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308B1 -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308B1
KR101512308B1 KR1020080019442A KR20080019442A KR101512308B1 KR 101512308 B1 KR101512308 B1 KR 101512308B1 KR 1020080019442 A KR1020080019442 A KR 1020080019442A KR 20080019442 A KR20080019442 A KR 20080019442A KR 101512308 B1 KR101512308 B1 KR 101512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lth
updating
user
exa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477A (ko
Inventor
최동국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3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기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또는 진료기관으로부터 기본정보, 신생아관리정보, 산모관리정보, 외래진료정보, 입원ㆍ수술정보, 건강검진정보 등을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관리서버로 송신하고, 갱신된 건강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개인단말기; 및 개인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건강정보를 기저장된 건강정보와 대응되도록 갱신하여 갱신된 건강정보를 개인단말기로 송신하는 건강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관리서버를 통해 각종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자신의 건강 의료기록 정보를 스스로 평생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생에서부터 노년기까지 평생에 걸쳐 모든 건강관련 정보들을 기록ㆍ관리하며, 개인단말기를 통해 장소에 제약됨 없이 언제 어디서든 열람ㆍ갱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의료기록 정보를 관리함 따라 개인정보 유출을 사전에 차단하며, 진료기관에 종속됨 없이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참고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검사에 따른 인적ㆍ물적 자원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건강관리 및 증진을 도모한다.
건강관리, 발육생장, 예방접종관리, 건강검진관리, 외래진료, 투약정보, 산모관리, 신생아관리

Description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LIFELONG PERSONAL HEALTH RECORD AND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DIVIDUAL WEB-HOMEPAGE}
본 발명은 건강관리 기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의 각종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출생에서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평생에 걸쳐 개인 홈페이지 형태로 저장, 관리 및 보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 및 생활양식 변화로 지속적 관리를 요하는 각종 질환과 암, 고혈압, 당뇨 등과 같은 만성 질환 등의 다양한 질환이 급증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해마다 개인 지출하는 의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세계 의료계는 의료시장의 전면개방을 앞두고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고객서비스 개선을 위해 빠르게 정보화되고 있으며, 환자의 진료에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료기록)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진료차트의 전산화를 꾀하고, 이에 따라 신속한 업무처리와 인력 및 비용 절감함과 아울러 환자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EMR 시스템은 병원마다 개별적으로 구축하여 운영되고 있는 바, 각각 병원간의 호환이 어렵고, 막대한 양의 자료 저장 및 관리에 한계가 있어 일정기간(최대 5년) 내외의 최신 데이터만 보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EMR 시스템의 대안으로 보건복지부가 주관하여 2030년 서비스를 목표로 EHR(Electronic Health Record: 전자건강기록) 시스템을 병원 중심(Hospital-oriented)으로 구축ㆍ추진하고 있으나, 방대한 자료의 관리와 시스템 통합의 표준화, 개인의 건강정보 접근 어려움, 개인정보유출의 우려 등 산적한 문제를 떠안고 있으며, 무엇보다 EHR 시스템의 개발ㆍ보급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국민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보장받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자신의 각종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건강 의료기록 정보를 건강관리서버를 통해 스스로 평생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생에서부터 노년기까지 평생에 걸쳐 모든 건강관련 정보들을 기록ㆍ관리하며, 개인단말기를 통해 장소에 제약됨 없이 언제 어디서든 열람ㆍ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지능형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기록시스템은, 사용자 또는 진료기관으로부터 기본정보, 외래진료정보, 입원ㆍ수술정보, 건강검진정보, 산모관리정보 및 신생아관리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관리서버로 송신하고, 갱신된 건강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개인단말기; 및 개인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건강정보를 기저장된 건강정보와 대응되도록 갱신하여 갱신된 건강정보를 개인단말기로 송신하는 건강관리서버; 를 포함한다.
또한, 건강관리서버는, 사용자의 신상정보, 활력상태정보, 특수이력정보, 가족력정보 및 보험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기본정보모듈; 사용자의 진료검사정보 및 투약정보를 포함하는 외래진료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외래진료모듈; 사용자가 입원한 병원명, 입원기간, 입원방법을 포함하는 입원내역정보, 수술내역정보, 사용자가 수술한 병원명, 수술날짜, 수혈유무 및 수혈종류를 포함하는 입원ㆍ수술검사정보 및 입원ㆍ수술투약정보를 포함하는 입원ㆍ수술정보를 최근날짜순으로 색인하여 갱신ㆍ관리하는 입원ㆍ수술모듈; 사용자의 허리둘레, 콜레스테롤, 혈압, 중성지방 및 혈당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검진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건강검진모듈; 사용자의 임신일, 최종 월경일, 인신 전ㆍ후의 체중변화, 임신의 횟수, 출산의 횟수, 자녀수, 자연 유산수, 인공 유산수, 이상증상(뇨단백, 간염, 간염항체)을 포함하는 산모관리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산모관리모듈; 및 사용자 신생아의 신생아정보, 재태기간정보, 신생아건강정보, 신생아예방접종정보, 신생아발육생장정보 및 성장일기정보를 포함하는 신생아관리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신생아관리모듈;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기본정보모듈은, 사용자의 성명, 성별, 거주지, 알레르기 유무, 가족력 유무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신상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회원정보부; 사용자의 신장, 몸무게, 혈액형, 혈압, 맥박, 흡연여부와 흡연량 및 음주여부와 음주량을 포함하는 활력상태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활력상태부; 사용자의 알레르기 발생일, 발생원인, 반응 및 치료방법을 포함하는 특수이력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특수이력부; 사용자의 직계존속에 대한 주요질병, 사망질환 및 현재 발병질환을 포함하는 가족력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가족력관리부; 사용자가 가입한 복수개의 보험상품에 대한 보험가입자명, 보험사명, 보장범위, 약관, 월 납입액 및 계약ㆍ만료일을 포함하는 보험상품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보험관리부; 및 신상정보, 활력상태정보, 특수이력정보, 가족력정보 및 보험상품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기본정보DB; 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외래진료모듈은, 외래진료시 검사받은 사용자의 진료검사 명, 검사기관, 검사목적 및 진단명을 포함하는 진료검사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진료검사기록부; 사용자의 처방전에 따른 투약일자, 약품명, 제약회사명, 복용기간 및 복용법을 포함하는 투약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진료투약정보부; 및 진료검사정보 및 투약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외래진료DB; 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입원ㆍ수술모듈은, 사용자가 입원ㆍ수술 기간동안 검사받은 검사명, 입원ㆍ수술기관, 입원ㆍ수술목적 및 진단명을 포함하는 입원ㆍ수술검사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입원ㆍ수술검사기록부; 사용자가 입원ㆍ수술 기간동안 처방받은 처방전의 투약일자, 약품명, 제약회사명, 복용기간 및 복용법을 포함하는 입원ㆍ수술투약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입원ㆍ수술투약정보부; 및 입원내역정보, 수술내역정보, 입원ㆍ수술검사정보 및 입원ㆍ수술투약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입원ㆍ수술DB; 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건강검진모듈은, 건강검진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건강검진DB; 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산모관리모듈은, 산모관리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산모관리DB; 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신생아관리모듈은, 신생아의 신생아 출생일, 성별, 출생병원, 전문의 성명, 출생시 몸무게, 혈액형, 혈액타입, 분만형태 및 신생아활력지표를 포함하는 신생아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신생아정보부; 임산부의 정기적인 검진에 따른 초음파사진 및 태아의 발육상태를 포함하는 재태기간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재태기록부; 신생아의 진료기록, 투약기록, 입원ㆍ수술기록을 포함하는 신생 아건강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신생아건강기록부; 신생아의 예방접종 순서와 접종기간 및 접종횟수를 포함하는 신생아예방접종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예방접종기록부; 신생아의 키, 몸무게, 머리둘레 및 치아개수를 포함하는 신생아발육생장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발육생장관리부; 신생아의 성장발육에 따른 건강일상 및 사진을 포함하는 성장일기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성장일기부; 및 신생아정보, 재태기간정보, 신생아건강정보, 신생아예방접종정보, 신생아발육생장정보 및 성장일기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신생아관리DB; 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관리서버를 통해 각종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자신의 건강 의료기록 정보를 스스로 평생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생에서부터 노년기까지 평생에 걸쳐 모든 건강관련 정보들을 기록ㆍ관리하며, 개인단말기를 통해 장소에 제약됨 없이 언제 어디서든 열람ㆍ갱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의료기록 정보를 관리함 따라 개인정보 유출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진료기관에 종속됨 없이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언제 어디에서든지 참고할 수 있고, 이전 검사 기록, 예방접종 기록 등 건강기록의 활용으로 불필요한 검사 배제 등에 따른 인적ㆍ물적 자원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건강관리 및 증진을 도모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S)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단말기(100) 및 건강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의 개인단말기(100)와 건강관리서버(200)간 정보의 송수신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정하며, 개인단말기는 개인컴퓨터(PC) 및 인터넷 통신가능한 모바일 장치를 포함한다.
개인단말기(100)는 사용자 또는 진료기관으로부터 기본정보, 외래진료정보, 입원ㆍ수술정보, 건강검진정보, 산모관리정보 및 신생아관리정보를 포함하는 이른바, '건강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관리서버(200)로 송신하며, 갱신된 건강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한편, 건강관리서버(200)는 개인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건강정보를 기저장된 건강정보와 대응되도록 갱신하여 갱신된 건강정보를 개인단말기(1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기본정보모듈(210), 외래진료모듈(220), 입원ㆍ수술모 듈(230), 건강검진모듈(240), 산모관리모듈(250) 및 신생아관리모듈(26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기본정보모듈(210)은 건강정보에 포함된 기본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활력상태정보, 특수이력정보, 가족력정보 및 보험상품정보을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회원정보부(211), 활력상태부(212), 특수이력부(213), 가족력관리부(214), 보험관리부(215) 및 기본정보DB(216)를 포함한다.
회원정보부(2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성명, 성별, 거주지, 알레르기 유무, 가족력 유무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신상정보를 수정ㆍ갱신토록 한다.
활력상태부(212)는 사용자의 신장, 몸무게, 혈액형, 혈압, 맥박, 흡연여부와 흡연량 및 음주여부와 음주량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활력상태정보를 수정ㆍ갱신토록 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활력상태정보를 확인ㆍ갱신하여 지속적인 자기관리가 가능하다.
특수이력부(213)는 사용자의 알레르기 발생일, 발생원인, 반응 및 치료방법을 포함하는 특수이력정보를 수정ㆍ갱신토록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한 특수이력정보를 참고로 알레르기질환을 숙지토록하여 알레르기로 인한 2차 발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족력관리부(214)는 조부모, 부모, 사용자, 자녀를 포함하는 직계존속의 주요질병, 사망질환 및 현재 발병질환을 포함하는 가족력정보을 수정ㆍ갱신토록 하여 유전에 따른 취약질환을 대비하도록 한다.
보험관리부(215)는 사용자가 가입한 복수개의 보험상품에 대한 보험가입자, 보험사명, 보장범위, 약관, 월 납입액 및 계약ㆍ만료일을 포함하는 보험상품정보를 수정ㆍ갱신토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상품정보를 입력하여 체계적인 보험관리를 가능케 한다.
기본정보DB(216)는 신상정보, 활력상태정보, 특수이력정보, 가족력정보, 및 보험상품정보를 저장ㆍ갱신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외래진료모듈(220)은 건강정보에 포함된 외래진료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의 진료검사정보 및 투약정보를 최근날짜순으로 색인하여 갱신ㆍ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진료검사기록부(221), 진료투약정보부(222) 및 외래진료DB(223)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외래진료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최근날짜순으로 색인하여 빈번히 유발되는 질병에 대한 대처를 가능케 함과 아울러 타병원에서의 진료시 해당 의사에게 참고자료로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
진료검사기록부(221)는 외래진료시 검사받은 사용자의 진료검사명, 검사기관, 검사목적 및 진단명을 포함하는 진료검사정보를 수정ㆍ갱신토록 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검사정보를 최근날짜순으로 색인하여 검사기록을 관리하고, 진료시 검사받았던 각종 파일(MRIㆍCTㆍX-ray사진, 진단서 및 처방전)을 저장ㆍ관리하여 타병원에서의 불필요한 재진료를 방지하도록 한다.
진료투약정보부(222)는 사용자의 처방전에 따른 투약일자, 약품명, 제약회사 명, 복용기간 및 복용법을 포함하는 투약정보를 갱신ㆍ수정토록 하여 약물 오용으로 인한 폐해를 예방함은 물론 타병원에서의 진료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약정보를 최근날짜순으로 색인하여 투약기록을 관리하고, 진료시 발부받은 처방전을 저장ㆍ관리하여 타병원에서의 처방전 발부에 참고하도록 한다.
외래진료DB(223)는 진료검사정보 및 투약정보를 저장ㆍ갱신한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입원ㆍ수술모듈(230)은 건강정보에 포함된 입원ㆍ수술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가 입원한 병원명, 입원기간, 입원방법을 포함하는 입원내역정보와, 사용자가 수술한 병원명, 수술날짜, 수혈유무 및 수혈종류를 포함하는 수술내역정보와, 입원ㆍ수술검사정보 및 입원ㆍ수술투약정보를 최근날짜순으로 색인하여 갱신ㆍ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입원ㆍ수술검사기록부(231), 입원ㆍ수술투약정보부(232), 및 입원ㆍ수술DB(233)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원ㆍ수술내역정보를 저장ㆍ관리토록 하여 타병원에서의 입원ㆍ수술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입원ㆍ수술검사기록부(231)는 사용자가 입원ㆍ수술 기간동안 검사받은 사용자의 검사명, 입원ㆍ수술기관, 입원ㆍ수술목적 및 진단명을 포함하는 입원ㆍ수술검사정보를 갱신ㆍ수정한다.
입원ㆍ수술투약정보부(232)는 사용자가 입원ㆍ수술 기간동안 처방받은 처방전의 투약일자, 약품명, 제약회사명, 복용기간 및 복용법을 포함하는 입원ㆍ수술투약정보를 갱신ㆍ수정토록 하여 약물 오용으로 인한 폐해를 예방토록하며, 입원ㆍ수 술DB(233)는 입원내역정보, 수술내역정보, 입원ㆍ수술검사정보 및 입원ㆍ수술투약정보를 저장ㆍ갱신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검진모듈(240)은 건강정보에 포함된 건강검진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의 허리둘레, 콜레스테롤, 혈압, 중성지방 및 혈당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검진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 건강검진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건강검진DB(241)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건강검진정보를 참고하여 누적된 건강검진정보에 대한 시계열적인 건강관리를 도모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모관리모듈(250)은 건강정보에 포함된 산모관리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의 임신일, 최종 월경일, 인신 전ㆍ후의 체중변화, 임신의 횟수, 출산의 횟수, 자녀수, 자연 유산수, 인공 유산수, 이상증상(뇨단백, 간염, 간염항체)을 포함하는 산모관리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산모관리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산모관리DB(251)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모관리정보를 갱신토록 하여 태아에게 유발될 위험요소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신생아관리모듈(26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정보에 포함된 신생아관리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가 신생아의 신생아정보, 재태기간정보, 신생아건강정보, 신생아예방접종정보, 신생아발육생장정보 및 성장일기정보를 포함하는 신생아관리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신생아정보부(261), 재태기록부(262), 신생아건강기록부(263), 예방접종기록부(264), 발육생장관리부(265), 성장일기부(266) 및 신생아관리DB(267)를 포함한다.
신생아정보부(261)는 사용자의 신생아 출생일, 성별, 출생병원, 전문의 성명, 출생시 몸무게, 혈액형, 혈액타입, 분만형태 및 신생아활력지표(Apgar score)를 포함하는 신생아정보를 갱신ㆍ수정토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생아정보를 갱신ㆍ관리토록하고, 신생아의 출생시와 현재 기록을 참고로 신생아의 정상발육에 참고자료로 활용토록 한다.
재태기록부(262)는 임산부의 정기적인 검진에 따른 초음파사진 및 태아의 발육상태를 포함하는 재태기간정보를 갱신ㆍ수정토록 한다.
신생아건강기록부(263)는 사용자가 신생아의 진료기록, 투약기록, 입원ㆍ수술기록을 포함하는 신생아건강정보를 갱신ㆍ수정토록 한다.
예방접종기록부(264)는 사용자가 신생아 예방접종의 순서와 접종기간 및 접종횟수를 포함하는 신생아예방접종정보를 갱신ㆍ수정토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신생아예방접종정보에 따른 예방접종 완료후 이와 대응되는 신생아예방접종정보를 체크하고, 체크된 신생아예방접종정보를 갱신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발육생장관리부(265)는 사용자가 신생아의 키, 몸무게, 머리둘레 및 치아개수를 포함하는 신생아발육생장정보를 갱신ㆍ수정토록 한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갱신한 신생아발육생장정보에 따른 차트를 통해 신생아의 소아비만 및 소아성인병을 예방하고, 신생아의 발육생장이 정상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성장일기부(266)는 사용자가 신생아의 성장발육에 따른 건강일상 및 사진을 포함하는 성장일기정보를 갱신ㆍ수정토록하며, 신생아관리DB(267)는 신생아정보, 재태기간정보, 신생아건강정보, 신생아예방접종정보, 신생아발육생장정보 및 성장일기정보를 저장ㆍ갱신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에 따른 기본정보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정보모듈에 따른 회원정보부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기본정보모듈에 따른 활력상태부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정보모듈에 따른 특수이력부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기본정보모듈에 따른 보험관리부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에 따른 외래진료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에 따른 외래진료모듈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외래진료모듈에 따른 진료검사기록부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외래진료모듈에 따른 진료투약정보부를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에 따른 입원ㆍ수술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에 따른 입원ㆍ수술모듈을 예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에 따른 건강검진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에 따른 건강검진모듈을 예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에 따른 산모관리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에 따른 산모관리모듈을 예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에 따른 신생아관리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신생아관리모듈에 따른 신생아정보부를 예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신생아관리모듈에 따른 예방접종기록부를 예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신생아관리모듈에 따른 발육생장관리부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맞춤형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100: 개인단말기
110: 입력모듈 120: 통신모듈
130: 출력모듈 140: 제어모듈
200: 건강관리서버 210: 기본정보모듈
211: 회원정보부 212: 활력상태부
213: 특수이력부 214: 가족력관리부
215: 보험관리부 216: 기본정보DB
220: 외래진료모듈 221: 진료검사기록부
222: 진료투약정보부 223: 외래진료DB
230: 입원ㆍ수술모듈 231: 입원ㆍ수술검사기록부
232: 입원ㆍ수술투약정보부 233: 입원ㆍ수술DB
240: 건강검진모듈 241: 건강검진DB
250: 산모관리모듈 251: 산모관리DB
260: 신생아관리모듈 261: 신생아정보부
262: 재태기록부 263: 신생아건강기록부
264: 예방접정기록부 265: 발육생장관리부
266: 성장일기부 267: 신생아관리DB

Claims (9)

  1.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진료기관으로부터 기본정보, 외래진료정보, 입원ㆍ수술정보, 건강검진정보, 산모관리정보 및 신생아관리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관리서버로 송신하고, 갱신된 건강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개인단말기; 및
    상기 개인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건강정보를 기저장된 건강정보와 대응되도록 갱신하여 갱신된 건강정보를 상기 개인단말기로 송신하는 건강관리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사용자의 신상정보, 활력상태정보, 특수이력정보, 가족력정보 및 보험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기본정보모듈;
    사용자의 진료검사정보, 투약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외래진료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외래진료모듈;
    사용자가 입원한 병원명, 입원기간, 입원방법을 포함하는 입원내역정보, 수술내역정보, 사용자가 수술한 병원명, 수술날짜, 수혈유무 및 수혈종류를 포함하는 입원ㆍ수술검사정보 및 입원ㆍ수술투약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입원ㆍ수술정보를 최근날짜순으로 색인하여 갱신ㆍ관리하는 입원ㆍ수술모듈;
    사용자의 허리둘레, 콜레스테롤, 혈압, 중성지방 및 혈당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건강검진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건강검진모듈;
    사용자의 임신일, 최종 월경일, 인신 전ㆍ후의 체중변화, 임신의 횟수, 출산의 횟수, 자녀수, 자연 유산수, 인공 유산수, 이상증상(뇨단백, 간염, 간염항체)을 포함하는 상기 산모관리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산모관리모듈; 및
    신생아정보, 재태기간정보, 신생아건강정보, 신생아예방접종정보, 신생아발육생장정보 및 성장일기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신생아관리정보를 갱신ㆍ관리하는 신생아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정보모듈은,
    사용자의 성명, 성별, 거주지, 알레르기 유무, 가족력 유무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상기 신상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회원정보부;
    사용자의 신장, 몸무게, 혈액형, 혈압, 맥박, 흡연여부와 흡연량 및 음주여부와 음주량을 포함하는 상기 활력상태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활력상태부;
    사용자의 알레르기 발생일, 발생원인, 반응 및 치료방법을 포함하는 상기 특수이력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특수이력부;
    사용자의 직계존속에 대한 주요질병, 사망질환 및 현재 발병질환을 포함하는 상기 가족력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가족력관리부;
    사용자가 가입한 복수개의 보험상품에 대한 보험가입자명, 보험사명, 보장범위, 약관, 월 납입액 및 계약ㆍ만료일을 포함하는 상기 보험상품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보험관리부; 및
    상기 신상정보, 활력상태정보, 특수이력정보, 가족력정보 및 보험상품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기본정보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생아관리모듈은,
    신생아의 출생일, 성별, 출생병원, 전문의 성명, 출생시 몸무게, 혈액형, 혈액타입, 분만형태 및 신생아활력지표를 포함하는 상기 신생아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신생아정보부;
    임산부의 정기적인 검진에 따른 초음파사진 및 태아의 발육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재태기간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재태기록부;
    신생아의 진료기록, 투약기록, 입원ㆍ수술기록을 포함하는 상기 신생아건강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신생아건강기록부;
    신생아의 예방접종 순서와 접종기간 및 접종횟수를 포함하는 상기 신생아예방접종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예방접종기록부;
    신생아의 키, 몸무게, 머리둘레 및 치아개수를 포함하는 상기 신생아발육생장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발육생장관리부;
    신생아의 성장발육에 따른 건강일상 및 사진을 포함하는 상기 성장일기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성장일기부; 및
    상기 신생아정보, 재태기간정보, 신생아건강정보, 신생아예방접종정보, 신생아발육생장정보 및 성장일기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신생아관리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래진료모듈은,
    외래진료시 검사받은 상기 사용자의 진료검사명, 검사기관, 검사목적 및 진단명을 포함하는 상기 진료검사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진료검사기록부;
    사용자의 처방전에 따른 투약일자, 약품명, 제약회사명, 복용기간 및 복용법을 포함하는 상기 투약정보를 수정ㆍ갱신하는 진료투약정보부; 및
    상기 진료검사정보 및 투약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외래진료DB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진료검사정보를 최근 날짜순으로 색인하여 검사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건강검진모듈은,
    상기 건강검진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건강검진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료검사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진료시 검사받은 MRIㆍCTㆍX-ray사진, 진단서 및 처방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원ㆍ수술모듈은,
    사용자가 입원ㆍ수술 기간동안 검사받은 검사명, 입원ㆍ수술기관, 입원ㆍ수술목적 및 진단명을 포함하는 상기 입원ㆍ수술검사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입원ㆍ수술검사기록부;
    사용자가 입원ㆍ수술 기간동안 처방받은 처방전의 투약일자, 약품명, 제약회사명, 복용기간 및 복용법을 포함하는 상기 입원ㆍ수술투약정보를 갱신ㆍ수정하는 입원ㆍ수술투약정보부; 및
    상기 입원내역정보, 수술내역정보, 입원ㆍ수술검사정보 및 입원ㆍ수술투약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입원ㆍ수술D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모관리모듈은,
    상기 산모관리정보를 저장ㆍ갱신하는 산모관리D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9. 삭제
KR1020080019442A 2008-03-03 2008-03-03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KR101512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442A KR101512308B1 (ko) 2008-03-03 2008-03-03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442A KR101512308B1 (ko) 2008-03-03 2008-03-03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477A KR20090094477A (ko) 2009-09-08
KR101512308B1 true KR101512308B1 (ko) 2015-04-15

Family

ID=4129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442A KR101512308B1 (ko) 2008-03-03 2008-03-03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3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1487A (zh) * 2017-03-31 2017-07-28 河北天英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妇幼保健和计划生育服务管理方法和系统
KR20180030008A (ko) 2016-06-09 2018-03-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밀의학을 활용한 가족 단위의 유병률 예측 가계도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210128576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KR102639285B1 (ko) 2023-11-20 2024-02-21 주식회사 메타온테크 개인화된 건강 데이터를 기초로 한 인공지능 모델 기반 사용자 맞춤형 의료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43B1 (ko) * 2010-06-01 2013-02-21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태아 기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2379B1 (ko) * 2011-05-03 2013-02-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99350A (ko) 2017-02-28 2018-09-05 (주)블루와이즈 상황정보기반의 웰니스 콘텐츠 수집 및 큐레이션 시스템
KR102519157B1 (ko) * 2021-02-10 2023-04-06 정승기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663A (ko) * 2004-10-28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60121476A (ko) * 2005-05-24 2006-11-29 권재철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종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70115107A (ko)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메디칼텔레팍스센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시스템
KR20070121296A (ko) * 2006-06-22 2007-12-27 (주)휴비딕 인터넷 망을 이용한 생체상태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663A (ko) * 2004-10-28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60121476A (ko) * 2005-05-24 2006-11-29 권재철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종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70115107A (ko)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메디칼텔레팍스센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시스템
KR20070121296A (ko) * 2006-06-22 2007-12-27 (주)휴비딕 인터넷 망을 이용한 생체상태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0008A (ko) 2016-06-09 2018-03-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밀의학을 활용한 가족 단위의 유병률 예측 가계도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CN106991487A (zh) * 2017-03-31 2017-07-28 河北天英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妇幼保健和计划生育服务管理方法和系统
KR20210128576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KR102639285B1 (ko) 2023-11-20 2024-02-21 주식회사 메타온테크 개인화된 건강 데이터를 기초로 한 인공지능 모델 기반 사용자 맞춤형 의료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477A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308B1 (ko)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Aziz et al. Telehealth for high-risk pregnancies in the setting of the COVID-19 pandemic
Molina et al. Comparison of pregnancy and birth outcomes before v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ilkinson et al. Providing contraception for young people during a pandemic is essential health care
Lvoff et al. Effect of the baby-friendly initiative on infant abandonment in a Russian hospital
Jones et al. Guideline for collection,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safety data in clinical trials of vaccines in pregnant women
US20090259493A1 (en) Mobile health book
Lowry et al. A human factors guide to enhance her usability of critical user interactions when supporting pediatric patient care
Rubin Why are mothers still passing syphilis to their babies?
JP7259224B2 (ja) 問診票作成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upse et al. Using HL7 CDA and CCD standards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CN112053749A (zh) 一种基于多来源数据采集和整合的bpd随访信息系统
Kuehn Mothers take physicians’ advice on vaccines
Ngene et al. Primary care providers and hypertension in pregnancy: Reflections on a patient encounter
Soffer et al. Ethical concerns for amnioinfusions to treat early-onset Anhydramnios
Vawdrey et al. Impact of electronic medication reconciliation at hospital admission on clinician workflow
Sothirasan et al. Clinical guideline for management of Down syndrome in Singapore
Wilkinson et al. Outcomes of a two-visit protocol for long acting reversible contraception for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Rothstein et al. Response of 7-to 15-month-old infants to sequential immunization with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CRM197 conjugate and polysaccharide vaccines
JP3236623U (ja) 診療手帳
Gencturk et al. Implementation of HL7 FHIR-Based Interoperability Profiles to Manage Care Plans for Multimorbid Patients with Mild Dementia
Shah Strategies for vaccination of close contacts and expectant parents of infants: the next immunization frontier for pediatricians
Sawe Maternal health tracker web application system
Chen et al. A Proposed Policy Solution to Provide Remote Prenatal Care after the COVID-19 Pandemic
Grischeau et al. Optimizing workflow at a multidisciplinary clinic for management of hepatitis C virus 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