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614A -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 Google Patents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614A
KR20220037614A KR1020200120302A KR20200120302A KR20220037614A KR 20220037614 A KR20220037614 A KR 20220037614A KR 1020200120302 A KR1020200120302 A KR 1020200120302A KR 20200120302 A KR20200120302 A KR 20200120302A KR 20220037614 A KR20220037614 A KR 20220037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environment
helmet
information
safety helm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614A/ko
Publication of KR2022003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본체; 상기 안전모 본체에 설치되고, 작업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안전모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기초로 작업환경에 대한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Safety helmet with alarm function for work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제조업과 관련된 작업 현장에는 다양한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먼지, 유해 가스, 소음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 요소가 된다.
특히, 밀폐되고 협소한 작업 현장에서 유해 가스 등에 의한 질식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험한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환경이 위험할 때 작업자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전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본체; 상기 안전모 본체에 설치되고, 작업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안전모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기초로 작업환경에 대한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작업환경정보는, 먼지농도 정보, 유해가스량 정보, 소음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기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수집된 작업환경정보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안전모는, 상기 안전모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주변의 다른 안전모로 전송하거나, 주변의 다른 안전모로부터 전송된 위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모는, 상기 안전모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기초로 한 작업환경 수준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모는, 상기 안전모의 본체에 설치되고, 작업장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환경이 위험한 경우 안전모에서 알람이 제공됨으로써, 작업자는 위험을 감지하고 작업 현장을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구성 중 안전모 본체에 설치되는 구성 간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표시부를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구성 중 안전모 본체에 설치되는 구성 간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표시부를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0)는 안전모 본체(100)와, 정보 수집부(200)와, 제어부(300)와, 알람부(400)를 포함하며, 작업자에게 작업환경과 관련된 알람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안전모 본체(100)는 작업자가 착용하여 머리를 보호하는 구성이다. 안전모 본체(100)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챙(110)이 형성된다.
정보 수집부(200)는 안전모 본체(100)에 설치된다. 정보 수집부(200)는 작업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작업환경정보는 먼지농도 정보, 유해가스량 정보, 소음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00)는 먼지농도 센서, 유해가스 센서, 소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안전모 본체(100)에 설치된다. 제어부(300)는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기초로 작업환경에 대한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기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수집된 작업환경정보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위험 신호를 생성한다.
기준값은 작업환경정보의 종류(ex. 먼지농도, 유해가스 또는 소음 등)에 따라 기 저장된다.
안전모 본체(100)에는 기준값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설치될 수 있다.
알람부(400)는 제어부(300)에서 생성된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알람을 제공한다. 알람부(400)는 알람 스피커, 알람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0)는 작업환경이 위험한 경우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는 알람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작업 현장을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0)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안전모 본체(100)에 설치된다.
통신부(500)는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외부 서버(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수신된 작업환경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통신부(500)는 주변의 다른 안전모(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위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0)에서 미처 위험 신호를 생성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다른 안전모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을 발생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통신부(500)는 제어부(300)에서 생성된 위험 신호를 주변의 다른 안전모(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안전모가 자체적으로 위험 신호를 생성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다른 안전모에서 알람을 제공할 수 있어 다른 작업자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0)는 표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600)는 안전모의 본체에 설치된다. 특히, 안전모 본체(100)의 챙(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안전모 본체(100)를 쓴 상태로 표시부(600)의 표시를 식별할 수 있다.
표시부(600)는 정보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된 작업환경정보에 관한 작업환경 수준을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부(600)는 작업환경 수준을 정상, 주의, 위험으로 구별하여 표시한다. 이 경우, 표시부(600)는 정상 수준, 주의 수준, 위험 수준을 각각 표시하는 표시등(6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정보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기초로 작업환경 수준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수집된 작업환경정보와 작업환경정보에 대한 수준별 기준 범위를 비교하여, 수집된 작업환경정보가 매칭되는 범위가 어떤 수준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수집된 먼지농도정보와 먼지농도에 대한 정상 범위, 주의 범위, 위험 범위를 비교하여, 수집된 먼지농도정보와 매칭되는 범위가 정상 범위이면 정상 수준으로 판단한다.
제어부(300)는 판단된 수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600)에 명령하고, 표시부(600)는 수집된 먼지농도정보에 대한 작업환경 수준을 표시한다. 작업자는 표시부(600)에 표시된 작업환경수준을 보고 대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0)는 카메라(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00)는 안전모의 본체에 설치된다. 카메라(700)는 작업자가 작업하는 과정에서 작업장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카메라(700)에 의해 생성된 영상정보는 통신부(500)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되고 저장된다. 외부 서버로 전송된 영상정보는 작업자의 안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안전모 100 : 안전모 본체
110 : 챙 200 : 정보 수집부
300 : 제어부 400 : 알람부
500 : 통신부 600 : 표시부
700 : 카메라

Claims (3)

  1.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본체;
    상기 안전모 본체에 설치되고, 작업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안전모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기초로 작업환경에 대한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기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수집된 작업환경정보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생성하는,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작업환경정보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주변의 다른 안전모로 전송하거나, 주변의 다른 안전모로부터 전송된 위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KR1020200120302A 2020-09-18 2020-09-18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KR20220037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302A KR20220037614A (ko) 2020-09-18 2020-09-18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302A KR20220037614A (ko) 2020-09-18 2020-09-18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614A true KR20220037614A (ko) 2022-03-25

Family

ID=8093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302A KR20220037614A (ko) 2020-09-18 2020-09-18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76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516B1 (ko) * 2023-02-23 2024-01-18 (주)안성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516B1 (ko) * 2023-02-23 2024-01-18 (주)안성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007B1 (ko) 안전 보호구 착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US20220139186A1 (en) Method for monitor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compliance
KR101340008B1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WO2021177183A1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130120119A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100050002A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102332818B1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KR20220037614A (ko)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KR20130052420A (ko)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JP6691068B2 (ja) 作業者状態把握方法
KR102253851B1 (ko)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CN113243606A (zh) 具备远程通信功能的防护安全帽及安全管理方法
KR101999206B1 (ko)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5599A (ko)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00084589A (ko)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2737A (ko)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KR102618229B1 (ko) 안전모용 착용자 감지모듈을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KR20230146173A (ko)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CN212280116U (zh) 一种建筑施工现场不安全行为识别系统
KR102037246B1 (ko) 안전 관리 장치 세트 및 시스템
KR20230138301A (ko)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20210115906A (ko) 적응적 분산 객체를 이용한 가스안전 관리시스템
CN111466670A (zh) 一种建筑施工现场不安全行为识别系统及方法
KR20130119159A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