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362A -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362A
KR20200015362A KR1020190051883A KR20190051883A KR20200015362A KR 20200015362 A KR20200015362 A KR 20200015362A KR 1020190051883 A KR1020190051883 A KR 1020190051883A KR 20190051883 A KR20190051883 A KR 20190051883A KR 20200015362 A KR20200015362 A KR 20200015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isk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907B1 (ko
Inventor
강혜림
강철원
Original Assignee
강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혜림 filed Critical 강혜림
Publication of KR2020001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카메라를 포함하는 호신장치를 이용한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호신장치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호신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호신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위험도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신장치가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을 인코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LF PROTECTING SERVICE}
본 발명은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빈부격차와 개인의 고립화와 같은 사회문제로 인해 사회적 위화감이 커짐에 따라 각종 분쟁이나 범죄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범죄자의 경우 자신보다 신체적으로 약한 여성과 영유아 등의 사회적인 약자를 대상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회적인 약자에 대한 범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를 해결하기 위해 경찰에서는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시범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범죄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범죄 발생을 예방하기에 경찰의 인원이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개개인이 스스로 대안을 강구해야 하는 상황이다.
호신봉, 가스총, 전기충격기 등 다양한 호신용품이 출시되고, 이러한 호신용품의 판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범죄 발생율은 줄어들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다. 더욱이, 여성과 영유아에 대한 범죄의 경우 범죄자의 힘에 의해 제압당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호신용품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새로운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4497호, 2014.10.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호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인물들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호자 또는 지정된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호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영상의 품질이나 영상의 전송 방식을 제어하여 데이터 사용량 및 네트워크 트래픽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처리기술 및 범죄자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호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인물이 범죄자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포함하는 호신장치를 이용한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호신장치를 이용한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신장치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호신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은 근거리 통신방식인 것인, 촬영된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호신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위험도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신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방식과 다른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호신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직접적인 위험 요소를 판단할 수 있는 제1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험도를 기초로 상기 호신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직접적인 위험 요소가 없는 경우에 한해서, 상기 호신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간접적인 위험 요소를 판단할 수 있는 제2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검출된 상기 영상 내 객체를 기초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영상 내 객체가 사람을 포함하는지 여부, 상기 사람이 범죄자인지 여부, 상기 사람의 성별, 상기 사람의 인원수, 상기 사람의 인상착의, 및 상기 사람의 등장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범죄가 발생할 직접적인 위험 요소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범죄가 발생할 직접적인 위험 요소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험도를 기설정된 위험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범죄가 발생할 직접적인 위험요소가 없는 경우에 한해서, 상기 호신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추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호신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 잔여 배터리 정보, 및 잔여 데이터 사용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정보로서 상기 호신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한 잔여 배터리 정보 또는 잔여 데이터 사용량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추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호신장치의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도달하기에 상기 호신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한 잔여 배터리 또는 잔여 데이터 사용량이 부족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호신장치의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도달하기에 상기 호신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한 잔여 배터리 또는 잔여 데이터 사용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대상에 동행 서비스를 신청하고, 상기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도를 기반으로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상황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영상에 대한 전송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신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방식과 다른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호신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중 상대적으로 잔여 배터리 또는 잔여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장치에서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방식과 다른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인물들을 촬영한 영상을 전송함에 있어서, 영상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현재 상황의 위험도에 따라 영상 전송 방식을 결정하여 인코딩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소모량을 줄이고 또한 네트워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상황의 위험도를 도출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분석된 영상으로부터 범죄자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서 사용자를 범죄로부터 사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시스템의 호신장치 및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한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장치의 기준위치가 설정된 상태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장치가 기준위치를 벗어난 상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장치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 시스템(10)은 호신장치(100) 및 이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호신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보호자 단말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호신 시스템(10)은 호신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200) 및 보호자 단말장치(300)를 연결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신 시스템(10)은 호신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타겟(예컨대, 범죄자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타겟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후방에서 접근하는 타겟을 모니터링하여 범죄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보호자 역시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한 타겟을 모니터링하여 유사시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호신장치(100)의 설치 위치나 설치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전방에서 접근하는 타겟을 감지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호신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사용자가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상호간에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통신방식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호신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상호 간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통신방식은 통신사에 의해 과금이 되지 않는 통신방식으로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통신방식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호신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장치(200) 사이에 자유롭게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호신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200), 보호자 단말장치(300), 서버(400)는 각각 상호 간에 예컨대 3G(Third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즉, 호신장치(100)와 보호자 단말장치(300) 사이의 통신방식, 호신장치(100)와 서버(400) 사이의 통신방식,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보호자 단말장치(300) 사이의 통신방식,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서버(400) 사이의 통신방식은 제1 통신방식과 다른 제2 통신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통신방식은 통신사에 의해 과금이 되는 통신방식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시스템의 호신장치 및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신장치(100)는 사용자가 가방 등에 장착하여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기기로서, 센서(110), 카메라(120), 통신모듈(130), 및 인코딩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미리 설정된 범위(예컨대, 센서의 감지 범위)에 위치하는 타겟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감지센서(예: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타겟 또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타겟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센서(110)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타겟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면, 타겟이 감지된 방향으로 카메라(120)의 시야를 조절하여 해당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0)가 타겟을 감지한 경우 진동이나 알람을 통해 호신장치(100)를 장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위험인물의 접근을 알려줄 수 있다.
카메라(120)는 카메라의 시야에 해당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예컨대 미리 정해진 품질 또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호신장치(100)는 사용자가 매고 있는 가방이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120)는 사용자의 후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호신장치(100)의 배터리 용량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카메라(12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0)는 센서(110)에 의해 획득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120)는 주기적으로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될 수도 있고, 기설정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경우에 작동될 수도 있다. 기설정된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장소일 수도 있고, CCTV 개수, 성범죄자의 위치, 우범지역인지 유무 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장소일 수도 있다.
통신모듈(130)은 호신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외부 장치(예: 사용자 단말장치(200), 보호자 단말장치(300), 서버(400) 등)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13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또는 통신모듈(130)은 3G(Third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호신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 및 서버(4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호신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 및 서버(400) 중 어느 하나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인코딩 모듈(140)은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산출된 위험도에 따라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전송 제어 정보를 기초로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제어 정보는 영상의 전송 품질, 영상의 전송 주기, 전송 프로토콜의 종류, 인코딩 종류, 동영상/정지영상인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호신장치(100)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호신장치(100)를 활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호신장치(100)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예컨대, 컴퓨터(예컨대,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컨대,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스마트폰,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통신모듈(210), 입력모듈(220), 출력모듈(230), 및 분석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10)은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각 구성요소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외부 장치(예: 호신장치(100), 보호자 단말장치(300), 서버(400) 등)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21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또는 통신모듈(210)은 3G(Third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통신모듈(210)은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호신장치(100)와 페어링(pairing)되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보호자 단말장치(300) 및 서버(4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모듈(220)은 호신장치(100)를 제어하고, 보호자 단말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모듈(230)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모듈(220)은 각종 키들의 기능이 출력모듈(2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출력모듈(230)을 통해서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모듈(230)은 호신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 설정 정보, 보호자 단말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한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모듈(230)은 호신장치(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분석모듈(240)은 호신장치(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분석모듈(240)은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를 기초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영상에 기초한 제1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분석모듈(240)은 제1 위험도를 기설정된 위험 수준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대한 추가 정보를 획득하여 제2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보호자 단말장치(3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400)는 호신장치(100)의 제조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호신장치(100)와, 이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사용자 단말장치(200) 및 보호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여러가지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장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호신장치(100) 또는 서버(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호신장치(100) 또는 서버(400)에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분석모듈(240)에 대응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호신 시스템(10)을 이용하여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호신장치(100)는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호신장치(10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100). 호신장치(100)는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촬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통신방식은 통신사에 의해 과금이 되지 않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일 수 있다.
호신장치(100)는 후술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분석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데, 이는 호신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장치(200) 사이의 통신방식이 통신사에 의해 과금이 되지 않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이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호신장치(100)의 카메라(120)는 사용자의 주변 공간(예: 사용자의 후방 공간)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을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작동될 수 있고, 센서(110)에 의해 일정 범위로부터 타겟을 감지한 경우에 작동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될 수도 있고, 기설정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경우에 작동되어 사용자의 주변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호신장치(1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하고(S110), 산출된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호신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120).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분석모듈(240)은 영상에 기초한 제1 위험도와, 영상 이외의 정보, 즉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대한 추가 정보에 기초한 제2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호신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획득된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S130).
일 실시예로, 호신장치(100)의 인코딩 모듈(140)은 위험도 정보를 기초로 영상의 전송 품질, 영상의 전송 주기, 전송 프로토콜의 종류, 인코딩 종류, 동영상/정지영상인지 여부 등의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 모듈(140)은 위험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황이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코딩 모듈(140)은 영상의 전송 품질을 고품질로 결정하거나, 전송 프로토콜을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RTSP, RTMP, RTSP 등의 스트리밍 프로토콜로 결정하거나, 전송률이 높은 인코딩 방식으로 결정하거나, 동영상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결정하는 등으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코딩 모듈(140)은 영상의 전송 품질을 저품질로 결정하거나, 전송률이 낮은 인코딩 방식으로 결정하거나, 정지영상으로 전송하거나, 전송 주기를 소정 주기 이상으로 재설정하는 등으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호신장치(100)는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인코딩한 영상을 제1 통신방식과 다른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400)로 제공하고(S140),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통해 지정된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상기 인코딩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S150). 여기서, 제2 통신방식은 통신사에 의해 과금이 되는 통신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3G(Third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5G 등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서버(400)는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한 인코딩한 영상이 보호자 단말장치(300)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장치(300)에서 인코딩한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400)는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지속적으로 인코딩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장치(300)에서 인코딩한 영상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400)는 보호자 단말장치(300) 이외의 제3자로서 기설정된 모니터링 대상으로 인코딩 영상을 재전송할 수 있다. 기설정된 모니터링 대상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통해 직접 지정한 제3자일 수도 있고, 또는 유사시를 대비하여 설정된 제3의 모니터링 요원일 수도 있고, 또는 경찰서 등의 지정된 기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현재 상황의 위험도에 따라 영상의 품질이나 전송 주기 등과 같은 전송 제어 정보를 조절하여 인코딩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위험 상황이 아닌 대부분의 일반적인 경우에 영상의 품질을 낮추거나 용량이 적은 데이터 상태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호신장치(100)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함에 있어서 데이터 사용량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영상의 실시간 전송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데이터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호신장치(100)의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하고, 최종적으로 호신장치(100)가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인코딩한 영상을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400)로 보내는 이유를 설명한다. 즉, 호신장치(100)에서 영상을 촬영하지만 영상에 대한 분석은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수행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우선,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와 영상을 분석하는 장치를 분리함으로써 우수한 성능의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활용하여 영상을 분석하고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스마트폰일 수 있는데,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성능이 호신장치(100)의 성능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우수한 성능의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상의 분석과 위험도 산출을 진행함으로써 결과 도출을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더욱이, 호신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거나 사용자에 인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서로 근거리에 위치한다. 따라서 호신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므로, 호신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장치(200) 사이에 통신이 수행되더라도 통신사에 의해 과금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와 같은 이유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호신장치(100)에서 영상을 촬영하지만 영상에 대한 분석은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한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분석모듈(240)은 호신장치(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S111).
일 실시예로, 분석모듈(240)은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분석모듈(240)은 다양한 영상 인식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행자 인식 기술, 얼굴 인식 기술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분석모듈(240)은 영상 내 객체를 기초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영상에 기초한 제1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S112).
일 실시예로, 분석모듈(240)은 기설정된 조건으로서 영상 내 객체가 사람을 포함하는지 여부, 객체가 사람인 경우, 사람이 범죄자인지 여부, 사람의 성별, 사람의 인원수, 사람의 인상착의, 사람의 등장 지속시간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내 객체가 사람인 것으로 분석된 경우, 분석모듈(240)은 상기 사람이 범죄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석모듈(240)은 상기 사람의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범죄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범죄자 영상데이터와 정합을 수행하여 매칭되는 범죄자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분석모듈(240)은 범죄자 여부에 따라 제1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고, 예컨대 범죄자의 전과 유무, 성범죄인지 일반 범죄인지 등에 따라서 상이하게 위험도 값을 설정하여 제1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분석모듈(240)은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사람의 특징을 기초로 여자인지 남자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이하게 위험도 값을 설정하여 제1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분석모듈(240)은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사람의 특징을 기초로 인상착의를 분석하여 모자, 마스크 등과 같은 차림을 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위험도 값을 높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분석모듈(240)은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사람의 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상이하게 위험도 값을 설정하여 제1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수가 특정 수일 때 위험도 값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집단 범죄 조건에 상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인물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범죄 가능성이 높으므로, 분석모듈(240)은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사람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는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위험도 값을 설정하여 제1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에서 특정 사람이 등장하다가 사라진 후 다시 등장한 경우, 위험도 값을 부여하여 제1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험도는 촬영된 영상에 기반하여 분석되는 것으로서, 영상은 사용자 주위의 실시간 정보이기 때문에, 제1 위험도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직접적인 위험정도가 어떻게 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분석모듈(240)은 상기와 같은 조건에 부합하는지에 따라 제1 위험도 값을 산출하여, 산출된 제1 위험도 값을 기설정된 제1 위험 수준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모듈(240)은 제1 위험도 값이 기설정된 제1 위험 수준(예: 특정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이 위험 상황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제1 위험도 값이 기설정된 제1 위험 수준 이상인 경우(즉,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분석모듈(240)은 제2 위험도를 산출하지 않고, 제1 위험도를 호신장치(100)로 전송하고, 이와 함께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15).
반면, 제1 위험도 값이 기설정된 제1 위험 수준 이하인 경우(즉,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분석모듈(240)은 영상 이외의 정보, 즉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대한 추가 정보를 획득하고, 추가 정보에 기초한 제2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S113).
여기서, 추가 정보는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대한 위치 정보, 배터리 정보, 데이터 사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로서,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걸리는 도착 예정 시간,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된 CCTV 유무 및 개수, 성범죄자 위치 정보, 해당 위치에서 호신장치(100)의 사용빈도, 해당 위치에서의 범죄 발생 유무, 보호자 또는 기설정된 모니터링 대상과의 거리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위험도는 촬영된 영상 이외의 요소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제1 위험도에 이어 제2 위험도를 산출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제2 위험도의 산출은 매번 수행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위험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위험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진행한다. 제2 위험도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간적적인 위험정도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영상에 기반하여 판단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위험은 없지만, 여러 가지 정황(간접적인 위험 요소)에 기초하여 판단하였을 때 사용자가 위험해질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를 제2 위험도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직접적인 요소와 간접적인 요소를 나누어서 위험도 판단이 진행되기 때문에, 위험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분석모듈(240)은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잔여 데이터 사용량이나 잔여 배터리량에 따라 제2 위험도 값을 높거나 낮게 산출할 수 있고, 또는 위치 정보 및 이와 관련된 정보를 바탕으로 위험한지 여부를 결정하여 제2 위험도 값을 높거나 낮게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잔여 데이터 사용량 또는 잔여 배터리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예컨대, 목적지까지 도달하기에 잔여 데이터 사용량 또는 잔여 배터리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분석모듈(240)은 제2 위험도 값을 낮게 부여할 수 있다.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잔여 데이터 사용량 또는 잔여 배터리량이 부족한 경우라면, 데이터 사용량 또는 배터리 사용량을 낮춰야 하는데, 제2 위험도 값이 기설정된 제2 위험 수준 이하인 경우라면 영상의 전송 품질을 저품질로 설정되거나, 전송률이 낮은 인코딩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정지영상으로 전송되거나, 전송 주기를 소정 주기 이상으로 길게 재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경우, 제2 위험도 값을 낮게 부여함으로써 데이터 사용량 또는 배터리 사용량을 줄여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이용한 호신 서비스가 사용자의 목적 도착시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분석모듈(240)은 위치 정보(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 포함)에 기초하여 위험한 요소가 많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2 위험도 값을 높게 부여할 수 있다.
분석모듈(240)은 상기와 같이 제2 위험도 값을 산출하여, 산출된 제2 위험도 값을 기설정된 제2 위험 수준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모듈(240)은 제2 위험도 값이 기설정된 제2 위험 수준(예: 특정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이 위험 상황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제2 위험도 값이 기설정된 제2 위험 수준 이상인 경우(즉,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분석모듈(240)은 제2 위험도를 호신장치(100)로 전송하고, 이와 함께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15).
반면, 제2 위험도 값이 기설정된 제2 위험 수준 이하인 경우(즉,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분석모듈(240)은 제2 위험도를 호신장치(100)로 전송하고, 이와 함께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14).
단계 S114에 따라, 호신장치(100)가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 제어 정보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2 위험도 값을 기반으로 전송 제어 정보를 변경하여 설정하고, 이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예컨대, 호신장치(100)는 제2 위험도 값에 따라 단계적으로 영상의 전송 품질을 저품질로 설정하거나, 전송률이 낮은 인코딩 방식으로 설정하거나, 정지영상으로 전송하거나, 전송 주기를 소정 주기 이상으로 재설정하는 등으로 전송 제어 정보를 설정하여, 이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단계 S115에 따라, 호신장치(100)가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보호자 단말장치(300)로의 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1 위험도 또는 제2 위험도에 기초하여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예컨대, 호신장치(100)는 제1 위험도 또는 제2 위험도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의 수준 정도에 따라 영상의 전송 품질을 고품질로 결정하거나, 전송 프로토콜을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RTSP, RTMP, RTSP 등의 스트리밍 프로토콜로 결정하거나, 전송률이 높은 인코딩 방식으로 결정하거나, 동영상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결정하는 등으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호신장치(100)는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원본 영상을 그대로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영상의 분석을 수행하는 주체와 영상의 인코딩을 수행하는 주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상이하게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에서의 각 단계는 상술한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들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서버(400)가 영상의 분석을 수행하는 주체이고, 호신장치(100)가 영상의 인코딩을 수행하는 주체일 경우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호신장치(100)는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호신장치(10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제공하고(S200), 이어서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제공받은 촬영된 영상을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S210).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S220).
일 실시예로, 서버(400)는 영상에 기초한 제1 위험도와, 영상 이외의 정보, 즉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대한 추가 정보에 기초한 제2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분석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분석모듈(240)을 통해 도 4의 방법에 따라 제1, 2 위험도를 도출할 수 있다.
서버(400)는 산출한 위험도(제1, 2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제공하고(S230), 이를 사용자 단말장치(200)가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호신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240).
호신장치(100)는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S250).
일 실시예로, 호신장치(100)의 인코딩 모듈(140)은 위험도 정보를 기초로 영상의 전송 품질, 영상의 전송 주기, 전송 프로토콜의 종류, 인코딩 종류, 동영상/정지영상인지 여부 등의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호신장치(100)는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인코딩한 영상을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400)로 제공하고(S260), 서버(400)는 제공받은 인코딩한 영상을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S27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400)는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한 인코딩한 영상이 보호자 단말장치(300)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지속적으로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인코딩한 영상을 제공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장치(300)에서 인코딩한 영상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400)는 보호자 단말장치(300) 이외의 제3자로서 기설정된 모니터링 대상으로 인코딩 영상을 재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호신장치(100)가 영상의 분석과 영상의 인코딩을 수행하는 주체일 경우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호신장치(100)는 카메라(120)로부터 사용자의 주변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S300),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S310).
일 실시예로, 호신장치(100)는 영상에 기초한 제1 위험도와, 영상 이외의 정보, 즉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대한 추가 정보에 기초한 제2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신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분석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분석모듈(240)을 통해 도 4의 방법에 따라 제1, 2 위험도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호신장치(100)는 산출한 위험도(제1, 2 위험도)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S320).
일 실시예로, 호신장치(100)의 인코딩 모듈(140)은 위험도 정보를 기초로 영상의 전송 품질, 영상의 전송 주기, 전송 프로토콜의 종류, 인코딩 종류, 동영상/정지영상인지 여부 등의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호신장치(100)는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인코딩한 영상을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제공하고(S330), 이를 사용자 단말장치(200)가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S340). 이에 따라, 서버(400)는 제공받은 인코딩한 영상을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S35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400)는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한 인코딩한 영상이 보호자 단말장치(300)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지속적으로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인코딩한 영상을 제공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장치(300)에서 인코딩한 영상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400)는 보호자 단말장치(300) 이외의 제3자로서 기설정된 모니터링 대상으로 인코딩 영상을 재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 단말장치(200)가 영상의 분석과 영상의 인코딩을 수행하는 주체일 경우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호신장치(100)는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호신장치(10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400).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S410).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분석모듈(240)은 영상에 기초한 제1 위험도와, 영상 이외의 정보, 즉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대한 추가 정보에 기초한 제2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산출한 위험도(제1, 2 위험도)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S420).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위험도를 기초로 영상의 전송 품질, 영상의 전송 주기, 전송 프로토콜의 종류, 인코딩 종류, 동영상/정지영상인지 여부 등의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코딩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인코딩 모듈(140)을 통해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여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인코딩한 영상을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400)로 제공하고(S430), 서버(400)는 제공받은 인코딩한 영상을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S44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400)는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한 인코딩한 영상이 보호자 단말장치(300)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지속적으로 보호자 단말장치(300)로 인코딩한 영상을 제공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장치(300)에서 인코딩한 영상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400)는 보호자 단말장치(300) 이외의 제3자로서 기설정된 모니터링 대상으로 인코딩 영상을 재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을 분석하는 주체와 영상을 인코딩하는 주체를 각각 달리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량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절약 및 네트워크 상의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서버(400) 사이, 서버(400)와 보호자 단말장치(300) 사이를 분리하여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서버(400) 사이에는 일정한 주기로 일정한 품질의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고, 서버(400)와 보호자 단말장치(300) 사이에는 사용자의 위험도에 따라 영상의 품질이나 전송 주기를 조절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영상 자체를 분석하여 사용자 주변의 위험 상황을 분석한 제1 위험도뿐만 아니라, 그 외의 다양한 추가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한 제2 위험도를 고려하기 때문에, 예컨대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잔여 데이터량과 보호자 단말장치(300)의 잔여 데이터량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서버(400) 사이, 서버(400)와 보호자 단말장치(300) 사이 각각에 대해 영상의 전송 품질이나 전송 주기를 상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데이터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잔여 데이터량과 보호자 단말장치(300)의 잔여 데이터량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동일한 위험도를 가지는 복수의 경로들 중에서 인적이 상대적으로 드문 곳을 선택하여 해당 경로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잔여 배터리량과 보호자 단말장치(300)의 잔여 배터리량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배터리가 유지되지 못할 경우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동행 서비스를 신청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추가적으로 보호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인코딩한 영상에 대한 전송 품질 또는 전송 주기 등의 전송 제어 정보에 관하여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보호자 단말장치(300)로부터 피드백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예컨대 전송 품질을 높거나 낮게 인코딩하거나, 전송 주기를 소정 주기 이상 또는 이하로 재설정하여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호신장치(100)의 성능에 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성능이 우수한 경우가 상당 수이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장치(200)가 영상을 분석하는 주체이고, 호신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0) 중 상대적으로 잔여 배터리 또는 잔여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장치가 영상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서버(400)에 전송하는 주체일 경우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호신장치(100)는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호신장치(10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700).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호신장치(1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하고(S710), 산출된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호신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720).
호신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획득된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725).
이어서, 호신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0) 중 상대적으로 잔여 배터리 또는 잔여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장치가 전송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인코딩하고(S730), 인코딩된 영상을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S740).
본 실시예에 따른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영상의 촬영은 호신장치(100)에서 하고 영상의 분석은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하기 때문에,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을 위해서는 2개의 장치가 모두 작동을 해야한다. 영상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소모되고 제2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 가능한 데이터 사용량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호신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0) 중 상대적으로 잔여 배터리 또는 잔여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장치가 영상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2개의 장치가 모두 작동하고 통신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3, 도 5 내지 도 8에 따른 호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전 단계에 대한 것이고,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장치의 기준위치가 설정된 상태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장치가 기준위치를 벗어난 상태이다.
도 9 및 도 10(a)을 참조하면, 호신장치(100)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공하기 전(S700), 호신장치(100)는 호신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장착된 기준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S800).
여기서, 기준위치는 호신장치(100)가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후방을 정상적으로 촬영하는 상태이며, 호신장치(100)는 기준위치를 유지한 채 지속적으로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예컨대, 호신장치(100)는 핸드백과 같은 사용자의 가방(700)의 끈(7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어느 정도 흔들릴 수 있지만, 최초 끈(71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가방(700)의 끈(710)에 부착된 상태를 호신장치(100)가 기준위치에 부착된 상태로 볼 수 있다.
호신장치(100)의 기준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예컨대 센서(예컨대, 자이로센서)가 호신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호신장치(100)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후 호신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이용하여 기준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 때 센서에 의한 위치(또는 각도) 등의 정보가 기준위치로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호신장치(100)는 호신장치(100)가 기준위치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10).
호신장치(100)는 기준위치로 설정된 호신장치(100)의 위치(또는 각도)에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흔들리는 범위에 대해서는 호신장치(100)가 기준위치를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호신장치(100)가 기준위치를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호신장치(100)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호신장치(100)가 기준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호신장치(100)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호신장치(1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경찰서 앞이나 사람이 많은 거리와 같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영역을 지나가는 중에는 호신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덜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호신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배터리 및 데이터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호신장치(1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호신장치(100)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해 호신장치(100)의 전원을 끄거나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안전하다고 느꼈지만 순식간에 사용자에게 위협적인 상황이 펼쳐질 수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다시 호신장치(100)의 전원을 키거나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호신장치(100)를 작동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호신장치(100)가 장착된 끈(710)을 당김으로써 호신장치(100)가 끈(710)을 따라 이동하여 기준위치(또는 기준각도)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유지하는 것만으로 호신장치(100)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고, 다시 호신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이 오면 당겨서 쥐고 있던 끈(710)을 원상태로 함으로써 호신장치(100)를 다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장치(200)에는 호신장치(100)와 연결되어 호신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애플리케이션은 영상 확인 기능(510), 긴급연결 기능(520), 보호자 알림 기능(530), 플래시 기능(540), 경고음 기능(5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외에도 추가적인 기능들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 확인 기능(510)은 애플리케이션 화면(500) 상의 일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호신장치(100)의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긴급연결 기능(520)은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화면(500)에서 긴급 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긴급 버튼을 동작시키면 지정된 보호자 또는 기설정된 모니터링 대상(예: 보호자 이외의 제3자, 모니터링 요원, 경찰서 등의 지정된 기관 등)과 연결되어 문자를 보내거나 전화를 할 수 있다.
보호자 알림 기능(530)은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화면(500)에서 보호자알림 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보호자알림 버튼을 동작시키면 보호자에게 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플래시 기능(540)은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화면(500)에서 플래시 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플래시 버튼을 동작시키면 발광모듈(예: 플래시)이 동작하도록 하여 야간에 선명한 화질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경고음 기능(550)은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화면(500)에서 경고 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경고 버튼을 동작시키면 경고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고음과 함께 플래시 기능(540)이 동작하여 위험을 알릴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장치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보호자 단말장치(300)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연결되어 호신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호자 단말장치(300)의 애플리케이션은 영상 확인 기능(610), 실시간 경로보기 기능(620), 긴급연결 기능(630), 보호요청 수락 기능(미도시), 보호자 원격보호 기능(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외에도 추가적인 기능들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 확인 기능(610)은 애플리케이션 화면(600) 상의 일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인코딩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실시간 경로보기 기능(620)은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화면(600)에서 실시간 경로보기 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실시간 경로보기 버튼을 동작시키면 호신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실시간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긴급연결 기능(630)은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화면(600)에서 112 연결 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영상 확인 영역(610)에서 출력되는 인코딩된 영상을 보고 사용자가 위험하다고 판단될 때에 112 연결 버튼을 동작시키면 경찰서 등의 기관과 연결될 수 있다.
보호요청 수락 기능은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보호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동작하는 기능으로, 사용자의 보호요청에 수락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화면(600)을 통해 사용자의 후방 영상을 바로 시청할 수 있다.
보호자 원격보호 기능은 보호자 단말장치(300)의 보호자가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화면(600) 상에 실시간으로 서버(400)로부터 인코딩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 카메라를 포함하는 호신장치를 이용한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신장치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호신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1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은 근거리 통신방식인 것인, 촬영된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호신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위험도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신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방식과 다른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호신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직접적인 위험 요소를 판단할 수 있는 제1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험도를 기초로 상기 호신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직접적인 위험 요소가 없는 경우에 한해서, 상기 호신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간접적인 위험 요소를 판단할 수 있는 제2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검출된 상기 영상 내 객체를 기초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영상 내 객체가 사람을 포함하는지 여부, 상기 사람이 범죄자인지 여부, 상기 사람의 성별, 상기 사람의 인원수, 상기 사람의 인상착의, 및 상기 사람의 등장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범죄가 발생할 직접적인 위험 요소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범죄가 발생할 직접적인 위험 요소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험도를 기설정된 위험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범죄가 발생할 직접적인 위험요소가 없는 경우에 한해서, 상기 호신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추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호신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 잔여 배터리 정보, 및 잔여 데이터 사용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정보로서 상기 호신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한 잔여 배터리 정보 또는 잔여 데이터 사용량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추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호신장치의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도달하기에 상기 호신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한 잔여 배터리 또는 잔여 데이터 사용량이 부족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호신장치의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도달하기에 상기 호신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한 잔여 배터리 또는 잔여 데이터 사용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대상에 동행 서비스를 신청하고,
    상기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도를 기반으로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상황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영상에 대한 전송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호신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방식과 다른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호신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중 상대적으로 잔여 배터리 또는 잔여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장치에서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방식과 다른 제2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위험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험도를 상기 기설정된 위험 수준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위험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제1 위험도를 상기 호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영상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도를 기반으로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송 품질을 저품질로 결정하거나, 상기 전송 주기를 소정 주기 이상으로 재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영상을 인코딩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코딩한 영상을 상기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지정된 보호자 단말장치로 상기 인코딩한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장치로 상기 인코딩한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보호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인코딩한 영상을 모니터링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호신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인코딩한 영상을 상기 보호자 단말장치로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보호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인코딩한 영상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서버가 기설정된 모니터링 대상으로 상기 인코딩한 영상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제공하기 전, 상기 호신장치가 상기 호신장치의 사용자에게 장착된 기준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호신장치가 상기 기준위치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신장치가 상기 기준위치를 벗어난 경우, 상기 호신장치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호신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90051883A 2018-08-03 2019-05-02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31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0735 2018-08-03
KR1020180090735 2018-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362A true KR20200015362A (ko) 2020-02-12
KR102131907B1 KR102131907B1 (ko) 2020-07-08

Family

ID=6956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883A KR102131907B1 (ko) 2018-08-03 2019-05-02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9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643A (ko) * 2009-01-06 2010-07-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KR20140124497A (ko) 2013-04-17 2014-10-27 (주)정직한기술 이벤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 화질 영상을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60131678A (ko) * 2015-05-08 2016-11-16 이재운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643A (ko) * 2009-01-06 2010-07-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KR20140124497A (ko) 2013-04-17 2014-10-27 (주)정직한기술 이벤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 화질 영상을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60131678A (ko) * 2015-05-08 2016-11-16 이재운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907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5458B2 (en) Security and public safety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US2019019736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daptive training of machine learning models via detected in-field contextual incident timeline entry and associated located and retrieved digital audio and/or video imaging
US20130329047A1 (en) Escort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US10496887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device to provide alerts
KR101514061B1 (ko) 노인 관리용 무선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통한 노인 관리 시스템
KR101459104B1 (ko)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US10341616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40216165A1 (en) Surveillance system and surveillance method with cooperative surveillance terminals
KR20160074208A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74414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device to provide notifications of successful documentation of events
JP2013238969A (ja) 避難情報提供装置
KR101420006B1 (ko) 분산처리 기반 카메라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80353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상황 인지 이벤트 공조 통보시스템
KR102131907B1 (ko)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47835B1 (ko) 양방향 다중 비상 호출 시스템
KR20180123765A (ko) 신변 보호를 위한 안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6640B1 (ko)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개인 보호 장치
JP2017188861A (ja) 携帯型防犯端末、防犯管理装置、防犯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78309B1 (ko)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KR20210031337A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WO2017169356A1 (ja) 携帯型防犯端末、防犯管理装置、防犯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100785B1 (en) Method for requesting assistance from emergency services
KR101628764B1 (ko)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31099B1 (ko) 호신용 휴대 블랙박스 및 상기 호신용 휴대 블랙박스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방법
WO2020240772A1 (ja) 映像記録装置、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