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478A -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478A
KR20160085478A KR1020150002528A KR20150002528A KR20160085478A KR 20160085478 A KR20160085478 A KR 20160085478A KR 1020150002528 A KR1020150002528 A KR 1020150002528A KR 20150002528 A KR20150002528 A KR 20150002528A KR 20160085478 A KR20160085478 A KR 20160085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rug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건
Priority to KR1020150002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5478A/ko
Publication of KR2016008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06F19/3456
    • G06F19/322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단말기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b)단말기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단말기가 환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d)단말기가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e)단말기가 의약품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f)단말기가 의약품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다.

Description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SYSTEM FOR TRANSFUSION/BLEEDING/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혈/채혈/투약 등의 의료행위는 환자의 생명 또는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료행위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의료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 실제로 최근에도 에이즈, 말라리아, B형 간염 등의 전염성 질환 오염 혈액이 다른 사람에게 수혈되거나 수혈용으로 병원 등에 공급된 사례, 전염성 질환 오염 혈액을 원료로 한 혈액제제가 시중에 유통된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염성 질환 오염 혈액이 수혈되는 사고 외에도, 수혈대상자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수혈액이 잘못 수혈되거나, 투약대상자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약품이 잘못 투약되는 등의 의료사고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병원에서 수혈행위가 이루어지는 플로우를 살펴보면, 간호사 또는 간호조무사 등 컴퓨터에 접속가능한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수혈액을 검색하여 수혈팩 용기를 직접 가지고 오며, 수혈대상자 확인 후 수혈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혈 방법에 따르면, 수혈을 행할 권한이 없는 자에 의해서도 수혈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혈팩 용기에 기입된 수혈액 정보를 단순히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후 바로 수혈을 실시하고, 수혈대상자 확인 과정도 이름 등의 간단한 사항만을 확인하므로 수혈대상자가 잘못되거나 잘못된 수혈액을 수혈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10-2014-0124261호는 환자별 수혈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고 수혈 오더를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수혈 정보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에 대해 개시한 바 있지만, 이에 의해서도 권한 없는 자에 의해 수혈 행위가 이루어지거나, 잘못된 대상자에게 수혈을 실시하거나, 잘못된 수혈액을 수혈하는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혈/채혈/투약 등의 의료행위를 실시함에 있어서, 의료행위를 실시할 권한이 있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정확한 방법으로 의약품 정보를 확인하고 수혈/채혈/투약 등의 의료행위가 행해질 대상자를 확인하여 의료행위를 실시함으로써, 잘못된 수혈/채혈/투약행위 등을 방지하고 그로 인한 의료사고를 줄이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단말기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b) 단말기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단말기가 환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d) 단말기가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e) 단말기가 의약품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f) 단말기가 의약품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바코드 인식, QR코드 인식, 또는 직접 입력 방식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 환자 식별 정보, 또는 의약품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단말기가 수혈 관리 모드, 채혈 관리 모드, 및 투약 관리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동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환자 정보와 의약품 정보는 혈액 정보와 투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모드가 수혈 관리 모드 또는 채혈 관리 모드일 때, 단말기가 환자 정보와 의약품 정보를 비교하여 혈액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의약품 정보를 출력하고, 혈액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모드가 투약 관리 모드일 때, 단말기가 환자 정보와 의약품 정보를 비교하여 투약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의약품 정보를 출력하고, 투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식별 정보, 환자 식별 정보, 및 의약품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말기와, 사용자 정보, 환자 정보, 및 의약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와, 단말기와 관리 서버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 환자 정보, 및 의약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바코드 인식, QR코드 인식, 또는 직접 입력 방식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 환자 식별 정보, 또는 의약품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따르면, 의료행위를 실시할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의해 수혈/채혈/투약 등의 의료행위가 행해질 수 있으므로 의료사고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정확한 방법으로 의약품 정보 및 수혈/채혈/투약 등의 의료행위가 행해질 대상자를 확인하여 의료행위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잘못된 수혈/채혈/투약행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4k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이동 단말기와 고정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100)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 조도 센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모션 센서,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지문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100), 관리 서버(200), 및 통신망(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단말기(100) 및 관리 서버(200)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를 의미하지만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으로 관리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유선 단말기 및 휴대폰, PDA 등과 같이 무선으로 관리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모두를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 환자 식별 정보, 및 의약품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통신망(300)을 통해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라 함은 관리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수혈/채혈/투약 등의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자를 의미한다. 사용자 식별 정보, 환자 식별 정보, 및 의약품 식별 정보는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번호 정보 또는 문자 정보일 수 있으며,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형태의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RFID 리더를 통해 취득되는 RFID 코드 형태의 정보일 수도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에는 사용자 이름, 사번, 사용자 ID, password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환자 식별 정보에는 환자 이름, 환자등록번호, 환자 ID, password, 생년월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의약품 식별 정보에는 의약품 용기 번호(ex.수혈팩 용기 번호, 채혈팩 용기 번호), 의약품 코드, 의약품명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식별 정보, 환자 식별 정보, 및 의약품 식별 정보는 센싱부(140) 또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로서, 각각 사용자, 환자, 의약품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정보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가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환자 식별 정보, 또는 의약품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관리 서버(200)의 서버 제어부(210)는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각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가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 제어부(21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검색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사번, ID, 소속, 직급, 생년월일, 주소, 권한등급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베이스(220)에 입력되는 사용자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가 단말기(100)로부터 환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 제어부(210)는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검색한다. 환자 정보는 환자 이름, 환자등록번호, 환자 ID, password, 생년월일, 주소, 진료이력, 혈액형, 혈액 정보, 수혈 및 채혈 이력, 투약 이력, 투약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데이터베이스(220)에 입력되는 환자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가 단말기(100)로부터 의약품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 제어부(210)는 의약품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검색한다. 이 때, 의약품 정보는 의약품 번호, 의약품명, 혈액 정보, 약품 정보, 투약 정보, 수혈액/채혈액 정보, 사용기한, 주의사항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데이터베이스(220)에 입력되는 의약품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에서 검색된 사용자 정보, 환자 정보, 또는 의약품 정보는 서버 통신부(230)를 통해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환자 정보와 의약품 정보를 비교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100) 동작 모드를 수혈 관리 모드, 채혈 관리 모드, 및 투약 관리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는데, 수혈 관리 모드 또는 채혈 관리 모드로 동작시에는 단말기(100)의 제어부(180)가 환자 정보에 포함된 혈액 정보와 의약품 정보에 포함된 혈액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혈액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의약품 정보를 출력부(150)에 출력하고, 혈액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치하지 않음” 등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투약 관리 모드로 동작시에는 단말기(100)의 제어부(180)가 환자 정보에 포함된 투약 정보와 의약품 정보에 포함된 투약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투약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의약품 정보를 출력부(150)에 출력하고, 투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치하지 않음” 등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의약품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100)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서버(200)로 송신한다.(S310) 단말기(100)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에는 바코드 인식, QR코드 인식, RFID코드 인식, 지문 인식 또는 직접 입력 방식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입력부(120) 또는 센싱부(140)를 통해 취득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취득 방법도 모두 포함한다.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면,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검색하여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320) 사용자 정보에는 이름, 사번, 소속, 권한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사용자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단말기(100)로 nul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null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사용자 정보 없음" 등의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없음” 메세지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시각으로 인지가능하거나, 음향출력부(152)를 통해 청각으로 인지가능하거나, 햅틱 모듈(153)을 통해 촉각으로 인지가능하거나, 광출력부(154)를 통해 인지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환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서버(200)로 송신한다.(S330) 본 실시예에서 환자라 함은 수혈/채혈/투약 등의 의료행위 대상자를 의미한다. 환자 식별 정보에는 환자 이름, 환자등록번호, 환자 ID, password, 생년월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정보도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가 환자 식별 정보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면,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검색하여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340) 환자 정보에는 이름, 질병 이력, 투약 정보, 혈액 정보, 수혈/채혈 이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환자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환자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단말기(100)로 nul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null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환자 정보 없음" 등의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의약품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서버(200)로 송신한다.(S350) 의약품 식별 정보에는 의약품 용기 번호(ex.수혈팩 용기 번호, 채혈팩 용기 번호, 투약 용기 번호 등), 의약품 관리 번호, 의약품 코드, 의약품명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의약품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정보도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가 의약품 식별 정보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면, 의약품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검색하여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360) 의약품 정보에는 약품 정보, 투약 정보, 혈액 정보, 금기 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의약품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의약품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관리 서버는 단말기(100)로 nul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null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의약품 정보 없음" 등의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환자 정보와 의약품 정보를 비교한다. 동작 모드가 수혈 관리 모드 또는 채혈 관리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환자 정보와 의약품 정보의 비교를 수행하여, 혈액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출력부(150)를 통해 의약품 정보를 출력한다. 혈액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치하지 않음” 등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일치하지 않음” 메시지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시각으로 인지가능하거나, 음향출력부(152)를 통해 청각으로 인지가능하거나, 햅틱 모듈(153)을 통해 촉각으로 인지가능하거나, 광출력부(154)를 통해 인지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동작 모드가 투약 관리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환자 정보와 의약품 정보의 비교를 수행하여, 투약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출력부(150)를 통해 의약품 정보를 출력하며, 투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치하지 않음” 등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동작 모드가 입력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동작 모드는 수혈 관리 모드, 채혈 관리 모드, 및 투약 관리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입력부)을 터치하여 상기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100)가 수혈 관리 모드에서 동작함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4b 는 수혈 관리 모드에서 단말기(100)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바코드 리딩 버튼을 터치하여, 바코드 리딩 방식으로 단말기(100)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코드 인식 방법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c 는 초점선에 읽고자 하는 바코드를 위치시킴으로써 단말기(100)가 사용자 식별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d 는 단말기(100)가 사용자 식별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정보를 정상적으로 취득한 경우의 단말기(100) 화면을 도시한다.
단말기(100)는 취득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한다.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e 는 단말기(100)가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다음으로, 도 4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 리딩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환자 식별 정보를 단말기(100)에 입력하는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 취득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점선에 읽고자 하는 바코드를 위치시킴으로써 환자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4g 는 단말기(100)가 환자 식별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정보를 취득한 경우의 단말기(100)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단말기(100)는 취득한 환자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한다.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서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환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h 는 단말기(100)가 환자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4i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바코드 리딩 버튼” 을 터치하여 의약품 식별 정보를 단말기(100)에 입력하는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 취득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점선에 읽고자 하는 바코드를 위치시킴으로써 의약품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의약품 식별 정보가 바코드 형태인 수혈팩 용기 식별 정보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j 는 단말기(100)가 바코드 정보 형태인 수혈팩 용기 식별 정보를 취득한 경우의 단말기(100)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단말기(100)는 취득한 수혈팩 용기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한다.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수혈팩 용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수혈팩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단말기(10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혈팩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환자 정보에 포함된 혈액 정보와 수혈팩 정보에 포함된 혈액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혈액 정보가 일치하면 단말기(100)는 출력부(150)를 통해 수혈팩 정보를 출력한다. 혈액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하지 않음” 등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k 는 단말기(100)가 수혈팩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한편, 동작 모드가 채혈 관리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기(100)는 환자 정보에 포함된 혈액 정보와 채혈팩 정보에 포함된 혈액 정보를 비교하여, 혈액 정보가 일치하면 출력부(150)를 통해 채혈팩 정보를 출력한다. 혈액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하지 않음” 등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가 투약 관리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기(100)는 환자 정보에 포함된 투약 정보와 의약품 정보에 포함된 투약 정보를 비교하여 투약 정보가 일치하면 출력부(150)를 통해 투약품 정보를 출력한다. 투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하지 않음” 등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혈액 정보 또는 투약 정보가 일치하여, 수혈, 채혈, 또는 투약등의 의료행위가 실시된 경우에는 수혈이력, 채혈이력, 또는 투약이력을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00)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한 후, 환자 식별 정보와 의약품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별 정보 취득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100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200 관리 서버
210 서버 제어부
220 데이터베이스
230 서버 통신부
300 통신망

Claims (9)

  1. a) 단말기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가 환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단말기가 의약품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의약품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바코드 인식, QR코드 인식, 또는 직접 입력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환자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의약품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와 상기 의약품 정보는 혈액 정보와 투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수혈 관리 모드, 채혈 관리 모드, 및 투약 관리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동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가 수혈 관리 모드 또는 채혈 관리 모드일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자 정보와 상기 의약품 정보를 비교하여 혈액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의약품 정보를 출력하고, 혈액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가 투약 관리 모드일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자 정보와 상기 의약품 정보를 비교하여 투약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의약품 정보를 출력하고, 투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7. 사용자 식별 정보, 환자 식별 정보, 및 의약품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말기와,
    사용자 정보, 환자 정보, 및 의약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단말기와 상기 관리 서버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환자 정보, 및 상기 의약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바코드 인식, QR코드 인식, 또는 직접 입력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환자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의약품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50002528A 2015-01-08 2015-01-08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160085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528A KR20160085478A (ko) 2015-01-08 2015-01-08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528A KR20160085478A (ko) 2015-01-08 2015-01-08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478A true KR20160085478A (ko) 2016-07-18

Family

ID=5667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528A KR20160085478A (ko) 2015-01-08 2015-01-08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54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132A (ko) * 2017-07-07 2019-01-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CN117393132A (zh) * 2023-12-07 2024-01-12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智能输血袋存放方法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132A (ko) * 2017-07-07 2019-01-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채혈용 의자 및 그를 이용한 채혈 서비스 제공방법
CN117393132A (zh) * 2023-12-07 2024-01-12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智能输血袋存放方法及装置
CN117393132B (zh) * 2023-12-07 2024-02-20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智能输血袋存放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iarini et al. mHealth technologies for chronic diseases and elders: a systematic review
US104857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ding reminders to a user
US202001266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ions of care
CN107111677A (zh) 连接护理提供者的可佩戴物
WO2011028261A2 (en) Portable medical record storage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y
CN104956416A (zh) 药剂信息系统和方法
TWI739088B (zh) 個人醫療情報整合系統
KR101920466B1 (ko) 처방 약품 분석이 가능한 방법, 시스템 및 휴대형 단말
TWI776105B (zh) 個人醫療資訊系統
Behera et al. State-of-the-art sensors for remote care of people with dementia during a pandemic: A systematic review
JP2021058596A (ja) スマート体温監視システム
KR20180115976A (ko)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US20160232416A1 (en) Vital Data Assistant
KR20160085478A (ko)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JP200724140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処方薬剤選択補助装置
US2016012514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edicine-taking information
US201902520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therapeutic compliance
US20220292953A1 (en) Mobile collection of sensitive information including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20110008965A (ko) 룸 레벨형 환자 위치추적 방법 및 그 시스템
JP3208257U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サーバ
US106919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content items
JP2009211238A (ja) 事例構築装置およびその事例構築方法
NL2012301C2 (en) Digital car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JP2009134403A (ja) シナリオ構築装置
Ali et al. ICT-based solutions for Alzheimer’s Disease Care: A systematic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