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682A -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682A
KR20240009682A KR1020220086885A KR20220086885A KR20240009682A KR 20240009682 A KR20240009682 A KR 20240009682A KR 1020220086885 A KR1020220086885 A KR 1020220086885A KR 20220086885 A KR20220086885 A KR 20220086885A KR 20240009682 A KR20240009682 A KR 20240009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pace
repeater
site
repeaters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애
Original Assignee
민서아이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서아이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민서아이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682A/ko
Publication of KR2024000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통로의 맨홀, 덕트, 탱크 등 밀폐된 공간에서의 가스 누출 또는 산소 결핍을 감지하여 위험신호발생시 작업현장 내의 작업자에게 알려줌은 물론 원격지의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감지정보를 전달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하도록 된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현장의 관리사무소나 관리차량에 설치되고, 모니터링을 위해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현장관리기(10); 상기 현장관리기(10)와 로라(LoRa)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감지정보를 현장관리기(10)로 전달하거나 제어명령을 전달받고, 밀폐된 작업공간과 이 작업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통로 상에 부착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계기(20); 상기 중계기(20) 중 작업공간에 설치된 중계기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공간 내의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감지기(30); 복수개의 상기 중계기(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 중계기(20)의 노드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노드셀렉터(40); 상기 중계기(2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기(30)에서 측정된 가스농도수치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온(ON)동작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점등되는 농도체크램프(50);로 이루어지며, 로라(LoRa)통신을 통해 상기 중계기(20) 간 상호 통신은 물론 상기 현장관리기(1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Gas monitoring system in closed workplace}
본 발명은 지하통로의 맨홀, 덕트, 탱크 등 밀폐된 공간에서의 가스 누출 또는 산소 결핍을 감지하여 위험신호발생시 작업현장 내의 작업자에게 알려줌은 물론 원격지의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감지정보를 전달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하도록 된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특히 지하통로의 호퍼, 맨홀, 덕트, 탱크 등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산소 결핍이나 유해가스 및 폭발성 가스의 발생정도를 미리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려 작업자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안전기기가 필수적이다.
대기상태에서 21%인 산소농도가 18% 이하로 내려가면 호흡곤란, 두통 등의 이상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산소 농도가 10% 이하로 떨어지면 사망의 위험이 뒤따르게 된다. 특히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가스에 의한 중독 또한 매우 치명적이며, 가연성 가스의 경우 메탄(CH4)은 5%가 되면 최저 폭발한계치를 초과하게 되어 대규모 폭발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각종 가스에 의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가스의 종류별로 허용농도를 산업안전 보건법에 규정하여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그런데 작업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별도의 장비가 없이는 작업장 내에서의 가스 누출여부를 인지하기 어렵고, 작업자가 가스누출을 인지했을 때에는 작업장으로부터 대피하거나 누출부위를 수리하는 등의 후속 조취를 취하기에는 너무 늦어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유해가스 누출을 신속히 외부 관리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기 어렵고, 외부 관리자가 이를 인지했다 하더라도 원인을 몰라 해당 현장으로 안전장비 없이 진입하였다가 오히려 피해가 확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유해가스 누출 감지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나, 특정 작업장에 전용으로 설치된 경우이거나, 이동이 가능하다 해도 그 크기가 대형인 경우가 많아 이동에 제한이 따르는 단점이 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크기가 크지 않고 이동식으로 된 유해가스 누출 감지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이동식 유해가스 누출 감지장치의 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2098816호, 제1078003호, 제2255190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하통로의 맨홀이나 덕트의 경우 통신거리에 제한이 있음은 물론 통신상태가 좋지 않음에 따라 해당 작업공간에 구비해 놓은 감지기와 외부관리자와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감지정보를 제대로 수신하기 못하거나 나아가 실시간 모니터링 자체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기존의 감지장치는 각각의 감지장치가 서로 통신연결되어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기는 하나, 감지장치를 복수개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구매비용의 부담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들은 해당 작업현장에서의 모니터링기술이 대부분이고, 재난센터 등의 안전관리기관과의 연계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위험발생시 또는 안전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조치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8003호(2011.10.24. 이동식 가스 경보 유니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8816호(2020.04.02. 작업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복수개의 중계기와 그 중 하나 이상의 중계기에 감지기를 설치하여 감지기의 감지정보를 로라(LoRa)통신을 통해 현장관리기로 전달시켜 주도록 구성함으로써 통신장애나 끊김현상 없이 현장관리기로 감지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해줄 수 있고, 그에 따라 현장관리기에서 해당 작업공간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는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작업현장에 설치된 현장관리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각 작업현장의 정보를 수신받도록 원격지(재난센터, 운용기업)에 관제서버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소방서 등 안전관리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위험상황이나 안전사고 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된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작업현장의 관리사무소나 관리차량에 설치되고, 모니터링을 위해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현장관리기(10); 상기 현장관리기(10)와 로라(LoRa)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감지정보를 현장관리기(10)로 전달하거나 제어명령을 전달받고, 밀폐된 작업공간과 이 작업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통로 상에 부착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계기(20); 상기 중계기(20) 중 작업공간에 설치된 중계기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공간 내의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감지기(30); 복수개의 상기 중계기(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 중계기(20)의 노드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노드셀렉터(40); 상기 중계기(2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기(30)에서 측정된 가스농도수치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온(ON)동작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점등되는 농도체크램프(50);로 이루어지며, 로라(LoRa)통신을 통해 상기 중계기(20) 간 상호 통신은 물론 상기 현장관리기(1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기(20)는, 배터리를 포함한 전원공급수단(21)과, 상기 현장관리기(10)와의 양방향통신을 위해 로라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농도체크밸브(50)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MCU(22)와, 통신감도 및 배터리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3)와, 중계기(20)의 일측면 또는 하면에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 상에 존재하는 구조물에 부착시켜 주기 위해 구비된 탈부착부(24)와, 상기 감지기(30)를 유선연결하기 위해 구비된 감지기연결부(25)를 포함하고, 상기 MCU(22)는 상기 감지기(30)에서 측정된 가스농도를 검출하여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와 상기 현장관리기(10)로부터 램프점등신호를 전달받을 경우에 상기 농도체크램프(50)를 제어하여 점멸시켜 주거나 설정된 특정 색상으로 점등시키게 된다.
상기 탈부착부(24)는, 스위치의 온동작을 통해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 상에 존재하는 철재구조물에 부착되는 마그네틱베이스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현장과 떨어진 원격지에는 복수군데의 작업현장에 설치된 각각의 현장관리기(1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각 작업현장의 작업공간 감지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관제서버(60)가 설치되며, 상기 관제서버(60)에 접속하거나 관제서버(60)로부터 각 작업현장의 작업공간 감지정보를 전달받고 작업자가 휴대하는 사용자단말기(65)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밀폐된 작업공간은 물론 이동통로상에 복수개의 중계기가 설치됨으로써 해당 작업공간내의 감지정보를 끊김없이 현장관리기로 전달해줄 수 있어 해당 작업공간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위험상황 발생시 작업자는 물론 관리자에게 알려주어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며, 소방서 등 안전관리기관과 연계되어 있음으로써 안전사고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및 이 중계기 중 작업공간에 연결되는 감지기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현장에서 밀폐된 작업공간(맨홀)에 설치되는 감지기와 현장관리기와의 통신을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은 작업현장에 설치되는 현장관리기(10)와, 밀폐된 작업공간이나 작업공간과 연결되는 이동통로(워킹존) 상에 부착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계기(20)와, 작업공간내에 설치되는 중계기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감지기(30)와, 복수개의 중계기(20) 각각에 설치되어 노드설정을 위한 노드셀렉터(40)와, 중계기에 설치되는 농도체크램프(50)로 이루어진다.
현장관리기(10)는 해당 작업현장의 관리사무소나 관리차량에 설치될 수 있는데, 관리사무소나 관리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관리공간로 사용되는 특정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현장관리기(10)는 통신모듈이 설치된 서버와, 이 서버에 연결되어 작업공간의 모니터링을 위한 디스플레이부(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현장관리기의 서버에 설치되는 통신모듈은 후술되는 원격지의 관제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CDMA 등의 무선통신모듈과, 중계기와의 통신을 위한 로라(LoRa)통신모듈이 구비된다.
중계기(20)는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고, 현장관리기와 작업공간의 거리나 작업공간까지의 이동통로의 직진성(직선통로인지 곡선통로인지)에 따라 설치되는 개수가 달라진다.
즉, 중계기는 작업현장별로 2개 설치될 수 있도 있고, 3개나 4개 많게는 5개 이상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중계기(20)는 밀폐된 작업공간과 이 작업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통로 상에 부착 설치되는 것이고, 로라(LoRa)통신을 통해 복수개의 중계기(20) 간 상호 통신은 물론 상기 현장관리기(10)와 양방향 통신을 통해 감지정보를 현장관리기(10)로 전달하거나 현장관리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전달받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계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를 포함한 전원공급수단(21)과, MCU(22)와, 통신감도 및 배터리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3)와, 중계기(20)를 구조물에 부착시켜 주기 위한 탈부착부(24)와, 상기 감지기(30)를 유선연결하기 위한 감지기연결부(25)를 포함한다.
전원공급수단(21)은 일반 배터리나 충전가능한 충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MCU(22)는 중계기의 제어는 물론 상기 현장관리기(10)와의 통신을 하게 되며, 상기 현장관리기(10)와의 양방향통신을 위해 로라(LoRa)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고, 감지기의 감지정보에 따라 농도체크밸브(50)를 온(ON) 또는 오프(OFF)동작시키게 된다.
이러한 MCU(22)는 상기 감지기(30)에서 측정된 가스농도를 검출하여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와 상기 현장관리기(10)로부터 램프점등신호를 전달받을 경우에 상기 농도체크램프(50)를 제어하여 점멸시켜 주거나 설정된 특정 색상으로 점등시키게 된다.
상기 탈부착부(24)는 중계기(20)의 일측면이나 하면에 구비될 수 있고,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 상에 존재하는 구조물에 부착된다.
탈부착부(24)는 철재구조물에 중계기를 손쉽게 탈부착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자석의 경우 철재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나, 작업완료 후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임의적으로 힘을 가하여 떼어내어야 함에 따라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탈부착부(24)는 마그네틱베이스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스위치의 온(ON)동작을 통해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 상에 존재하는 철재구조물에 부착되는 마그네틱베이스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마그네틱베이스의 스위치를 온(ON)동작시켜 철재구조물에 부착시켜 줄 수 있는 것이고, 작업 완료 후 탈거시에는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철재구조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계기에는 송수신상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표시램프(26)가 구비되어 있다.
감지기연결부(25)는 중계기(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커넥터홀로서, 센서용 통신케이블(27) 등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감지기(30)를 연결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감지기를 중계기에 유선(케이블)으로 연결하였으나 무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작업공간내에서 한정하여 사용되는 것임에 따라 비용상승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굳이 감지기를 무선연결할 이유가 없으므로 유선연결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감지기(30)는 상기 중계기(20) 중 작업공간에 설치된 중계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작업공간 내의 가스농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감지정보를 연결된 케이블(RS485통신)을 통해 중계기의 MCU로 전달하게 된다.
감지기(30)는 산소는 물론 일산화탄소, 이산화탕소, 황화수소, 암모니아, 질소 오존, LPG 등의 여러 종류의 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이며, 그 측정방식도 통상의 방식(전기화학, 촉매, 광이온화, 적외선, 초음파 등)으로 측정하게 된다.
또한, 감지기(30)에는 가스의 측정은 물론 온도나 습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공간에 설치되는 중계기 외에도 가스농도 측정이 필요한 이동통로의 특정 구간에는 해당 구간에 설치되는 중계기에 연결되게 제2감지기(35)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감지기(35)를 설치한 이유는, 작업자가 작업하는 작업공간에서의 가스검출 외에 이동통로의 특정구간에서의 가스유출문제가 발생될 경우에 이 구간에서 유출되는 가스를 검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감지기에서 감지된 정보는 현장관리기로 전달되는 것이고, 현장관리기에서 작업공간에 설치된 중계기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중계기에 설치된 농도체크램프(50)를 점등시켜 줌으로써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하고 있는 작업공간에 가스유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도 중간 이동통로에 가스유출이 발생된 경우에 즉시 작업자에게 위험상황임을 알려줄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노드셀렉터(40)는 중계기(20)가 복수개 구비됨에 따라 각각의 중계기의 노드번호를 설정해주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며, 예로서, 1,2,3,4 등의 특정 숫자로 기재해 놓을 수 있다. 물론 각 중계기는 고유번호(ID)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해당 ID로도 설정해놓을 수 있다.
노드셀렉터(40)의 노드번호 선택으로 복수개의 중계기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해당 중계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농도체크램프(50)는 상기 중계기(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감지기(30)에서 측정된 가스농도수치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에 상기 MCU(22)의 제어에 의해 온(ON)동작되어 점등되는 것이며, 점등을 통해 작업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중인 작업자는 감지기의 농도수치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농도체크램프의 점등유무만으로 가스유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위험상황 발생 전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작업현장과 떨어진 원격지에는 관제서버(6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관제서버(60)는 복수군데의 작업현장에 설치된 각각의 현장관리기(1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정보(각 작업현장의 작업공간 감지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게 된다.
관제서버(60)는 현장관리기(1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원격지에서 해당 작업현장의 작업공간 가스유출여부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며, 설정된 기준수치를 초과할 경우에 위험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관제서버(60)는 본 발명의 감시시스템을 운용하는 운용기업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이외에도 119나 재난센터 등 안전관리기관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운용기업에 관제서버가 설치된 경우에는 위험상황 발생시 즉시 안전관리기관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여 즉각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제서버(60)에 접속하거나 관제서버(60)로부터 각 작업현장의 작업공간 감지정보를 전달받도록 사용자단말기(65)가 구비된다.
사용자단말기(65)는 해당 구역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나 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본 발명의 감시시스템 전용 단말기이거나 담당자나 관리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휴대성 또는 이동성을 갖는 단말기라면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단말기에는 관제서버로부터 정보 수신은 물론 관제서버에 용이하게 접속하여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전용 어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될 수 있다.
10: 현장관리기 20: 중계기
21: 전원공급수단 22: MCU
23: 표시부 24: 탈부착부
25: 감지기연결부 26: 표시램프
27: 통신케이블 30: 감지기
35: 제2감지기 40: 노드셀렉터
50: 농도체크램프 21: 전원공급수단
60: 관제서버 65: 사용자단말기

Claims (5)

  1. 작업현장의 관리사무소나 관리차량에 설치되고, 모니터링을 위해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현장관리기(10);
    상기 현장관리기(10)와 로라(LoRa)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감지정보를 현장관리기(10)로 전달하거나 제어명령을 전달받고, 밀폐된 작업공간과 이 작업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통로 상에 부착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계기(20);
    상기 중계기(20) 중 작업공간에 설치된 중계기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공간 내의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감지기(30);
    복수개의 상기 중계기(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 중계기(20)의 노드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노드셀렉터(40);
    상기 중계기(2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기(30)에서 측정된 가스농도수치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온(ON)동작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점등되는 농도체크램프(50);로 이루어지며,
    로라(LoRa)통신을 통해 상기 중계기(20) 간 상호 통신은 물론 상기 현장관리기(1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20)는, 배터리를 포함한 전원공급수단(21)과, 상기 현장관리기(10)와의 양방향통신을 위해 로라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농도체크밸브(50)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MCU(22)와, 통신감도 및 배터리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3)와, 중계기(20)의 일측면 또는 하면에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 상에 존재하는 구조물에 부착시켜 주기 위해 구비된 탈부착부(24)와, 상기 감지기(30)를 유선연결하기 위해 구비된 감지기연결부(25)를 포함하고,
    상기 MCU(22)는 상기 감지기(30)에서 측정된 가스농도를 검출하여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와 상기 현장관리기(10)로부터 램프점등신호를 전달받을 경우에 상기 농도체크램프(50)를 제어하여 점멸시켜 주거나 설정된 특정 색상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24)는, 스위치의 온동작을 통해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 상에 존재하는 철재구조물에 부착되는 마그네틱베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에 설치되는 중계기 외에도 가스농도 측정이 필요한 이동통로의 특정 구간에는 해당 구간에 설치되는 중계기에 연결되게 제2감지기(3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현장과 떨어진 원격지에는 복수군데의 작업현장에 설치된 각각의 현장관리기(1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각 작업현장의 작업공간 감지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관제서버(60)가 설치되며,
    상기 관제서버(60)에 접속하거나 관제서버(60)로부터 각 작업현장의 작업공간 감지정보를 전달받고 작업자가 휴대하는 사용자단말기(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KR1020220086885A 2022-07-14 2022-07-14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KR20240009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885A KR20240009682A (ko) 2022-07-14 2022-07-14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885A KR20240009682A (ko) 2022-07-14 2022-07-14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682A true KR20240009682A (ko) 2024-01-23

Family

ID=8971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885A KR20240009682A (ko) 2022-07-14 2022-07-14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68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003B1 (ko) 2009-12-18 2011-10-28 대아산업주식회사 이동식 가스 경보 유니트
KR102098816B1 (ko) 2018-12-26 2020-05-06 (주)동성건설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003B1 (ko) 2009-12-18 2011-10-28 대아산업주식회사 이동식 가스 경보 유니트
KR102098816B1 (ko) 2018-12-26 2020-05-06 (주)동성건설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519B1 (ko) 비접촉식 통합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US9728063B1 (en) Environmental monitoring pipeline closure and wireless positioning and warning system thereof
CA2844108C (en) Self-testing combustible gas and hydrogen sulfide detection apparatus
US9816894B2 (en) Gas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s
KR102080533B1 (ko) 지하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진단 시스템
KR101936244B1 (ko) 무선 가스검지 시스템
KR102077038B1 (ko) 밀폐공간 가스 감지 시스템
US20020155622A1 (en) Toxic gas monitoring system
CN105654656A (zh) 安全管理系统和手持设备
KR102133180B1 (ko) 질식사고 방지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EP3206028A1 (en) Environmental monitoring pipeline closure and wireless positioning and warning system thereof
KR20240009682A (ko) 밀폐 작업공간의 가스 감시시스템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1102488B1 (ko) 공간적 분석을 이용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RU103135U1 (ru) Система аэрогазового контроля атмосферы при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ых работах в угольных шахтах
KR20230036738A (ko) 질식사고 예방시스템
KR102329774B1 (ko) 무선으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가스감지 시스템
CN114062617A (zh) 一种面向危险化学品事故的气体检测装置
KR102628106B1 (ko)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
KR102354938B1 (ko) 가스농도 측정장치
RU2745128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безопасности на объектах магистральных газопроводов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9958340U (zh) 一种厂区多有限空间有毒有害气体监测系统
CN105116821A (zh) 一种石化装置投料试车安全监护平台及使用方法
CN217443286U (zh) 一种面向危险化学品事故的气体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