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516B1 -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516B1
KR102626516B1 KR1020230024605A KR20230024605A KR102626516B1 KR 102626516 B1 KR102626516 B1 KR 102626516B1 KR 1020230024605 A KR1020230024605 A KR 1020230024605A KR 20230024605 A KR20230024605 A KR 20230024605A KR 102626516 B1 KR102626516 B1 KR 102626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evel
detected
gas det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상
김세곤
Original Assignee
(주)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안성 filed Critical (주)안성
Priority to KR1020230024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rket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작업 장비 또는 안전 장비에 탑재되는 가스 검출 장치 및 상기 가스 검출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사용자의 작업 현장을 관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작업 현장 관제 시스템의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스 검출 장치는 가스 검출 모듈, 촬영 모듈, 알람 모듈 및 음성 통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검출 장치가 상기 가스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인접한 위치에서 가스를 검출한 경우, 상기 알람 모듈을 통해 가스가 검출되었다는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가스 검출 장치가 검출한 가스에 대한 가스 검출 정보 및 상기 촬영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현장 영상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스 검출 장치가 음성 통화 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획득한 음성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명령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명령 정보는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중단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진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WORKSITE GAS DETECTION AND MANAGEMENT METHOD USING PORTABLE GAS DETECTION DEVICE AND CONTROL SERVER}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를 대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단순 사고가 발생하고 나서 이를 목격 후 대비 하는 것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통해서 위험을 감지하고, 위험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는 단순히 특정 징후나 징조, 특정 상황을 목격하여 대비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요소를 기준으로 판단하여 미리 위험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나 공장이나 연구실, 실험실 등 다양한 화학 물질을 다루는 곳의 경우 안전에 더욱 민감할 필요가 있다. 특히나, 특정 화학물의 발현으로 특정 가스가 누수 되거나 생성되는 경우 이를 민감하게 반응하여 위험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순히 연락을 통한 사고 방지가 아닌 사전에 미리 가스의 양을 검출하고, 검출된 가스의 종류를 고려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한 후, 이를 통해 위험 등급을 메기고 위험 등급에 따른 빠른 조치를 취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8064호(2017.12.1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작업 장비 또는 안전 장비에 탑재되는 가스 검출 장치 및 상기 가스 검출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사용자의 작업 현장을 관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작업 현장 관제 시스템의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은 상기 가스 검출 장치는 가스 검출 모듈, 촬영 모듈, 알람 모듈 및 음성 통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검출 장치가 상기 가스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인접한 위치에서 가스를 검출한 경우, 상기 알람 모듈을 통해 가스가 검출되었다는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가스 검출 장치가 검출한 가스에 대한 가스 검출 정보 및 상기 촬영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현장 영상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스 검출 장치가 음성 통화 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획득한 음성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명령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명령 정보는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중단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진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 검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검출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검출량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기초로 상기 음성 명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명령 정보는 상기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중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현장 이탈 등급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검출량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검출량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위험 수치 정보를 기초로 위험 수치가 초과된 검출 가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은 주의 등급, 경고 등급 및 긴급 등급 중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현장 이탈 등급은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험 수치가 초과된 검출 가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위험 수치가 초과된 검출 가스가 적어도 둘 이상인 경우, 각 검출 가스에 대한 각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위험 수치가 초과된 검출 가스의 개수 및 상기 각 검출 가스에 대한 각 위험 등급을 기초로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 가스를 현장에서 즉시 검출하고, 위험 등급을 판단하여 이탈 또는 작업 진행을 알려줄 수 있으므로, 현장 작업의 위험도를 낮추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하는 관제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하는 관제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하는 관제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고, 송수신 장치(1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및 저장 장치(1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고,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 또는 저장 장치(1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후술하는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가 실행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제 서버(100) 및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200) 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은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하거나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200)는 사용자의 작업 장비 또는 안전 장비에 탑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안전모 또는 작업복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200)는 가스 검출 장치라고 나타낼 수도 있으며, 가스 검출 모듈, 촬영 모듈, 알람 모듈 및 음성 통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검출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가스량 즉, 검출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촬영 모듈은 가스 검출 장치 또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현장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알람 모듈은 가스 검출 시 등에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청각적인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통화 모듈은 관제 서버와 연결되어 관제 서버에 위치하는 관리자와 가스 검출 장치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간에 음성 통화를 지원할 수 있으며, 관제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음성 명령 정보를 기초로 음성 명령을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 동작에서 가스 검출 장치가 가스 검출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 인접한 위치에서 가스를 검출한 경우, 알람 모듈을 통해 가스가 검출되었다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검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검출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하는 가스는 CO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320 동작에서 가스 검출 장치가 검출한 가스에 대한 가스 검출 정보 및 촬영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현장 영상 정보를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S330 동작에서 가스 검출 장치가 음성 통화 모듈을 통해 관제 서버로부터 획득한 음성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명령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명령 정보는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중단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진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관제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검출량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할 수 있고, 현재 위험 등급을 기초로 음성 명령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제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검출량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위험 수치 정보를 기초로 위험 수치가 초과된 검출 가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명령 정보는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중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현장 이탈 등급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위험 등급은 주의 등급, 경고 등급 및 긴급 등급 중 하나를 나타내고, 현장 이탈 등급은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위험 등급은 긴급 등급이 가장 위험한 상황을 나타내는 등급일 수 있고, 다음으로 경고 등급과 주의 등급 순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관제 서버가 위험 수치가 초과된 검출 가스가 적어도 둘 이상인 경우, 각 검출 가스에 대한 각 위험 등급을 결정할 수 있으며, 위험 수치가 초과된 검출 가스의 개수 및 각 검출 가스에 대한 각 위험 등급을 기초로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관제 서버는 가스 검출 정보를 기초하여 A, B 및 C에 대응하는 가스들이 각 가스들에 대한 위험 수치를 초과하여 검출된 경우, 각 가스들에 대한 위험 등급을 결정할 수 있으며, 각 가스들에 대한 위험 등급을 기초로 현장에 대한 전체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는 각각의 가스에 대응하는 치명성 및 이와 관련된 병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가스 별로 위험에 대한 가중치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스 별 위험 등급은 주의 등급, 경고 등급 및 긴급 등급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으며, 주의 등급은 위험 지수 1로 나타낼 수 있고, 경고 등급은 위험 지수 2로 나타낼 수 있고, 긴급 등급은 위험 지수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전체에 관한 현재 위험 등급은 전체 위험 지수가 1.0 이상 2.0 미만인 경우 주의 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고, 2.0 이상 3.0 미만인 경우 경고 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고, 3.0 이상인 경우 긴급 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1.0 미만인 경우, 안전한 상태로 판단하여 긴급 등급을 안전 등급으로 결정하거나, 별도로 나타내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가스만이 검출될 경우, 검출된 가스의 위험 등급이 곧바로 현재 위험 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으나, 둘 이상의 가스가 검출될 경우, 수학식 1에 따라 현재 위험 등급이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상기 Sdf는 상기 현재 위험 등급에 대응되는 전체 위험 지수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Dmax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가스 각각에 대응하는 위험 등급 중 가장 높은 위험 등급에 대응되는 위험 지수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b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가스의 전체 개수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Da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가스 중 a번째 종류의 가스의 위험 등급에 대응되는 위험 지수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wa는 상기 a번째 종류의 가스에 대응되는 치명 가중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명 가중치는 미리 설정된 가스 종류 별 치명 가중치 테이블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는 작업 환경 정보 및 사용자 나이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보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 환경 정보는 사용자가 작업 중인 현재 위치의 환기 정도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환경에 해당하는 전체 구역에 대하여 구역 별로 환기 정도에 관한 환기 수치가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구역 별 환기 정도에 관한 환기 수치를 기초로 현재 위험 등급을 보정할 작업 환경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현재 위험 등급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현재 구역의 작업 환경 정보 및 상기 현재 구역으로부터 상기 작업 환경의 출입구로 가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현재 구역의 다음에 진입할 다음 구역의 작업 환경 정보가 함께 이용되어 보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나이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획득하여 입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의 작업자 정보에 포함된 나이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작업 환경 정보 및 사용자 나이 정보에 기초한 보정된 현재 위험 등급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상기 AS는 상기 보정된 현재 위험 등급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Sdf는 보정되기 전의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wage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정보에 기초한 나이 가중치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나이 가중치는 사용자의 나이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나이 가중치 테이블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만39세까지는 모두 1로 설정되어 있으며, 그 이상부터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나이 가중치가 높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wE는 환경 가중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Ec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구역의 환경 수치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j는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구역으로부터 작업 환경의 출입구로 가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현재 구역의 다음에 진입할 다음 구역들의 전체 개수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Ei는 상기 다음 구역들 중 i번째 다음 구역의 환경 수치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wi는 상기 i번째 다음 구역에서 사용자가 이동하여야 하는 거리에 기초한 거리 가중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가중치는 작업 환경에 해당하는 전체 구역에 대하여 구역 별, 진입로 별 및 진출로 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경우, 현재 위험 등급이 아닌 보정된 현재 위험 등급을 기초로 음성 명령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사용자의 작업 장비 또는 안전 장비에 탑재되는 가스 검출 장치 및 상기 가스 검출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사용자의 작업 현장을 관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작업 현장 관제 시스템의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스 검출 장치는 가스 검출 모듈, 촬영 모듈, 알람 모듈 및 음성 통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검출 장치가 상기 가스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인접한 위치에서 가스를 검출한 경우, 상기 알람 모듈을 통해 가스가 검출되었다는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가스 검출 장치가 검출한 가스에 대한 가스 검출 정보 및 상기 촬영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현장 영상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스 검출 장치가 음성 통화 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획득한 음성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명령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명령 정보는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중단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진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검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검출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검출량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기초로 상기 음성 명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명령 정보는 상기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중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현장 이탈 등급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검출량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검출량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별 위험 수치 정보를 기초로 위험 수치가 초과된 검출 가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은 주의 등급, 경고 등급 및 긴급 등급 중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현장 이탈 등급은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위험 수치가 초과된 검출 가스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위험 수치가 초과된 검출 가스가 적어도 둘 이상인 경우, 각 검출 가스에 대한 각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위험 수치가 초과된 검출 가스의 개수 및 상기 각 검출 가스에 대한 각 위험 등급을 기초로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가스가 적어도 둘 이상인 경우,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은 다음의 수학식을 기초로 산출되고,
    ,
    상기 Sdf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검출 가스에 대한 상기 현재 위험 등급에 대응되는 전체 위험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Dmax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검출 가스 각각에 대응하는 위험 등급 중 가장 높은 위험 등급에 대응되는 위험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b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검출 가스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Da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검출 가스 중 a번째 종류의 검출 가스의 위험 등급에 대응되는 위험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a는 상기 a번째 종류의 검출 가스에 대응되는 치명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치명 가중치는 미리 설정된 가스 종류 별 치명 가중치 테이블을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검출 가스의 위험 등급에 대응되는 위험 지수는 상기 검출 가스의 위험 등급이 상기 주의 등급인 경우, 1로 나타내고, 상기 검출 가스의 위험 등급이 상기 경고 등급인 경우, 2로 나타내고, 상기 검출 가스의 위험 등급이 상기 긴급 등급인 경우, 3으로 나타내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검출 가스에 대한 상기 현재 위험 등급은 상기 전체 위험 지수가 1.0 이상 2.0 미만인 경우, 주의 등급으로 결정되고, 2.0 이상 3.0 미만인 경우 경고 등급으로 결정되고, 3.0 이상인 경우 긴급 등급으로 결정되는,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24605A 2023-02-23 2023-02-23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 KR102626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605A KR102626516B1 (ko) 2023-02-23 2023-02-23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605A KR102626516B1 (ko) 2023-02-23 2023-02-23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516B1 true KR102626516B1 (ko) 2024-01-18

Family

ID=8971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605A KR102626516B1 (ko) 2023-02-23 2023-02-23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51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064B1 (ko) 2017-05-30 2017-12-14 주식회사 선테크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814335B1 (ko) * 2017-05-16 2018-01-02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안전도 계산 방법 및 장치
KR101817606B1 (ko) * 2017-05-30 2018-01-11 주식회사 선테크 모듈형 보호구 및 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6824A (ko) * 2016-12-09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037614A (ko) * 2020-09-18 2022-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KR20220053415A (ko) * 2020-10-22 2022-04-29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열식 연소 산화장치의 운영을 위한 IoT 기반의 센싱 및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454671B1 (ko) * 2022-02-09 2022-10-18 에이아이에스앤피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IoT센서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작업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5710A (ko) * 2021-05-17 2022-11-24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 가스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824A (ko) * 2016-12-09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14335B1 (ko) * 2017-05-16 2018-01-02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안전도 계산 방법 및 장치
KR101808064B1 (ko) 2017-05-30 2017-12-14 주식회사 선테크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817606B1 (ko) * 2017-05-30 2018-01-11 주식회사 선테크 모듈형 보호구 및 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7614A (ko) * 2020-09-18 2022-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KR20220053415A (ko) * 2020-10-22 2022-04-29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열식 연소 산화장치의 운영을 위한 IoT 기반의 센싱 및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220155710A (ko) * 2021-05-17 2022-11-24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 가스 관리 시스템
KR102454671B1 (ko) * 2022-02-09 2022-10-18 에이아이에스앤피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IoT센서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작업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2943B2 (en) Multi-sensor input analysis for improved safety
US91418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permission of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s and detecting risk
AU2015202280B2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KR20150025515A (ko) 이동 단말기 위치 판단 규칙에 따른 이동 단말기 보안 정책 적용 방법, 이를 통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6201856A (zh) 一种多版本性能测试方法及装置
CN101449566A (zh) 在蜂窝基础设施接入信道上防止拒绝服务攻击的方法和装置
KR20200001938A (ko)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JP2013073300A (ja) 緊急避難誘導システム、緊急避難誘導方法、避難誘導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534102A (zh) 设备访问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2626516B1 (ko)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
KR20210061227A (ko)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EP3136278A1 (en) Dynamically loaded code analysis device, dynamically loaded code analysis method, and dynamically loaded code analysis program
KR102344336B1 (ko)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0211453A (ja) ファイル改竄チェック方法および装置
CN103853982A (zh) 检测计算装置上的安全性弱点
KR102175784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취약점 자동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0839201A (zh) 管道数据处理方法、发送装置、接收装置和存储介质
US10419443B2 (en) Authentication server, authentication method in authentication serve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uthentication process program of authentication server
CN106156610B (zh) 一种进程路径获取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00080578A (ko) 대피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6561795B (zh) 一种数据并行脱敏处理方法
CN107832605A (zh) 一种保护终端安全的方法和装置
WO2021038780A1 (ja) バックドア検査装置、バックドア検査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2673088B1 (ko)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1955420B1 (ko) 방사능 재난 대응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