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599A -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599A
KR20180055599A KR1020160153609A KR20160153609A KR20180055599A KR 20180055599 A KR20180055599 A KR 20180055599A KR 1020160153609 A KR1020160153609 A KR 1020160153609A KR 20160153609 A KR20160153609 A KR 20160153609A KR 20180055599 A KR20180055599 A KR 20180055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level
server
helmet
photographed imag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식
Original Assignee
(주)모메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메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모메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6015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599A/ko
Publication of KR2018005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08B21/08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by monitor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은 주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알림 명령에 기초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모, 및 상기 안전모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안전모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변 상황의 위험도 레벨을 판단하고, 판단된 위험도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 명령을 상기 안전모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SAFETY MANAGING SYSTEM FOR WORKER}
본 발명은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에게 안전을 위한 적절한 경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 건설현장 및 기타의 작업현장에서는 각종 위험물로부터 두부(頭部)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들은 복잡하고 분주한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주변의 위험 상황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작업자가 작업에 집중하는 경우 주변 상황에 주의를 기울이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주변의 갑작스런 사고 상황에 대처할 수 없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인명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작업자에게 안전을 위한 적절한 경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은 주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알림 명령에 기초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모, 및 상기 안전모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안전모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변 상황의 위험도 레벨을 판단하고, 판단된 위험도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 명령을 상기 안전모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모는 상기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신호 출력부, 상기 서버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알림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알림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경보 신호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대한 위험도 레벨을 판단하는 위험도 레벨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험도 레벨 판단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되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변 상황의 위험도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험도 레벨 판단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되는 주변 장애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변 상황의 위험도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험도 레벨 판단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영상과 비교하여 앵글의 변화 정도가 기준 변화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위험도 레벨을 최고 위험도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험도 레벨을 상기 최고 위험도 레벨로 판단하는 경우 관제 센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는 360도 촬영 가능한 카메라이고, 상기 서버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위험도 레벨을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후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에게 안전을 위한 적절한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1000)은 안전모(100) 및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모(100)는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는 카메라(11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모(100)에 설치된 카메라(110)는 안전모(100)를 착용한 작업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0)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360도 촬영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고, 안전모(100)의 하우징의 최상단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0)는 안전모(100)의 전면부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고, 촬영 앵글의 제어가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다. 안전모(100)는 촬영된 영상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안전모(100)는 서버(200)로부터 알림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안전모(100)는 수신되는 알림 명령에 기초하여 안전모(100) 착용자에게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보 신호는 상기 알림 명령에 따라 다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 명령이 제 1 위험도 레벨에 따른 알림 명령인 경우 안전모(100)는 경보 신호로서 진동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알림 명령이 제 2 위험도 레벨에 따른 알림 명령인 경우 안전모(100)는 경보 신호로서 사운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위험도 레벨은 상기 제 1 위험도 레벨보다 위험도가 높은 레벨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보 신호의 형태는 제시되지 않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가능하다.
서버(200)는 안전모(100)에 설치된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주변 상황의 위험도 레벨을 판단하고, 판단된 위험도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 명령을 생성하여 안전모(1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되는 장소 정보 및/또는 주변 장애물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도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수신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영상과 비교하여 촬영 앵글의 변화 정도가 기준 변화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도 레벨을 최고 위험도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위험도 레벨이 최고 위험도 레벨로 판단되는 경우 관제 센터(미도시)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1000)에 따르면, 안전모(100)에 설치된 카메라(110)를 통해 안전모(110)를 착용한 작업자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200)에서 분석하여 위험 상황에 따른 적절한 경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버(200)는 영상 분석을 통해 판단되는 위험도 레벨에 따라 작업자에게 서로 다른 형태의 경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작업자의 집중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카메라(110)가 360도 촬영 가능한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11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 레벨을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후의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에서 생성된 가상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는 사용자(예를 들어, 작업 현장의 관리자)에 의해 재생될 수 있고, 사용자는 안전모(100)를 착용한 작업자의 시점에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고 등의 발생 시 원인 규명/예방 등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00)는 카메라(110), 통신부(120), 경보 신호 출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안전모(100)를 착용한 작업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0)는 360도 촬영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고, 안전모(100)의 하우징의 최상단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0)는 안전모(100)의 전면부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고, 촬영 앵글의 제어가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다.
통신부(120)는 촬영된 영상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알림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알림 명령을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경보 신호 출력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경보 신호 출력부(130)는 진동 발생 모듈, 사운드 알람 발생 모듈, 발광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알림 명령에 기초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신호 출력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알림 명령에 따라 경보 신호가 다른 형태로 출력되도록 경보 신호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상기 알림 명령이 제 1 위험도 레벨에 따른 알림 명령인 경우 경보 신호로서 진동을 출력하도록 경보 신호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알림 명령이 제 2 위험도 레벨에 따른 알림 명령인 경우 경보 신호로서 사운드 알람을 출력하도록 경보 신호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위험도 레벨은 상기 제 1 위험도 레벨보다 위험도가 높은 레벨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및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안전모(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안전모(100)에 알림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되는 장소 정보 및/또는 주변 장애물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모(100)를 착용한 작업자의 주변 상황의 위험도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상기 장소 정보가 기 설정된 특정 장소(예를 들어, 위험물 저장소 등)로 확인되는 경우 위험도 레벨을 제 1 위험도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는 제 1 위험도 레벨에 대응되는 알림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상기 주변 장애물 정보가 기 설정된 특정 장애물(예를 들어, 작업 기구, 크레인, 포크레인, 지게차 등)로 확인되는 경우 위험도 레벨을 제 2 위험도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는 제 2 위험도 레벨에 대응되는 알림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는 촬영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영상과 비교하여 앵글의 변화 정도가 기준 변화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도 레벨을 제 3 위험도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카메라(110)의 촬영 앵글 변화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예를 들어, 안전모(100)를 착용한 작업자가 쓰러지거나, 안전모(1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작업자의 머리에서 이탈한 경우 등 앵글이 아주 빠르게 변하는 경우), 감지되는 앵글의 변화 정도가 기준 변화 정도(예를 들어, 작업자의 동작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의 통상적인 앵글 변화 정도 또는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도 레벨을 제 3 위험도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위험도 레벨은 최고 위험도 레벨로서 안전모(100)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의 위험도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는 제 3 위험도 레벨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의 관제 센터(미도시)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빠르게 감지하여 조기에 외부 구호 기관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 및 생명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는 카메라(110)가 360도 촬영 가능한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11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 레벨을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후의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위험도 레벨 판단부(220)에서 생성된 가상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는 사용자(예를 들어, 작업 현장의 관리자)에 의해 재생될 수 있고, 사용자는 안전모(100)를 착용한 작업자의 시점에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고 등의 발생 시 원인 규명/예방 등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100: 안전모
110: 카메라 120: 통신부
130: 경보 신호 출력부 140: 제어부
200: 서버 210: 통신부
220: 위험도 레벨 판단부

Claims (9)

  1. 주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알림 명령에 기초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안전모; 및
    상기 안전모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변 상황의 위험도 레벨을 판단하고, 판단된 위험도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 명령을 상기 안전모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는 상기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신호 출력부;
    상기 서버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알림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알림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경보 신호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대한 위험도 레벨을 판단하는 위험도 레벨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레벨 판단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되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변 상황의 위험도 레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레벨 판단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되는 주변 장애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변 상황의 위험도 레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레벨 판단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영상과 비교하여 앵글의 변화 정도가 기준 변화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위험도 레벨을 최고 위험도 레벨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험도 레벨을 상기 최고 위험도 레벨로 판단하는 경우 관제 센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360도 촬영 가능한 카메라이고,
    상기 서버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위험도 레벨을 판단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후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160153609A 2016-11-17 2016-11-17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80055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609A KR20180055599A (ko) 2016-11-17 2016-11-17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609A KR20180055599A (ko) 2016-11-17 2016-11-17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599A true KR20180055599A (ko) 2018-05-25

Family

ID=6229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609A KR20180055599A (ko) 2016-11-17 2016-11-17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5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259B1 (ko) * 2018-11-07 2020-04-2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안전장비와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설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55699B1 (ko) * 2020-11-06 2021-05-25 (주)아이소프트 작업환경 위험도 분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259B1 (ko) * 2018-11-07 2020-04-2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안전장비와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설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55699B1 (ko) * 2020-11-06 2021-05-25 (주)아이소프트 작업환경 위험도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8717B2 (en) Proximity-based personnel safety system and method
KR101033349B1 (ko) 안전모 착용 비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19022209A (ja) ビデオ監視システム並びにビデオ監視方法
US11501619B2 (en) Work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150123534A (ko) 산업용 및 건설용 중장비 접근감시 및 작동제어 시스템
JP2019157497A (ja)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
KR20200030802A (ko) 이동체 접근 경보 시스템
KR20100050002A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102332818B1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97738B2 (ja) 火気監視支援システム
KR20180055599A (ko)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10042812A (ko)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20130052420A (ko)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KR101753321B1 (ko) 작업차량의 사고예방 관제 시스템
KR101704163B1 (ko)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입출력 통합 제어 장치
JP6691068B2 (ja) 作業者状態把握方法
KR102619081B1 (ko) 영상 기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KR20220037614A (ko)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KR20160131678A (ko)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KR20230138301A (ko)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JP2020002514A (ja) ヘルメット
KR20230114959A (ko)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89521B1 (ko) 융복합 산업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4668A (ko)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160074705A (ko)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