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421A -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 Google Patents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421A
KR20130138421A KR1020120061964A KR20120061964A KR20130138421A KR 20130138421 A KR20130138421 A KR 20130138421A KR 1020120061964 A KR1020120061964 A KR 1020120061964A KR 20120061964 A KR20120061964 A KR 20120061964A KR 20130138421 A KR20130138421 A KR 20130138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and
operator
control cen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5702B1 (ko
Inventor
이철우
김주찬
박운용
Original Assignee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20061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7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2Sit harnes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있어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어깨벨트, 허리벨트, 안전로프 연결용 고리 및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센서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센서 탁부착 슬롯이 형성된 엑스밴드;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 최적화된 맞춤형 데이터를 설정하여 작업자의 안전 보조 벨트로 전송하며, 작업 현장의 상황을 관측하고 컨트롤 하는 관제센터; 및 상기 관제시스템과 엑스밴드간의 무선통신을 위해 작업장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통신 중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엑스밴드는 어깨벨트의 내측면과 작업자의 심장이 맞닿는 부분에 심박센서를 장착하여 작업자 심박의 이상 시 상기 관제센터로 작업사의 상태를 전송하고, 상기 엑스밴드는 일측면에 RFID를 이용한 식별테그를 부착함으로써 작업자의 인적 정보와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관제센터에서 각 작업현장으로의 인원배치 및 작업분배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엑스밴드는 작업자가 공사 현장의 위험구간을 설정한 경우, 설정된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로 전송하여 차후 위험구간으로 설정된 구간을 지나는 작업자들에게 미리 경고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착용하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원격지 작업자들 또는 관제센터와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 단말기, 카메라, 음향기기, 각종 센서 등을 실장한 것으로, 작업현장의 위험한 작업환경으로부터 작업자들을 보호하고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Luminous smart safety jacket}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비 도는 장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첨단의 전자적 장비와 통신기능이 장착된 작업자용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조선소, 기계공장 같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헬멧, 벨트, 장갑 등과 같은 보호 장구의 착용은 필수적이다.
오늘날, 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산업현장(예 : 토목 또는 건설현장)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면서, 현장 작업자는 단순 노동의 수준에서 벗어나, 건설에 투입되는 전자장비와 건설장비를 다룰 줄 알아야 하고 중앙센터나 다른 작업자들과의 협력작업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보호장구(헬멧, 벨트, 장갑 등)를 착용해야 하는 것은 물론,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연장, 원격지 작업자들(or 중앙센터)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단말기, 그리고 각종 계측장비들을 비롯한 각종 첨단장비들을 소지해야 한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보호 장구에 작업자의 행동 및 위험요소를 감지하는 산업 안전 스마트 H/W를 융합한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원격지 작업자들 또는 관제센터와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 단말기, 카메라, 음향기기, 각종 센서 등을 실장한 것으로, 작업현장의 위험한 작업환경으로부터 작업자들을 보호하고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있어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어깨벨트, 허리벨트, 안전로프 연결용 고리 및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센서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센서 탁부착 슬롯이 형성된 엑스밴드;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 최적화된 맞춤형 데이터를 설정하여 작업자의 안전 보조 벨트로 전송하며, 작업 현장의 상황을 관측하고 컨트롤 하는 관제센터; 및 상기 관제시스템과 엑스밴드간의 무선통신을 위해 작업장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통신 중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엑스밴드는 어깨벨트의 내측면과 작업자의 심장이 맞닿는 부분에 심박센서를 장착하여 작업자 심박의 이상 시 상기 관제센터로 작업사의 상태를 전송하고, 상기 엑스밴드는 일측면에 RFID를 이용한 식별테그를 부착함으로써 작업자의 인적 정보와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관제센터에서 각 작업현장으로의 인원배치 및 작업분배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엑스밴드는 작업자가 공사 현장의 위험구간을 설정한 경우, 설정된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로 전송하여 차후 위험구간으로 설정된 구간을 지나는 작업자들에게 미리 경고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엑스밴드는, 상기 엑스밴드에 센서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며, 작업 현장의 상황을 각 센서에 따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각 센서가 상황별 맞춤 센싱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관제시스템에서 설정된 맞춤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DB부; 상기 엑스밴드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작업자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정보부; 상기 엑스밴드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작업자와 상기 관제센터와의 음성통신 및 작업자 주변의 음향정보를 추출하는 음향부; 상기 엑스밴드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준 범위를 벗어날 시 작업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경고부; 상기의 센서부, 영상정보부 및 음향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관제시스템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송수신부; 및 상기 엑스밴드의 일측에 장착되며, 예비용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엑스밴드의 각 구성장치에 전력공급을 수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작업 환경에 따라 온도센서, 습도센서, 분진센서, 가스탐지센서, 진동센서, 충격센서, 자이로센서, 중력센서 또는 G센서 중 다수개의 필요 센서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송수신부는, 블루투스, RFID, 적외선통신, UWB 또는 지그비의 통신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의 통신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는 작업 상황에 따른 각 센서의 맞춤형 데이터를 설정하여 저장하며, 작업자로부터 수신된 위험구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DB부; 및 설정된 맞춤형 센서 데이터 및 저장된 위험구간 데이터를 다수의 상기 엑스밴드로 전송하며, 상기 제 1송수신부와 센싱정보,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제 2송수신부;를 포한하며, 상기 제 2송수신부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의 통신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엑스밴드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는 각종 재난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형장 상황에 관한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제센터로 전달하고, 관제센터의 지시에 따라 현장의 작업을 원활히 통제하고 현장의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피해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는 관제센터와의 통신을 위한 음향기기 및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재난현장이나 산업현장의 위험한 작업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높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는 재산피해나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작업현장의 작업자에게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해주며, 현장에서 발행할 수 있는 각종 위험 요소들로부터 안전을 한층 더 보장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관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의 데이터 전송에 관한 블록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관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관한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100)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어깨벨트, 허리벨트, 안전로프 연결용 고리 및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센서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센서 탁부착 슬롯이 형성된 엑스밴드(100),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 최적화된 맞춤형 데이터를 설정하여 작업자의 안전 보조 벨트로 전송하며, 작업 현장의 상황을 관측하고 컨트롤 하는 관제센터(200) 및 상기 관제센터(200)와 엑스밴드(100)간의 무선통신을 위해 작업장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통신 중계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엑스밴드(100)는 어깨벨트의 내측면과 작업자의 심장이 맞닿는 부분에 심박센서(110)를 장착하여 작업자 심박의 이상 시 상기 관제센터(200)로 작업사의 상태를 전송하고, 상기 엑스밴드(100)는 일측면에 RFID를 이용한 식별테그를 부착함으로써 작업자의 인적 정보와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관제센터(200)에서 각 작업현장으로의 인원배치 및 작업분배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엑스밴드(100)는 작업자가 공사 현장의 위험구간을 설정한 경우, 설정된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200)로 전송하여 차후 위험구간으로 설정된 구간을 지나는 작업자들에게 미리 경고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100)는 탈부착이 가능한 각종 센서, 상기 각종 센서가 상황별 맞춤형 센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DB부(130), 상기 엑스밴드(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작업자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정보부(140), 상기 엑스밴드(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작업자와 관제센터(200)와의 음성통신 및 작업자 주변의 음향정보를 추출하는 음향부(150), 상기 엑스밴드(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120)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상기 제 1DB부(130)에 저장된 기준 범위를 벗어날 시 작업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경고부(160), 상기의 각 검출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200)와 송수신 하기 위한 제 1송수신부(170) 및 상기 엑스밴드(100)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엑스밴드(100)의 각 구성장치에 전력공급을 수행하는 전원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20)는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작업자 주변의 미세 먼지량을 검출하는 분진센서, 인체에 위해한 가스 또는 발화성 가스를 탐지하는 가스탐지센서, 작업 시 지진이나 붕괴를 감지할 수 있는 진동센서, 작업자에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작업자의 추락을 감지하기 위한 중력센서와 G센서 중 한 개 이상의 센서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영상정보부(140)는 비디오 신호 입출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여 상기 제 1송수신부(170)를 통해 상기 관제센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음향부(150)는 작업자의 음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작업자나 작업자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는다.
상기 마이크(미도시)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또는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상기 제 1송수신부(170)를 통해 상기 관제센터(200)로 송신된다.
상기 경고부(160)는 상기 관제센터(200)로부터 전송되는 경고신호나 통신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경고부(160)는 오디오 사운드 외에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진동 등의 형태로 작접자에게 위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수 있으며, 작업장의 소음으로 인하여 음향신호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기존의 이어폰(리시버)을 장착할 수 있는 이어폰 접속단자를 구비한다.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100)를 착용한 작업자는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현장 상황에 관한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제센터(200)로 전송하고, 관제센터(200)의 통제에 따라 고도의 전문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보내온 정보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한 작업자 주변의 위험요소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100)를 착용한 주변 작업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작업상황을 상호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200)는 작업 상황에 따른 각 센서의 맞춤형 데이터를 설정하여 저장하며, 작업자로부터 수신된 위험구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DB부(210) 및 설정된 맞춤형 센서 데이터와 저장된 위험구간 데이터를 작업현장 내 다수의 엑스밴드(100)로 전송하며, 상기 제 1송수신부(170)와 센싱정보,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송수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의 제 1송수신부(170)와 관제센터(200)의 제 2송수신부(220) 간의 데이터 전송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100)는 지그비(Zigbee(IEEE 802.15.4))나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업자들 상호간의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신규약 IEEE 802.15.4로 정의되는 지그비(Zigbee)는 저가, 저전력 구현이 가능하여 가정, 빌딩 및 공장 자동화 등을 목표로 개발된 근거리 저속 무선통신 기술이다.
지그비(Zigbee)는 20Kbps, 40Kbps 그리고 250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10m 이내의 거리에서 적용가능하며, 한 개의 Piconet 당 255개의 무선 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1mW의 낮은 출력에도 10m 거리 이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근거리에 산재해있는 센서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다. IEEE 802.15.4에서 PHY와 MAC에 대한 지그비의 표준을 정의하고 있으며 Zigbee Alliance에서 MAC 이상의 레이어와 응용을 위한 프로파일까지 정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100)는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관제센터(200)와의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100)는 블루투스 3.0(Bluetooth 3.0)이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UWB(Ultra Wideband)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100)의 내부적 장치들간의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블루투스 3.0(Bluetooth 3.0)은 100m 전송 범위와 최대 24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하고, 기존 블루투스 2.1에 비해 8배 빨라진 전송속도를 갖는다. 기존 블루투스의 전송대역을 넘어서는 대용량 데이터 통신으로 휴대폰과 컴퓨터 등의 영상전송, 고정형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간의 영상 동기화, 디지털 카메라와 출력기 간의 프린팅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한층 낮아진 전력소모와 작은 크기, 저렴한 가격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엑스밴드 110 : 심박센서
120 : 센서부 130 : 제 1DB부
140 : 영상정보부 150 : 음향부
160 : 경고부 170 : 제 1송수신부
180 : 전원부 200 : 관제센터
210 : 제 2DB부 220 : 제 2송수신부
300 : 중계기

Claims (4)

  1.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에 있어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어깨벨트, 허리벨트, 안전로프 연결용 고리 및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센서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센서 탁부착 슬롯이 형성된 엑스밴드;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 최적화된 맞춤형 데이터를 설정하여 작업자의 안전 보조 벨트로 전송하며, 작업 현장의 상황을 관측하고 컨트롤 하는 관제센터; 및
    상기 관제시스템과 엑스밴드간의 무선통신을 위해 작업장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통신 중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엑스밴드는 어깨벨트의 내측면과 작업자의 심장이 맞닿는 부분에 심박센서를 장착하여 작업자 심박의 이상 시 상기 관제센터로 작업사의 상태를 전송하고,
    상기 엑스밴드는 일측면에 RFID를 이용한 식별테그를 부착함으로써 작업자의 인적 정보와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관제센터에서 각 작업현장으로의 인원배치 및 작업분배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엑스밴드는 작업자가 공사 현장의 위험구간을 설정한 경우, 설정된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로 전송하여 차후 위험구간으로 설정된 구간을 지나는 작업자들에게 미리 경고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밴드는,
    상기 엑스밴드에 센서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며, 작업 현장의 상황을 각 센서에 따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각 센서가 상황별 맞춤 센싱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관제시스템에서 설정된 맞춤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DB부;
    상기 엑스밴드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작업자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정보부;
    상기 엑스밴드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작업자와 상기 관제센터와의 음성통신 및 작업자 주변의 음향정보를 추출하는 음향부;
    상기 엑스밴드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기준 범위를 벗어날 시 작업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경고부;
    상기의 센서부, 영상정보부 및 음향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와 송수신 하기 위한 제 1송수신부; 및
    상기 엑스밴드의 일측에 장착되며, 예비용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엑스밴드의 각 구성장치에 전력공급을 수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작업 환경에 따라 온도센서, 습도센서, 분진센서, 가스탐지센서, 진동센서, 충격센서, 자이로센서, 중력센서 또는 G센서 중 다수개의 필요 센서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작업 상황에 따른 각 센서의 맞춤형 데이터를 설정하여 저장하며, 작업자로부터 수신된 위험구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DB부; 및
    설정된 맞춤형 센서 데이터 및 저장된 위험구간 데이터를 다수의 상기 엑스밴드로 전송하며, 상기 제 1송수신부와 센싱정보,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제 2송수신부;를 포한하며,
    상기 제 2송수신부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의 통신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엑스밴드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KR1020120061964A 2012-06-11 2012-06-11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KR10136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964A KR101365702B1 (ko) 2012-06-11 2012-06-11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964A KR101365702B1 (ko) 2012-06-11 2012-06-11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421A true KR20130138421A (ko) 2013-12-19
KR101365702B1 KR101365702B1 (ko) 2014-02-24

Family

ID=4998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964A KR101365702B1 (ko) 2012-06-11 2012-06-11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70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139B1 (ko) * 2015-11-27 2016-08-03 정용호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2017184774A (ja) * 2016-03-31 2017-10-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状態評価装置及び状態評価方法
CN108064018A (zh) * 2017-12-25 2018-05-22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定位技术的施工现场安全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976954B1 (ko) * 2017-11-08 2019-05-09 이태훈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US10617316B2 (en) 2014-10-15 2020-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achable biosignal complex sensor and method of detecting biosignal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2098816B1 (ko) * 2018-12-26 2020-05-06 (주)동성건설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KR102168113B1 (ko) * 2020-05-20 2020-10-20 주식회사 레딕스 착용형 안전벨트
KR102415937B1 (ko) * 2022-02-21 2022-07-05 한국안전진단연구원 주식회사 안전 조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751B1 (ko) * 2015-12-17 2017-01-1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작업 안전시스템
KR101828457B1 (ko) * 2016-01-27 2018-02-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안전 의류
KR101971099B1 (ko) 2018-02-21 2019-04-23 주식회사 부보 재귀반사 구조를 이용한 발광 안전 밴드
KR102199400B1 (ko) 2019-03-19 2021-01-06 주식회사 부보 재귀반사 구조를 이용한 발광 안전 밴드
KR102631000B1 (ko) 2019-11-11 2024-01-31 주식회사 부보 발광 안전 밴드의 착탈식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931B1 (ko) * 2007-02-13 2008-09-08 (주)월드이엔지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장치
KR200457043Y1 (ko) * 2009-04-21 2011-12-02 주식회사 테크라인유니온 산업용 안전벨트 유닛
KR101079343B1 (ko) * 2010-11-03 2011-11-04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7316B2 (en) 2014-10-15 2020-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achable biosignal complex sensor and method of detecting biosignal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1645139B1 (ko) * 2015-11-27 2016-08-03 정용호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2017184774A (ja) * 2016-03-31 2017-10-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状態評価装置及び状態評価方法
KR101976954B1 (ko) * 2017-11-08 2019-05-09 이태훈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CN108064018A (zh) * 2017-12-25 2018-05-22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定位技术的施工现场安全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098816B1 (ko) * 2018-12-26 2020-05-06 (주)동성건설 작업 현장의 가스 센싱 안전 장치
KR102168113B1 (ko) * 2020-05-20 2020-10-20 주식회사 레딕스 착용형 안전벨트
KR102415937B1 (ko) * 2022-02-21 2022-07-05 한국안전진단연구원 주식회사 안전 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702B1 (ko)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702B1 (ko)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KR101079343B1 (ko)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KR101050710B1 (ko) 소방작업을 위한 스마트 웨어
KR101219182B1 (ko) 스마트 안전관리 운용 시스템
KR101418987B1 (ko) 안전관리 통합 시스템
KR101282669B1 (ko)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1292565B1 (ko)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KR20170018747A (ko)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265564B1 (ko) 스마트 모니터링 운용 시스템
KR101340008B1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KR101079344B1 (ko) 스마트 벨트와 그 운용방법
KR100854931B1 (ko)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장치
CN102512773B (zh) 一种用于安全绳佩戴状态远程监测装置
KR101270132B1 (ko)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995948B1 (ko)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CN104602140A (zh) 应用于救援的移动终端及系统
KR20180089915A (ko)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CN105394860A (zh) 一种安全穿戴设备
CN102739276A (zh) 一种消防员灭火救援定位指挥系统
CN214677782U (zh) 一种智能安全帽和矿工安全监测系统
CN111011968A (zh) 一种智能安全帽及控制智能安全帽的操作系统
KR20160095788A (ko)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8573A (ko)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태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시스템
CN206058311U (zh) 基于iBeacon的智能消防巡检系统
CN205581560U (zh) 一种具有可视对讲及记录功能的作业现场头戴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