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088B1 -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088B1
KR102673088B1 KR1020190043798A KR20190043798A KR102673088B1 KR 102673088 B1 KR102673088 B1 KR 102673088B1 KR 1020190043798 A KR1020190043798 A KR 1020190043798A KR 20190043798 A KR20190043798 A KR 20190043798A KR 102673088 B1 KR102673088 B1 KR 102673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as
worker
remote monitoring
work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134A (ko
Inventor
김민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컴유비마이크로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컴유비마이크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컴유비마이크로
Priority to KR102019004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08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스센서가 마련되어, 기 설정된 범위의 가스 농도를 센싱하여 전송하는 작업자 단말기;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서 센싱된 가스 농도를 수신하고, 상기 가스 농도를 기반으로,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가스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경고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경고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REMOTE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F GAS AND REMOTE MONITORING APPARATUS FOR SAFETY OF GAS}
본 발명은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 공간의 가스 정보를 센싱하고, 밀폐 공간에 이상 상황이 발생 시, 작업자에게 신속히 이상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조선, 화학, 자동차, 건설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가스 누출로 인한 화재, 폭발, 질식, 중독 등 다양한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작업 공간이 밀폐된 공간인 경우, 사고 발생 감지가 어렵고, 사고 발생을 감지한다 하더라도 밀폐 공간의 특성상 외부에 사고 발생을 전달하기 위해 사람이 직접 이동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사람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물 등으로 인해 이동에 상당한 시간이 흐르게 되고, 이를 외부에 전달한다 하더라도, 전달받은 외부 인력이 밀폐 공간 주변의 다른 작업자들에게 비상 상황을 구두로 전파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밀폐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밀폐 공간의 작업자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을 작업자에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스 센서가 마련되어, 기 설정된 범위의 가스 농도를 센싱하여 전송하는 작업자 단말기;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서 센싱된 가스 농도를 수신하고, 상기 가스 농도를 기반으로,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가스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경고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경고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작업자 단말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자 단말기가 밀폐 공간에 위치되더라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릴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단말기 정보 및 상기 가스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상기 상태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센싱된 상기 가스 농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이상 상황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이상 상황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대응 정보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작업자 단말기가 센싱한 가스 농도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한 가스 농도를 기반으로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정보 가공부; 상기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가스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경고 상태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태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의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게이트웨이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밀폐 공간의 작업자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을 작업자에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상황 발생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1)은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 서버(20), 게이트웨이(30), 릴레이 장치(40),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서버(30)와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셀룰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서버(30)는 게이트웨이(30)와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셀룰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게이트웨이(30)와 릴레이 장치(4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 또는 릴레이 장치(40)와 작업자 단말기(50)도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셀룰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의 예들은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랩탑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웨이(30)에 접속되되, 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싱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 장치 및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가스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경고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서버(20)가 분석한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현재 가스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이상인 경우 경고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 정보 분석 결과란,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에 마련된 가스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가스 농도를 이용하여 서버(20)에서 시계열에 따른 상관 관계 분석 등을 통해 수행한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경고 상태로 판단한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작업자 단말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가스 농도가 기 설정된 상태 이상으로 확인되어 경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서버(20)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고, 서버(20)는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에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작업자 단말기(50)의 상태를 판단하여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50)의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작업자 단말기(50)의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정보란, 가스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기 설정된 기준값(또는 기준 단말기)와 수집된 작업자 단말기(50)의 수치를 비교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작업자 단말기(50)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가 작업자 단말기(50)의 상태를 판단하여 보정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작업자 단말기(50) 이외에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의 상태를 판단하여 보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가스 누출 사고 위험과 경보 오작동으로 인한 작업 효율 감소 문재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서버(20)는 작업자 단말기(50)로부터 센싱된 가스 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는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50)(또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가 센싱한 가스 농도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게이트웨이(30)는 서버(20)와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5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30)는 서버(20)와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릴레이 장치(40)는 게이트웨이(30)와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릴레이 장치(40)는 게이트웨이(3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5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릴레이 장치(40)는 작업자 단말기(50)가 밀폐 공간에 위치되더라도 작업자 단말기(50)가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서버(2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즉,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1)은 릴레이 장치(40)를 통해 작업자가 작업자 단말기(50)를 갖고 밀폐 공간에서 작업을 하더라도, 해당 위치의 가스 농도를 수집하고, 경고 상태인이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50)로 전송함으로써, 비상 상황을 작업자에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50)는 밀폐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 단말기(50)는 밀폐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밀폐 공간에 갖고 들어가는 이동형 단말기로, 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50)는 측정한 가스 농도를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50)는 가스 농도를 센싱 도중, 이상 상황 발생(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농도 이상의 가스가 확인되는 경우) 시, 이를 현장 관리자 단말기(6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 단말기(5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스 농도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 상황 신호를 게이트웨이(30)를 통해 현장 관리자 단말기(60)로 송신할 수 있다.
현장 관리자 단말기(60)는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장 관리자 단말기(60)는 밀폐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작업자 단말기(50)로부터 이상 상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현장 관리자 단말기(60)는 작업자 단말기(50)로부터 이상 상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대응 정보 신호를 생성하고,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작업자 단말기(50)로 대응 정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고정형 단말기(70)는 일정 위치에 고정된 단말기(70)로 내부에 가스 센서가 마련되어, 해당 위치의 가스 농도를 센싱하고, 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20)는 인터페이스부(102), 정보수집부(104), 정보 가공부(106), 상태 알림부(108), 단말기 보정부(110), 통신부(112) 및 저장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2)는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를 이용하는 관리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2)는 기 설정된 화면(예를 들어, 실시간 가스 농도 확인 화면)을 표시하거나, 관리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이를 수행하도록 서버(20)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정보수집부(104)는 작업자 단말기(50)가 센싱한 가스 농도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수집부(104)는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가 센싱한 가스 농도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가공부(106)는 수집한 가스 농도를 기반으로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 정보 분석 결과란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에 마련된 가스 센서를 통해 센싱된 가스 농도를 이용하여 서버(20)에서 시계열에 따른 상관 관계 분석 등을 통해 수행한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08)는 가스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경고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알림부(108)는 가스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현재 상태가 경고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경고 상태인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보정부(110)는 단말기 보정 명령에 따라 작업자 단말기(50)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보정부(110)는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가 작업자 단말기(50)의 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보정 명령을 생성하는 경우, 보정 명령 신호를 해당 작업자 단말기(50)(또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2)는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와 통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2)는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와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셀룰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할 수 있다.
저장부(114) 서버(20)에서 사용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14)는 기준 가스 농도, 수집된 가스 농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저장부(114)가 저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예를 설명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부(114)는 서버(20)에 저장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상황 발생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작업자 단말기(50)는 가스 농도를 센싱한다(S302). 구체적으로, 작업자 단말기(50)(또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가스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 단말기(50)는 이상 상황 신호를 송신한다(S304). 구체적으로, 작업자 단말기(50)는 센싱한 가스 농도가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 상황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3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게이트웨이(30)는 이상 상황 신호를 현장 관리자 단말기(60)로 전달한다(S306).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30)는 작업자 단말기(50)로부터 수신한 이상 상황 신호를 현장 관리자 단말기(6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게이트웨이(30)는 이상 상황 신호를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로 전달한다(S308).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30)는 작업자 단말기(50)로부터 수신한 이상 상황 신호를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장 관리자 단말기(60)는 대응 정보 신호를 송신한다(S310). 구체적으로, 현장 관리자 단말기(60)는 수신된 이상 상황 신호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대응 정보 신호를 게이트웨이(3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 정보 신호란, 이상 상황 신호에 대응하여 송신되는 신호로, 대피 명령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다음으로, 게이트웨이(30)는 대응 정보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50)로 전달한다(S312).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30)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60)로부터 수신된 대응 정보 신호를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5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연계기관에 이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린다(S314). 구체적으로,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는 게이트웨이(30)로부터 전달받은 이상 상황 신호를 확인하고, 현재 이상 상황이 발생 했음을 연계기관(예를 들어, 소방서, 119 등)에 알리기 위한 이상 상황 발생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상황 발생 알림 신호란 이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 이상 상황이 발생된 곳의 가스 농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4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400)은 컴퓨팅 장치(41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각 구성은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않았더라도 그 구성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410)는 작업장의 가스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예를 들어,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10)) 또는 작업장의 가스 농도를 센싱하기 위한 장치(예를 들어, 작업자 단말기(50), 현장 관리자 단말기(60) 및 고정형 단말기(7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4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 및 버스(4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12)는 버스(460)와 연결되고, 버스(46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41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서(412)에 연결한다.
프로세서(412)는 컴퓨팅 장치(410)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412)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412)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410)로 하여금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애플리케이션(430)에 포함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애플리케이션(43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430)은 프로세서(41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메모리(416) 및 저장 장치(418)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의 예이다. 메모리(416)에는 프로세서(4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로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16)에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메모리(416)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저장 장치(418)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착탈 가능하거나 착탈 불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장치(418)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컴퓨팅 장치(41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4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470)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20)는 버스(46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47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420)를 통해 컴퓨팅 장치(41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470)는 포인팅 장치,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0 :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
20 : 서버
30 : 게이트웨이
40 : 릴레이 장치
50 : 작업자 단말기
60 : 현장 관리자 단말기
70 : 고정형 단말기
102 : 인터페이스부
104 : 정보 수집부
106 : 정보 가공부
108 : 상태 알림부
110 : 단말기 보정부
112 : 통신부
114 : 저장부

Claims (7)

  1. 가스 센서가 마련되어, 기 설정된 범위의 가스 농도를 센싱하여 전송하는 작업자 단말기;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서 센싱된 가스 농도를 수신하고, 상기 가스 농도를 기반으로,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가스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경고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경고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단말기 정보 및 상기 가스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상기 상태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작업자 단말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자 단말기가 밀폐 공간에 위치되더라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릴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센싱된 상기 가스 농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이상 상황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이상 상황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대응 정보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6. 작업자 단말기가 센싱한 가스 농도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한 가스 농도를 기반으로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정보 가공부;
    상기 가스 정보 분석 결과를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가스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경고 상태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태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상기 상태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를 보정하는 단말기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의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0190043798A 2019-04-15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673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798A KR102673088B1 (ko) 2019-04-15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798A KR102673088B1 (ko) 2019-04-15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134A KR20200121134A (ko) 2020-10-23
KR102673088B1 true KR102673088B1 (ko) 2024-06-07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209B1 (ko) *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845942B1 (ko) * 2017-07-06 2018-04-05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209B1 (ko) *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845942B1 (ko) * 2017-07-06 2018-04-05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7578B1 (en) Multi-sensor input analysis for improved safety
US10928219B2 (en) Metering system response based on incident-related notification from third party system
US8542115B2 (en) Environmental sensor with webserver and email notification
US9188574B2 (en) Mobile gas detection cart with wireless transceiver
EP3319060B1 (en) Sensor communication testing
US20160107007A1 (en) Line connector having a lin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117594B1 (ko) Lpwa 통신기반 작업자 위험 감지 시스템
EP327024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and displaying site safety metrics
CN103888282A (zh) 基于核电站的网络入侵报警方法和系统
US20230020380A1 (en) Alarm and first responder systems, methods, and devices
JP2009159239A (ja) 異常検知支援システム
KR20170024975A (ko)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US20140340223A1 (en) Environmental alert for computer systems
US1002779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users of emergency impact zones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59625B1 (ko) 질식 화재 사고 방지 장치의 작업 안전 시스템 동작 방법
EP3451306B1 (en) Remote diagnostics for flame detectors using fire replay technique
KR102673088B1 (ko)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US201400919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lobal safety communication
KR102391895B1 (ko) 기존 센서를 활용한 센서 통합 운영 IoT 플랫폼 시스템
KR20200121134A (ko)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US20220128467A1 (en) Detecting and Monitoring Gas Leaks in an Industrial Setting
KR102445328B1 (ko) 반도체 설비 시공 현장의 안전 감시 정보의 자동화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85160A (ko) 클라우드 기반 재난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재난 분석 시스템
KR20220072136A (ko) IoT 무선통신 기반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