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897A -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897A
KR20180003897A KR1020160083644A KR20160083644A KR20180003897A KR 20180003897 A KR20180003897 A KR 20180003897A KR 1020160083644 A KR1020160083644 A KR 1020160083644A KR 20160083644 A KR20160083644 A KR 20160083644A KR 20180003897 A KR20180003897 A KR 20180003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outflow
attempt
mobile terminal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철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8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897A/ko
Publication of KR20180003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06F17/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 문서 유출 방지 방법은 전자 문서를 로딩하는 단계, 로딩된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지 판단하는 단계,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 경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단계,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경고 이미지가 출력된 후에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단계 및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DOCUMENT SECURITY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업들의 기술력이 높아지면서 기술 정보의 유출 사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장치의 스크린에 출력되는 전자 문서를 개인 소지의 모바일 단말로 몰래 촬영하여 유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촬영의 시도를 방지하고 촬영자에게 경각심을 심어주기 위해 전자 문서에 워터마크 이미지를 삽입하여 스크린에 출력시키는 워터마크 기반 보안 솔루션이 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워터마크 기반 보안 솔루션은 촬영된 전자 문서에 삽입된 워터마크 이미지의 패턴으로 유출자를 찾을 수는 있으나, 워터마크 이미지가 삽입되지 않은 전자 문서의 경우에는 사진 촬영으로 인한 전자 문서의 유출을 막기 어렵고, 유출자를 찾는 것도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워터마크 기반 보안 솔루션은 전자 문서에 워터마크 이미지가 항상 오버레이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문서 작업자가 문서 작업을 함에 있어서 큰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5-0003455호에는 등록된 사용자인 제 1 사용자가 홍채 인식 휴대 장치를 응시하고 있는 동안,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의 근접을 인식하고, 제 2 사용자의 근접이 인식된 경우, 제 2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여 제 2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제 2 사용자가 미등록된 사용자로 확인된 경우, 홍채 인식 휴대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전자 문서의 촬영을 시도하는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스크린에 경고 이미지를 출력하고, 이후, 전자 문서에 대한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에 경고음을 출력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 문서 유출 방지 방법은 전자 문서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로딩된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 경우,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경고 이미지가 출력된 후에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전자 문서의 유출을 방지하는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 문서를 화면에 로딩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된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전자 문서가 상기 기밀 문서인 경우,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제 1차 유출 시도 감시부,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상기 경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고 이미지 출력부, 상기 경고 이미지가 출력된 후에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제 2 차 유출 시도 감시부 및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전자 문서의 유출을 방지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전자 문서를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지 판단하고, 상기 전자 문서가 상기 기밀 문서인 경우,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고,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 이미지가 출력된 후에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고,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전자 문서에 워터마크 이미지를 항상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문서의 촬영을 시도하는 모바일 단말이 검출(제 1 차 유출 시도)된 경우에만 전자 문서에 워터마크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하고,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 문서에서 워터마크 이미지를 제거함으로써 전자 문서 작업자들의 문서 작업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 1 차 유출 시도의 검출 이후에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전자 문서의 촬영이 완료된 상황이기 때문에 촬영자의 경각심을 한층 고취시키기 위해 또는 더 이상의 촬영을 저지하기 위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차 유출 시도 및/또는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되면 촬영자에 대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때문에 사후에 전자 문서의 유출자를 추적할 수 있고, 전자 문서의 불법 유출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 유출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촬영 시도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차 유출 시도 검출시 디바이스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차 유출 시도 검출시 디바이스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에 대한 유출 방지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에 대한 유출 방지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 유출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문서 유출 방지 시스템은 컴퓨팅 디바이스(100), 모바일 단말(110) 및 감시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전자 문서 유출 방지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감시 데이터베이스(120)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전자 문서 유출 방지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로딩된 전자 문서에 대한 촬영 방지 솔루션이 설치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탑재된 카메라(101)를 통해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불법 촬영 시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되면 전자 문서에 경고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되면, 제 1 차 유출 시도에 대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제 1 차 유출 시도의 검출 시간 정보, 전자 문서를 촬영한 촬영자 및 모바일 단말의 이미지를 포함)를 생성하고, 생성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이후,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불법 촬영 완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되면, 불법촬영이 완료되었음을 간주하고 보안관리자에게 제 2 차 유출 시도가 있었음을 보고하고,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되면, 제 2 차 유출 시도에 대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제 2 차 유출 시도의 검출 시간 정보, 모바일 단말의 셔터음)를 생성하고, 생성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전자 문서에 대한 작업이 가능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전자 문서 외에도 기밀 컨텐츠의 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셋톱 박스(Set-top box), TV, 모바일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110)은 촬영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은 통신이 가능한 장치일 수도 있고 불가능한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에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10)은 사진 촬영이 가능한 장치(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스마트 글라스 등)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 또는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감시 데이터베이스(120)는 전자 문서마다 셔터음 및 셔터음의 검출 시간 정보, 촬영된 이미지 및 모바일 단말의 검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감시 데이터베이스(120)는 전자 문서의 불법 유출이 발생된 경우에 불법 촬영 현장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거나 조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전자 문서 유출 방지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로딩부(200), 판단부(210), 제 1 차 유출 시도 감시부(220), 촬영부(230), 워터마크 이미지 생성부(240), 경고 이미지 출력부(250), 제 2 차 유출 시도 감시부(260), 경고음 출력부(270),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 생성부(280) 및 전송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로딩부(200)는 문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문서를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딩부(200)는 전자 문서의 열기를 명령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 문서를 로딩할 수 있다. 여기서, 문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상용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일 수 있다.
판단부(210)는 로딩된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210)는 로딩된 전자 문서의 문서 속성 필드(예컨대, 기밀 문서인 경우의 속성 필드에 '1'을 포함하고, 기밀 문서가 아닌 문서의 속성 필드에 '0'을 포함) 또는 암호화 설정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1 차 유출 시도 감시부(220)는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 경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차 유출 시도 감시부(220)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01)의 시야 내에 모바일 단말(110)이 존재하는지 감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10)은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로딩된 전자 문서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제 1 차 유출 시도 감시부(220)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01)를 통해 전자 문서의 촬영을 시도하는 모바일 단말(110)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110)의 검출 방법은 다양한 종래 기술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차 유출 시도 감시부(220)는 모바일 단말(110)의 외형적인 특징(예컨대, 모바일 단말(110)의 형태 정보, 에지 정보, 색상 정보 등)을 학습하여 모델기반 검출기를 통해 촬영을 시도하는 모바일 단말(110)을 검출할 수 있다.
잠시 도 3을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110)의 촬영 시도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촬영 시도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노트북(컴퓨팅 장치(100))의 화면에 출력된 전자 문서를 도찰하는 모바일 단말(110)을 예시한 도면(30)과 카메라(101)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컴퓨팅 장치(100))의 화면에 출력된 전자 문서를 도찰하는 모바일 단말(110)을 예시한 도면(3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10)을 통해 전자 문서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촬영 영역을 선택하고, 촬영 영역에 대한 렌즈의 초점을 맞춰야 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컴퓨팅 장치(100)의 카메라(101)의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컴퓨팅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110)이 검출되면, 모바일 단말(110)이 불법 촬영을 시도하려는 것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촬영부(230)는 모바일 단말(110)이 검출된 경우, 카메라(101)를 통해 촬영자 및 모바일 단말(110)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부(230)는 얼굴 검출기를 통해 촬영자의 얼굴을 검출하고, 전자 문서의 촬영을 시도하는 촬영자의 얼굴 및 모바일 단말(110)을 촬영할 수 있다.
워터마크 이미지 생성부(240)는 워터마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워터마크 이미지 생성부(240)는 조건부 워터마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가시적인 워터마크 이미지 또는 비가시적인 워터마크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조건부 워터마크 이미지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전자 문서의 유출 시도가 재검출되지 않으면 워터마크 이미지가 전자 문서에서 사라지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된 이미지일 수 있다.
잠시 도 4를 참조하면, 워터마크 이미지는 전자 문서(401)의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아이디(ID) 또는 정보 등의 부호나 영상, 음성 등의 신호에 특정한 코드나 유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패턴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워터마크 이미지는 예를 들어, 바코드(403), QR 코드(405), 컬러 박스 패턴(407), 문자 패턴(409) 등의 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경고 이미지 출력부(250)는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경고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이미지 출력부(250)는 촬영을 시도하는 모바일 단말(110)이 검출되면, 생성된 워터마크 이미지를 전자 문서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전자 문서에 워터마크 이미지를 출력시킴으로써 해당 전자 문서가 중요 내용 또는 비밀 내용이라는 점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문서의 보안에 대한 사용자의 경각심을 고취시킬 수 있다.
제 2 차 유출 시도 감시부(260)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경고 이미지가 출력된 후에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할 수 있다. 제 2 차 유출 시도 감시부(260)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모바일 단말(110)의 셔터음을 검출할 수 있다.
경고음 출력부(270)는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단말(110)의 셔터음이 검출된 상황은 모바일 단말(110)에서 이미 촬영을 완료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촬영자의 경각심을 한층 더 환기시키고, 더 이상의 촬영을 저지하기 위해서 경고음 출력부(270)는 2차 경고로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 생성부(280)는 제 1 차 유출 시도(모바일 단말(110)의 촬영 시도)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 생성부(280)는 검출된 모바일 단말(110) 및 촬영자를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모바일 단말(110)의 검출 시간 정보, 전자 문서의 아이디를 포함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 생성부(280)는 제 2 차 유출 시도(모바일 단말(110)의 셔터음)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 생성부(280)는 검출된 모바일 단말(110)의 셔터음 및 셔터음의 검출 시간 정보, 전자 문서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290)는 모바일 단말(110)의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되면, 제 1 차 유출 시도에 대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90)는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이후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제 2 차 유출 시도에 대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부(미도시)는 컴퓨팅 디바이스(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컴퓨팅 디바이스(100)와 컴퓨팅 디바이스(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부(미도시)의 일 예에는 컴퓨팅 디바이스(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한편, 당업자라면, 로딩부(200), 판단부(210), 제 1 차 유출 시도 감시부(220), 촬영부(230), 워터마크 이미지 생성부(240), 경고 이미지 출력부(250), 제 2 차 유출 시도 감시부(260), 경고음 출력부(270),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 생성부(280) 및 전송부(29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차 유출 시도 검출시 디바이스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10)에 의한 전자 문서(501)의 촬영 시도가 검출된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워터마크 이미지(503)를 전자 문서(501)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하고, 촬영자의 이미지(505) 및 모바일 단말(110)의 이미지(507)를 촬영하여 감시 데이터베이스(300)에게 전송함으로써 제 1 차 유출 시도 당시의 상황 정보를 기록해둘 수 있다.
제 1 차 유출 시도 검출 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전자 문서(501)에 오버레이된 워터마크 이미지(503)는 사라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차 유출 시도 검출시 디바이스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내장 마이크(620)를 통해 모바일 단말(110)의 셔터음이 검출된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불법 촬영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셔터음 및 셔터음의 검출 시간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120)로 전송하고, 더 이상의 촬영을 저지하기 위한 경고음을 내장 스피커(610)를 통해 출력하거나 제 2차 경고 메시지(630)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에 대한 유출 방지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유출 방지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100), 모바일 단말(110) 및 감시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6의 컴퓨팅 디바이스(100), 모바일 단말(110) 및 감시 데이터베이스(12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유출 방지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01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전자 문서를 로딩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로딩된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 경우, 전자 문서의 촬영을 시도(제 1 차 유출 시도)하려는 모바일 단말(110)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07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워터마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709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워터마크 이미지를 전자 문서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711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단말(110)이 검출된 경우, 카메라(101)를 통해 촬영자 및 모바일 단말(110)을 촬영할 수 있다. 단계 S713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이미지(촬영자 및 모바일 단말(110)의 이미지) 및 모바일 단말(110)의 검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01 내지 S71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에 대한 유출 방지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유출 방지 방법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100), 모바일 단말(110) 및 감시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7의 컴퓨팅 디바이스(100), 모바일 단말(110) 및 감시 데이터베이스(12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유출 방지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01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단말(110)의 제 1 차 유출 시도에 의한 경고 이미지가 출력된 후에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마이크를 통해 모바일 단말(110)의 셔터음이 검출(제 2 차 유출 시도)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805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단말(110)의 셔터음 및 셔터음의 검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807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 검색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100), 모바일 단말(110) 및 감시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8의 컴퓨팅 디바이스(100), 모바일 단말(110) 및 감시 데이터베이스(12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 검색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01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 또는 다른 관리자 단말(미도시)은 특정 전자 문서가 불법적으로 유출된 경우, 특정 전자 문서에 대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 또는 다른 관리자 단말(미도시)은 감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전자 문서에 대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문서의 촬영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01 내지 S90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컴퓨팅 디바이스
101: 컴퓨팅 디바이스의 카메라
110: 모바일 단말
120: 감시 데이터베이스

Claims (17)

  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 문서 유출 방지 방법에 있어서,
    전자 문서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로딩된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 경우,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경고 이미지가 출력된 후에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 유출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워터마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워터마크 이미지를 상기 전자 문서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 유출 방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전자 문서의 촬영을 시도하는 모바일 단말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 문서 유출 방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셔터음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 문서 유출 방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셔터음이 검출된 경우,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는 상기 셔터음 및 상기 셔터음의 검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 문서 유출 방지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검출된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검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 유출 방지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 유출 시도의 검출 정보 및 상기 제 2 차 유출 시도의 검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자 문서 유출 방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에 대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감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전자 문서에 대한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자 문서 유출 방지 방법.
  9. 전자 문서의 유출을 방지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를 화면에 로딩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된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전자 문서가 상기 기밀 문서인 경우,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제 1차 유출 시도 감시부;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상기 경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고 이미지 출력부;
    상기 경고 이미지가 출력된 후에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는 제 2 차 유출 시도 감시부 및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부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워터마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워터마크 이미지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이미지 출력부는
    상기 생성된 워터마크 이미지를 상기 전자 문서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하는 것인,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 유출 시도 감시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전자 문서의 촬영을 시도하는 모바일 단말을 검출하는 것인,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 유출 시도 감시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셔터음을 검출하는 것인,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 유출 시도의 검출 정보 및 상기 제 2 차 유출 시도의 검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감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는 상기 셔터음 및 상기 셔터음의 검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검출된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검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데이터베이스는 전자 문서마다 상기 셔터음 및 상기 셔터음의 검출 시간 정보, 상기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검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불법 촬영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것인, 디바이스.
  17. 전자 문서의 유출을 방지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전자 문서를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전자 문서가 기밀 문서인지 판단하고,
    상기 전자 문서가 상기 기밀 문서인 경우,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고,
    상기 전자 문서의 제 1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경고 이미지가 출력된 후에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를 감시하고,
    상기 전자 문서의 제 2 차 유출 시도가 검출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60083644A 2016-07-01 2016-07-01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80003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644A KR20180003897A (ko) 2016-07-01 2016-07-01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644A KR20180003897A (ko) 2016-07-01 2016-07-01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897A true KR20180003897A (ko) 2018-01-10

Family

ID=6099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644A KR20180003897A (ko) 2016-07-01 2016-07-01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8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420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안랩 컨텐츠 유출 방지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55159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더코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보안 문서의 촬영을 통한 보안 문서 누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420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안랩 컨텐츠 유출 방지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55159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더코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보안 문서의 촬영을 통한 보안 문서 누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04742A1 (en) Method for face recogni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0719118B1 (ko) 특정 영역에서의 디바이스 기능 제한 방법 및 시스템
US9350914B1 (en) Methods of enforcing privacy requests in imaging systems
CN111049978B (zh) 通知信息显示方法及装置
JP5150067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US201701248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collection of surveillance data
US93860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EP31131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object finding information
US91670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EP2779640A1 (en) Security system for tracking and surveilling an object determined as unrecognizable using a surveillance camera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service using the system
US9959425B2 (en) Method and system of privacy protection in antagonistic social milieu/dark privacy spots
US20140226029A1 (e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ransmitting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image transmitting method
US9430673B1 (en) Subject notification and consent for captured images
CN106302528B (zh) 短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1643936B1 (ko) 모니터 보안시스템
KR20180003897A (ko) 전자 문서의 유출 방지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08664216B (zh) 数据存储方法及装置
US11875657B2 (en) Proactive loss prevention system
AU2020300516B2 (en) Detection of fraudulent displayable code data during device capture
KR101574330B1 (ko) 긴급 인증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2739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US10984140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ossible taking of screenshots
US11763042B2 (en) Computer program for preventing information spill displayed on display device and security service using the same
WO2018232647A1 (zh) 具有高隐私保护等级的电子设备和相关产品
CN109151403B (zh) 视频数据获取方法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