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678A -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678A
KR20160131678A KR1020150064595A KR20150064595A KR20160131678A KR 20160131678 A KR20160131678 A KR 20160131678A KR 1020150064595 A KR1020150064595 A KR 1020150064595A KR 20150064595 A KR20150064595 A KR 20150064595A KR 20160131678 A KR20160131678 A KR 20160131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ound source
camera
person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운
Original Assignee
이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운 filed Critical 이재운
Priority to KR102015006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678A/ko
Publication of KR2016013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06K9/0022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장치는 외부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음원 입력부; 음원 입력부에 의한 입력 음원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음원 분석부; 및 위급 상황으로서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Portable device for protecting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taking picture}
본 발명은 유아, 여성, 노인 등의 노약자 보호를 위해 특정 상황에서 주변을 촬영하는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생활 필수품으로 부각되면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기능성의 제품들을 다양하게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서, 최근 제조 판매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 일부 제품에서는 범죄나 재난 등의 긴급 상황 발생시 타인에게 이를 알리는 경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신에게 납치나 위협 상황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러한 경보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범죄자가 경보를 울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빼앗아 파손시키게 될 것이므로 이러한 기능 자체가 무용지물이 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부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리 지정된 수신단으로 긴급 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긴급 상황임을 알려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비상키를 조작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수신단(예를 들어, 보호자의 단말기, 보안기관 장치 등)으로 긴급 상황 메시지를 전송하고, 긴급 상황 메시지를 수신한 보안기관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위치 추적을 통해 긴급 상황 해소를 위한 신속한 작업에 착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보안기능이나 외부로의 메시지 전송 기능을 구비하여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시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외부로의 메시지 전송 기능은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단지 외부로 도움을 요청한 것에 불과하다. 단순히 경보만을 울리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접수한 곳에서는 그곳의 상황이 어떠한지를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얼마나 위급한 상황인지, 어떤 위급 상황인지 등을 알 수 없어,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범죄 등이 발생되었을 때, 증거자료가 없어 범죄 사실이 은폐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9309 (등록일자 2014년02월25일) 휴대형 장치 및 긴급 상황 대응 단계 통지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범죄 등에 의한 위급 상황 발생 시 주변을 촬영함으로써, 증거자료로 활용하거나 주변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에만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데이터로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저장 영역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장치에 있어서, 외부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음원 입력부; 상기 음원 입력부에 의한 입력 음원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음원 분석부; 및 상기 위급 상황으로서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호용 휴대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본체의 흔들림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음원 입력부가 구동되는 보호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을 통한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 상황이라 판단되면, 경보메시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외부영상 및 상기 입력 음원을 포함하는 위급상황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외부영상에서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이 미리 설정된 안전 인물인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식된 얼굴이 복수개인 경우, 인식된 얼굴 모두가 안전 인물이 아닌 경우에만 상기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음원의 분석 결과에 따라 등급으로 위급 상황을 구분하고, 구분된 위급 상황의 등급에 따라 상기 위급상황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주기적으로 일정 시간동안만 구동시키고, 촬영된 영상을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하되 일정 용량이 되면 오버라이트(overwrite) 또는 삭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장치에서의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외부 소리를 녹취하는 단계; 녹취된 입력 음원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급 상황으로서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외부영상 및 상기 입력 음원을 포함하는 위급상황정보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외부영상에서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이 미리 설정된 안전 인물인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식된 얼굴이 복수개인 경우, 인식된 얼굴 모두가 안전 인물이 아닌 경우에만 상기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한, 상기 입력 음원의 분석 결과에 따라 등급으로 위급 상황을 구분하고, 구분된 위급 상황의 등급에 따라 상기 위급상황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범죄 등에 의한 위급 상황 발생 시 주변을 촬영함으로써, 증거자료로 활용하거나 주변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경우에만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데이터로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저장 영역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촬영된 영상의 분석에 의해 필요한 상황에만 위급상황을 신속하게 외부로 통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보고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에서의 영상 촬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보고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100)는 카메라(10), 음원 입력부(20), 음원 분석부(3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저장부(40), 기울기 센서(50) 및 통신부(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구성부는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일부 구성부(예를 들어, 음원 분석부(30) 등)는 프로그램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100)는 통상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나, 스마트 워치 등의 형상으로 구현되는 등 그 구현 형상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카메라(10)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음원 입력부(20)는 외부의 소리를 녹취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마이크(microphone)일 수 있다.
음원 분석부(30)는 음원 입력부(20)를 통한 입력 음원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입력 음원의 파형 등을 분석하여 비명, 고함, 충돌음 등의 큰 소리나, 아이가 우는 소리 등을 분별하여 위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음원 분석 방식으로서 하나의 예를 들자면, 상술한 바와 같은 큰소리, 나지막하지만 위협적으로 들리는 특정 주파수의 음원, 아이의 우는 소리 등에 따른 각 음원의 파형 정보를 기준정보로서 미리 저장하고, 입력 음원의 파형과 미리 저장된 기준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위급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일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음원 분석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어부(70)는 음원 분석부(30)에 의해 위급 상황으로 판단되면, 카메라(10)를 구동시켜 외부 영상을 촬영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특정 상황이라 인식되는 경우 카메라(10)를 구동시켜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항상 카메라(10)를 구동함에 따른 전력 소모 및 메모리의 불필요한 낭비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장치(100)는 음원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음원을 지속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카메라(10)가 구동되지 않거나, 적절한 영상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도 주변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또한 사후 증거자료로 활용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저장부(40)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입력 음원은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1일 등)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제한하여 데이터 저장 공간의 효율적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의 제어부(70)는 통신부(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60)는 이동통신망, 인터넷망 등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례에 따르면, 휴대 장치(100)는 위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된 입력 음원, 촬영된 외부 영상 및 위급 상황임을 알리는 경보메시지를 포함하는 위급상황정보를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관리 장치(200)는 서버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인 경우 수신된 위급상황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범죄 사실이 존재하는 경우 경찰서 등에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위급 상황 발생 시, 현장의 상황을 바로 알 수 있게 되고 차후에는 증거자료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또는 관리 장치(200)가 보호자의 통신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일 수도 있을 것이다.
기울기 센서(50)는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이 본체의 기울기 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에 따르면 제어부(70)는 기울기 센서(50)에 의한 정보를 기반으로 본체의 흔들림을 인식하고, 본체가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 흔들리면(예를 들어, 10초 동안 기울기가 일정수치 이상 변화했다면) 음원 입력부(20)를 구동시키는 보호모드를 실행한다. 다시 말해 보호 모드에서만 음원 입력부(20)가 구동되는 것으로, 항상 보호 모드를 실행할 수도 있으나 특정 상황에서만 보호 모드를 실행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제어부(70)는 본체가 흔들리지 않고 기울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음원 입력부(20)가 구동되는 보호모드를 실행시키지 않고, 흔들림이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보호모드를 실행하여 음원 입력부(20)가 외부 소리를 녹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체가 흔들린다는 것은 사용자가 해당 휴대 장치(100)를 휴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흔들리지 않는다는 것은 휴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장치(100)가 항시 외부 소리를 녹취하지 않고(또한 저장도 하지 않을 수 있음), 보호모드 구동시에만 외부 소리를 녹취하고 입력된 입력 음원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음원 입력부(20)도 필요한 경우에만 구동되도록 하여 전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저장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도 있다.
저장부(40)에는 입력된 입력 음원, 촬영된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어부(70)는 입력 음원 및/또는 외부 영상은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하루 또는 일주일 등) 동안만 유지하고 삭제할 수 있으며, 또는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 후에는 삭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일례에 따르면 제어부(70)는 위급 상황 인식과 상관없이,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어, 1분)을 두고 주기적으로 일정시간(예를 들어, 3초 등) 동안 카메라(10)를 구동시켜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촬영된 영상과 입력 음원을 위급 상황에 촬영된 영상 및 음원과는 구분되도록 저장부(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 휴대 장치(100)에서의 처리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에서의 영상 촬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는 외부 소리를 입력받으면(S10), 입력된 음원(이하 입력 음원)을 분석하여(S20), 위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일례에 따르면 휴대 장치(100)는 위급 상황을 등급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의 우는 소리의 크기에 따라 2~3등급으로 구분하거나, 고함이나 비명이 인식되면 1등급, 큰 충돌음만 인식되면 2등급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이때, 각 인식된 사안별로 상이한 위급 상황의 등급이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나, 여러가지 조건이 함께 발생되었을 때 보다 높은 등급으로 상향 조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S30에서의 판단 결과, 위급 상황으로 인식되는 경우엔 위급 상황으로 인식되는 동안 카메라(10)를 구동시킨다(S40). 예를 들어, 휴대 장치(100)는 아이의 울음 소리가 인식되면 바로 카메라(10)를 구동시키고, 울음 소리가 인식되지 않는 상태로 몇 초가 경과되면 카메라(10)의 구동을 종료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 및 음원 등의 위급상황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급상황정보를 항상 전송할 수도 있으나, 특정 경우에만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장치(100)의 제어부(70)는 외부영상을 분석하고, 외부영상에서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에 따라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외부영상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하고, 사람이 존재하지 않으면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하지 않거나 영상은 제외하고 입력 음원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물론, 해당 사용자가 사고 상황에 처한 경우도 존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는 사람이 인식되지 않더라도 위급상황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는 촬영된 외부 영상을 분석하는데(S410), 영상에 포함된 사람의 얼굴을 식별하고, 미리 저장된 안전 인물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본 휴대 장치(100)를 휴대한다고 가정하면, 아이의 부모가 안전 인물로서 설정되어 부모의 얼굴 사진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얼굴을 식별하고 미리 설정된 인물과 비교하는 방식으로서 하나의 예를 들자면, 외부 영상에서 인식된 사람의 얼굴에서 특징점들을 독출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안전 인물로서 설정된 인물의 얼굴 특징점들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내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 기술 및 두 영상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휴대 장치(100)는 외부 영상 내 인식된 얼굴이 안전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시 말해 외부 영상 내에 안전 인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420), 존재한다면 촬영된 영상 및 입력 음원을 구비된 저장부(40)에만 저장한다(S430). 즉, 안전한 인물이 함께 있다고 판단되므로 휴대 장치(100)는 외부로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것이다. 또는 휴대 장치(100)는 이 때 촬영된 영상 등을 저장부(40)에도 저장하지 않고 바로 삭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안전 인물로 사전 설정된 부모가 외부 영상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지라도, 가정 폭력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아이의 울음 소리 등 위급 상황으로 관리되도록 미리 설정된 음원이 소정의 조건 기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후술되는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위급 상황으로 인식되어 카메라(10)가 동작되어 획득한 외부 영상 내에 안전 인물 이외의 인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외부인의 침입 가능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위급상황 해제 조치(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버튼의 입력)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후술되는 위급상황 정보의 전송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S420에서의 판단 결과, 안전 인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휴대 장치(100)는 위급상황정보를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S440).
다시 말해, 외부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이 미리 설정된 안전 인물인지 여부에 따라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반대로, 위험 인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 영상 내에 위험 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휴대 장치(100)는 외부 영상에서 인식된 얼굴이 복수개인 경우, 인식된 얼굴 모두가 안전 인물이 아닌 경우에만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일례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음원의 분석 결과에 따라 위급상황을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등급에 따라 상술한 외부 영상 내의 인물 분석의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등급 위급상황이면 무조건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2등급 이하인 경우에만 외부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카메라
20 : 음원 입력부
30 : 음원 분석부
40 : 저장부
50 : 기울기 센서
60 : 통신부
70 : 제어부
100 : 휴대 장치
200 : 관리 장치

Claims (15)

  1.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장치에 있어서,
    외부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음원 입력부;
    상기 음원 입력부에 의한 입력 음원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음원 분석부; 및
    상기 위급 상황으로서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호용 휴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본체의 흔들림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음원 입력부가 구동되는 보호모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휴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한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 상황이라 판단되면, 경보메시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외부영상 및 상기 입력 음원을 포함하는 위급상황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휴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외부영상에서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휴대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이 미리 설정된 안전 인물인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휴대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인식된 얼굴이 복수개인 경우, 인식된 얼굴 모두가 안전 인물이 아닌 경우에만 상기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휴대 장치.
  7.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음원의 분석 결과에 따라 등급으로 위급 상황을 구분하고, 구분된 위급 상황의 등급에 따라 상기 위급상황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이하게 구성하는 보호용 휴대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주기적으로 일정 시간동안만 구동시키고, 촬영된 영상을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하되 일정 용량이 되면 오버라이트(overwrite) 또는 삭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휴대 장치.
  9.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장치에서의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외부 소리를 녹취하는 단계;
    녹취된 입력 음원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급 상황으로서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외부영상 및 상기 입력 음원을 포함하는 위급상황정보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촬영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부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외부영상에서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부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이 미리 설정된 안전 인물인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인식된 얼굴이 복수개인 경우, 인식된 얼굴 모두가 안전 인물이 아닌 경우에만 상기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음원의 분석 결과에 따라 등급으로 위급 상황을 구분하고, 구분된 위급 상황의 등급에 따라 상기 위급상황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이하게 구성하는 영상 촬영 방법.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50064595A 2015-05-08 2015-05-08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KR20160131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595A KR20160131678A (ko) 2015-05-08 2015-05-08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595A KR20160131678A (ko) 2015-05-08 2015-05-08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678A true KR20160131678A (ko) 2016-11-16

Family

ID=5754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595A KR20160131678A (ko) 2015-05-08 2015-05-08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6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362A (ko) * 2018-08-03 2020-02-12 강혜림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41517B1 (ko) * 2021-07-12 2021-12-20 김승호 음성 녹음 기능과 영상 촬영 기능을 갖는 사원증
US11605145B2 (en) 2018-03-22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309B1 (ko) 2013-02-04 2014-03-06 주식회사 루키스 휴대형 장치 및 긴급 상황 대응 단계 통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309B1 (ko) 2013-02-04 2014-03-06 주식회사 루키스 휴대형 장치 및 긴급 상황 대응 단계 통지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5145B2 (en) 2018-03-22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KR20200015362A (ko) * 2018-08-03 2020-02-12 강혜림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41517B1 (ko) * 2021-07-12 2021-12-20 김승호 음성 녹음 기능과 영상 촬영 기능을 갖는 사원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9614B2 (en) System and method of alerting CMS and registered users about a potential duress situation using a mobile application
WO2020125406A1 (zh) 安全监护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368754B2 (en) Video pattern recognition for automating emergency service incident awareness and response
US8559914B2 (en) Interactive personal surveillance and security (IPSS) system
EP335074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monitoring of released criminals by law enforcement
US11373513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ersonal security
KR20160131678A (ko)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TWI711319B (zh) 基於區塊鏈的智慧報警方法及裝置、電子設備
CN104050785A (zh) 基于虚拟化边界与人脸识别技术的安全警戒方法
JP2011145839A (ja) 監視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40772B1 (ko)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JP2017111496A (ja) 行動監視予測システム、行動監視予測方法
EP3729851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ossible taking of screenshots
JP7447626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0984140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ossible taking of screenshots
KR20180003897A (ko)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7354377B2 (ja) 携帯端末、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33753B1 (ko) 돌발상황 검지 및 능동적 대응을 위한 시스템
EP3444750A1 (en) Cloud 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 peace breaker
US20230044156A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management of threats for an organizaton
US20230230190A1 (en) Personal protector platform
JP2007183753A (ja) 監視センタ、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US20230410512A1 (en) Autonomous safety violation detection system through virtual fencing
US20200090496A1 (en) Presence alert system with imaging and audio sensors for reducing false alarms
EP3489919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