단에 따른 약물 처방을 수행한 후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하면 종료가 이루어진다.
이때, S30에 이어서 천식 증상 진단부(40)가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로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증상 판단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30의 상세 과정은 이하 도 15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도 12의 S20에 대한 상세 순서도 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2에서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23)가 데이터 송수신부(21)에 수신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 중 호기 속도 데이터와 최대 호기 속도 데이터베이스(30)에 미리 저장된 상기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 또는 상기 개인 측정 최고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1차 판단한다.
이때,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23)가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1차 판단하는 상세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바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S24에서 제2 증상 위험도 판단부(25)가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23)에서 1차 판단된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와 데이터 송수신부(21)에 수신된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증상 판단 데이터 중 문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2차 판단한 후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2 증상 위험도 판단부(25)가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2차 판단하는 상세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바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S26에서 데이터 송수신부(21)가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판단 데이터와 제2 증상 위험도 판단부(25)에서 생성되는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천식 증상 진단부(40)로 전송하면 종료가 이루어진다.
도 15는 도 12의 S30에 대한 상세 순서도 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2에서 천식 증상 진단부(40)가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20)의 제2 증상 위험도 판단부(25)에서 2차 판단된 후 데이터 송수신부(21)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상태를 진단한다.
S34에서 천식 증상 진단부(40)가 S32에서 진단된 결과에 따른 상기 천식 환자의 진단 데이터 및 상기 진단 데이터에 따른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S34에서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는 상기 천식 환자의 진단 데이터 및 외부의 전자 의무 기록(Electronic Medial Record:EMR)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는 상기 천식 환자에게 기존에 처방되었던 약물 처방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S36에서 천식 증상 진단부(40)가 S34에서 생성된 상기 천식 환자의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하면 종료가 이루어진다.
이때, S36에서 천식 증상 진단부(4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정보는 천식 증상 데이터 판단부(20)의 데이터 송수신부(21)를 통하여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환자가 갑자기 닥친 응급 상황에서 본인의 감에 의존하기 보다는 보다 환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임상결정지원시스템인 천식 증상 판단부를 통해 자동 관리를 받고, 의료진도 모바일 단말기로 동시에 전송된 환자의 상태 판정 결과와 URL과 연계된 SMS를 전송 받아 간편하게 환자의 임상 정보에 접속하여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임상결정지원시스템인 천식 증상 판단부를 통해 생성된 환자 상태 판정과 처방 권고를 참고로 하여 적절한 조언과 처방 정보를 환자에게 줄 수 있으므로 환자는 언제 어디서든 천식 질환에 대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고 의료진은 의료진이 언제 어디서든 환자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의 기능을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로 구현하여 모바일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천식 환자와 천식 증상 진단부(40) 또는 천식 증상 진단부(40)의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한 모바일 단말기(M)를 운용하는 의료진과의 양방향 소통이 상기 천식 환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관리를 위한 환자와 의료진과의 상호 작용이 원활해질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
(10) : 모바일 단말기 (20) :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
(21) : 데이터 송수신부 (23) :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
(25): 제2 증상 위험도 판단부 (30) : 최대 호기 속도 데이터 베이스
(40) : 천식 증상 진단부

Claims (11)

  1.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직접 입력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b)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가 상기 전송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천식 증상 진단부가 상기 전송된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및 약물 처방을 수행한 후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는 호기 속도(Peak Expiratory Flow:PEF) 데이터 또는 1초강제날숨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데이터이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직접 입력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항목 중 상기 천식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문진 데이터이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천식 증상 진단부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의료진이 상기 천식 증상 진단부를 직접 운용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천식 증상 진단부가 수행하는 기능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며 상기 천식 증상 진단부로부터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기전송받은 의료진 소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의료인 소지 모바일 단말기는 환자 관리 메시지인 주치의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호기 속도 데이터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천식 환자의 최대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 또는 개인 측정 최고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1차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1차 판단된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와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문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2차 판단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b3)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c2) 상기 진단된 천식 환자의 상태에 따른 진단 데이터와 상기 진단 데이터에 따른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3) 상기 (c2)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천식 환자의 상태에 따른 진단 데이터와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이어서,
    (d) 미리 판단된 주기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판단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방법.
  7.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직접 입력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
    상기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및 약물 처방을 수행한 후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천식 증상 진단부; 및
    상기 천식 증상 진단부가 수행하는 기능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의료진 소지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는 호기 속도(Peak Expiratory:PEF) 데이터 또는 1초강제날숨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데이터이고, 상기 천식 환자의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 또는 개인 최고 측정치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최대 호기 속도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직접 입력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복수 개의 항목 중 상기 천식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문진 데이터이고,
    상기 의료진 소지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천식 증상 진단부로부터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의료진이 상기 천식 증상 진단부를 직접 운용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와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진단 데이터 및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의료인 소지 모바일 단말기는 환자 관리 메시지인 주치의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천식 증상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또는 상기 천식 환자의 증상 판단 데이터 및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상기 천식 증상 진단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천식 환자의 호기 속도 데이터와 상기 호기 속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호기 속도 예측 최고치 데이터 또는 상기 개인 최고 측정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1차 판단하는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 및 상기 제1 증상 위험도 판단부에서 1차 판단된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와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문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천식 환자의 천식 증상 위험도를 2차 판단한 후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위험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증상 위험도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천식 증상 진단부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천식 환자에 대한 천식 증상 판단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천식 관리 시스템.
KR1020100134224A 2010-12-24 2010-12-24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79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224A KR101879749B1 (ko) 2010-12-24 2010-12-24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224A KR101879749B1 (ko) 2010-12-24 2010-12-24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464A KR20120072464A (ko) 2012-07-04
KR101879749B1 true KR101879749B1 (ko) 2018-07-19

Family

ID=4670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224A KR101879749B1 (ko) 2010-12-24 2010-12-24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127B1 (ko) * 2018-11-27 2021-06-16 장민석 증상 기록 및 공유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68506B1 (ko) * 2018-12-27 2021-06-24 서울대학교병원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192953B1 (ko) * 2020-03-31 2020-12-18 신현경 인공지능에 기반한 피부손상 치료 및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KR102524619B1 (ko) * 2020-11-13 2023-04-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기 질환자 관리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810A (ko) * 1999-09-16 2001-04-06 서영돈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020018792A (ko) * 2000-09-04 2002-03-09 최승훈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화상진료시스템 및 방법
JP2002163359A (ja) * 2000-11-27 2002-06-07 Mediva:Kk 医療用診断・処置支援装置、医療用診断・処置支援システム装置および医療用診断・処置支援プログラム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3186995A (ja) * 2001-12-14 2003-07-04 Hitachi Ltd 問診方法
KR20040017031A (ko) * 2002-08-20 2004-02-26 조창호 개인휴대단말기 기반의 모바일 원격진료 시스템
KR20050004367A (ko) * 2003-07-02 2005-01-12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웹기반의 천식 환자 관리 방법 및 천식 환자 관리 시스템
KR20070111112A (ko) * 2006-05-17 2007-11-21 유경진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810A (ko) * 1999-09-16 2001-04-06 서영돈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020018792A (ko) * 2000-09-04 2002-03-09 최승훈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화상진료시스템 및 방법
JP2002163359A (ja) * 2000-11-27 2002-06-07 Mediva:Kk 医療用診断・処置支援装置、医療用診断・処置支援システム装置および医療用診断・処置支援プログラム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3186995A (ja) * 2001-12-14 2003-07-04 Hitachi Ltd 問診方法
KR20040017031A (ko) * 2002-08-20 2004-02-26 조창호 개인휴대단말기 기반의 모바일 원격진료 시스템
KR20050004367A (ko) * 2003-07-02 2005-01-12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웹기반의 천식 환자 관리 방법 및 천식 환자 관리 시스템
KR20070111112A (ko) * 2006-05-17 2007-11-21 유경진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464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8365B1 (en) Patient engagement with clinical trial participants through actionable insights and customized health information
US10679754B2 (en) Systems and methods to improve lung function protocols
Ambrosino et al. Tele-monitoring of ventilator-dependent patients: a European Respiratory Society Statement
Kang et al. Survey on the demand for adop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based services in hospitals: Investigation of nurses' perception in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CN106102571B (zh) 患者监控器和介入/事件时间线
Antoniades et al. Pilot study of remote telemonitoring in COPD
US20150213194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Multi-Format Data Aggregation
AbdulGhaffar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multiple disease monitoring and health improvement system
US20140257850A1 (en) Automated interactive health care application for patient care
EP28920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medical treatment using mobile terminal
US20070271298A1 (en) Method, internet grid platform, and mobile phone for analyzing and managing for telehealth
US20220020487A1 (en) Processing of Portable Device Data
EP1857950A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analysing and managing the health state of a patient
US10347369B1 (en) Patient tracking and dynamic updating of patient profile
WO2005122033A1 (ja) 医療総合情報装置及び医療総合情報システム
US201301105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hronic conditions
US201402762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medical services using a multi-purpose sensor for remote monitoring of a patient
US20180286502A1 (en) Patient data management
US202000582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health monitoring
Işik et al. A low-cost mobile adaptive tracking system for chronic pulmonary patients in home environment
KR101879749B1 (ko)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56263A1 (en) Intelligent Health Home Monitoring System Supporting Congestive Heart Failure Self-Care
KR102144938B1 (ko) 개인건강기록을 이용한 가족력 위험도 산출 방법
US20140297300A1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3241180A (zh) 健康管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