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816B1 -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816B1
KR102098816B1 KR1020180169540A KR20180169540A KR102098816B1 KR 102098816 B1 KR102098816 B1 KR 102098816B1 KR 1020180169540 A KR1020180169540 A KR 1020180169540A KR 20180169540 A KR20180169540 A KR 20180169540A KR 102098816 B1 KR102098816 B1 KR 102098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 site
communication
housing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준
김민아
이태훈
이준성
장철영
남영호
Original Assignee
(주)동성건설
주식회사 한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건설, 주식회사 한림기술 filed Critical (주)동성건설
Priority to KR102018016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현장 내의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 발생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구비되어 작업 현장의 작업자에게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의 위험 상황을 기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위험 상황의 감지시 위험 신호를 수신한 작업 현장 내의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제1 유닛;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이 통신 및 휴대 가능하고, 제1 유닛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서로 다른 색으로 점멸 발광하며,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서로 다른 강도로 떨림을 발생시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가 진동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제2 유닛; 및 작업 현장의 바깥에 구비되거나,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작업 현장 내에 구비되어 제1 유닛과 제2 유닛 상호간의 중계 역할 및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위험 신호를 제1 유닛 및 제2 유닛으로 송신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한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GAS SENSING DEVICE FOR SAFETY AT THE WORKING AREA}
본 발명은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작업 현장에서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등의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할 수 있도록 한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작업 현장내의 가스 누출이나 산소 부족 등 작업 환경의 변동으로 인한 안전 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가스 누출이나 산소 부족 등과 같은 사고는, 건설업 및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밀폐된 작업 현장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들은 작업 현장 내의 작업자들이 질식하여 최종적으로는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인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특히, 가스 누출 사고는 작업자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함은 물론, 폭발 및 화재로 이어지는 만큼, 실시간으로 작업환경의 변동에 대한 면밀하고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349158호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센서를 정합하여 특정 환경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제어 장치와 연동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과 센서 모듈 간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양방향 인터럽트(Interrupt) 라인 및 전원 제어 라인을 하드웨어적으로 추가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센서 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소비 전력 인가 신호, 센서 인터럽트 신호 또는 측정 항목 지정 신호를 설정함으로써, 소요되는 전력을 최소로 감소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센서를 정합하여 특정 환경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특정 환경에 대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정합한 센서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직접적인 주의 경고가 불가능하며, 원거리 통신을 통한 외부로의 데이터 전달 및 제어가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은 특정 환경의 측정을 위한 센서 구성에 있어서, 다양한 작업 환경을 가진 작업 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는, 해당 센서를 사전에 미리 설치한 장치를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3491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다양한 작업 현장에서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등의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 현장 내의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 발생의 우려가 있는 개소 부근의 구조물에 탈착 가능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 현장의 작업자에게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의 위험 상황을 기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제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위험 상황의 감지시 위험 신호를 수신한 상기 작업 현장 내의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상기 위험 신호의 전파를 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닛;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거나 상기 작업복의 포켓에 수납하여 휴대 가능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서로 다른 색으로 점멸 발광하는 제2 LED부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LED부와 함께 상기 단계별 또는 상기 상황별로 서로 다른 강도로 떨림을 발생시켜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와, 해당 작업자와 상기 제1 유닛 및 해당 작업자와 상기 다른 작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작업 현장의 바깥에 구비되거나,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상기 작업 현장 내에 구비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상호간의 중계 역할의 수행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위험 신호를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 각각과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3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제1 기간 동안, 제1 거리를 가진, 제1 규모의 작업 현장에서, 제1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만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가진, 상기 제1 규모보다 큰 제2 규모의 작업 현장에서, 상기 제1 분량보다 많은 제2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과 함께, 상기 제3 유닛으로 상호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업 현장의 바깥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과 통신 가능하며,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유닛을 소지한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의 현재 위치 및 바이탈 사인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한 제4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탈착 결합 가능한 모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피자성체인 상기 구조물에 대하여 자력으로 탈착 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1 하우징에 구비되는 자성체, 상기 구조물에 장착되는 파스너에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하우징에 구비되는 볼트 및 너트 결합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구조물을 상호 결속시키는 결합 화이어나 벨트 또는 테이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으로부터 사전 규약된 통신 프로토콜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정보처리부와, 상기 정보처리부와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과 서로 같거나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게이트웨이 정보를 관리자가 필요한 정보로 저장하거나 변경하거나 출력하는 정보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작업 현장 내의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 발생의 우려가 있는 개소 부근의 구조물에 탈착 가능한 결합부와,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에 구비되어 작업 현장의 작업자에게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의 위험 상황을 기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1 센서부와, 제1 하우징에 구비되어 위험 상황의 감지시 위험 신호를 수신한 작업 현장 내의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 신호의 전파를 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닛;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거나 작업복의 포켓에 수납하여 휴대 가능한 케이싱과, 케이싱에 구비되어 제1 유닛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서로 다른 색으로 점멸 발광하는 제2 LED부와, 케이싱에 구비되어 LED부와 함께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서로 다른 강도로 떨림을 발생시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와, 해당 작업자와 제1 유닛 및 해당 작업자와 다른 작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작업 현장의 바깥에 구비되거나,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작업 현장 내에 구비되는 제2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구비되어 제1 유닛과 제2 유닛 상호간의 중계 역할의 수행이 가능하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위험 신호를 제1 유닛 및 제2 유닛으로 송신하도록 제1 유닛 및 제2 유닛 각각과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3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설치와 조작이 간편하며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가스 누출이나 산소 부족 등과 같은 위험 상황을 인지하거나 전파할 수 있으므로, 위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을 통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기간 동안, 제1 거리를 가진, 제1 규모의 작업 현장에서, 제1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제1 유닛 및 제2 유닛만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고,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가진, 제1 규모보다 큰 제2 규모의 작업 현장에서, 제1 분량보다 많은 제2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제1 유닛 및 제2 유닛과 함께, 제3 유닛으로 상호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조물과 밸브류 등이 즐비한 가스 누출 위험이 높거나 산소 부족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다분한 다양한 규모의 작업 현장에서 적극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위험 상황의 인지와 함께 위험 상황의 신속 정확한 전파 및 탈출 유도를 통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함으로써, 사고 예방 데이터로 활용하거나 사전 안전 조치의 확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 현장의 바깥에 구비되어 제1 유닛과 제2 유닛 및 제3 유닛과 통신 가능하며,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2 유닛을 소지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의 현재 위치 및 바이탈 사인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데이터 베이스의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한 제4 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 예방 데이터를 대규모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전 안전 조치의 확립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빅데이터 활용 방안의 제공 또한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부는,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탈착 결합 가능한 모듈 형태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의 우려가 다분한 작업 환경은 물론, 다양한 위험 요소를 안고 있는 작업 현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을 확실하게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는, 피자성체인 구조물에 대하여 자력으로 탈착 가능한 것으로 제1 하우징에 구비되는 자성체, 구조물에 장착되는 파스너에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제1 하우징에 구비되는 볼트 및 너트 결합체, 제1 하우징과 구조물을 상호 결속시키는 결합 화이어나 벨트 또는 테이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제1 유닛의 간편한 설치 구조의 제공을 통한 적재 적소의 안전 사고 예방 장치 마련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4 유닛은, 제1 유닛과 제2 유닛 및 제3 유닛으로부터 사전 규약된 통신 프로토콜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제1 유닛과 제2 유닛 및 제3 유닛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정보처리부와, 정보처리부와 제1 유닛과 제2 유닛 및 제3 유닛과 서로 같거나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네트워크를 통한 게이트웨이 정보를 관리자가 필요한 정보로 저장하거나 변경하거나 출력하는 정보관리부를 포함함으로써, 4차 산업 혁명시대에서도 여전히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 등의 예방 및 안전 조치 확립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빅데이터 활용 방안의 제공 또한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의 전체적인 통신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를 이용하여 각 유닛간의 상황 전파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의 전체적인 통신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를 이용하여 각 유닛(100, 200, 300, 400)간의 상황 전파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도면부호 200a는 제2 유닛(200)중 해당 작업자가 소지한 것을, 도면부호 200b, 200c는 제2 유닛(200) 중 다른 작업자들이 소지한 것을 각각 나타낸다.
아울러, 제3 유닛(300)을 작업 현장(500)의 경계선 상에 배치되게 도시한 것은, 제3 유닛(300)이 경우에 따라 작업 현장(500) 내에 또는 외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유닛(100)은 작업 현장(500) 내의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 발생의 우려가 있는 개소 부근의 구조물(이하 미도시)에 탈착 가능한 결합부(190)와, 결합부(190)에 결합되는 제1 하우징(110)과, 제1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작업 현장(500)의 작업자에게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의 위험 상황을 기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1 센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제1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위험 상황의 감지시 위험 신호를 수신한 작업 현장(500) 내의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 신호의 전파를 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1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200)은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거나 작업복의 포켓에 수납하여 휴대 가능한 케이싱(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200)은 케이싱(210)에 구비되어 제1 유닛(100)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서로 다른 색으로 점멸 발광하는 제2 LED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200)은 케이싱(210)에 구비되어 LED부와 함께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서로 다른 강도로 떨림을 발생시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290)와, 해당 작업자와 제1 유닛(100) 및 해당 작업자와 다른 작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 유닛(300)은, 작업 현장(500)의 바깥에 구비되거나,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작업 현장(500) 내에 구비되는 제2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300)은, 제2 하우징(310)에 구비되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상호간의 중계 역할의 수행이 가능하며,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위험 신호를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으로 송신하도록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 각각과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3 통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간 동안, 제1 거리를 가진, 제1 규모의 작업 현장(500)에서, 제1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만으로 상호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가진, 제1 규모보다 큰 제2 규모의 작업 현장(500)에서, 제1 분량보다 많은 제2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과 함께, 제3 유닛(300)으로 상호 통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유닛(100)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결합부(190)와 제1 하우징(110)과 제1 센서부(120) 및 제1 통신부(130)와 함께, 제1 제어부(140), 제1 전원부(150), 제1 디스플레이부(160), 제1 LED부(170), 제1 스피커(180)를 더 구비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 유닛(100)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센서 교환형 안전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제1 통신부(130)는 원거리 무선 통신과 근거리 무선 통신 동시 적용 가능한 것이다.
제1 통신부(130)를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활용하는 경우,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환경 변동에 따른 관련 데이터 및 주의 신호 등을 작업 현장(500) 외부로 송신하며, 작업 현장(500) 외부에서도 원거리 통신을 통해 작업 현장(500) 내부의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LoRa, LTE, 5G, 무선랜통신 등 1km이상의 거리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무선 통신이 해당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30)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활용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환경 변동에 따른 관련 데이터 및 주의 신호 등을 작업 현장(500) 내부 개인 통신 장치로 송신하며, 제1 유닛(100)의 안전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작업 현장(500) 외부 또는 내부의 제3 유닛(300)으로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BLE, Wi-Fi, 적외선 통신 등 1km미만의 거리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무선 통신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1 안테나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부(131)는, 원활한 무선 통신을 위해 원거리 무선 통신용 안테나와 근거리 무선 통신용 안테나 모두 포함하되, 근거리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는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제1 내부 안테나(131a)의 형태로, 원거리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는 제1 하우징(110)의 외부에 제1 외부 안테나(131b)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센서부(120)는 센서 교체가 가능한 탈부착식 모듈 접속 형태로 구성되며, 미리 눈금설정이 완료된 센서 모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센서부(120)는, 환경 센서로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 사전에 눈금설정이 완료된 센서 모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전술한 센서 모듈은 각 센서별 측정 환경 특성을 반영한 형태로 구성되고, 탈부착식 적용을 위해 동일한 외부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각자의 고유 ID를 가지고 있어서 교체 후 후술할 제1 제어부(140)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센서 모듈을 확인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하여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사전 제작됨
제1 센서부(120)는, 2개 이상의 센서 모듈 적용이 가능한 탈부착부(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용의 탈부착부는 사용자도 쉽게 센서 모듈 변경이 가능하도록 커넥트 장치(이하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커넥트 접속시 해당 센서의 정보는 제1 제어부(140)로 전달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제어부(140)는 제1 통신부(130), 제1 센서부(120), 제1 디스플레이부(160), 제1 LED부(170), 제1 스피커(180) 등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제어부(140)는 제1 통신부(130)를 제어할 경우, 사전 정보별 규약을 두어 원거리 무선 통신과 근거리 무선 통신별로 해당 정보에 대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제1 제어부(140)는 제1 센서부(120)를 제어할 경우, 센서 모듈 고유 ID에 따른 측정 단위, 측정 범위, 관리 범위 등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여 사전 설정된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제1 제어부(140)는 제1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어할 경우, 제1 통신부(130) 현황 및 정보, 제1 센서부(120) 현황 및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직접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및 관리자가 전체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제1 제어부(140)는 제1 LED부(170), 제1 스피커(180)를 제어할 경우, 사전 규약된 상황별 설계를 통해 제1 LED부(170) 및 제1 스피커(180)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전원부(150)는 이동 설치가 가능하도록 충전식 또는 배터리 교환식 전원을 채용할 수 있다.
제1 전원부(150)는, 외부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이동 가능한 충전식 또는 배터리 교환식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 태양광충전패널과 결합이 가능한 연결 장치(이하 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LED부(170)는 제1 유닛(100)의 상태를 3가지 이상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LED로 기능한다.
제1 LED부(170)는 제1 유닛(100)의 상태와 주의 발생 현황 등 사전에 규약된 동작에 맞추어 3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표현 가능한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LED부(170)는 예를 들면 정상상태에서는 녹색 점등, 주의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주황색 점등, 경고 상태일 때는 적색 점등이 되는 식으로 상황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제1 스피커(180)는 제1 유닛(100)의 상태를 소리로 통해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스피커로서 기능하게 된다.
제1 스피커(180)는 제1 유닛(100)의 상태와 주의 발생 현황 등 사전에 규약된 동작에 맞추어 사전 입력된 소리 형태로 표현 가능한 것이다.
결합부(190)는 작업 현장(500) 내부 이동 설치를 위한 결합부(190)로서,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용하기 위해 자력, 볼트, 결합줄, 테이프 등 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결합부(190)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피자성체인 구조물에 대하여 자력으로 탈착 가능한 것으로 제1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자성체, 구조물에 장착되는 파스너에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제1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볼트 및 너트 결합체, 제1 하우징(110)과 구조물을 상호 결속시키는 결합 화이어나 벨트 또는 테이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한편, 제2 유닛(200)은, 크게 케이싱(210)과 제2 LED부(270)와 진동부(290)와 제2 통신부(230)와 함께, 제2 센서부(220), 제2 제어부(240), 제2 전원부(250), 제2 디스플레이부(260), 제2 스피커부(2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2 유닛(200)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개인 단말 장치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우선, 제2 통신부(23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정보 교환을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1 유닛(100) 및 제3 유닛(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제2 통신부(23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안테나부(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테나부(331)는, 원활한 무선 통신을 위해 케이싱(210)의 내부에 제3 내부 안테나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센서부(220)는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의 위치 정보와 신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2 센서부(220)는, 개인 상태 파악을 위한 센서가 내장되어 작업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태 정보를 외부 통신 장치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제어부(240)는 사전 정보별 규약을 두어 해당 정보에 대해 제2 통신부(230), 제2 센서부(220), 제2 디스플레이부(260), 제2 LED부(270), 제2 스피커(280), 진동부(290)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전원부(250)는 이동 설치가 가능하도록 충전식 또는 배터리 교환식 전원을 채택할 수 있으며, 외부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이동 가능한 충전식 또는 배터리 교환식 전원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 태양광충전패널과 결합이 가능한 연결 장치(이하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디스플레이부(260)는 제2 유닛(200)의 상태 표시 및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2 유닛(200)의 상태를 표시하고, 필요시 제2 유닛(200)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LED부(270)는 제2 유닛(200)의 상태를 3가지 이상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LED로 기능하는 것이다.
제2 LED부(270)는 제2 유닛(200)의 상태와 주의 발생 현황 등 사전에 규약된 동작에 맞추어 3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표현 가능한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LED부(270)는 예를 들면 정상상태에서는 녹색 점등, 주의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주황색 점등, 경고 상태일 때는 적색 점등이 되는 식으로 상황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제2 스피커(280)는 제2 유닛(200)의 상태를 소리로 통해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스피커로 기능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제2 스피커(280)는 제2 유닛(200)의 상태와 주의 발생 현황 등 사전에 규약된 동작에 맞추어 사전 입력된 소리 형태로 표현 가능한 스피커로 기능하게 된다.
진동부(290)는 제2 유닛(200)의 상태를 진동을 통해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제2 유닛(200)의 상태와 주의 발생 현황 등 사전에 규약된 동작에 맞추어 사전 설정된 진동 형태로 표현 가능한 것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크게 제2 하우징(310)과 제3 통신부(330)와 함께, 제3 제어부(340), 제3 디스플레이부(360), 제3 LED부(370), 제3 스피커(380), 제3 전원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유닛(300)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외부 통신 장치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우선, 제3 통신부(330)는 원거리 및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정보 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과 원거리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제3 통신부(33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3 안테나부(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안테나부(331)는, 원활한 무선 통신을 위해 원거리 무선 통신용 안테나와 근거리 무선 통신용 안테나 모두 포함하되, 근거리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는 제2 하우징(310)의 내부에 제3 내부 안테나(331a)의 형태로, 원거리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는 제2 하우징(310)의 외부에 제3 외부 안테나(331b)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제어부(340)는, 제3 통신부(330), 제3 디스플레이부(360), 제3 LED부(370), 제3 스피커(380)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전 정보별 규약을 두어 해당 정보에 대해 제3 통신부(330), 제3 디스플레이부(360), 제3 LED부(370), 제3 스피커(380) 등을 제어하게 된다.
제3 전원부(350)는 이동 설치가 가능하도록 충전식 또는 배터리 교환식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이동 가능한 충전식 또는 배터리 교환식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시 태양광충전패널과 결합이 가능한 연결 장치(이하 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3 디스플레이부(360)는 제3 유닛(300)의 상태를 표시하고, 필요시 제3 유닛(300)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제3 LED부(370)는 제3 유닛(300)의 상태를 3가지 이상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LED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3 LED부(370)는 제3 유닛(300)의 상태와 주의 발생 현황 등 사전에 규약된 동작에 맞추어 3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표현 가능한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LED부(370)는 예를 들면 정상상태에서는 녹색 점등, 주의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주황색 점등, 경고 상태일 때는 적색 점등이 되는 식으로 상황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제3 스피커(380)는 제3 유닛(300)의 상태를 소리로 통해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스피커로서 기능하기 위한 것으로, 제3 유닛(300)의 상태와 주의 발생 현황 등 사전에 규약된 동작에 맞추어 사전 입력된 음향의 형태로 표현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작업 현장(500)의 바깥에 구비되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과 통신 가능하며,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2 유닛(200)을 소지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의 현재 위치 및 바이탈 사인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데이터 베이스의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한 제4 유닛(4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4 유닛(400)은 제1 내지 제3 유닛(100, 200, 300)의 관리와, 안전 현황 및 데이터 관리가 가능한 프로그램(App)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4 유닛(400)은,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으로서 기능하는 정보처리부(410)와, 관리프로그램(App)으로서 기능하는 정보관리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처리부(410)는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으로부터 사전 규약된 통신 프로토콜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즉, 정보처리부(410)는 작업 현장(500)의 내부에 설치된 제1, 2 유닛(100, 200)과, 작업 현장(5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제3 유닛(300)으로부터 사전 규약된 통신 프로토콜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정보관리부(420)는 관리프로그램(App)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정보처리부(410)와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과 서로 같거나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네트워크를 통한 게이트웨이 정보를 관리자가 필요한 정보로 저장하거나 변경하거나 출력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정보관리부(420)는, 정보처리부(410)를 통해 송수신한 정보를 관리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 정보로 변경하게 되고, 관리자는 관리프로그램(App)을 통해 작업 현장(500)내외부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유닛(100, 200, 300)의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제1 유닛(100), 제2 유닛(200), 제3 유닛(300)으로부터 송수신된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시 해당 유닛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정보관리부(420)는, 관리자가 필요한 정보로 변환된 데이터를 서버(클라우드 서버 포함)에 저장시키되 필요시 자료를 다운받아 활용할 수도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작업 현장(500) 내의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 발생의 우려가 있는 개소 부근의 구조물에 탈착 가능한 결합부(190)와, 결합부(190)에 결합되는 제1 하우징(110)과, 제1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작업 현장(500)의 작업자에게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의 위험 상황을 기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1 센서부(120)와, 제1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위험 상황의 감지시 위험 신호를 수신한 작업 현장(500) 내의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위험 신호의 전파를 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1 통신부(130)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거나 작업복의 포켓에 수납하여 휴대 가능한 케이싱(210)과, 케이싱(210)에 구비되어 제1 유닛(100)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서로 다른 색으로 점멸 발광하는 제2 LED부(270)와, 케이싱(210)에 구비되어 LED부와 함께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서로 다른 강도로 떨림을 발생시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290)와, 해당 작업자와 제1 유닛(100) 및 해당 작업자와 다른 작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부(23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 및 작업 현장(500)의 바깥에 구비되거나,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작업 현장(500) 내에 구비되는 제2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10)에 구비되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상호간의 중계 역할의 수행이 가능하며,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위험 신호를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으로 송신하도록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 각각과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3 통신부(330)를 포함하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함으로써, 설치와 조작이 간편하며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가스 누출이나 산소 부족 등과 같은 위험 상황을 인지하거나 전파할 수 있으므로, 위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을 통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기간 동안, 제1 거리를 가진, 제1 규모의 작업 현장(500)에서, 제1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만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고,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가진, 제1 규모보다 큰 제2 규모의 작업 현장(500)에서, 제1 분량보다 많은 제2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과 함께, 제3 유닛(300)으로 상호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조물과 밸브류 등이 즐비한 가스 누출 위험이 높거나 산소 부족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다분한 다양한 규모의 작업 현장에서 적극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위험 상황의 인지와 함께 위험 상황의 신속 정확한 전파 및 탈출 유도를 통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함으로써, 사고 예방 데이터로 활용하거나 사전 안전 조치의 확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 현장(500)의 바깥에 구비되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과 통신 가능하며,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2 유닛(200)을 소지한 해당 작업자 및 다른 작업자들의 현재 위치 및 바이탈 사인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데이터 베이스의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한 제4 유닛(400)을 더 구비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 예방 데이터를 대규모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전 안전 조치의 확립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빅데이터 활용 방안의 제공 또한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부(120)는, 제1 하우징(110)에 대하여 탈착 결합 가능한 모듈 형태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의 우려가 다분한 작업 환경은 물론, 다양한 위험 요소를 안고 있는 작업 현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을 확실하게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190)는, 피자성체인 구조물에 대하여 자력으로 탈착 가능한 것으로 제1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자성체, 구조물에 장착되는 파스너에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제1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볼트 및 너트 결합체, 제1 하우징(110)과 구조물을 상호 결속시키는 결합 화이어나 벨트 또는 테이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제1 유닛(100)의 간편한 설치 구조의 제공을 통한 적재 적소의 안전 사고 예방 장치 마련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4 유닛(400)은,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으로부터 사전 규약된 통신 프로토콜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정보처리부(410)와, 정보처리부(410)와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과 서로 같거나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네트워크를 통한 게이트웨이 정보를 관리자가 필요한 정보로 저장하거나 변경하거나 출력하는 정보관리부(420)를 포함함으로써, 4차 산업 혁명 시대에서도 여전히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 등의 예방 및 안전 조치 확립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빅데이터 활용 방안의 제공 또한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작업 현장에서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등의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위험 발생 예측까지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제1 하우징
120...제1 센서부
130...제1 통신부
131...제1 안테나부
131a...제1 내부 안테나
131b...제1 외부 안테나
140...제1 제어부
150...제1 전원부
160...제1 디스플레이부
170...제1 LED부
180...제1 스피커
190...결합부
200...제2 유닛
210...케이싱
220...제2 센서부
230...제2 통신부
231...제2 안테나부
240...제2 제어부
250...제2 전원부
260...제2 디스플레이부
270...제2 LED부
280...제2 스피커
290...진동부
300...제3 유닛
310...제2 하우징
330...제3 통신부
331...제3 안테나부
331a...제3 내부 안테나
331b...제3 외부 안테나
340...제3 제어부
350...제3 전원부
360...제3 디스플레이부
370...제3 LED부
380...제3 스피커
400...제4 유닛
410...정보처리부
420...정보관리부
500...작업 현장

Claims (5)

  1. 작업 현장 내의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 발생의 우려가 있는 개소 부근의 구조물에 탈착 가능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 현장의 작업자에게 가스 누출 또는 산소 부족 현상의 위험 상황을 기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제1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위험 상황의 감지시 위험 신호를 수신한 상기 작업 현장 내의 작업자(이하 해당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보다 멀리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상기 위험 신호의 전파를 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닛;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거나 상기 작업복의 포켓에 수납하여 휴대 가능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상기 위험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단계별 또는 상황별로 서로 다른 색으로 점멸 발광하는 제2 LED부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단계별 또는 상기 상황별로 서로 다른 강도로 떨림을 발생시켜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와, 해당 작업자와 상기 제1 유닛 및 해당 작업자와 상기 다른 작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작업 현장의 바깥에 구비되거나, 무선 통신 전파의 제한 또는 장애가 발생 가능한 상기 작업 현장 내에 구비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상호간의 중계 역할의 수행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측정값을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거나, 내장된 계측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해당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위험 신호를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 각각과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3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제1 기간 동안, 제1 거리를 가진, 제1 규모의 작업 현장에서, 제1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만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가진, 상기 제1 규모보다 큰 제2 규모의 작업 현장에서, 상기 제1 분량보다 많은 제2 분량의 정보 및 계측치가 오가는 경우,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과 함께, 상기 제3 유닛으로 상호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 현장의 바깥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과 통신 가능하며,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유닛을 소지한 해당 작업자 및 상기 다른 작업자들의 현재 위치 및 바이탈 사인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한 제4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탈착 결합 가능한 모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피자성체인 상기 구조물에 대하여 자력으로 탈착 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1 하우징에 구비되는 자성체, 상기 구조물에 장착되는 파스너에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하우징에 구비되는 볼트 및 너트 결합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구조물을 상호 결속시키는 결합 와이어나 벨트 또는 테이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으로부터 사전 규약된 통신 프로토콜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정보처리부와,
    상기 정보처리부와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과 서로 같거나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게이트웨이 정보를 관리자가 필요한 정보로 저장하거나 변경하거나 출력하는 정보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KR1020180169540A 2018-12-26 2018-12-26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KR102098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540A KR102098816B1 (ko) 2018-12-26 2018-12-26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540A KR102098816B1 (ko) 2018-12-26 2018-12-26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816B1 true KR102098816B1 (ko) 2020-05-06

Family

ID=7073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540A KR102098816B1 (ko) 2018-12-26 2018-12-26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8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571B1 (ko) 2022-05-17 2023-04-28 김철중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센서 기반의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 시스템
KR20240009682A (ko) 2022-07-14 2024-01-23 민서아이오티 주식회사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571A (ko) * 2007-02-13 2008-08-19 (주)월드이엔지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장치
KR100918960B1 (ko) * 2009-04-09 2009-09-25 (주)테크윈시스템 지하시설 가스 발생지역 내의 유해가스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KR20130021058A (ko) * 2011-08-22 2013-03-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운용 시스템
KR20130138421A (ko) * 2012-06-11 2013-12-19 (주)티엘씨테크놀로지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KR101349158B1 (ko) 2007-10-25 2014-01-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센서를 정합하여 특정 환경을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51119B1 (ko) * 2017-09-28 2019-02-21 이태훈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571A (ko) * 2007-02-13 2008-08-19 (주)월드이엔지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장치
KR101349158B1 (ko) 2007-10-25 2014-01-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센서를 정합하여 특정 환경을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18960B1 (ko) * 2009-04-09 2009-09-25 (주)테크윈시스템 지하시설 가스 발생지역 내의 유해가스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KR20130021058A (ko) * 2011-08-22 2013-03-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운용 시스템
KR20130138421A (ko) * 2012-06-11 2013-12-19 (주)티엘씨테크놀로지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KR101951119B1 (ko) * 2017-09-28 2019-02-21 이태훈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571B1 (ko) 2022-05-17 2023-04-28 김철중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센서 기반의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 시스템
KR20240009682A (ko) 2022-07-14 2024-01-23 민서아이오티 주식회사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314B1 (ko)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KR101951119B1 (ko)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EP3525891B1 (en) Fall protection equipment event generation and monitoring
US20210248892A1 (en)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afety belt unit for high-place work
US9691254B2 (en) Real-time alarm system for field safety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3246256A (zh) 一种建筑施工现场生产安全监控系统及使用方法
CN109275097B (zh) 基于uwb的室内定位与监测系统
CN206948500U (zh) 一种电力现场作业人员可穿戴监控装置及监控系统
KR102098816B1 (ko)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KR20170018747A (ko)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CN207611468U (zh) 一种用户区域人员检测的安全电子围栏系统
CN112019593A (zh) 电动工具的数据传输系统
KR102080533B1 (ko) 지하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진단 시스템
CN203232543U (zh) 一种建筑施工现场生产安全监控系统
CN102905393A (zh) 用于巷道监控的系统、便携式终端、耳麦、传感器系统及方法
US9489809B1 (en) Wearable indicator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200073825A (ko) 공기 중 위험상황 감지를 위한 웨어러블 가스 측정 시스템
KR102205608B1 (ko)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KR20170062813A (ko) 탄화수소 검출 단말기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스누출 검출시스템
Altamura et al. SAFE: Smart helmet for advanced factory environment
CN213216931U (zh) 便携式多数据采集系统
KR20220021557A (ko) 위험지역 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대의 이중 비콘 시스템
CN2901446Y (zh) 智能无线定位报警装置
CN105891894A (zh) 一种带数据传输功能的手持式金属探测器
CN105844854A (zh) 检修作业中使用的警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