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420A -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420A
KR20130052420A KR1020110117842A KR20110117842A KR20130052420A KR 20130052420 A KR20130052420 A KR 20130052420A KR 1020110117842 A KR1020110117842 A KR 1020110117842A KR 20110117842 A KR20110117842 A KR 20110117842A KR 20130052420 A KR20130052420 A KR 20130052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unit
sensor
management system
field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근
Original Assignee
(주)넷투넷
(주)동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넷투넷, (주)동인시스템 filed Critical (주)넷투넷
Priority to KR1020110117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2420A/ko
Publication of KR2013005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작업 현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이 소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은, 신호부(12)와, 작업자 작업 환경을 촬영하는 영상부(14)가 마련된 스마트 헬멧(10); 상기 영상부(14)에서 촬영한 현장 작업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받아 저장하는 스마트 벨트(20); 및 상기 스마트 벨트(20)로부터 현장 작업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받아 이러한 데이터를 기초로 현장 작업을 컨트롤하는 신호를 상기 스마트 벨트(20)에 전송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THE SPOT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HELMET}
본 발명은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 헬맷에 장착된 영상부 및 센서부에서 전송한 작업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현장 작업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 현장 등 특수한 환경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는 다양한 보호장비를 착용여야 하는 바, 이는 사소한 실수로 인해 대형 안전 사고 및 인명 피해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 이러한 작업 환경에서는 약간의 시간 지연이나 사소한 정보 전달 오류로 인해 산업 재해 및 대형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현장에서 모든 작업자를 지휘,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데, 설령 현장에서 관리자가 작업자를 통제, 관리한다고 하더라도, 통제, 관리되는 작업 인원이 다수이고, 작업 공간이 광범위한 경우 관리자의 관리, 통제는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일부 작업 현장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무전기 등을 이용, 작업자가 관리자에게 현장 상황에 대하여 음성으로 보고하고,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관리자가 현장 작업을 지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역시, 현장 상황 파악이 현장 작업자의 설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것음 물론, 현장 작업자 스스로에게 닥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환경을 촬영하거나 센싱하여 그 정보를 전송하고, 이 정보를 기초로 중앙에서 작업 환경을 모니터링 하는 등 작업 환경을 일괄적으로 지휘, 관리하는 한편, 각각의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작업 환경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 관리, 지휘, 감독의 한계성을 해결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은, 신호부와, 작업자 작업 환경을 촬영하는 영상부가 마련된 스마트 헬멧; 상기 영상부에서 촬영한 현장 작업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받아 저장하는 스마트 벨트; 및 상기 스마트 벨트로부터 현장 작업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받아 이러한 데이터를 기초로 현장 작업을 컨트롤하는 신호를 상기 스마트 벨트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헬맷에는 센서부가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는 온도센서, 진동센서, 조도센서, 공기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한 작업 환경에 관한 데이터는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 벨트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현장에 위험 상황이 포착된 경우 상기 스마트 벨트에 경보 발령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벨트는 상기 진동센서를 진동시킴으로써 경보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부는, 엘이디 조명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현장에 위험 상황이 포착된 경우 상기 스마트 벨트에 경보 발령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벨트는 상기 엘이디 조명등을 점멸시킴으로써 경보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부 및 센서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현장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기에 직접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아래와 같이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중앙에서 현장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현장 작업을 실시간 관리, 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다수의 작업자 및 광범위한 작업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현장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현장 위험 요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현장의 작업자 간에 실시간으로 작업 현장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헬멧(10)과, 스마트 벨트(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스마트 헬멧(10)은, 신호부(12)와 영상부(14)를 포함한다.
신호부(12)는 작업자가 현장에 위험 또는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신호부(1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경고등이나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작업자를 인지시키 수 있다. 특히, 조명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엘이디 경고 조명등(12a) 형태로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신호부(12)는 엘이디 경고 조명등(12a) 이외에, 스마트 헬멧(10)의 전원 인가 여부를 인지시키는 엘이디 전원 조명등(12b) 및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인지시키는 와이파이(Wi-Fi) 링크 조명등(12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부(14)는 현장 환경 및 작업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영상부(14)는, 스마트 헬멧(10)의 전방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 개 장착되어 전방은 물론, 후방 및 측방 환경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부(14)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러한 카메라 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헬멧(10)에 마련된 영상부(14)에서 실시간으로 얻어지는 영상 정보는 스마트 벨트(20)로 전송된다.
스마트 벨트(20)는, 영상부(14)에서 촬영한 현장 작업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받아 이를 압축, 저장한다.
압축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어부(30)로 전송된다.
제어부(30)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현장 작업 환경을 감독하며, 현장에서 위험 인자 내지 돌발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현장 작업자의 스마트 벨트(20)로 위험 신호를 전송하는 바, 스마트 벨트(20)는 이 신호를 기초로, 스마트 헬멧(10)에 마련된 신호부(12)의 엘이디 경고 조명등(12a)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스마트 헬맷(10)에는 센서부(1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 헬멧(10)은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원자력 발전소, 제철소, 조선소는 물론, 지하철 공사장 등 다양한 건설 현장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렇듯, 사용되는 장소 및 환경에 따라, 현장 관리 및 감독을 위해 필요한 환경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취득하여야할 현장 정보에 따라 센서부(16)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예로, 센서부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공기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온도센서는 작업 환경의 온도를 실시간 센싱하는 기능을 하고, 조도센서는 작업 환경이 밝기, 공기센서는 공기 오염도, 습도센서는 습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한다.
특히, 센서부(16)는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진동센서는 상술한 작업 환경 센싱이 아닌, 현장에서의 위험 내지 돌발 상황이 발생시 진동하여 작업자에게 위기 상황을 인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제어부(30) 및 스마트 벨트(20)로부터 경보 신호가 전송된 경우,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엘이디 경고 조명등(12a)을 포함하는 신호부(12)가 작동할 수도 있지만, 진동센서가 작동하여 스마트 헬맷(10)을 진동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경고할 수도 있다.
엘이디 경고 조명등(12a)은 스마트 헬멧(10)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스마트 헬멧(10)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 엘이디 경고 조명등(12a)의 점등 여부를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설령 엘이디 경고 조명등(12a)에 경보음 기능을 추가하더라도 소음이 많은 공사 현장 등의 특성을 감안하면, 작업자가 이를 인지하기란 쉽지 않다.
스마트 헬멧(10)에 진동센서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위험, 돌발 상황 발생시 진동센서 자체가 진동하거나, 위험 상황 신호를 전달받은 진동센서에 의해 별도의 바이브레이터가 진동하는바, 스마트 헬멧(10)을 착용한 작업자는 손쉽게 자신의 주변에 위험 상황이 발생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센서부(16)에서 센싱한 작업 환경에 관한 정보는 역시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 벨트(20)로 전송되며, 이 스마트 벨트(20)에서 제어부(30)로 전송, 중앙에서 모니터링을 통하여 관리된다.
영상부(14), 센서부(16)에서 수집된 작업 환경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스마트 벨트(20) 및 제어부(30)로 전송된 후, 이를 기초로 현장 환경 상태를 파악한 후 제어부(30)에서 전송하는 경고 메세지는 신호부(12) 내지 진동센서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전송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 단말기(40)를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영상부(14) 내지 센서부(16)에서 수집된 작업 환경에 관한 다양한 정보는, 스마트 벨트(20)에 압축 저장, 제어부(30)로 전송될 수도 있지만, 직접 작업자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40)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각각의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40)로 작업 환경 정보가 직접 전송될 수도 있는 바, 작업자는 이러한 정보를 실시간 전달받음으로써, 현재 작업 환경의 위험 여부 내지 다른 작업자의 이상 여부를 실시간 체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 헬멧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마트 헬멧에 마련된 신호부의 엘이디 전원 조명등이 점등된다.
엘이디 전원 조명등에 불이 들어오면, 센서부가 활성화되고, 영상부가 작동하게 된다. 센서부 및 영상부 작동이 정상적으로 개시되면, 스마트 벨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스마트 벨트가 정상 작동하게 되면, 영상부에서 작업 환경을 촬영하기 시작하는 바, 스마트 벨트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 헬멧의 전원을 재부팅한다.
영상부 및 센서부에서 작업 환경을 촬영, 센싱하여 생성된 정보는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스마트 벨트로 전송되는 바, 전송된 환경 정보는 그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며, 모니터링실로 전송되는 바, 제어부에서는 그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에 환경 정보가 저장되며,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경보 신호를 스마트 벨트에 전송하게 된다.
경보 신호를 접수한 스마트 벨트는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 신호를 진동센서로 전달하여 진동시키거나, 엘이디 경고 조명등에 전달하여 경고등을 점등시켜 작업자를 인지시킨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스마트 헬멧 12 : 신호부
14 : 영상부 16 : 센서부
20 : 스마트 벨트 30 : 제어부
40 : 스마트 단말기

Claims (6)

  1. 신호부(12)와, 작업자 작업 환경을 촬영하는 영상부(14)가 마련된 스마트 헬멧(10);
    상기 영상부(14)에서 촬영한 현장 작업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받아 저장하는 스마트 벨트(20); 및
    상기 스마트 벨트(20)로부터 현장 작업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받아 이러한 데이터를 기초로 현장 작업을 컨트롤하는 신호를 상기 스마트 벨트(20)에 전송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헬맷(10)에는 센서부(16)가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16)는 온도센서, 진동센서, 조도센서, 공기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6)에서 센싱한 작업 환경에 관한 데이터는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 벨트(2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에서는 현장에 위험 상황이 포착된 경우 상기 스마트 벨트(20)에 경보 발령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벨트(20)는 상기 진동센서를 진동시킴으로써 경보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부(12)는,
    엘이디 경고 조명등(12a)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에서는 현장에 위험 상황이 포착된 경우 상기 스마트 벨트(20)에 경보 발령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벨트(20)는 상기 엘이디 경고 조명등(12a)을 점멸시킴으로써 경보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14) 및 센서부(16)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현장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 단말기(40)에 직접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KR1020110117842A 2011-11-11 2011-11-11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KR20130052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842A KR20130052420A (ko) 2011-11-11 2011-11-11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842A KR20130052420A (ko) 2011-11-11 2011-11-11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420A true KR20130052420A (ko) 2013-05-22

Family

ID=4866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842A KR20130052420A (ko) 2011-11-11 2011-11-11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242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995B1 (ko) * 2013-09-26 2014-10-0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촬영헬멧 및 촬영방법
KR101490373B1 (ko) * 2013-11-05 2015-02-05 박준영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018747A (ko) 2015-08-10 2017-02-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990364B1 (ko) 2018-03-07 2019-06-20 (주)에스엘에이치 작업자 안전 상태를 무선으로 모니터링 가능한 안전화
KR20200082737A (ko) * 2018-12-31 2020-07-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KR20210063850A (ko) 2019-11-25 2021-06-02 송광철 스마트 헬멧
WO2021256799A1 (ko) * 2020-06-19 2021-12-23 (주)이에이치아이 현장안전관리 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995B1 (ko) * 2013-09-26 2014-10-0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촬영헬멧 및 촬영방법
KR101490373B1 (ko) * 2013-11-05 2015-02-05 박준영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018747A (ko) 2015-08-10 2017-02-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990364B1 (ko) 2018-03-07 2019-06-20 (주)에스엘에이치 작업자 안전 상태를 무선으로 모니터링 가능한 안전화
KR20200082737A (ko) * 2018-12-31 2020-07-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KR20210063850A (ko) 2019-11-25 2021-06-02 송광철 스마트 헬멧
WO2021256799A1 (ko) * 2020-06-19 2021-12-23 (주)이에이치아이 현장안전관리 시스템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2420A (ko)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KR101282669B1 (ko)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1526938B1 (ko)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6488394B2 (ja) 着用式通信アセンブリおよび通信アセンブリ
KR101340008B1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JP2019526187A (ja) 管制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70018747A (ko)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28201B1 (ko) 실시간 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40829B1 (ko)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56018B2 (ja) 安全管理システム
KR20200003975A (ko) 재난 안전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KR20130021058A (ko) 스마트 모니터링 운용 시스템
KR101974281B1 (ko) 안전 장비 착용 장려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86790A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820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현장 감시 방법 및 장치
KR20180082856A (ko)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CN106228764A (zh) 具有移动远方告警的智能警示牌
KR101377706B1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102618229B1 (ko) 안전모용 착용자 감지모듈을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KR102314922B1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통합 스마트 안전 플랫폼
JP6769821B2 (ja) 作業現場監視装置
KR20180055599A (ko)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US11011040B2 (en) Electronic personal dosimeter smart accesso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