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5107A -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5107A
KR20070115107A KR1020060048995A KR20060048995A KR20070115107A KR 20070115107 A KR20070115107 A KR 20070115107A KR 1020060048995 A KR1020060048995 A KR 1020060048995A KR 20060048995 A KR20060048995 A KR 20060048995A KR 20070115107 A KR20070115107 A KR 20070115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data
providing
informatio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문옥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칼텔레팍스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칼텔레팍스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칼텔레팍스센타
Priority to KR1020060048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5107A/ko
Priority to PCT/KR2006/003473 priority patent/WO2007139250A1/en
Publication of KR2007011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진료 예약 데이터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제공 하는 사용자 단말기,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진료할 환자 리스트를 작성하고 진료 받은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병원 서버 및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병원 서버로 예약을 수행하고 병원 서버로부터 진료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진료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병원 서버로 제공하는 의료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의료 정보, 의료 정보 시스템, 진료 데이터

Description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nd apparatus, system for employing the method}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중 의료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진료 데이터를 열람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를 예약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0 : 의료 정보 제공 서버
201 : 개인 진료 데이터 관리부
202 : 개인 의료 정보 DB
202a : 일반 정보 DB
202b : 영상/이미지 정보 DB
203 : 보안 관리부
203a : 암호화 처리부
203b : 권한 관리부
204 : 예약 관리부
205 : 제어부
206 : 증빙서 관리부
207 : 조회 이력 관리부
208 : 통계 관리부
본 발명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에서 진료받은 환자에 대한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여 환자와 병원들이 해당 진료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의료 투명성을 확보하고 환자에 대한 진료의 정확성을 높이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면 해당 진료 데이터는 진료받은 병원에서 보관하게 된다.
만일 환자가 다른 병원에서 동일한 증상으로 진료를 받게 될 경우 다시 자신의 증상을 의사에게 설명해야 하며 이전 병원에서 촬영한 엑스-레이(X-Ray)나 자기공명영상(MRI)과 같은 영상정보가 필요하다면 이전 병원까지 가서 해당 영상정보의 복사본을 가져와야만 한다.
따라서 환자 입장에서는 처음부터 비슷한 진료를 다시 반복하는 과정을 겪게 되고 이에 따른 시간적, 금전적 손해를 입게 될 뿐 아니라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병원에서 보관하여 병원 관계자만이 볼 수 있고 정작 환자 본인은 볼 수 없도록 되어있어 의료사고 발생 시 병원에서 진료 데이터 공개를 거부할 경우, 환자 입장에서는 소극적인 대응밖에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병원 관계자의 진료 데이터 조작의 가능성도 있어 의료사고의 피해를 고스란히 환자가 떠맡게 되는 경우도 있다.
진료에 대한 증빙 서류도 마찬가지이다. 진료 확인서나 입원 확인서 또는 진단서 같은 진료에 대한 증빙 서류 필요 시 해당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발급받아야 하는 불편함도 있으며, 보험 금액을 노린 환자와 병원 관계자의 결탁으로 인해 진료 데이터의 조작도 발생하는 등 사회적으로 진료 데이터 조작이 큰 이슈화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환자와 병원들이 공유하여 진료의 투명성을 개선하고 환자와 병원 관계자들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기초로 진료와 관련된 다양한 통계자료 를 추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 시스템을 통해 추출한 다양한 통계자료를 국가 기관이나 병원에서 활용함으로써 국민 건강 증진 및 세금 징수 확보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 시스템을 통해 의료보험 기관에 대한 병원의 보험 청구에 있어서 투명성을 확보하고 의료보험 기관과 병원의 보험 관련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 시스템을 통해 의료물품의 유통 경로를 관리함으로써 비품인 의료물품이 환자에게 서비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진료 예약 데이터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제공 하는 사용자 단말기,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진료할 환자 리스트를 작성하고 진료 받은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병원 서버 및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병원 서버로 예약을 수행하고 병원 서버로부터 진료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 하며 저장된 진료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병원 서버로 제공하는 의료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진료 받은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병원 서버, 병원 서버로부터 진료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진료 데이터 및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보험 기관 서버 및 진료 데이터 및 의료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제공 받아 관리하는 개인 진료 데이터 관리부,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개인 의료 정보 DB, 진료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입력 시 해당 진료 데이터의 외부 유출 또는 해킹을 방지하며 진료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보안 관리부 및 환자의 진료 예약 사항을 관리하는 예약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진료 예약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진료할 환자 리스트를 작성하고 진료 받은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병원 서버로 예약을 수행하고 진료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진료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진료 예약 데이터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제공 하는 사용자 단말기(101),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진료할 환자 리스트를 작성하고 진료 받은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병원 서버(102) 및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병원 서버로 예약을 수행하고 병원 서버로부터 진료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진료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병원 서버로 제공하는 의료 정보 제공 서버(103)를 포함한다.
추가로 병원에서 약 처방 시 환자가 약국에서 처방된 약을 구입하면 구입한 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약국 서버(104)가 포함될 수 있다.
의료 정보 제공 서버(103)는 약국 서버(104)로부터 환자가 구입한 약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1), 병원 서버(102) 또는 약국 서버(104)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제공 서버(103)에 연결되어 환자가 진료받은 병원에 대한 진료소득 또는 처방된 약을 구입한 약국에 대한 약 판매 소득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정보를 해당 병원 또는 약국에 대한 세금 징수 자료로 활용하는 세금 징수 기관 서버(10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정보 제공 서버(103)에 보험 기관 서버(106)가 더 연결되어 환자의 진찰, 검사, 진료, 입원, 수술기록, 환자가 구입한 약, 치료 재료와 같은 의료보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의료 정보 제공 서버(103)로부터 전달받아 보험료 부과 및 산정 그리고 보험급여 관리와 건강 상담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험 기관 서버(106)는 의료보험 기관에 대한 병원이나 약국의 의료보험 허위 또는 과다 청구를 방지할 목적으로, 상술한 의료보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와 병원으로부터 청구된 의료보험 청구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확인결과 병원의 허위 또는 과다 청구로 밝혀지면 해당 병원에 시정을 요구하여 의료보험 관리의 투명성과 의료보험 관련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의료 정보 제공 서버(103)와 보험 기관 서버(106)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의료 정보 제공 서버(103)가 보험 기관 서버(106)에 포함되어 의료보험 기관에서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관리 할 수 있다.
그리고 병원 또는 약국으로 의료물품이 공급될 경우, 해당 의료물품의 유통 경로를 관리하는 의료물품 유통관리 서버(107)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의료물품 업체가 병원 또는 약국으로 의료물품을 공급할 때, 의료물품 유통관리 서버(107)를 통해 의료물품을 공급할 병원 또는 약국의 정보와 공급하는 의료물품의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고 의료물품 유통관리 서버(107)는 해당 정보들을 보험 기관 서버(106)에 제공한다.
따라서 의료보험 기관은 보험 기관 서버(106)를 통해 특정 의료물품에 대한 정보, 즉 해당 의료물품의 제조 업체, 의료물품이 제공된 병원 또는 약국 그리고 해당 병원 및 약국을 통해 해당 의료물품을 구입한 환자의 정보를 파악하여 유통 경로를 관리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품인 의료물품이 환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각 구성 서버 및 단말기는 유선 또는 DMB, WIBRO와 같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한다.
따라서, 환자는 유무선 통신에서 보안망을 통하여 의료 정보 제공 서버(103)와 보험 기관 서버(106)로부터 검증된 의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진료 받은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병원 서버(102b), 병원 서버(102b)로부터 진료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진료 데이터 및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보험 기관 서버(103b), 진료 데이터 및 의료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101a), 병원 서버(102b)의 보험 청구 관련 데이터를 심사하여 보험 기관 서버로 전달하는 심사 평가원 서버(104b)를 포함한다.
병원 서버(102b)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보험 기관 서버(103b)는 각 병원 서버(102b)의 특정 IP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각 병원 서버(102b)는 소정의 절차를 거쳐 보험 기관 서버(103b)에 해당 IP의 접근 권한을 신청하고, 접근 권한을 갖는 병원 서버(102b)만이 보험 기관 서버(103b)와 의료 정보 및 진료 데이터를 공유한다.
이때 보험 기관 서버(103b)와 각 병원 서버(102b)의 의료 정보 및 진료 데이 터 공유는 서로 다른 보건의료분야 어플리케이션 간에 정보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의 집합으로,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인 HL7(Health Level 7)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처음부터 HL7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된 병원정보시스템들의 경우 정보시스템 간의 통신이 표준을 준수하고 있으므로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다.
병원 서버(102b)에 저장된 진료받은 환자의 진료 데이터는 보험 기관 서버(103b)로 집결되어 관리된다.
보험 기관 서버(103b)는 공단의 건강증진사업의 가장 기본적인 업무로 실시하는 건강검진의 검진 결과를 저장하며 인터넷상에서 검증되지 않은 건강 및 질병 정보로부터 사용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차별화된 건강, 질병정보도 제공한다.
또한 보험 기관 서버(103b)는 사용자들에게 의료공급자 정보를 제공하여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의료공급자 선택을 위한 도움을 주며 병원 서버(102b)로부터 집결된 진료 데이터를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필요 시 사이버 건강상담을 통해 사용자의 의료이용 선택 편의 제공 및 정보 불균형을 해소하고 합리적 의료이용 및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보험 기관에서는 별도의 의료 포털 사이트를 보험 기관 서버(103b)를 통해 구축하여 사용자 개인의 진료 데이터 조회와 상술한 의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포털 사이트에서 개인의 진료 데이터와 의료 정보를 제공 시 과금시스템(미도시)과 연결되어 소정의 금액을 보안망을 통해 과금 할 수 있으며, 이때 제공되는 개인의 진료 데이터와 의료 정보 중 영상 자료의 경우는 해당 자료의 퀄 러티(Quality)에 따라 차등 과금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병원에서 환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한 영상 자료가 B라는 병원에서 환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한 영상 자료보다 더 좋은 화질을 제공한다면, 상술한 포털 사이트를 운영하는 보험 기관에서는 A라는 병원의 영상 자료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에게 B라는 병원의 영상 자료를 제공 받을 때보다 더 높은 금액을 과금하도록 영상 자료의 화질에 따른 소정의 과금 기준을 정하여 개인의 진료 데이터 및 의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들은 본인 진료 데이터를 찾으러 진료받은 병원을 일일이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참고로, 병원 서버(102b)의 환자 진료 데이터는 상술한 것처럼 보험 기관 서버(103b)에 집결될 수 있고, 각 병원 서버(102b)를 보험 기관 서버(103b)와 그리드 시스템으로 연결하여 환자 진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병원 서버(102b)의 보험 청구 관련 데이터는 심사 평가원 서버(104b)에서 소정의 심사를 거처 보험 기관 서버(103b)로 전달될 수 있다.
심사 평가원 서버(104b)를 관리하는 심사 평가원에서는 병원에서 청구하는 보험 관련 데이터에 대한 진료내역의 해석 및 판정, 진료비의 청구 심사와 같은 과정을 통해 건강보험 재정의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보험 기관은 병원에서 청구한 보험료를 지급할 때 병원에서 환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한 영상 자료의 퀄러티(Quality)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 지급할 수 있으며, 이는 병원에서 더 좋은 장비로 환자들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중 의료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서버는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제공 받아 관리하는 개인 진료 데이터 관리부(201),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개인 의료 정보 DB(202), 진료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입력 시 해당 진료 데이터의 외부 유출 또는 해킹을 방지하며 진료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보안 관리부(203), 환자의 진료 예약 사항을 관리하는 예약 관리부(204) 및 의료 정보 제공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5)를 포함한다.
추가로 환자의 진료 데이터에 대해 증빙 서류 발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증빙서 관리부(206), 환자의 진료 데이터 조회에 대한 이력을 관리하는
조회 이력 관리부(207),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자의 건강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는 통계 관리부(208)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의료기관'은 병원과 약국을 포함한 의미이며 병원은 일반 개인 병원과 대학병원 그리고 보건소와 같은 진료기관을 포함한다.
'심사 평가원'은 민간 보험 및 공공 보험에서 의료보험 규정에 따라 의료기관에서 의료보험 청구를 하였을 경우 이를 심사하고 평가하여 지급 금액을 정하는 공공 기관 및 부서, 민간 기관 및 민간 부서를 지칭하는 것이다.
'보험 기관'은 공공의 건강 보험을 사회 보장 제도에 의하여 보장하는 경우 역할을 하는 정부 기관과 부서와 민간의 건강 보험인 경우 이를 수행하는 기관 및 부서를 지칭하는 말이다.
따라서 '의료기관 서버'는 도 1에서 도시된 시스템을 구성하는 병원 서버(102)와 약국 서버(104)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게 되면 의료 정보 제공 서버(200)의 보안 관리부(203)를 통해 접근 권한을 부여 받게 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도 1에서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01)를 통해 병원 진료를 예약하거나 자신의 진료 데이터를 열람하기 원하는 환자, 병원 서버(102)를 통해 진료 할 환자의 이전 진료 기록을 열람하거나 현재 진료중인 환자에 대한 진료 기록을 입력하려는 의사 또는 병원 관계자, 약국 서버(104)를 통해 환자가 병원으로부터 처방 받은 약을 구입 시 해당 약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려는 약사를 포함한다.
의료 정보를 사용함에 있어서 보안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개인의 진료 데이터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서버(200)의 보안 관리부(203)는 사용자가 진료 데이터를 조회 하거나 입력 시 해당 진료 데이터의 외부 유출 또는 해킹을 방지하는 암호화 처리부(203a)를 포함하며, 진료 데이터에 접근함에 있어서 사용자 별로 그룹을 정하고 그룹별로 진료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권한 관리부(203b)를 포함한다.
참고로 의료 정보 제공 서버(200)의 암호화 처리부(203a)로부터 암호화된 사용자의 진료 데이터를 제공 받는 사용자 단말기(101)나 의료기관 서버(102, 104)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있는 암호처리 및 해독 프로그램을 해당 단말기나 서버에 설치해야 하며, 의료 제공 서버(200) 역시 사용자 단말기(101)나 의료기관 서버(102, 104)로부터 암호화 되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나 작업 지시 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있도록 암호화 처리부(203a)에 암호처리 및 해독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권한 관리부(203b)는 사용자별로 그룹을 정하고 해당 그룹별로 진료 데이터에 접근하여 작업 가능한 내용을 코드화한 권한 정보 DB(미도시)와 연결되어 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환자 본인인 경우, '환자' 그룹으로 분류하고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의 모든 진료 데이터를 열람하되 진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없으며, 진료 데이터와 관련된 여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의사인 경우, '의사' 그룹으로 분류하고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진료 할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열람하거나 진료 내용을 입력하도록 권한을 설정 할 수 있으며, '의사-외과'같이 더 자세하게 그룹을 분류하여 각 진료 과별로 진료 데이터 열람을 제한 할 수 있다.
즉 외과 의사는 환자의 외과 진료 데이터만을 열람할 수 있고 타 진료 과에 해당하는 진료 데이터 열람은 제한하는 등 환자의 진료 데이터에 대한 불필요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참고로 진료 데이터의 조작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 의사그룹이라 할지라도 한번 저장한 진료 데이터는 수정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
만일 저장한 진료 데이터를 불가피하게 수정해야 할 경우가 생긴다면 진료 데이터를 수정해야 하는 사유와 함께 이전 진료 데이터에 수정해야 할 내용을 추가로 입력하도록 하여, 해당 진료 데이터를 조회 했을 때 원래 작성한 진료 데이터와 수정해야 할 내용이 추가된 진료 데이터를 함께 보여주도록 한다.
그밖에 인증 기관을 통한 공인 인증서를 사용을 통해서 권한을 관리함으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보안 관리부(203)를 통해 사용자의 권한이 설정되면 사용자는 각 권한에 맞 는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환자 본인일 경우를 예로 들어 각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개인 진료 데이터 관리부(201)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핵심부로서 진료받은 날짜, 진료 병원, 진료 과, 담당 의사, 담당 의사 진료 내용, 진료비, 처방 약, 처방 약을 구입한 약국, 담당 약사, 약 구입비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일반 정보 DB(201a)와 엑스-레이(X-ray), 자기공명영상(MRI)과 같은 의료 영상정보 또는 티프(Tag Image File Format ; 이하 TIFF), JP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이하 JPG)와 같은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 정보 DB(201b)와 연결되어, 상술한 일반 정보와 영상/이미지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는 개인 진료 데이터 관리부(201)를 통해 진료받은 날짜, 진료 병원, 진료 과, 담당 의사별로 편리하게 데이터를 정렬하여 조회할 수 있으며, 조회하는 데이터가 엑스-레이(X-ray)나 자기공명영상(MRI)과 같은 의료 영상정보인 경우, 의학 영상 분야의 표준형식으로서 영상 저장 방법 및 통신 방법의 표준인 다이컴(Digital Image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 DICOM)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영상정보를 볼 수 있다.
예약 관리부(204)는 사용자의 진료 예약을 담당한다.
사용자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병원에 진료를 예약하고 예약 사항을 예약 관리부(204)내에 존재하는 예약 관리 DB(미도시)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사용자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에 연결되어있는 병원의 리스트를 제공받고 병원과 진료 과 그리고 진료 받을 의사 및 진료 시간을 선택하여 예약을 신청하면 예약 관리부(204)는 사용자의 진료 예약 사항을 병원 서버(102)로 전달하여 진료 예약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진료 예약을 취소할 경우 예약 관리부(204)는 병원 서버(102)에 진료 예약 취소 정보를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여러 병원들이 자체 사이트를 구축하여 진료를 예약하고 추후에 진료 예약 사항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진료를 예약한 후 나중에 다시 진료 예약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병원 사이트에 다시 접속해야만 하고, 진료를 예약한 병원이 여러 곳일 경우는 진료 예약 사항이나 해당 병원을 일일이 기억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약 관리부(204)는 사용자의 진료 예약 사항을 관리하고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진료 예약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증빙서 관리부(206)는 진료 영수증, 건강 검진증, 소견서, 진단서와 같은 환자의 진료에 대한 증빙 서류 발급에 필요한 데이터를 개인 진료 데이터 관리부(201)에서 제공받고 다이컴 통신을 이용하여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이트나 이-메일(E-Mail), 팩스(Fax)와 같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증빙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과금시스템(미도시)과 연결되어 환자의 진료에 대한 증빙 서류 발급 시, 소정의 금액을 보안망을 통해 과금 할 수 있다.
발급된 증빙 서류의 내역은 증빙서 관리부(206) 내의 증빙서 관리 DB(미도시)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조회 이력 관리부(207)는 사용자의 진료 데이터 유출을 막기 위한 또 하나의 안전장치이다.
진료 데이터를 열람한 사용자의 아이디, 이름, 열람 시간, 열람 장소(소속기관)와 같은 정보가 조회 이력 관리부(207)의 조회 이력 DB(미도시)에 저장된다.
사용자 본인이 자신의 진료 데이터를 열람한 사용자에 대해 조회함으로써 자신의 진료 데이터가 불필요한 사용자에게 노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통계 관리부(208)는 개인 진료 데이터 관리부(201)를 통해 사용자의 진료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진료와 관련된 통계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년도 또는 최근 몇 년간 제일 많이 진료받은 병원, 진료 과
또는 담당 의사를 알아볼 수 있으며 특정 기간 동안의 진료비, 약 값 등과 같은
통계도 제공받을 수 있다.
통계 관리부(208)는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통계 작업의 리스트를 제공
할 수 있으며 제공 가능한 각 통계 작업마다 미리 코딩된 최적의 질의문(Query)
을 통해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업체 또는 기관에서는 통계
관리부(208)에서 제공하는 각 사용자의 진료와 관련된 통계를 기초로 하여 특정
지역 주민이나 특정 업체 또는 전체 사용자의 진료와 관련된 통계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사용자의 작년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질병, 특정 년도에
가장 많이 소비된 약 등과 같은 다양한 통계자료를 추출함으로써 질병 예방이나
의료정책을 수립하는데 소중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진료 데이터를 열람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의료 정보 제공 서버에 접근하면 보안 관리부(203)의 암호화 처리부(203a)에서는 이후의 프로세스들을 암호화 시켜 해킹 및 외부 유출로부터 보호를 하게 된다(S301).
여기서 사용자의 접근이라는 것은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 허가 받은 사용자임을 증명하는 과정으로, 아이디와 패스워드 같은 정보를 입력하거나 공인 인증을 거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보안 관리부(203)의 권한 관리부(203b)에서는 권한 관리부(203b)내에 존재하는 권한 정보 DB(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일치를 체크하고 해당 아이디가 소속된 그룹을 찾아 해당 그룹에 부여된 작업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한다(S302).
제어부(205)에서는 S302에서 부여 받은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사용자가 작업 가능한 메뉴를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보여줄 수 있다(S303).
사용자는 S303에서 보여지는 작업 가능한 메뉴를 통해 개인 진료 데이터
열람을 선택한다(S304).
S304 후 개인 진료 데이터 관리부(201)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매칭된 진료
데이터를 개인 의료 정보 DB(202)에서 로딩하여(S305) 리스트 형태로 사용자에
게 보여준다(S306).
S306후 개인 진료 데이터 관리부(201)는 제어부(205)를 거쳐 조회 이력
DB(미도시)에 개인 진료 데이터 열람자의 정보 및 조회 이력을 저장한다(S307).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를 예약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서 설명한 S301 내지 S303을 통해 사용자는 진료 예약을 선택한다(S401).
예약 관리부(204)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연결된 병원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S402) 사용자는 제공받은 병원 리스트에서 본인이 원하는
병원을 선택한다(S403).
S403 후, 예약 관리부(204)는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병원의 서버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예약 가능한 진료 과와 담당 의사를 정보를 제공 받는다(S404).
사용자는 S404에서 제공받은 진료 과와 담당 의사 정보를 참고하여 진료받기 원하는 진료 과의 의사를 선택하고 다른 사람들이 예약하지 않은 진료가 가능한 시간을 자신의 진료 시간으로 예약할 수 있다(S405).
S405후 예약 관리부(204)는 예약 관리부(204)내에 존재하는 예약 관리 DB(미도시)에 예약 사항을 저장(S406)하여 추후 사용자에게 예약 내역을 제공한다.
그 외에도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예약 관리부(204)는 예약 관리 DB(미도시)에 진료 예약이 존재할 경우 진료 예약 시간을 체크하여 진료 받기 하루 전이나 수 시간 전에 진료 예약 사항을 이동 통신사의 문자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증빙서 발급 시 증빙서 관리부(206)에 존재하는 증빙서 관리 DB(미도시)에 증빙서 발급 이력이 쌓이고, 진료 데이터를 열람 시 조회 이력 관리부(207)에 존재하는 조회 이력 DB(미도시)에 조회 이력이 쌓이는 것을 이용하여 해당 이력 DB에 새로운 이력이 추가될 때 이동 통신사의 문자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림으로써 타인이 자신의 진료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자신의 진료 데이터를 무단으로 이용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환자와 병원들이 공유함으로써 의사의 환자 진료데 대한 투명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환자와 병원들이 공유함으로써 환자와 병원 관계자들 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기초로 진료와 관련된 다양한 통계자료를 추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기초로 추출한 다양한 통계자료를 국가 기관이나 병원에서 활용함으로써 국민 건강 증진 및 세금 징수 확보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의료보험 기관에 대한 병원의 의료보험 청구에 있어서 투명성을 확보하고 의료보험 기관과 병원의 의료보험 관련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의료물품의 유통 경로를 관리함으로써 비품인 의료물품이 환자에게 서비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사용자로부터 진료 예약 데이터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제공 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진료할 환자 리스트를 작성하고 진료 받은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병원 서버; 및
    상기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병원 서버로 예약을 수행하고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진료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진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병원 서버로 제공하는 의료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데이터는 환자를 진료한 의사가 작성한 진료 기록, 처방전 또는 환자의 신체가 촬영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의료보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는 보험 기관 서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 기관 서버는 상기 의료보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와 의료보험 기관에 대한 병원의 의료보험 청구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 기관 서버에 병원 또는 약국에 공급되는 의료 물품의 유통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물품 유통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6. 진료 받은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병원 서버;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진료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진료 데이터 및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보험 기관 서버; 및
    상기 진료 데이터 및 상기 의료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 기관 서버는 병원 서버의 진료 데이터가 집결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 기관 서버는 병원 서버와 그리드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병원의 진료 데이터를 공유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 기관 서버는 상기 병원 서버의 특정 IP에 대해서만 접근을 허용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서버의 보험 청구 관련 데이터를 심사하여 상기 보험 기관 서버에 전달하는 심사 평가원 서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11.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제공 받아 관리하는 개인 진료 데이터 관리부;
    상기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개인 의료 정보 DB;
    상기 진료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입력 시 해당 진료 데이터의 외부 유출
    또는 해킹을 방지하며 상기 진료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보안
    관리부; 및
    상기 환자의 진료 예약 사항을 관리하는 예약 관리부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진료 데이터에 대해 증빙 서류 발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증빙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진료 데이터 조회에 대한 이력을 관리하는 조회 이력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자의 건강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는 통계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관리부는 상기 진료 데이터를 기초로 병원 별 진료소득 또는 약 처방에 따른 약국 별 약 판매 소득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관리부는 상기 진료 데이터를 조회 하거나 입력 시 해당 진료 데이터의 외부 유출 또는 해킹을 방지하는 암호화 처리부; 및
    상기 진료 데이터에 접근함에 있어서 사용자 별로 그룹으로 정하고 그룹별로 상기 진료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권한 관리부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진료 데이터는 데이터의 보호를 위해 한번 저장하면 수정이 불가능한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18. 사용자로부터 진료 예약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진료할 환자 리스트를 작성하고 진료 받은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진료 예약 데이터를 기초로 병원 서버로 예약을 수행하고 상기 진료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진료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9.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제공 받는 (a) 단계;
    상기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b) 단계; 및
    상기 진료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입력 시 상기 진료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데이터에 대해 증빙 서류 발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데이터 조회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자의 건강에 대한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f)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정보는 상기 진료 데이터를 기초로 병원 별 진료소득에 대한 정보 또는 약 처방에 따른 약국 별 약 판매 소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진료 데이터를 조회 하거나 입력 시 해당 진료 데이터 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사용자 별로 그룹핑하고 가 그룹별로 상기 진료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60048995A 2006-05-30 2006-05-30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시스템 KR20070115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995A KR20070115107A (ko) 2006-05-30 2006-05-30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시스템
PCT/KR2006/003473 WO2007139250A1 (en) 2006-05-30 2006-09-01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995A KR20070115107A (ko) 2006-05-30 2006-05-30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107A true KR20070115107A (ko) 2007-12-05

Family

ID=3877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995A KR20070115107A (ko) 2006-05-30 2006-05-30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115107A (ko)
WO (1) WO2007139250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1242A2 (en) * 2008-02-29 2009-09-11 Ims Software Services, Lt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reporting medical information
WO2012125358A2 (en) * 2011-03-14 2012-09-20 Nvoq Incorporated Apparatuses and methods to recognize and optimize medical invoice billing codes
WO2013129876A1 (ko) * 2012-02-28 2013-09-06 (주)아벨리노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 및 결과 확인방법
WO2015009541A1 (en) * 2013-07-16 2015-01-22 Net.Orange, In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in a clinical network environment
KR101512308B1 (ko) * 2008-03-03 2015-04-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KR20200124868A (ko) * 2019-04-25 2020-11-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체외진단장비 및 그 장비의 구동방법
KR20210026960A (ko) * 2019-09-02 2021-03-10 (주)새움소프트 반려 동물 관련 정보를 모듈화하여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52939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210052945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102499589B1 (ko) * 2022-09-16 2023-02-14 주식회사 제네스 선순환 구조의 병원 추천 방법 및 선순환 구조의 병원 추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3574A (zh) * 2013-11-25 2014-02-19 方正国际软件有限公司 医疗系统中的权限分配装置及其分配方法
CN110729037A (zh) * 2019-09-29 2020-01-24 重庆药点通医药科技有限公司 医药erp管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622B1 (ko) * 2001-04-06 2002-10-25 주식회사 신보람 국민건강 보험관련 의료보험관리 방법 및 그에 관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30068722A (ko) * 2002-02-16 2003-08-25 주식회사 인퍼스트 네트워크 기반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16649B1 (ko) * 2006-02-01 2007-05-10 (주)유비파트너아이엔씨 권한관리 구조 기반의 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1242A3 (en) * 2008-02-29 2009-12-03 Ims Software Services, Lt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reporting medical information
US7991626B2 (en) 2008-02-29 2011-08-02 Ims Software Servic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reporting medical information
WO2009111242A2 (en) * 2008-02-29 2009-09-11 Ims Software Services, Lt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reporting medical information
KR101512308B1 (ko) * 2008-03-03 2015-04-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WO2012125358A2 (en) * 2011-03-14 2012-09-20 Nvoq Incorporated Apparatuses and methods to recognize and optimize medical invoice billing codes
WO2012125358A3 (en) * 2011-03-14 2012-11-15 Nvoq Incorporated Apparatuses and methods to recognize and optimize medical invoice billing codes
WO2013129876A1 (ko) * 2012-02-28 2013-09-06 (주)아벨리노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 및 결과 확인방법
WO2015009541A1 (en) * 2013-07-16 2015-01-22 Net.Orange, In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in a clinical network environment
KR20200124868A (ko) * 2019-04-25 2020-11-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체외진단장비 및 그 장비의 구동방법
KR20210026960A (ko) * 2019-09-02 2021-03-10 (주)새움소프트 반려 동물 관련 정보를 모듈화하여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52939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210052945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102499589B1 (ko) * 2022-09-16 2023-02-14 주식회사 제네스 선순환 구조의 병원 추천 방법 및 선순환 구조의 병원 추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9250A1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8088B2 (en) Trust based access to records via encrypted protocol communications with authentication system
KR20070115107A (ko)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시스템
US20190258616A1 (en) Privacy compliant consent and data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US202201984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yments for accessing patients&#39; information
US20200258605A1 (en) Electronic health records managemen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10249386B2 (en) Electronic health records
KR102097622B1 (ko) 개인건강기록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0701921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 re-identification
RU2510968C2 (ru) Способ доступа к персональным данным, таким как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файл,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локального формирующего компонента
US20140039910A1 (en) Controlled Communications System for Physician-Hospital System Integration
US20110246231A1 (en) Accessing patient information
US20130346103A1 (en) Hipaa-compliant third party access to electronic medical records
WO2001033936A2 (en)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data informed consent to provide data privacy and security in database systems and in networked communications
Neuhaus et al. Survey on healthcare IT systems: standards, regulations and security
WO2021062310A1 (en) Utilizing a user&#39;s health data stored over a health care network for disease prevention
Al Amin et al. Informed consent as patient driven policy for clinical diagnosis and treatment: A smart contract based approach
AU2020102635A4 (en) SDHR-Blockchain Technology: Securely Store Digital Healthcare Records, Notification, Alert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ovach et al. MyMEDIS: a new medical data storage and access system
Munassar et al. Improving Healthcare Record Management System in Indonesia by Using Blockchain Technology
Salih et al. The active bundle scheme for protect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Stakic et al. Agreements Based Distribution of Responsibilities in National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Johri et al. HealthKard-A Digital Decentralized Health Identity and EHR Repository
Khan et al. Telepsychiatry
GILROY et al. Reimbursement Considerations
Alawaji Privacy and security risks for national health records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