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132B1 -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132B1
KR101270132B1 KR1020110083347A KR20110083347A KR101270132B1 KR 101270132 B1 KR101270132 B1 KR 101270132B1 KR 1020110083347 A KR1020110083347 A KR 1020110083347A KR 20110083347 A KR20110083347 A KR 20110083347A KR 101270132 B1 KR101270132 B1 KR 10127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unit
worker
situ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059A (ko
Inventor
박정환
이철우
박운용
김주찬
Original Assignee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8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1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헬멧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탈부착 가능한 에어백이 구비된 헬멧; 상기 헬멧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거나 소정의 센서들로 감지하여 촬영 및 감지된 상황 정보들을 중앙통제 센터로 무선 전송하는 스마트 모듈; 응급상황 시 상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 되는 에어백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 모듈; 및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 모듈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산업현장의 상황과 작업자의 주변 안전상황을 추론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 해당 헬멧에 지령하는 중앙통제 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Smart helmet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s}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비 또는 장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첨단의 전자적 장비와 통신기능이 장착된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조선소, 기계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헬멧, 벨트, 장갑 등과 같은 보호 장구의 착용은 필수적이다. 특히, 헬멧은 고공의 낙하물이나 예상치 못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와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헬멧의 착용은 작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안전수칙에 해당된다.
오늘날, 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산업현장(예: 토목 또는 건설현장)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면서, 현장 작업자는 단순 노동의 수준에서 벗어나, 건설에 투입되는 전자장비와 건설장비를 다룰 줄 알아야 하고 중앙센터나 다른 작업자들과의 협력작업을 위해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보호장구(헬멧, 벨트, 장갑 등)를 착용해야 하는 것은 물론,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연장, 원격지 작업자들(or 중앙센터)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단말기, 그리고 각종 계측장비들을 비롯한 각종 첨단장비들을 소지해야 한다.
산업현장에서 작업자들의 안전과 작업의 전문성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해, 통신 및 전자장비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각종 첨단장비들은 작업자가 지닐 수 있는 장비의 무게나 개수에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몸을 가누기 힘든 고공의 작업현장이나 화재진압과 같은 위험천만한 작업환경이라면, 위와 같은 장비들의 필요성은 더욱 높지만 사실상 그 장비들을 모두 소지하고 작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05629호(공개일:2010년01월15일, 발명의 명칭:추락사 방지 에어백 안전시스템, 청구범위 제1항 및 제2항)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보호 장구에 작업자의 행동 및 위험요소를 감지하는 산업 안전 스마트 H/W를 융합한 스마트 헬멧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헬멧에, 원격지 작업자들(or 중앙통제 센터)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단말기, 그리고 카메라, 배터리, 각종 센서, 에어백 등을 구비한 것으로, 산업현장(또는 재해현장)의 위험한 작업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헬멧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헬멧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탈부착 가능한 에어백이 구비된 헬멧;상기 헬멧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거나 소정의 센서들로 감지하여 촬영 및 감지된 상황 정보들을 중앙통제 센터로 무선 전송하는 스마트 모듈; 응급상황 시 상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 되는 에어백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 모듈; 및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 모듈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산업현장의 상황과 작업자의 주변 안전상황을 추론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 해당 헬멧에 지령하는 중앙통제 센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모듈은, 작업자의 주변의 온도, 조도, 습도, 가스(gas), 위치, 충격생성을 감지하여 센싱신호를 생성시키는 센싱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작업자 주변의 영상을 입력받거나 마이크를 통해 작업자나 작업자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는 A/V 입출력부; 상기 센싱부와 A/V(Audio/Video) 입출력부를 제어하고 이들 장치에서 생성된 정보를 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타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헬멧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부; 및 소정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중앙통제 센터로 무선 송출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제어 모듈은, 상기 작업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모듈을 ON시키는 동작 버튼부; 및 상기 동작 버튼부의 ON에 의해서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여 에어백이 펼쳐지도록 하는 가스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헬멧으로부터 전송된 상황 정보들을 수집하는 수집장치부; 및 상기 수집장치부에 수집된 상황 정보들을 상기 중앙통제 센터로 무선 전송하는 엑세스 포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통제 센터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로부터 전송된 상황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황 정보들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및 모니터링부를 통해 작업자의 주변 안전상황을 추론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해당 헬멧에 지령하거나 기술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방법은 화재진압, 지진, 건물붕괴, 수해 복구 등의 각종 재난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헬멧을 이용하여 현장 상황에 관한 각종 정보(예: 현장을 촬영한 동영상 정보, 위험감지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센터로 전달하고, 센터의 지시에 따라 현장의 작업을 원활히 통제하고 현장의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피해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헬멧에, 원격지 작업자들(or 중앙통제 센터)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단말기, 그리고 카메라, 배터리, 각종 센서, 에어백을 구비한 것으로, 산업현장(또는 재해현장)의 위험한 작업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소정의 위치에 에어백을 다수개 구비함으로써, 응급 상황시 작업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신속하게 에어백이 펼쳐지도록 하여 추락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망 연결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헬멧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탈부착 가능한 에어백(내장,미도시)이 구비된 헬멧(100), 상기 헬멧(100)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거나 소정의 센서들로 감지하여 촬영 및 감지된 상황 정보들을 중앙통제 센터(500)로 무선 전송하는 스마트 모듈(200), 응급상황 시 상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 되는 에어백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 모듈(300) 및 네트워크 모듈(400)을 통해 상기 스마트 모듈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산업현장의 상황과 작업자의 주변 안전상황을 추론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 해당 헬멧(100)에 지령하는 중앙통제 센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모듈(200)은 작업자 주변의 온도, 조도, 습도, 가스(gas), 위치, 충격발생을 감지하여 센싱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210)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작업자 주변의 영상을 입력받는 A/V 입출력부(220), 상기 센싱부(210)와 A/V 입출력부(220)를 제어하고 이들 장치에서 생성된 정보를 통신부(240,250)로 전달하는 제어부(230), 소정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중앙통제 센터(500)로 무선 송출하는 통신부(240,25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 제어 모듈(300)은 상기 작업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에어백 제어 모듈(300)을 ON시키는 동작 버튼부(310) 및 상기 동작 버튼부(310)의 ON에 의해서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여 에어백이 펼쳐지도록 하는 가스발생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모듈 및 에어백 제어 모듈(200,300)의 각 구성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100)의 망 연결에 관한 블록 구성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멧(100)은 지그비 (Zigbee(IEEE 802.15.4))나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헬멧(100)을 착용한 다른 작업자들 상호간의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신규약 IEEE802.15.4로 정의되는 지그비(ZigBee)는 저가, 저전력 구현이 가능하여 가정, 빌딩 및 공장 자동화 등을 목표로 개발된 근거리 저속 무선통신 기술이다.
여기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헬멧(100)은 원격지 작업자들(or 센터(500))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단말기, 그리고 이미지 전송을 위한 카메라, 배터리, 헤드셋, 각종 센서, 에어백 등을 구비한 것이다.
헬멧(100)을 착용한 작업자는 화재진압, 지진, 건물붕괴, 수해 복구 등의 각종 재난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현장 상황에 관한 각종 정보(예: 현장을 촬영한 동영상 정보, 위험감지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중앙통제 센터(500)로 전달하고, 센터(500)의 통제에 따라 고도의 전문적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보내온 정보를 분석하여 중앙통제 센터(500)가 작업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한 작업자 주변의 위험요소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헬멧(100)을 착용한 주변 작업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Multi Communication)을 통해, 작업상황을 상호 공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100)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멧(10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헬멧(100)은 블루투스 3.0(Bluetooth 3.0)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다른 작업자의 헬멧(1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헬멧(100)은 센싱부(210), A/V 입출력부(220), 제어부(230), 제 1 통신부(240), 제 2 통신부(250)를 포함하는 스마트 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모듈(200)은 헬멧(100)의 내/외부 온도, 작업자 주변 조도, 주변 습도, 가스(gas) 누출, 작업자의 위치 등을 감지하고, 라이트 기능(후레쉬), 카메라(사진 및 동영상 촬영), 통신 기능(근거리, 이동통신 등) 등을 수행하여 작업자의 임무수행을 돕고, 작업자 주변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을 감지한 후 중앙통제 센터(500)로 전송하여, 중앙통제 센터(500)에서 작업현장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싱부(210)는 헬멧(100)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 작업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 센서, 작업자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 센서, 인체에 위해한 가스(gas)를 감지하는 가스감지 센서, 작업자의 현재 위치, 헬멧(100)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고, 각 센서가 발생한 센싱신호를 상기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상기 A/V(Audio/Video) 입출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출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음향출력 모듈(미도시)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통신부(240 or 360)를 통해 외부(예: 중앙통제 센터(5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헬멧(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상기 통신부(240, 360)를 통해 무선 망(예: 액세스 포인트(AP(400)) 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스마트 헬멧(100)에서 처리된 정보나 중앙통제 센터(5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한다.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디스플레이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 모듈은 통화모드에서 제 2 통신부(24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스마트 헬멧(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경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헬멧(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헬멧(100)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의 동작과 신호 전달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등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들을 제 2 통신부(250)를 통해 외부(예: 중앙통제 센터(500))로 전송한다.
상기 제 1 통신부(240)는 헬멧(100)과 다른 헬멧(100)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무선 통신기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헬멧(100)과 타 헬멧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240)는 블루투스 3.0(Bluetooth 3.0)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기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 2 통신부(250)는 제어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중앙통제 센터(500)로 무선 송출하기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의 통신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중앙통제 센터(500)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헬멧(100)은 알람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람부는 중앙통제 센터(500)의 경고신호나 통신 이벤트(예: 호 수신)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알람부는 오디오 사운드 외에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전기충격이나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기충격은 작업에 몰두 중인 작업자나 실신 상태에 있는 작업자에게 강력한 경고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헬멧(100)은 조명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엘이디(LED)와 같이 전력소비량이 적은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발광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헬멧(100)은 동작 버튼부(310), 가스발생부(320)를 포함하는 에어백 제어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작 버튼부(310)는 상기 작업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에어백 제어 모듈(300)을 ON시킨다. 상기 동작 버튼부(310)는 상기 헬멧(100)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발생부(320)는 상기 동작 버튼부(310)의 ON에 의해서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여 에어백이 펼쳐지도록 한다. 즉, 상기 헬멧(100)에 구비되는 에어백은. 상기 헬멧(100)의 소정의 위치에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설치하기 위한 가스발생장치가 설치되고, 가스발생장치의 출구가 돌출되는 케이스의 외부면에는 공지된 것과 같은 에어백이 절첩된 상태로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스가 분출되면 커버를 찢으면서 크게 부풀어지도록 각종 기기들을 모듈화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10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100)의 운용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멧(100)는 다른 작업자의 상기 헬멧(100)과 블루투스 3.0(Bluetooth 3.0)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작업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100)은 우선 센싱부(210)를 통해, 헬멧(100)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하거나, 작업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거나, 작업자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거나, 인체에 위해한 가스(gas)를 감지하거나, 헬멧(100)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거나, 현재 작업지점의 방위와 위치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센싱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작업자 주변의 영상(동영상 혹은 정지영상)을 입력받는다.
상기 헬멧(100)은 이렇게 생성된(또는 입력된) 정보들을 수집하고 제 2 통신부(250)를 통해 무선 송출한다. 이렇게 송출된 신호들은 네트워크 모듈(400)로 전송된다. 네트워크 모듈(400)은 헬멧(100)으로부터 전송된 상황 정보들을 수집하는 수집장치부(410) 및 상기 수집장치부(410)에 수집된 상황 정보들을 상기 중앙통제 센터(500)로 무선 전송하는 엑세스 포인트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네트워크 모듈(400)에 수집된 상황 정보 신호들은 엑세스 포인트부(420)를 통해 다시 상기 중앙통제 센터(500)로 전달된다.
일단, 헬멧(100)으로부터 작업현장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중앙통제 센터(50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산업현장의 상황과 작업자 주변의 안전상황을 추론(혹은 모니터)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 또는 위험상황을 알리는 경고알림 신호를 해당 헬멧(100) 측으로 전달한다.
중앙통제 센터(500)는 다양한 방법으로 현장의 작업상황을 제어할 수 있다.
중앙통제 센터(500)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400)로부터 전송된 상황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510),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10)에 저장된 상황 정보들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52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10) 및 모니터링부(520)를 통해 작업자의 주변 안전상황을 추론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해당 헬멧(100)에 지령하거나 기술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중앙통제 센터(500)의 숙련된 전문가는 헬멧(100)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실시간의 정보들(예: 현장을 촬영중인 동영상, 각종 센싱 정보 등)을 모니터하면서 현장의 미숙련 작업자를 통제할 수 있다. 현장의 작업자들은 중앙통제 센터(500)의 통제에 따라 고도의 전문적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중앙통제 센터(500)는 헬멧을 착용한 주변 작업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작업상황을 상호 공유하고 관리 감독할 수 있어 현장의 긴급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원활히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통제 센터는 헬멧을 착용한 주변 작업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작업 위험상황에 유용한 다양한 기술을 개량·변경·가공하게 되어 작업현장의 헬멧 기술개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은 화재진압, 지진, 건물붕괴, 수해 복구 등의 각종 재난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헬멧을 이용하여 현장 상황에 관한 각종 정보(예: 현장을 촬영한 동영상 정보, 위험감지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센터로 전달하고, 센터의 지시에 따라 현장의 작업을 원활히 통제하고 현장의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피해를 절감할 수 있는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헬멧에, 원격지 작업자들(or 중앙통제 센터)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단말기, 그리고 카메라, 배터리, 각종 센서, 에어백을 구비한 것으로, 산업현장(또는 재해현장)의 위험한 작업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소정의 위치에 에어백을 다수개 구비함으로써, 응급 상황시 작업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신속하게 에어백이 펼쳐지도록 하여 추락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헬멧 200 : 스마트 모듈
300 : 에어백 제어 모듈 400 : 네트워크 모듈
500 : 중앙통제 센터

Claims (5)

  1.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헬멧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탈부착 가능한 에어백이 구비된 헬멧;
    상기 헬멧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거나 소정의 센서들로 감지하여 촬영 및 감지된 상황 정보들을 중앙통제 센터로 무선 전송하는 스마트 모듈;
    작업자의 두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헬멧 상에 구비되어, 응급상황 시 상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 되는 에어백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 모듈; 및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 모듈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산업현장의 상황과 작업자의 주변 안전상황을 추론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 해당 헬멧에 지령하는 중앙통제 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모듈은,
    작업자의 주변의 온도, 조도, 습도, 가스(gas), 위치, 충격생성을 감지하여 센싱신호를 생성시키는 센싱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작업자 주변의 영상을 입력받거나 마이크를 통해 작업자나 작업자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는 A/V 입출력부;
    상기 센싱부와 A/V(Audio/Video) 입출력부를 제어하고 이들 장치에서 생성된 정보를 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타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헬멧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부;및
    소정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중앙통제 센터로 무선 송출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에어백 제어 모듈은,
    상기 작업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에어백 제어 모듈을 ON시키는 동작 버튼부; 및
    상기 동작 버튼부의 ON에 의해서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여 에어백이 펼쳐지도록 하는 가스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통제 센터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로부터 전송된 상황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황 정보들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및 모니터링부를 통해 작업자의 주변 안전상황을 추론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해당 헬멧에 지령하거나 기술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헬멧으로부터 전송된 상황 정보들을 수집하는 수집장치부; 및
    상기 수집장치부에 수집된 상황 정보들을 상기 중앙통제 센터로 무선 전송하는 엑세스 포인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장치.
  5. 삭제
KR1020110083347A 2011-08-22 2011-08-22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270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47A KR101270132B1 (ko) 2011-08-22 2011-08-22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47A KR101270132B1 (ko) 2011-08-22 2011-08-22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59A KR20130021059A (ko) 2013-03-05
KR101270132B1 true KR101270132B1 (ko) 2013-05-31

Family

ID=4817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347A KR101270132B1 (ko) 2011-08-22 2011-08-22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747A (ko) 2015-08-10 2017-02-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80001613U (ko) * 2016-11-22 2018-05-30 박민정 소방용 스마트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3286A (zh) * 2019-08-28 2019-11-05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5g的智能安全帽
KR102436805B1 (ko) * 2021-05-12 2022-08-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위험 요소 알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 요소 알림 장치
KR102502912B1 (ko) * 2022-10-18 2023-02-23 (주)케이이엔지 스마트 안전모
KR102627939B1 (ko) * 2023-07-25 2024-01-24 지피에스코리아(주) 산업현장용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의 표면처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5706A (ja) * 2004-10-05 2008-05-15 アー・ペー・セー・システムズ・ベー・セー・エネ・ソシエダッド・リミターダ 頸部背面領域防護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101050710B1 (ko) * 2010-11-03 2011-07-20 (주)텔레콤랜드 소방작업을 위한 스마트 웨어
KR101050709B1 (ko) 2010-11-03 2011-07-20 (주)텔레콤랜드 수중 작업자를 위한 스마트 웨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5706A (ja) * 2004-10-05 2008-05-15 アー・ペー・セー・システムズ・ベー・セー・エネ・ソシエダッド・リミターダ 頸部背面領域防護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101050710B1 (ko) * 2010-11-03 2011-07-20 (주)텔레콤랜드 소방작업을 위한 스마트 웨어
KR101050709B1 (ko) 2010-11-03 2011-07-20 (주)텔레콤랜드 수중 작업자를 위한 스마트 웨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747A (ko) 2015-08-10 2017-02-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80001613U (ko) * 2016-11-22 2018-05-30 박민정 소방용 스마트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59A (ko)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710B1 (ko) 소방작업을 위한 스마트 웨어
KR101079343B1 (ko)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KR101219182B1 (ko) 스마트 안전관리 운용 시스템
KR101340008B1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KR101282669B1 (ko)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1270132B1 (ko)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292565B1 (ko)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KR101365702B1 (ko)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KR101265564B1 (ko) 스마트 모니터링 운용 시스템
KR101418987B1 (ko) 안전관리 통합 시스템
KR101079344B1 (ko) 스마트 벨트와 그 운용방법
KR101050708B1 (ko) 용접 작업자를 위한 스마트 웨어
KR101589133B1 (ko) 재난구조로봇을 이용한 재난구조시스템
Kim et al. Portable fire evacuation guide robot system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170018747A (ko)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731995B1 (ko) 화재 감시용 카메라 장치
KR102128679B1 (ko)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무선타입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US20190082115A1 (en) Monitoring camera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CN107359889A (zh) 基于物联网的消防人员定位系统
KR20190040605A (ko) Lpwa 통신기반 작업자 위험 감지 시스템
CN104602140A (zh) 应用于救援的移动终端及系统
US20160335862A1 (en) Tactical personal surveillance and monitoring system
CN106132290B (zh) 监视设备和监视系统
KR20130052420A (ko)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