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687B1 -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687B1
KR101068687B1 KR1020090016509A KR20090016509A KR101068687B1 KR 101068687 B1 KR101068687 B1 KR 101068687B1 KR 1020090016509 A KR1020090016509 A KR 1020090016509A KR 20090016509 A KR20090016509 A KR 20090016509A KR 101068687 B1 KR101068687 B1 KR 101068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edical institu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524A (ko
Inventor
이성현
김일곤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6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은 환자에 대한 국제 표준의 범용 고유 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에 해당하는 환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에 대한 국제 표준의 객체 식별자(OID: Object IDentifier)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단계; 상기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등록된 환자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맵핑한 맵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맵핑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 상기 조회를 요청한 의료기관으로 상기 맵핑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의료기관에 따라 각각 다른 환자번호를 쓰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맵핑하도록 하여 다양한 의료 기관에 산재된 환자 정보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patient information using identification of a patient and a hospital organization}
본 발명은 정확하게 환자를 식별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의료기관에 따라 각각 다른 환자번호를 쓰는 환자에 대해 unique한 식별정보를 사용하고 의료기관 식별정보와 환자 식별정보를 맵핑하여 환자 정보를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건산업진흥원 및 서울대학교 산학협력재단의 바이오산업화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A050909, 과제명: 전자건강기록 아키텍쳐 및 통합의료용어체계, 임상의사결정 지원시스템 연구]
환자의 진료 기록을 교류하는 핵심 요인 중에 하나는 환자의 식별자를 그들의 데이터에 정확하게 연계하는 것이다. 그런데, 환자가 하나의 의료 기관을 통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의료기관을 통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받기 때문에 해당 환자의 정보 공유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현재는 각 병원 별, 환자의 ID가 존재하고, 한 병원의 Health Information System (HIS)내부에서 환자의 정보를 생성할 때 환자의 ID가 생성된다. 한편, IHE(Integrating the Healthcare Enterprise) 에서는 의료기관 간 정보공유를 원활히 하기 위해 기관을 초월하여 특정 환자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PIX(Patient Identifier Cross-Referencing)프로파일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NEHTA(National E-Health Transition Authority) 에서는 Identity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으며, 이 프레임 워크에서는 Identity Management Resource Set을 통해 환자 ID관리에 관한 국가적인 보건의료 ID관리를 지원하고 있다. 이 NEHTA의 방식은 접근제어, 보안, 인증/인가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ETRI(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KISA(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Microsoft가 협력하여 전자ID지갑 (Digital Identity Wallet )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전자 ID지갑은 사용자의 개인정보,인증정보, 지불 정보 등의 다양한 ID정보를 보관하는 저장소이며 이를 보건의료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제표준에 근거하여 다양한 의료기관에 산재해 있는 환자의 각종 정보를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개발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Identification 표준안을 기반으로 하여 환자 및 의료기관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의료 기관에 산재된 환자 정보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은 환자에 대한 국제 표준의 범용 고유 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에 해당하는 환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에 대한 국제 표준의 객체 식별자(OID: Object IDentifier)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단계; 상기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등록된 환자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맵핑한 맵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맵핑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 상기 조회를 요청한 의료기관으로 상기 맵핑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장치는 환자에 대한 국제 표준의 범용 고유 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에 해당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환자 식별정보 등록부; 의료기관에 대한 국제 표준의 객체 식별자(OID: Object IDentifier)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의료기관 식별정보 등록부; 상기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맵핑한 맵핑정보의 생성을 제어하고,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맵핑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 상기 조회를 요청한 의료기관으로 상기 맵핑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맵핑정보 생성 및 전송 제어부; 및 상기 환자 식별정보, 상기 의료기관 식별정보 및 상기 맵핑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및 의료기관에 대한 국제 표준의 식별자를 마련하여, 환자 및 의료기관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히 환자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고, 그 환자가 방문한 의료기관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을 선택할 경우에,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기관번호, 환자번호를 확인하여, 환자에 대한 각종 진료정보를 편리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환자 정보 접근장치(300)는 환자(100) 및 의료기관 1(200)에 대한 각각의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한다. 이를 위해, 환자 정보 접근장치(300)는 환자 식별정보 등록부(310)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 등록부(320)를 구비한다.
환자 식별정보 등록부(310)는 환자(100)에 대한 국제 표준의 환자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고, 이러한 등록된 환자 식별 정보를 정보 저장부(330)로 출력한 다.
환자 식별정보 등록부(310)는 환자 식별정보로서 범용 고유 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범용 고유 식별자(UUID)는 인터넷상에서 객체나 실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128비트 숫자, 공간과 시간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별자로서, 극히 단시간의 객체에서부터 영구적인 객체 식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증 기관의 등록 절차는 없고, 다만 범용 단일 식별자 생성 프로그램의 유일 식별 숫자를 필요로 한다. 이 숫자는 총 16옥텟(128비트)으로, 공간 영역 6옥텟(48비트)은 미국 전기 전자 학회(IEEE) 등록 기관을 통한 주소 블록으로 할당되어 IEEE 802 주소로 이미 망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나머지 옥텟은 다수의 시간 영역이며, 시간은 100나노초 간격의 세계 표준시로 나타낸다.
한편, 환자 식별정보 등록부(310)는 환자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이외에, 환자(100)에 대한 신상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한다. 환자 식별정보 등록부(310)는 환자(100)에 대한 신상정보로서 환자 이름, 주소, 나이, 신체 정보, 연락처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의료기관 식별정보 등록부(320)는 의료기관1(200)에 대한 국제 표준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고, 이러한 등록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정보 저장부(330)로 출력한다.
의료기관 식별정보 등록부(320)는 의료기관 식별정보로서 객체 식별자(OID: Object IDentifier)를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객체 식별자(OID)는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NMP)에서 망 식별 장비에 붙는 번호에 해당하며,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의 IP 주소와 유사한 표기법을 사용하여 ANSI처럼 다양한 레지스트리가 각 제조 업체나 기관에 번호로 지정되고, 각 제조 업체나 기관은 각자 장비나 소프트웨어에 식별 번호를 부가한다. 생성된 객체 식별자(OID)가 국제적인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증 과정을 거친다.
한편, 의료기관 식별정보 등록부(320)는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이외에, 의료기관에 대한 상세정보를 등록한다. 여기서, 의료기관 식별정보 등록부(320)는 의료기관의 상세정보로서, 의료기관의 주소, 연락처, 의료 전문분야 등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330)는 환자 식별정보 등록부(310)로부터 수신된 환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 등록부(320)로부터 수신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각각 저장한다.
그 후, 환자(100)가 의료기관 2(400)에서 진료를 받으면, 해당 의료기관2(400)는 자신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환자 정보 접근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해당 의료기관2(400)는 의료기관 식별정보와 함께, 환자(100)의 환자 식별정보 및 자신의 의료기관 내의 내부 식별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환자(100)를 진료한 의료기관 2(400)은 환자(100)의 진료정보를 자신이 보관할 수도 있지만, 해당 진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관하는 진료정보 서버(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진료정보 서버(500)는 다양한 의료기관들로부터 수신된 의료기관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한 진료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자(100)를 진료한 의료기관2(400)로부터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맵핑정보 생성 및 전송 제어부(340)는 환자(100)에 대한 등록된 환자 식별정보와 수신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맵핑한 맵핑정보의 생성을 제어한다. 이러한 맵핑정보는 환자(100)가 진료받은 다양한 의료기관들 각각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들을 포함한다. 표 1은 맵핑정보의 테이블을 예시한 것이다.
환자 식별정보 진료받은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식별정보 진료받은 의료기관 내부의 환자 식별정보
환자 A 의료기관 식별정보 1, 의료기관 식별정보 2, 의료기관 식별정보 3 환자 A의 의료기관 내의 내부 식별정보들
환자 B 의료기관 식별정보 1, 의료기관 식별정보 4 환자 B의 의료기관 내의 내부 식별정보들
환자 C 의료기관 식별정보 2, 의료기관 식별정보 5, 의료기관 식별정보 6 환자 C의 의료기관 내의 내부 식별정보들
..... ..... .....
맵핑정보 생성 및 전송 제어부(340)는 생성된 맵핑정보를 정보 저장부(330)로 출력한다. 정보 저장부(330)는 수신된 맵핑 정보를 저장한다.
그 후, 의료기관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3(410)이 환자(100)에 대한 진료정보의 조사를 위해 필요한 맵핑정보의 조회를 환자 정보 접근장치(300)에 요청할 수 있다.
의료기관 3(410)이 맵핑정보의 조회를 요청하면, 맵핑정보 생성 및 전송 제어부(340)는 해당 의료기관 3(410)이 등록된 의료기관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한다. 등록된 의료기관인지 여부는 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된 등록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사용해 검사한다.
등록된 의료기관으로 판정이 되면, 맵핑정보 생성 및 전송 제어부(340)는 환자(100)에 대한 맵핑정보를 정보 저장부(330)에 요청하고, 정보 저장부(330)로부터 맵핑정보를 인출하여, 맵핑정보의 조회를 요청한 의료기관 3(410)으로 맵핑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환자 정보 접근장치(300)로부터 맵핑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관 3(410)은 맵핑 정보로부터 환자(100)가 진료받은 의료기관 2(400)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맵핑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관 3(410)이 환자(100)가 진료받은 의료기관 2(400)로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를 요청하면, 의료기관 2(400)로부터 환자(100)에 대한 진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환자 정보 접근장치(300)로부터 맵핑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관 3(410)은 맵핑 정보로부터 환자(100)가 진료받은 의료기관 2(400)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확인한 후에, 환자(100)에 대한 진료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진료정보 서버(500)로 환자(100)의 진료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진료정보 서버(500)로부터 환자(100)에 대한 진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환자에 대한 국제 표준의 환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에 대한 국제 표준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한다(제600 단계). 여기서, 환자 식별정보로서 범용 고유 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식별정보로서 객체 식별자(OID: Object IDentifier)를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환자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이외에, 환자에 대한 신상정보를 함께 등록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신상정보로서 환자 이름, 주소, 나이, 신체 정보, 연락처 등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이외에, 의료기관에 대한 상세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기관의 상세정보로서, 의료기관의 주소, 연락처, 의료 전문분야 등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제600 단계 후에,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한다(제602 단계). 환자가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으면, 해당 의료기관은 자신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환자 정보 접근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해당 의료기관은 자신의 의료기관 식별정보와 함께, 진료받은 환자의 환자 식별정보 및 자신의 의료기관 내의 내부 식별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환자의 진료정보를 자신이 보관할 수도 있지만, 해당 진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관하는 진료정보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진료정보 서버는 다양한 의료기관들로부터 수신된 의료기관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한 진료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환자 정보 접근장치는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
만일,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등록된 환자 식별정보와 수신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맵핑한 맵핑정보를 생성한다(제 604 단계). 환자 정보 접근장치는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으로부터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환자에 대한 등록된 환자 식별정보와 수신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맵핑한 맵핑정보의 생성을 제어한다. 이러한 맵핑정보는 환자가 진료받은 다양한 의료기관들 각각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표 1은 맵핑정보의 일 예이다.
제604 단계 후에, 등록된 의료기관으로부터 맵핑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는가를 판단한다(제606 단계). 의료기관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의료기관이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의 조사를 위해 필요한 맵핑정보의 조회를 요청하는가를 조사한다.
만일, 의료기관으로부터 맵핑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 조회를 요청한 의료기관으로 맵핑정보를 전송한다(제608 단계). 예를 들어, 의료기관이 맵핑정보의 조회를 요청하면, 조회를 요청한 의료기관이 환자 정보 접근장치에 등록된 의료기관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등록된 의료기관인지 여부는 기 등록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사용해 검사한다. 등록된 의료기관으로 판정이 되면, 환자에 대한 맵핑정보를 인출하여, 맵핑정보의 조회를 요청한 의료기관으로 전송한다.
제608 단계 후에, 맵핑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관은 맵핑정보를 사용해 환자가 진료받는 의료기관 또는 진료정보 서버로 환자의 진료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제610 단계). 진료정보 서버는 환자가 진료받는 의료기관에 대한 진료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이다.
환자 정보 접근장치로부터 맵핑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관은 맵핑 정보로부터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맵핑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관은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 또는 진료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진료정보 서버로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610 단계 후에, 진료정보를 요청받은 의료기관 또는 진료정보 서버로부터 환자의 진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제612 단계).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 발명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환자에 대한 국제 표준의 환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에 대한 국제 표준의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단계; 상기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맵핑한 맵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맵핑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 상기 조회를 요청한 의료기관으로 상기 맵핑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본원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 된다.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를 내장하는 매체(들)로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컴퓨터 시스템들이 분배되어 처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능적인 프로그램들,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Claims (11)

  1. 환자에 대한 국제 표준의 범용 고유 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에 해당하는 환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에 대한 국제 표준의 객체 식별자(OID: Object IDentifier)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단계;
    상기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등록된 환자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맵핑한 맵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맵핑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 상기 조회를 요청한 의료기관으로 상기 맵핑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은
    상기 맵핑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관이 상기 제공된 맵핑정보를 사용해 상기 환자가 진료받는 의료기관으로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정보를 요청받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은
    상기 맵핑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관이 상기 제공된 맵핑정보를 사용해 상기 환자가 진료받는 의료기관에 대한 진료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진료정보 서버로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정보를 요청받은 진료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6. 환자에 대한 국제 표준의 범용 고유 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에 해당하는 환자 식별정보 및 의료기관에 대한 국제 표준의 객체 식별자(OID: Object IDentifier)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단계;
    상기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맵핑한 맵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맵핑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 상기 조회를 요청한 의료기관으로 상기 맵핑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환자에 대한 국제 표준의 범용 고유 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에 해당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환자 식별정보 등록부;
    의료기관에 대한 국제 표준의 객체 식별자(OID: Object IDentifier)에 해당하는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의료기관 식별정보 등록부;
    상기 환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맵핑한 맵핑정보의 생성을 제어하고,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맵핑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 상기 조회를 요청한 의료기관으로 상기 맵핑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맵핑정보 생성 및 전송 제어부; 및
    상기 환자 식별정보, 상기 의료기관 식별정보 및 상기 맵핑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식별정보 등록부는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이외에, 상기 환자에 대한 신상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식별정보 등록부는
    상기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생성 및 등록하는 이외에, 상기 의료기관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장치.
KR1020090016509A 2009-02-26 2009-02-26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 KR101068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509A KR101068687B1 (ko) 2009-02-26 2009-02-26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509A KR101068687B1 (ko) 2009-02-26 2009-02-26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524A KR20100097524A (ko) 2010-09-03
KR101068687B1 true KR101068687B1 (ko) 2011-09-28

Family

ID=4300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509A KR101068687B1 (ko) 2009-02-26 2009-02-26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120B1 (ko) * 2019-08-27 2022-11-25 (주)아이알엠 의료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110388B1 (ko) 2020-01-13 2020-05-13 주식회사 브이티더블유 지역적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KR102519157B1 (ko) * 2021-02-10 2023-04-06 정승기 백신접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62365B1 (ko) 2023-03-17 2023-08-01 주식회사 몰덴아이 블록체인 기반 개인 건강 기록 분석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000A (ko) * 2000-04-14 2001-11-07 이종훈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0162A (ko)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6290A (ko) * 2007-11-05 2009-05-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000A (ko) * 2000-04-14 2001-11-07 이종훈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0162A (ko)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6290A (ko) * 2007-11-05 2009-05-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1: [학위논문 (2001.12)37,38,46,50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524A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el A framework for secure and decentralized sharing of medical imaging data via blockchain consensus
KR102170892B1 (ko) 블록체인 기반의 phr 플랫폼 서버 운영 방법 및 phr 플랫폼 서버 운영 시스템
JP5662158B2 (ja) 情報交換システム及び装置
US8024273B2 (en) Establishing patient consent on behalf of a third party
US20090326982A1 (en) Establishing a patient - provider consent relationship for data sharing
KR102113806B1 (ko)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US200901068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cess data security and integrity
JP2007094943A (ja) 特定疾患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KR100706765B1 (ko)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upasinghe et al. Blockchain based dynamic patient consent: A privacy-preserving data acquisition architecture for clinical data analytics
KR101068687B1 (ko)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
WO2018175049A1 (en) Medical environment single sign-on system
US20130318626A1 (en) Securing access to distributed data in an unsecure data network
KR20180106243A (ko)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JP4547159B2 (ja) 処理装置
JPH11143956A (ja) 診療情報を他医療機関に開示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60232377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storing and controlling access to data representing personal behavior
US11188676B2 (en) Healthcar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communication of patient data
JP2004192173A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個人情報管理方法
JP2010250756A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6157394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id管理方法
JP5259170B2 (ja) 診療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6011738A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方法、個人情報データ変換装置、漏洩検出装置、漏洩検出方法、プログラム
KR102662521B1 (ko) Cdm아이디의 상호 대응을 이용한 의료데이터 제공시스템
KR101832029B1 (ko) 모바일 기반 의료용 자료 입력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