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976A -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976A
KR20180115976A KR1020170048561A KR20170048561A KR20180115976A KR 20180115976 A KR20180115976 A KR 20180115976A KR 1020170048561 A KR1020170048561 A KR 1020170048561A KR 20170048561 A KR20170048561 A KR 20170048561A KR 20180115976 A KR20180115976 A KR 20180115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rsing home
information
terminal
recipi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규환
이상윤
조성현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8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976A/ko
Publication of KR2018011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은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각각이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요양원 시스템 상에서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고, 보호자가 요청한 보호자 요청 정보 설정들을 항목화하여 요양원 시스템에 추가하며,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에 요청 정보 설정들을 항목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METHOD OF OPERATING SERVER IN NURSING HOME SYSTEM TO SHARE RECIPIENT’S INFORMATION AMONG CHIEF OF NURSING HOME, CARE PROVIDER AND GUARDIAN}
본 발명은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각각이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요양원 시스템 상에서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고, 보호자가 요청한 보호자 요청 정보 설정들을 항목화하여 요양원 시스템에 추가하며,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에 요청 정보 설정들을 항목화하여 출력하는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세는 OECD 국가 중 1, 2위를 다툴 정도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자녀들이 고령의 부모님과 함께 사는 경우가 줄어들어, 혼자 지내거나 요양 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이 수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 요양원의 수는 약 5000개 이상이고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그 중 절반은 최하 등급의 요양원에 속하고, 최근 요양권 내 노인 학대가 4년간 약 2배 증가하는 등 요양원 내에서의 수급자 보호,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요양 시설에서는 특별한 일이나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만 보호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서, 보호자가 전화하거나 방문하는 것 외에는 직접 수급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보호자가 일상 생활을 영위하면서 지속적으로 수급자에게 관심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관심을 가지더라도 매번 연락하거나 직접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또, 보호자가 요양원과 먼 거리에 거주하거나 시간적 여력이 안 되어 자주 찾아뵙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요양원에 거주하는 수급자의 정보를 보호자에게 주기적으로 제공하고, 요양사에 의한 수급자의 보호,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7488호 "요양병원 상태 알림 시스템" (2016.11.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각각이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요양원 시스템 상에서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고, 보호자가 요청한 보호자 요청 정보 설정들을 항목화하여 요양원 시스템에 추가하며,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에 요청 정보 설정들을 항목화하여 출력하는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은, 요양원장의 단말을 통해 요양사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요양사 추가 입력에 따라 새로운 요양사의 정보를 시스템 상에 추가하는 단계, 요양사의 단말을 통해 수급자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수급자 추가 입력에 따라 새로운 수급자의 정보를 요양사와 매칭시켜서 시스템 상에 추가하는 단계, 보호자의 단말을 통해 특정 수급자에 대한 요청 정보 설정 입력이 수신되면, 특정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 상에 요청 정보 설정 입력에 포함된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특정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로부터 항목들 각각에 대해 보고 내용이 입력되면, 요양사의 단말에 수신된 전송 명령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입력된 보고 내용을 특정 수급자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의 동작 방법은, 외부 데이터베이스 상에 특정 수급자에 대한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 및 특정 수급자에 대한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력 정보를 수집하고 요양사의 단말 상에 이력 정보에 포함된 항목들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청 정보 설정 입력은, 신체위생관리정보, 산책/외출 정보, 배변횟수 정보, 정신기능훈련 정보, 식사정보, 및 마사지 정보와 보호자가 추가로 설정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청 정보 설정 입력에 포함된 항목 중에서 요양원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입력된 스케쥴과 대응되는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스케쥴과 대응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스케쥴을 이용하여 보고 내용이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보고 내용을 특정 수급자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입력된 보고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푸쉬 명령을 보호자 단말로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은, 시스템 상에 요양사 정보, 수급자 정보, 보호자의 요청 정보를 추가하고, 시스템 상에 추가된 정보에 접근, 출력하기 위한 단말들 및 단말들에서 입력된 정보를 시스템 상에 추가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서버는, 요양원장의 단말을 통해 요양사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요양사 추가 입력에 따라 새로운 요양사의 정보를 시스템 상에 추가하고, 요양사의 단말을 통해 수급자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수급자 추가 입력에 따라 새로운 수급자의 정보를 요양사와 매칭시켜서 시스템 상에 추가하며, 보호자의 단말을 통해 특정 수급자에 대한 요청 정보 설정 입력이 수신되면, 특정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 상에 요청 정보 설정 입력에 포함된 항목들을 출력하고, 특정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로부터 항목들 각각에 대해 보고 내용이 입력되면, 요양사의 단말에 수신된 전송 명령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입력된 보고 내용을 특정 수급자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 따르면,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각각이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요양원 시스템 상에서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 따르면, 보호자 요청 사항을 항목화하여 담당 요양사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요양사는 요청 항목별로 수급자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수급자의 상태를 보호,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장 단말에서 요양사 목록 화면 및 새로운 요양사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사 단말에서 수급자 목록 화면 및 새로운 수급자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에서 특정 수급자에 대한 보호자 요청 사항을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 시스템(10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 시스템(1000)은 시스템 상에 정보를 입력, 추가하고, 시스템 상에 입력, 추가된 정보에 접근, 출력하기 위한 단말(100) 및 단말(100)의 입력 정보를 시스템 상에 추가하기 위한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서부(130), 카메라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전원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단순한 예에 불과하여 단말(100)은 다른 범용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며,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단말(100)은 휴대 가능한 이동 단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PDA 등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단말(100)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각각 상세히 설명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구성이다. 입력부(110)는 압력의 세기나 전기 신호의 세기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인식 모듈,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모듈, 다양한 종류의 물리 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 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터치 인식 모듈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스와이프 입력, 줌인/줌아웃 입력 등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성 인식 모듈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 to Text)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버튼 부는 물리버튼 상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 길이 등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단말(100) 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나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구성이다. 출력부(12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청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으나 사용자에게 진동을 피드백하기 위한 햅틱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2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가 상술한 입력부(110)의 터치 인식 모듈과 일체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130)는 단말(100)의 구동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30)는 지자기 센서, RGB 센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바이오 센서 등 단말(100)이 그 기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단말(100)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 수단으로, 단말(100)은 둘 이상의 촬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정지 영상과 동영상을 모두 촬영할 수 있으며, 컬러 영상뿐 아니라 흑백 영상을 촬영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카메라부(14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물리적인 동작을 통해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으며, 영상처리를 통해서 디지털 줌인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단말(100) 내부에서 처리된 정보나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반대로, 통신부(150)는 단말(100)의 외부로부터 데이터, 값,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값,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단말(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또한 저장할 수 있다. 단말(100)은 내부에 저장부(160)를 물리적인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신부(150)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함으로써 저장부(160)를 가상 공간에 구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전원부(170)는 단말(100)에 동작에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전원부(170)는 단말(100) 내부에 충전식 배터리로 포함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를 포함하여 상술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시 전원을 공급받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단말(100)이 그 목적에 따라 기능하도록 단말(100)의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요양원장이 사용하는 단말, 요양사가 사용하는 단말, 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요양원장, 요양사, 보호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요양사 정보, 수급자 정보, 보호자의 요청 정보를 입력하면, 서버(200)를 통하여 단말(100)에 입력된 정보가 요양원 시스템(1000) 상에 입력,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요양원 시스템(1000) 상에 입력, 추가된 정보에 접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보호자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수급자에 대한 요청 정보를 입력하면, 보호자의 요청 정보가 서버(200)를 통하여 요양원 시스템(1000) 상에 추가되고, 요양사는 시스템(1000) 상에 추가된 보호자의 요청 정보를 확인하여,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메모를 요양사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요양원 시스템(1000) 상에 추가할 수 있다. 즉, 보호자는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서버(200)에 추가된 요양사의 메모에 접근,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요양사의 메모를 확인하여 수급자에 대한 요청의 진행 상태 또는 완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각 사용자들의 단말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들을 요양원 시스템(1000) 상에 입력, 추가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각 사용자들(요양원장, 요양사, 보호자)의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정보들을 수신하여 시스템 상에 수신된 정보들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양원장은 요양원장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서버를 통하여 시스템상에 새로운 요양사의 정보를 추가할 수 있으며, 요양사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새로운 수급자의 정보를 시스템상에 추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단말(100) 및 서버(200)의 구성을 통해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 시스템(1000)에서의 서버(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제안하는 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1000)에서의 서버(200)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1000)에서 서버(2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서버(200)는 요양원장의 단말(100)을 통해 요양사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요양사 추가 입력에 따라 새로운 요양사의 정보를 요양원 시스템(1000)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양원장은 새로운 요양사의 추가 또는 요양사들의 정보 추가를 위하여 요양원장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요양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서버(200)는 요양원장 단말(100)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요양원 시스템(1000)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요양사를 추가하거나 요양사들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장 단말(100)에서 요양사 목록 화면 및 새로운 요양사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요양원장은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요양사 목록 검색, 요양사 정보 추가 및 새로운 요양사 등록이 가능하며, 입력된 요양사 관련 정보는 서버(200)를 통하여 요양원 시스템(1000)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된다.
단계 S20에서, 서버(200)는 요양사의 단말(100)을 통해 수급자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수급자 추가 입력에 따라 새로운 수급자의 정보를 요양사와 매칭시켜서 요양원 시스템(1000)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양사가 새로운 수급자의 추가 또는 수급자들에 관한 정보, 메모 추가를 위하여 요양사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수급자들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서버(200)는 요양사 단말(100)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요양원 시스템(1000)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요양사와 매칭시켜 새로운 수급자를 추가하거나 수급자들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사 단말(100)에서 수급자 목록 화면 및 새로운 수급자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요양사는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수급자 목록, 수급자에 대한 정보 추가 및 새로운 수급자 등록이 가능하며, 입력된 수급자 관련 정보는 요양사와 매칭되어 서버(200)를 통하여 요양원 시스템(1000)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된다.
단계 S30에서, 서버(200)는 보호자의 단말(100)을 통해 특정 수급자에 대한 요청 정보 설정 입력이 수신되면, 특정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 상에 요청 정보 설정 입력에 포함된 항목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자신과 관련 있는 특정 수급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 요청,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요청을 위하여 보호자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특정 수급자에 대한 요청 정보 설정을 입력하면, 서버(200)는 보호자 단말(100)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요양원 시스템(1000) 상에 입력,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특정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100) 상에 보호자의 요청 정보 설정 입력에 포함된 항목들을 출력하게끔 푸쉬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요청 정보 설정 입력은, 신체위생관리정보, 산책/외출 정보, 배변횟수 정보, 정신기능훈련 정보, 식사정보, 및 마사지 정보와 같은 기본 정보와 보호자가 요청한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100)에서 특정 수급자에 대한 보호자 요청 사항을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호자는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특정 수급자에 대한 보호자 요청 사항 입력이 가능하며, 미리 설정된 항목(카테고리) 범위 내에서 보호자 요청 사항을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가 직접 항목을 설정하여 보호자 요청 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수급자에 대한 정보 항목은 보호자의 요청 사항에 대응되어 다른 수급자들과 다른 항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호자의 요청 사항은 매칭된 요양사에게만 전달되므로, 요양사는 자신과 매칭된 수급자들의 관리 화면에서 화면에 나열된 항목들만 검토하여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요청 사항은 단순히 체크박스 형태로 예, 아니오의 응답을 요구하는 형식으로 요청되거나 서술식 표현으로 피수급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입력된 보호자 요청 사항은 서버(200)를 통하여 요양원 시스템(1000)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되며,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100) 상에 보호자가 각 카테고리별로 요청한 요청 사항이 카테고리 목록으로 출력되게 된다.
단계 S40에서, 서버(200)는 특정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100)로부터 항목들 각각에 대해 보고 내용이 입력되면, 요양사의 단말(100)에 수신된 전송 명령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입력된 보고 내용을 특정 수급자의 보호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양사가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보호자의 요청 정보 설정에 포함된 항목들 각각에 대하여 보고 내용을 입력하면 서버(200)는 요양원 시스템(1000) 상에 보고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요양사 단말(100)의 전송 명령 또는 기 정해진 전송 명령 주기에 따라서 요양원 시스템(1000) 상에 추가된 요양사의 보고 내용을 특정 수급자의 보호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요양원 시스템(1000) 상에 추가된 요양사의 보고 내용을 특정 수급자의 보호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입력된 보고 내용 및 보고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푸쉬 명령도 보호자 단말(10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요청 정보 설정 입력에 포함된 항목 중에서 요양원 시스템(1000)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입력된 스케쥴과 대응되는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스케쥴과 대응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스케쥴을 이용하여 보고 내용이 작성되는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도록 푸쉬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상에 특정 수급자에 대한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특정 수급자에 대한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력 정보를 수집하고 요양사의 단말(100) 상에 이력 정보에 포함된 항목들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양사가 단말(100)을 이용하여 수급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 이외에도, 외부 데이터베이스 상에 정보를 입력하려는 특정 수급자에 대한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상에 특정 수급자에 대한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특정 수급자에 대한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외부 데이터 상의 이력 정보를 수집하고 요양원 시스템(1000)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가 가능하며, 요양사의 단말(100) 상에 이력 정보에 포함된 항목들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과 관련하여, 전술한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단말 110: 입력부
120: 출력부 130: 센서부
140: 카메라부 150: 통신부
160: 저장부 170: 전원부
180: 제어부 200: 서버
1000: 요양원 시스템

Claims (7)

  1.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요양원장의 단말을 통해 요양사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요양사 추가 입력에 따라 새로운 요양사의 정보를 상기 시스템 상에 추가하는 단계;
    요양사의 단말을 통해 수급자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수급자 추가 입력에 따라 새로운 수급자의 정보를 상기 요양사와 매칭시켜서 상기 시스템 상에 추가하는 단계;
    보호자의 단말을 통해 특정 수급자에 대한 요청 정보 설정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 상에 상기 요청 정보 설정 입력에 포함된 항목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항목들 각각에 대해 보고 내용이 입력되면, 상기 요양사의 단말에 수신된 전송 명령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입력된 보고 내용을 상기 특정 수급자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은,
    외부 데이터베이스 상에 상기 특정 수급자에 대한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수급자에 대한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력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요양사의 단말 상에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된 항목들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정보 설정 입력은,
    신체위생관리정보, 산책/외출 정보, 배변횟수 정보, 정신기능훈련 정보, 식사정보, 및 마사지 정보와 보호자가 추가로 설정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정보 설정 입력에 포함된 항목 중에서 상기 요양원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입력된 스케쥴과 대응되는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스케쥴과 대응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스케쥴을 이용하여 상기 보고 내용이 작성되는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보고 내용을 상기 특정 수급자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보고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푸쉬 명령을 상기 보호자 단말로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6.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상에 요양사 정보, 수급자 정보, 보호자의 요청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시스템 상에 추가된 정보에 접근, 출력하기 위한 단말들; 및
    상기 단말들에서 입력된 정보를 상기 시스템 상에 추가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요양원장의 단말을 통해 요양사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요양사 추가 입력에 따라 새로운 요양사의 정보를 상기 시스템 상에 추가하고, 상기 요양사의 단말을 통해 수급자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수급자 추가 입력에 따라 새로운 수급자의 정보를 상기 요양사와 매칭시켜서 상기 시스템 상에 추가하며, 상기 보호자의 단말을 통해 특정 수급자에 대한 요청 정보 설정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 상에 상기 요청 정보 설정 입력에 포함된 항목들을 출력하고, 상기 특정 수급자와 매칭된 요양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항목들 각각에 대해 보고 내용이 입력되면, 상기 요양사의 단말에 수신된 전송 명령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입력된 보고 내용을 상기 특정 수급자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48561A 2017-04-14 2017-04-14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KR20180115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61A KR20180115976A (ko) 2017-04-14 2017-04-14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61A KR20180115976A (ko) 2017-04-14 2017-04-14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76A true KR20180115976A (ko) 2018-10-24

Family

ID=6413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561A KR20180115976A (ko) 2017-04-14 2017-04-14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59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875A (ko) *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비지팅엔젤스코리아 요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요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22615A (ko) * 2019-06-10 2021-03-03 장봉석 수급자별 서비스 기록지
KR20210128046A (ko)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클로비카 빅 데이터 기반 요양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52272A (ko)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펴나니 개인 맞춤형 요양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615A (ko) * 2019-06-10 2021-03-03 장봉석 수급자별 서비스 기록지
KR20210021875A (ko) *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비지팅엔젤스코리아 요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요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8046A (ko)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클로비카 빅 데이터 기반 요양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52272A (ko)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펴나니 개인 맞춤형 요양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chez et al. A review of smart house analysis methods for assisting older people living alone
Helal et al. Smart home-based health platform for behavioral monitoring and alteration of diabetes patients
EP2858550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health and security
Spann et al. Barriers and facilitators of older people's mHealth usage: a qualitative review of older people's views
KR20180115976A (ko) 요양원장, 요양사 및 보호자 간에 수급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요양원 시스템에서 서버의 동작 방법
US20180082035A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Mobile Software Applicaiton
JP7031585B2 (ja) 看介護記録システムの中央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看介護記録システム
Dobre et al. Introduction to the AAL and ELE Systems
JP2014149876A (ja) 生体情報管理装置、生体情報管理装置を用いた健康管理システム、同システムにおける健康管理情報の閲覧方法、生体情報管理プログラム
CN106796651A (zh) 电子设备的多媒体数据处理方法及其电子设备
JP7021634B2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中央処理装置および中央処理方法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US11817208B2 (en) Method and system to facilitate patient care
US10121355B1 (en) Condition-responsive wearable device for sensing and indicating proximity of an article with a specific characteristic
Niemelä et al. Supporting independent living of the elderly with mobile-centric ambient intelligence: user evaluation of three scenarios
JP6805621B2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中央処理装置および中央処理方法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US20230290243A1 (en) Condition-responsive wearable device for sensing and indicating proximity of an article with a specific characteristic
Zerkouk et al. Behavior and capability based access control model for personalized telehealthcare assistance
Polonetsky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as a tool for inclusion and equality
US20190371455A1 (en) Assistance Method and Assistance System
JP2017059040A (ja) 認知機能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WO2018110294A1 (ja) ケア計画出力装置、該方法および該システム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JP7354560B2 (ja) 通知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6196364B1 (ja) 利用者限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利用者限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85478A (ko) 수혈/채혈/투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astro Garrido et al. OBCAS: an agent-based system and ontology for mobile context aware inter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