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157B1 -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157B1
KR102519157B1 KR1020210019133A KR20210019133A KR102519157B1 KR 102519157 B1 KR102519157 B1 KR 102519157B1 KR 1020210019133 A KR1020210019133 A KR 1020210019133A KR 20210019133 A KR20210019133 A KR 20210019133A KR 102519157 B1 KR102519157 B1 KR 10251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medical
user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5299A (ko
Inventor
정승기
Original Assignee
정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기 filed Critical 정승기
Priority to KR102021001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1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입력하고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발급받고, 의료 히스토리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EHR(Electronic Health Record)와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발급부,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의료정보 및 EHR을 비교하는 크로스체크부, 의료정보 및 EHR이 상이한 경우 사용자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로 확인을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VACCINATION SCHEDULE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개인이 백신접종 히스토리를 관리하도록 각 의료기관과 연계하여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종이문서로 관리되던 의무기록을 전산화한 전자의무기록으로 전환되면서 개인의료정보인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에 대한 보안 및 프라이버시 이슈가 현장과 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개인 의료정보를 전산화하여 병원이나 의료기관에서 공유하면 환자는 중복 검사의 피해를 피할 수 있고, 동일한 환자를 담당하는 의료진은 환자의 의료정보를 공동으로 사용하여 환자 치료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개인의 민감정보가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위해 유출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환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무단 접근을 막기 위해서는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이 강화되어야 하나, 프라이버시에 대한 강한 보호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이 적시에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조치가 될 수도 있다. 즉, 보호의 필요성과 활용의 필요성이 큰 것이 의료정보의 이중적인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EHR을 공유함으로써 생애주기별 접종가능한 백신의 종류와 접종이력을 안내해주는 구성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9-0094477호(2009년09월08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6-0028114호(2016년03월11일 공개)에는, 사용자 또는 진료기관으로부터 기본정보, 신생아관리정보, 산모관리정보, 외래진료정보, 입원ㆍ수술정보, 건강검진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입력받아 건강관리서버로 송신 및 출력하고, 송신된 건강정보를 기 저장된 건강정보와 대응되도록 갱신하는 구성과, 환자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접종이력 정보를 예방접종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접종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챠트 정보 내에서 필요접종항목을 확인하고, 확인된 필요접종 항목을 의사 단말에 제공하며, 의사 단말로부터 필요접종 항목에 대한 처방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처방 결과에 따라, 접종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예방접종 서버로 전송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개인정보보호법상 1 등급으로 분류된 EHR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보호와 환자의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과 이용 사이의 적정한 균형점을 찾을 수 없다. 한국 의료기관 내의 EMR 시스템 도입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 간 의료정보 교류가미진하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진료정보교류 서식에 관한 표준이 고시되었고, 진료정보교류 시범사업이 확대되고 있으나,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되어 팬데믹 이후인 포스트코로나(Post-COVID19) 시대, 즉 백신접종이 시작될 올해까지도 답보상태이다. 이에, 안전성과 편의성을 모두 갖출 수 있으면서도 백신접종이력을 포함한 EHR을 개인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인을 식별하는 QR 코드를 부여하고, 각 의료기관과 개인으로부터 EHR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생애주기별 접종해야 할 백신접종에 대한 관리를 국가 차원이 아닌 개인 차원에서도 관리를 할 수 있으며, EHR의 위변조를 막기 위하여 의료기관 뿐만 아니라 개인으로부터도 정보를 수집하여 양방향으로 크로스체크를 할 수 있고, 백신접종 이후에 백신의 효력이 유지되는 기간까지 알려줌으로써 언제 다시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B2B, B2C 및 C2C로 백신의 약효나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빠르게 부작용 사례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입력하고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발급받고, 의료 히스토리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EHR(Electronic Health Record)와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발급부,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의료정보 및 EHR을 비교하는 크로스체크부, 의료정보 및 EHR이 상이한 경우 사용자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로 확인을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개인을 식별하는 QR 코드를 부여하고, 각 의료기관과 개인으로부터 EHR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생애주기별 접종해야 할 백신접종에 대한 관리를 국가 차원이 아닌 개인 차원에서도 관리를 할 수 있으며, EHR의 위변조를 막기 위하여 의료기관 뿐만 아니라 개인으로부터도 정보를 수집하여 양방향으로 크로스체크를 할 수 있고, 백신접종 이후에 백신의 효력이 유지되는 기간까지 알려줌으로써 언제 다시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B2B, B2C 및 C2C로 백신의 약효나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빠르게 부작용 사례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등록하고, QR 코드를 발급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의료기관 단말(400)에서 입력된 EHR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생애주기별 적어도 하나의 백신접종 스케줄을 출력하며, 사용자가 기 접종한 백신과 접종해야 할 백신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QR 코드를 출력한 후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거나 백신을 접종한 경우, 의료기관 단말(400)로부터 진료 또는 백신접종을 포함하는 EHR를 공유받고 진료 또는 백신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백신을 접종한 후 부작용이나 효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등록하는 경우 QR 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에서 사용자의 의료기록인 EHR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조회하거나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QR 코드, EHR, 개인정보, 의료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의료기관과 사용자가 서로 입력한 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크로스체크를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된 부작용 정보를 각 의료기관과 개인(사용자)이 각각 상호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연령, 성별, 병력, 가족력, 유전 등에 따라 어떠한 부작용이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비식별화 또는 가명화처리를 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분석한 결과를 시각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은,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의료기관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은, QR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하고, 사용자(환자)를 진료하거나 백신을 접종한 경우 EHR을 업데이트한 후 저장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을 설명하기 이전에, EHR 및 EMR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것들은 도 2에 중복하여 기재하지 않는다.
종이의무기록이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으로 변화한 것만큼 의료정보시스템에서 중요한 것이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EHR) 시스템이다. EMR 시스템은 보통 하나의 병원에서 종이나 수기로 관리하던 개인 의료기록을 전산화한 것을 의미하고, EHR는 복수의 EMR을 연결하여 의료정보의 공유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통합하는 것이다. 이 둘을 구별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EMR 시스템의 국내 보급률은 약 92%로 다른 국가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웹 기반 EHR 참여율이 4.8%에 불과한 수치를 통해 아직까지 정보의 교류 수준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의료기관 내의 EMR 시스템 도입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 간 의료정보 교류가 미진하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진료정보 교류 서식에 관한 표준이 고시되었고, 2009년부터 시행된 진료정보교류 시범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의료정보공유를 위해 대형병원 간 컨소시엄 출범을 통한 공동 플랫폼 구축이 최근에 추진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은 EHR 시스템 상의 진료기록, 처방기록, 수술기록 등의 의료정보가 다수의 사람에 의한 활용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의료정보 공유의 측면에서 프라이버시 문제를 더 면밀히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일본에서는 병원의 EMR 조차 보급률이 40% 미만이기 때문에 EMR을 개선한 후 EHR을 함께 도입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IT 강국답게 의료기관마다 EMR 보급으로 종이 위주의 환자 기록이 사라진 지 오래되었지만, 의료기간 간 자료 송수신률은 1.3%로 거의 제로에 가까운 수준이다. 의료기록을 다른 병원으로 이관시키려면 환자는 자신이 응급실 병상에 누워있음에도 자신의 신분증, 진료기록 요청서, 담당의의 사인의 과정을 거쳐야 다른 병원으로 이송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골든타임 내에 다른 병원으로 이송되지 못하거나 이송되더라도 다시 검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병·의원 간 정보공유는 환자정보 누출 우려가 있지만 한편으로 정보공유 부재로 진료 및 CT나 MRI를 중복 촬영해 시간과 재원을 낭비한다는 환자들의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또 2014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및 코로나(COVID-19)가 발생했을 때 보건당국과 병원 간 정보공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팬데믹 사태를 방조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2006년부터 국가보건의료정보화 5개년 종합계획을 세우면서 의료기관의 정보화 토대를 마련했지만 2021년인 지금도 이해 대립과 정보 누출 우려로 정책 추진이 답보상태다. 보건복지부가 EMR 보관 관리의 보안 및 편의를 위한 의료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을 마련해 입법예고를 했지만 의료계는 또 반발하고 있다. 환자정보를 어딘가에 위탁해 대량으로 저장됐을 경우 범죄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중소병원이나 개원가는 환자정보 보안이 취약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해킹을 당해 환자 이름, 전화번호, 주소, 상담 내용 등의 개인정보가 손쉽게 유출될 수 있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2021년 코로나 예방접종이 시작되는 상반기부터 하반기까지 전국민에게 개인을 식별하는 QR 코드를 부여하고, 각 의료기관과 개인으로부터 EHR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노출의 염려는 줄이고 편의성은 극대화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급부(310), 크로스체크부(320), 요청부(330), 공유부(340), 저장부(350), 생애주기관리부(360), 백신관리부(370), 빅데이터화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제공 서버(500)로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제공 서버(500)는,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정보제공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급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식별코드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1차원 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입력하고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발급받고, 의료 히스토리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의료 히스토리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에서 수집된 EHR에 기반한 데이터일 수 있고 시기별, 진료과별로 정렬되어 출력될 수 있다. EHR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에서 출력될 때 서버기반컴퓨팅(Server Based Computing) 또는 데스크탑 가상화(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렇게 각 의료기관 단말(400) 상에 저장이 되지 않고 가상 컴퓨터 환경에서 출력하게 되면, 조회나 입력은 가능하더라도 이를 저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 의료기관의 서버나 단말이 해킹되더라도 해킹할 자료 자체가 없어 개인정보유출의 우려가 줄어들 수 있다.
크로스체크부(320)는,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의료정보 및 EHR을 비교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은, EHR(Electronic Health Record)와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크로스체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받은 의료정보와, 각 의료기관 단말(400)에서 입력한 EHR을 비교하는 것인데, 서로 상이한 경우 대부분 의료기관 단말(400)의 입력이 맞을 수도 있지만 혹시라도 의료기관 단말(400)이 잘못 저장하거나 기록한 부분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저장하기 이전에 상호확인을 하는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요청부(330)는, 의료정보 및 EHR이 상이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렇게 양 당사자 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기록될 수 있다.
공유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로부터 QR 코드를 인식받고 백신접종 이벤트를 입력받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약효 또는 부작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최근 코로나(COVID19) 완치자들이 부작용을 서로 공유하면서 코로나가 미각상실을 야기하고 피부색이나 폐에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호흡곤란, 극심한 피로, 가슴통증, 두통, 탈모 등 다양한 부작용을 남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금년 예정인 코로나 백신도 임상실험기간이 짧기 때문에 어떠한 부작용이 나타날지는 모르는 일이고, 이에 따라 성별에 따라, 연령에 따라, 가족력이나 유전에 따라, 신체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렇게 공유된 부작용이나 효능들은 이후 빅데이터로 구축되어 비식별화 또는 가명화처리된 후 각 변수(성별, 연령, 가족력, 유전, 신체상태, 질병히스토리 등)에 따라 어떠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저장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로부터 투여백신정보, 투약기관 및 백신효력유지기간을 포함하는 의약품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백신접종 이벤트를 입력받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의약품관리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백신 임상은 6 개월간 항체가 지속되는지, 또 6 개월간 부작용은 없는지 모니터링한 뒤 사용 승인을 요청하게 되지만,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그 위급성을 고려해, 백신 접종 후 2 개월이 지난 시점에서의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되면 긴급사용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독감 백신의 경우 6개월이 지나면 항체의 빠른 소실로, 접종을 통한 예방 효과가 사라진다. 독감 백신을 맞으면 독감이 유행하는 늦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예방 효과가 유지된다는 의미다. 코로나19의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완치된 환자들의 항체 지속 기간이 길면 3 개월 정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렇게 각 백신마다 항체가 지속되는 기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 기간이 지나기 이전에 다시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 이에 따라, 각 백신별 지속기간을 사용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지속 기간 경과 이전에 알려주어 다시 접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기를 놓쳐 백신의 효력이 지속되지 않는 동안 질병 또는 감염병에 걸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생애주기관리부(360)는, 생애주기별 접종해야 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백신 및 접종시기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나이 및 성별에 따라 백신접종안내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생애주기별 감염병 관리를 위하여 예방접종을 안내하고 있는데 이하 표 1과 같다.
신생아기(4주 이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감염증, 로타바이러스감염증
영·유아기(0-6세) 유행성이하선염, 수두, 성홍열, 수족구병, 인플루엔자
학령기(7-18세) 유행성이하선염, 수두, 성홍열, 인플루엔자
청·장년기(19-64세) A형간염, 결핵
노년기(65세 이상)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결핵, 인플루엔자
그 외에도, BCG(피내용), B형간염,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IPV(폴리오), 수두,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일본뇌염(사백신, 생백신), Td(파상풍/디프테리아), DTaP-IPV/Hib(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폴리오/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Tdap(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Hib(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폐렴구균, A형간염,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등 생애주기별로 접종해야 할 백신과 감염병예방 백신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를 개인이 모두 관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생애주기별로 맞아야 하는 백신들을 각 개인에게 알려주고, 이를 맞았는지의 여부를 개인에게 다시 피드백하여 업데이트해줌으로써 각 개인이 무슨 백신을 언제 맞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도록 할 수 있다.백신관리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의 위치에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상에 식별코드를 자동으로 출력시키고, 식별코드가 인식되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400)에서 백신을 식별하는 식별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식별코드와 백신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빅데이터화부(38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백신접종을 한 후 부작용 정보를 포함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며,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로우 데이터는 복수의 주체를 식별하지 못하도록 비식별화(De-Identification) 또는 가명화(Pseudonymization) 처리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주체에 귀속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일 수 있다.
빅데이터화부(380),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가명화 처리로 변환되는 값이 유일(Distinguishability)하도록 설정하고, 가명화 처리로 변환된 값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원본을 유추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고, 시스템 상 원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고가용성을 갖추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가명화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마스킹으로 변환되는 값이 유일(Distinguishability)하도록 설정되어야 하고, 마스킹으로 변환된 값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원본을 유추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야 하며, 개인정보에 접근하는 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도 복원되지 않는 동적 데이터 마스킹을 적용하고, 서비스 고가용성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가명화 처리는, 휴리스틱 가명화, 암호화 및 교환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가명화 처리는, 총계 처리(Aggregation), 데이터 삭제(Data Reduction), 데이터 범주화(Data Suppression), 및 데이터 마스킹(Data Masking)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과 함께 복합적으로 또는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가명화 처리(Pseudonymizatoin)를 수행한 후, 가명화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노출에 대한 정량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프라이버시 모델을 구동할 수 있다.
프라이버시 모델의 구동 결과, 가명화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기 설정된 확률수준 이상 비식별화가 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가명화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기 설정된 확률수준 이상 비식별화가 되지 못한 경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피드백을 요청하고, 기 설정된 확률수준 이상 비식별화가 된 경우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버시 모델은, k-익명성(anonymity), l-다양성(diversity), 및 t-근접성(closeness)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비식별화된 데이터가 재식별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차분 프라이버시 모델(Differential Privacy Model)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이는, k-익명성과 l-다양성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C. Dwork가 제안한 모형으로, 단순한 숫자의 변화가 아니라 레코드들 자체의 확률적 변형을 통해 식별 가능성을 제한하는 접근법이다. 차분 프라이버시 모델은 ① 어떤 특정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 집합에서 차분적인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획득한 결과와 ② 그 특정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집합에서 얻은 결과가 구별되지 못하게 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기본적인 목표이다. 이 목표의 달성을 위해 정확하게 계산된 양의 노이즈를 통계 기록에 넣어서 개인의 식별성을 없애는 방법을 이용한다. 민감한 정보의 보호를 위해 차분 프라이버시 모델은 체계적으로 무작위 수치를 넣게 되고 이 무작위 수치는 일종의 노이즈 역할을 한다. 이 노이즈의 삽입을 통해 어떤 데이터셋에 특정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결과물을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 익명화 기법들은 공격자가 사전지식을 갖고 있을 때 최소성 공격(Minimality Attack)에 취약하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차분 프라이버시는 공격자의 사전 지식과 관계없이 각 개인의 정보를 확률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레코드(Record) 값이 하나만 차이나는 두 이웃 데이터베이스 D1, D2를 입력으로 하는 질의 결과가 S이고, 임의의 함수 A가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할 때, 함수 A가 ε -차분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고 정의한다.
Figure 112021017176627-pat00001
이러한 차분 프라이버시의 정의를 만족하는 여러 기법들 중 숫자 데이터에 널리 쓰이는 라플라스 기법(Laplace Mechanism)은 라플라스 분포를 통해 난수를 생성하여 기존 데이터에 더하는 방식이다. 라플라스 분포의 식은 이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21017176627-pat00002
라플라스 기법에서는 μ=0, b=△f/ε의 라플라스 분포를 사용하며 이때, △f는 두 이웃 데이터베이스 D1과 D2에 대한 질의 결과의 최대 차이이다.
다음, 차분 프라이버시 k-평균 알고리즘(이하, EUGkM)에 대해 설명한다. 차분 프라이버시를 만족하는 K-평균 알고리즘을 히스토그램 기반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데이터를 여러 개의 격자(Grid)로 나눈 뒤 각 격자 내에 있는 데이터 포인트 개수를 히스토그램으로 만든다. 그 뒤에 각 격자 내 포인트 개수에 라플라스 기법을 적용하고, 각 격자의 중심점을 이용해 K-평균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각 클러스터의 중심점을 계산할 때는 각 격자가 갖고 있는 포인트 개수에 비례한 가중치를 두어 계산한다. EUGkM 알고리즘의 정보 보호 수준 ε과 총 데이터 개수 N, 데이터 차원 d를 이용해 최적의 격자 개수 m을 계산하는 식은, 이하 수학식 3과 같고, θ는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해주는 값이다.
Figure 112021017176627-pat00003
EUGkM 알고리즘에서 각 격자 내에서 라플라스 기법을 적용하는 과정은 격자 간에 주고받는 영향이 없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이 라플라스 기법을 적용하여 히스토그램을 만드는 과정을 하둡 맵리듀스를 이용해 분산병렬화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재식별화가 불가하도록 역추적을 방지하는 방법은, 2 개의 맵리듀스 페이즈(Phase)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 번째 페이즈에서는 병렬적으로 차분 프라이버시가 적용된 히스토그램을 생성하고 두 번째 페이즈에서 히스토그램의 각 격자를 데이터 포인트로 생각하고 K-평균 클러스터링을 병렬적으로 실행한다.
첫 번째, 히스토그램 생성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맵퍼(Mapper)는 전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간에 대해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구한 격자 수로 나눈다. 그 뒤 각각의 데이터 포인트가 속한 격자 위치를 구하고 여러 개의 격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파티션(Partition)으로 묶어서 리듀서(Reducer)로 보낸다. 이때 데이터 포인트를 하나도 포함하지 않는 파티션의 경우는 더미(Dummy) 격자 하나만 전송하도록 한다. DPHist-MR.reduce 함수에서는 각 파티션의 데이터 영역 내에 모든 격자들이 포함하는 데이터 개수에 대해 라플라스 기법을 적용하고 격자의 중심점을 구해 내보낸다. 이때, 점의 개수가 0인 격자의 경우는 맵퍼로부터 전송받지 않고 리듀스 함수 내에서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분산병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두 번째 과정에서, K-평균 클러스터링은 각 격자의 중심점을 하나의 데이터로 간주하고 클러스터링을 진행한다. 맵리듀스를 활용한 K-평균 클러스터링에서 맵(Map)에서는 각각의 점에 대해 가까운 클러스터 중심점을 계산하고 리듀스에서는 각 클러스터에 대해 새로운 중심점을 계산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노이즈 삽입만을 수행하기 위해 차분 프라이버시를 만족하는 히스토그램을 만들고, K-평균 클러스터링을 수행했을 때의 문제점, 즉 히스토그램의 크기가 커질 때 한 대의 머신에서 처리하기 위해 긴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히스토그램의 크기를 크게 하더라도, 즉 노이즈를 다량 삽입하여 공격이 불가한 데이터 보호를 만들더라도, 병렬적으로 노이즈를 삽입함으로써 대량의 데이터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가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차분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히스토그램을 만들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서 각 개인(사용자)의 백신 접종내역을 관리하기 위한 개인정보는, 휴대폰 인증 등 개인을 식별할수 있는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의료기관 단말(400)에서 입력되는 EHR 중 백신관련 데이터는, 투여백신정보(백신명, 생산일자 등), 투약기관(병원, 보건소 정보), 백신효력유지기간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QR 코드를 부여받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부작용이나 효능에 대한 정보를 업로드할 때, 백신을 실제로 접종한 사용자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QR 코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각 의료기관 단말(400)로부터 예방접종 증명 확인서를 발급받아 인증한 후 후기를 공유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b)와 같이 성인 예방 접종표 또는 영유아 예방 접종표 기준 투약 일정 알림, 투약 가능한 의료기관 및 시설 추천 서비스 제공, 국가 방침에 따른 긴급 투약이 필요한 연령 또는 대상에 알림 서비스 제공할 수 있도록 각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 도 4의 (a)와 같이 양방향, 즉 의료기관과 개인(사용자) 간 양방향으로 기록되도록 적용함으로써 의료데이터의 위변조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b)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본인인증 후 QR 코드를 출력하고, 국민 건강보험공단 진료 및 투약정보 조회를 통한 데이터 저장이나, 의료기관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접종받은 백신 정보(바코드 입력)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는, 진료 영수증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때, 부작용을 공유할 때 QR 코드를 통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100).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의료정보 및 EHR을 비교하고(S5200), 의료정보 및 EHR이 상이한 경우 사용자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로 확인을 요청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입력하고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발급받고, 의료 히스토리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EHR(Electronic Health Record)와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발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발급부, 상기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의료정보 및 EHR을 비교하는 크로스체크부, 상기 의료정보 및 EHR이 상이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로 확인을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QR 코드를 인식받고 백신접종 이벤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약효 또는 부작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공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투여백신정보, 투약기관 및 백신효력유지기간을 포함하는 의약품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백신접종 이벤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의약품관리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생애주기별 접종해야 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백신 및 접종시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나이 및 성별에 따라 백신접종안내 메세지를 전송하는 생애주기관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의 위치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식별코드를 자동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식별코드가 인식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에서 백신을 식별하는 식별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식별코드와 백신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시키는 백신관리부,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서 백신접종을 한 후 부작용 정보를 포함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며,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고,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빅데이터화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빅데이터화부는,
    시스템 상 원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고가용성을 갖추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가명화 처리로 변환되는 값이 유일하도록 설정하고, 가명화 처리로 변환된 값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원본을 유추할 수 없도록 설정하며,
    상기 EHR은,
    상기 의료기관 단말 상에서 조회나 입력은 가능하더라도 저장이 되지 않고 가상 컴퓨터 환경에서 출력되어, 의료기관의 서버나 단말이 해킹되더라도 해킹할 자료 자체가 없어 개인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단말에서 출력될 때, 서버기반컴퓨팅(Server Based Computing) 또는 데스크탑 가상화(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되어 출력되며,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시기를 놓쳐 백신의 효력이 지속되지 않는 동안 질병 또는 감염병에 걸리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각 백신별 지속기간을 사용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지속 기간 경과 이전에 알려주어 다시 접종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약효 또는 부작용 정보를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업로드할 때, 백신을 실제로 접종한 사용자인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QR 코드를 이용해서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예방접종 증명 확인서를 발급받아 인증한 후 후기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19133A 2021-02-10 2021-02-10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19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133A KR102519157B1 (ko) 2021-02-10 2021-02-10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133A KR102519157B1 (ko) 2021-02-10 2021-02-10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299A KR20220115299A (ko) 2022-08-17
KR102519157B1 true KR102519157B1 (ko) 2023-04-06

Family

ID=8311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133A KR102519157B1 (ko) 2021-02-10 2021-02-10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701B1 (ko) * 2022-09-08 2023-04-28 문시훈 반려동물의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26B1 (ko) * 2017-11-22 2018-07-04 김광호 빅데이터 기반 의료자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97622B1 (ko) * 2019-05-17 2020-04-06 권성석 개인건강기록 공유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692B1 (ko) * 2003-10-02 2006-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의료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의료정보 시스템 및 의료 정보 제공 방법
KR101512308B1 (ko) * 2008-03-03 2015-04-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KR101068687B1 (ko) * 2009-02-26 2011-09-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
KR20130111892A (ko) * 2012-04-02 2013-10-1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2차원 코드를 이용한 화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60028114A (ko) *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유비케어 예방접종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79177B1 (ko) * 2018-10-02 2020-11-18 주식회사 플랜잇파트너스 병원 의무기록 고속 검색을 위한 분산 데이터 저장 및 검색 시스템,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26B1 (ko) * 2017-11-22 2018-07-04 김광호 빅데이터 기반 의료자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97622B1 (ko) * 2019-05-17 2020-04-06 권성석 개인건강기록 공유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299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lladurai et al. A novel blockchain based electronic health record automation system for healthcare
Zaabar et al. HealthBlock: A secure blockchain-based healthcare data management system
CN113228023A (zh) 培训和健康领域的统一识别协议
US20210375408A1 (en) Blockchain-based distribution of medical data records
CN102521394A (zh) 公共医学数据库
US202100570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ederated searching and retrieval of medical records across disparate databases
Sarkar et al. A conceptual distributed framework for improved and secured healthcare system
Alabdulkarim et al. SPIN: a blockchain-based framework for sharing COVID-19 pandemic information across nations
KR102519157B1 (ko)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ar et al. Blockchain framework for secure COVID-19 pandemic data handling and protection
Zhang et al. Design and application of electronic rehabilitation medical record (ermr) sharing scheme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Bennacer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ew Blockchain-based digital health passport: A Moroccan case study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Kamal et al. Care4U: Integrated healthcare systems based on blockchain
KR20220117406A (ko) 분산원장기술 기반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RU2664406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дания анонимности многоузловому показателю эффективности и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ействиями и повтор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ей анонимных данных
Kung et al. Personal health record in FHIR format based on blockchain architecture
Sneha et al. Alleviating challenges related to FDA-approved medical wearable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Wang et al. Health data security sharing method based on hybrid blockchain
Alsudani et al. Blockchain-Based E-Medical Record and Data Security Service Management Based on IoMT Resource
Perez et al. Blockchain-based Model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A Case for Simulated Patient Referrals Using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Laohakangvalvit et al. Cloud-based data exchange framework for healthcare services
WO2023043807A1 (en) Non-fungible token system for ensuring ethical, efficient and effective management of biospecimens
Billa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leveraged internet of medical things and continuous health monitoring and combating pandemics within the internet of medical things framework
Meiappane et al. Digi-sheet: Analysis of patient disease data by inspecting the health st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