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576A -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576A
KR20210128576A KR1020200046354A KR20200046354A KR20210128576A KR 20210128576 A KR20210128576 A KR 20210128576A KR 1020200046354 A KR1020200046354 A KR 1020200046354A KR 20200046354 A KR20200046354 A KR 20200046354A KR 20210128576 A KR20210128576 A KR 20210128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health management
user terminal
detection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형섭
한용석
송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Priority to KR102020004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576A/ko
Publication of KR2021012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0Input circuits therefor
    • A61B5/307Input circui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308Input circui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r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건강관리를 실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뇌파, 근전도 및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웨어러블장치와, 상기 웨어러블장치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 받아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감지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부 및 상기 서버부로부터 상기 감지데이터를 전송 받고 빅데이터 분석하여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상기 서버부를 거쳐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건강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Healthcare system based on wearable devices}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건강관리를 실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헬스케어는 의사와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이끌어져 왔다. 의사는 헬스케어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의료기관은 의사가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생성되는 정보들을 저장, 관리하려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환자는 수동적이었으며, 생성된 정보는 의료기관에서만 확인 가능하였다. 그러나 현재 헬스케어는 사회변혁의 중심에 있다. 현재의 대응적, 사후적 헬스케어에서 미래 예측(redictive), 예방(Preventive)의학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환자 개개인의 고유한 특성에 적합한 맞춤의학(Personalized), 환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참여의학(Particpatory)의 새로운 현상으로까지 나타났다. 헬스케어의 패러다임 변화에는 빅데이터가 큰 영향을 미쳤다. 데이터를 수집 축적해야만, 예방 및 건강증진, 또한 맞춤형 의학을 통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의료데이터 이외에 다양한 데이터를 습득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다양한 무선센서의 발달, 통신 속도의 향상, 스마트폰의 발달 등으로 외부적인 활동데이터의 습득이 기존에 비해 굉장히 쉬워졌다. 이러한 데이터의 중요성으로 인해 데이터의 수집, 저장, 분석에 대한 기술들 역시 점차 발달하고 있다. 여기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헬스케어" 즉, 스마트 헬스케어가 미래 헬스케어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데이터 기반으로 질병 예방과 더불어 전반적인 건강관리 서비스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굉장히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환자는 진단을 받기 위해 병원을 방문해야만 했으며, 환자가 아니더라도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개인 맞춤형 건강 처방을 받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현대 사회는 다양한 직업을 가진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구성원들 중 상당수는 고강도, 고위험 직군에 속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응급상황 발생 우려가 높은 직업군의 사람들을 케어하고, 신속하게 응급상황을 파악하여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308호에는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또는 진료기관으로부터 기본정보, 신생아관리정보, 산모관리정보, 외래진료정보, 입원ㆍ수술정보, 건강검진정보 등을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관리서버로 송신하고, 갱신된 건강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개인단말기; 및 개인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건강정보를 기저장된 건강정보와 대응되도록 갱신하여 갱신된 건강정보를 개인단말기로 송신하는 건강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사용자 및 진료기관이 건강기관이 직접 건강정보를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건강 상태를 진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응급상황에 대처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30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생활에서 뇌파, 근전도, 심전도 등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응급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상생활에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뇌파, 근전도 및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웨어러블장치와, 상기 웨어러블장치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 받아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감지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부 및 상기 서버부로부터 상기 감지데이터를 전송 받고 빅데이터 분석하여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상기 서버부를 거쳐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건강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장치는 복수 개 마련되어 개별적으로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건강관리부는 각각의 상기 감지신호를 종합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부로부터 일정 주기로 상기 감지데이터를 전송받는 의료인단말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치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뇌파, 근전도, 심전도 등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응급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치와 사용자단말기, 서버부, 건강관리부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생성하는 신호 또는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파, 근전도 및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웨어러블장치(1)와, 상기 웨어러블장치(1)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 받아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단말기(2)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감지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부(3) 및 상기 서버부(3)로부터 상기 감지데이터를 전송 받고 빅데이터 분석하여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상기 서버부(3)를 거쳐 상기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하는 건강관리부(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기 웨어러블장치(1)는 뇌파, 근전도 및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웨어러블장치(1)는 뇌파측정기, 근전도측정기 또는 심전도측정기 일 수 있으며, 또는 복합적으로 복수 개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장치(1)에는 무선통신모듈이 더 마련되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감지된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wifi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에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는 상기 웨어러블장치(1)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 받아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기(2)에는 응급판단모듈(21)과 활동선택모듈(2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응급판단모듈(21)은 상기 웨어러블장치(1)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고 기 저장된 보호자, 후술할 의료인단말기(5) 또는 응급구조센터에 구조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기 자체적으로 소리, 진동, 문자를 통해 알림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리를 통한 알림은 주변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녹음된 멘트 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기 설정된 범위는 통상의 사람들이 일상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기 설정된 범위는 상기 서버부(3)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상기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활동선택모듈(22)은 운동, 수면, 노말상태 등 현재 사용자의 활동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는, 인간의 활동에 따라 달라지는 인체의 생체신호를 감안하여 상기 응급판단모듈(21)이 작동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운동 또는 몸을 쓰는 노동 중에는 근전도를 측정한 상기 감지신호에서 부하가 감지되거나, 심전도를 측정한 상기 감지신호에서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응급판단모듈(21)에서 응급 상황으로 오판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활동선택모듈(22)을 운동 상태로 설정하여,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기까지 허용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부(3)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감지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데이터는 뇌파신호, 근전도신호, 심전도신호, 감지 일시 및 현재 상기 활동선택모듈(22) 상태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강관리부(4)는 상기 서버부(3)로부터 상기 감지데이터를 전송 받고 빅데이터분석하여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상기 서버부(3)를 거쳐 상기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관리부(4)는 온라인에 연결되어 기 지정된 정보원으로부터 활동에 따른 적정 뇌파, 근전도, 심전도 신호 범위를 파악하고, 현재 사용자의 상기 감지데이터와 비교하여 소정의 식단 관리 또는 운동 방법 등을 포함한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는 상기 서버부(3)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부(3)는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에 관한 수신 로그를 생성하며, 동시에 상기 사용자단말기(2)에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에는 운동 강도 또는 최적의 수면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장치(1)는 복수 개 마련되어 개별적으로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강관리부(4)는 각각의 상기 감지신호를 종합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 측정 신호별 별도의 장치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단일 장치로 마련되어 복수 종류의 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웨어러블장치(1)는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용으로 구성되는 경우, 안전모에 적용되는 뇌파형, 작업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형, 어깨, 종아리 등에 착용되는 근전도용으로 각각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각 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서버부(3)를 거쳐 상기 건강관리부(4)로 전달되고, 상기 건강관리부(4)는 수신받은 신호들을 바탕으로 휴식 권유를 포함한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생성하는 신호 또는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상기 서버부(3)로부터 일정 주기로 상기 감지데이터를 전송받는 의료인단말기(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료인단말기(5)는 주치의, 병원 관계자, 의료센터, 긴급구조대, 복지담당인원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사람이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응급상황일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또는 사용자의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한 제안을 상기 사용자단말기(2)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의료인단말기(5)는 건설현장과 같은 공사현장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상기 웨어러블장치(1)의 사용자가 되는 것으로, 현장에서 멀리 떨어져서도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파악하고, 긴급 연락 및 작업자를 대신하여 구조센터에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인단말기(5)는 일정 기간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지난 상기 감지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서버부(3)는 상기 건강관리부(4)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상기 의료인단말기(5)에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의 타당성을 의료인이 검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기저질환자 및 일반인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각종 공사현장에서 고강도 노동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사용자로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음은 그 적용예를 설명한 것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상에 상기 사용자단말기(2) 및 상기 웨어러블장치(1)가 등록된다.
상기 웨어러블장치(1)가 사용자에게 착용되고, 상기 활동선택모듈(22)에서 행하는 활동이 입력 및 설정된다.
상기 웨어러블장치(1)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는 수신된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서버부(3)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부(3)는 상기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감지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건강관리부(4) 및 상기 의료인단말기(5)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건강관리부(4)는 상기 감지데이터를 빅데이터분석하여 사용자가 휴식이 필요하다는 분석 결과가 도출될 경우, 휴식을 권고하는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부(3)로 전송한다. 연속해서 상기 서버부(3)는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 및 상기 의료인단말기(5)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응급판단모듈(21)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에 수신된 상기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2)가 소리를 통해 알림을 실시하게 하고, 응급구조센터 및 상기 의료인단말기(5)에 구조 신호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장치(1)를 사용하여 의료인이 원격으로 환자를 진료하는데 적용될 수 있으며, 환자는 병원이라는 한정된 공간 외에서도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자를 진료하는데 있어, 단기간이 아니라 비교적 장기간의 관점에서 수면, 근육 사용 정도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활동 패턴을 파악하여 총체적인 건강 정보를 획득하는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고강도 노동자의 근피로도, 현재 스트레스 수치, 응급상황 발생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웨어러블장치
2 : 사용자단말기
21 : 응급판단모듈
22 : 활동선택모듈
3 : 서버부
4 : 건강관리부
5 : 의료인단말기

Claims (3)

  1. 뇌파, 근전도 및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웨어러블장치;
    상기 웨어러블장치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 받아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감지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부; 및
    상기 서버부로부터 상기 감지데이터를 전송 받고 빅데이터 분석하여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상기 서버부를 거쳐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건강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장치는 복수 개 마련되어 개별적으로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건강관리부는 각각의 상기 감지신호를 종합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건강관리제안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로부터 일정 주기로 상기 감지데이터를 전송받는 의료인단말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KR1020200046354A 2020-04-17 2020-04-17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KR20210128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354A KR20210128576A (ko) 2020-04-17 2020-04-17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354A KR20210128576A (ko) 2020-04-17 2020-04-17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576A true KR20210128576A (ko) 2021-10-27

Family

ID=7828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354A KR20210128576A (ko) 2020-04-17 2020-04-17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85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221B1 (ko) * 2023-04-20 2023-07-06 주식회사 비엔비랩스 매일매일 여러개의 디바이스별 신체데이터 및 진단데이터를 동시에 시각화 및 분석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 파악과 함께 개선하는 맞춤형 테라피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308B1 (ko) 2008-03-03 2015-04-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308B1 (ko) 2008-03-03 2015-04-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221B1 (ko) * 2023-04-20 2023-07-06 주식회사 비엔비랩스 매일매일 여러개의 디바이스별 신체데이터 및 진단데이터를 동시에 시각화 및 분석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 파악과 함께 개선하는 맞춤형 테라피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598B1 (ko) 생체신호 센서 기반 정신질환 진단 및 치유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KR100880741B1 (ko) 생체 이벤트 핸들링 시스템, 방법, 및 장치; 모니터링장치 및 프로그램 생성물
Leijdekkers et al. Personal heart monitoring and rehabilitation system using smart phones
CN105411554A (zh) 一种无线式无创伤人体生理参数采集、检测及智能诊断系统
US20150359489A1 (en) Smart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CA2743658A1 (en) Method for remote diagnostic monitoring and support of patients and device and telemedical center
KR20110137001A (ko) 건강 위험 경보 시스템
US20160051153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enabled wireless heart rate monitoring system
US119923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sleep disturbance
US11179095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or tracking of sepsis-related indicators
Masoumian Hosseini et al. Smartwatches in healthcare medicine: assistance and monitoring; a scoping review
Rodrigues et al. A mobile healthcare solution for ambient assisted living environments
KR20130015476A (ko) 디지털 문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10128576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KR20130062464A (ko)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4164A (ko) 간병용로봇장치 및 간병로봇 모니터링시스템
KR2016013382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TW202133193A (zh) 生理訊號量測裝置動態閾值調校系統
CN106940753A (zh) 一种社区医院的疾病监测护理与保健系统
KR20120072464A (ko)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Gay et al. Around the clock personalized heart monitoring using smart phones
KR20110128382A (ko) 생체신호의 모니터링을 위한 생활 의료 보조 시스템
JP2002367061A (ja) 緊急医療連絡システム
KR20150130108A (ko) 온라인을 통한 개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방법
Varshney Wireless health monitoring: requirements and exam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