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975A -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975A
KR20170024975A KR1020150120695A KR20150120695A KR20170024975A KR 20170024975 A KR20170024975 A KR 20170024975A KR 1020150120695 A KR1020150120695 A KR 1020150120695A KR 20150120695 A KR20150120695 A KR 20150120695A KR 20170024975 A KR20170024975 A KR 20170024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nsor
cloud server
site
indust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준
이동성
김준호
이용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50120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4975A/ko
Publication of KR2017002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32Post and telecommun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Abstract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정 지역에 입주하여 있는 각 공단의 각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또는 분진가스 감지기 또는 유해가스 감지기 또는 진동 센서 또는 화재 감지기와 같은 센서들로 구성되는 센서부와, 상기 각 공단 내의 설치되는 센서부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IoT 망과 상기 각 공단 내부의 네트워크인 다수의 IoT 망과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망과, 상기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들을 수집하고 저장하며 각 공단별 및 각 공단내 개별 공장별로 사고 사례, 위반 사례를 분석하여 분석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사고 사례, 위반 사례를 표출하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Monitering System of Risk Factor of Industrial Complex and Industr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역별, 공단별 및 업종별 위험요소 및 사고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축적하고 원격에서의 모니터링 및 유사 사고의 방지를 통하여 개인의 안전과 지방자치 단체 및 국가적 안전 사고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각 공장이나 건설 현장에 대한 안전 사고를 모니터링하고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본 발명은 각 지역별, 공단별 및 업종별 위험 요소에 대한 모니터링과 사고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지역별, 공단별 및 업종별 안전 환경 표준(센서 설치 위치 및 대수 등에 대한 것임)을 제정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8987호(2014. 07. 15.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안전관리 통합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안전관리 통합시스템은 온도, 조도, 습도, 분진, 유해가스, 진동의 변화를 감지하고 변화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작업현장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위험구간으로 설정된 현장에는 위험 관련사항에 부합하는 센서를 추가적으로 증설할 수 있는 센서부(100), 작업자의 호흡량과 날숨의 성분 분석을 통하여 작업자 상태를 파악하고 위급상황 시 작업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마스크(200), 작업자의 인적 정보, 생체정보 및 작업 진행상황 데이터가 내장된 IC카드를 장착하고, 상기 센서부(100)의 검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마스크(200)를 제어하는 무선 단말기(300), 상기 센서부(100) 및 무선 단말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작업장 또는 작업자 주변의 안전상황에 따라 경고 신호 또는 업무 분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300) 측에 전달하는 관제센터(400) 및 상기 센서부(100), 마스크(200), 무선 단말기(300) 및 관제센터(400) 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는 지하철 작업현장에 특화된 습도센서, 분진센서, 가스센서, 진동센서를 포함하여 구성
되며, 상황에 따라 온도센서, 충격센서 또는 조도센서 등을 작업 현장 상황에 부합하도록 선택적으로 추가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400)는 작업 현장 곳곳에 포진되어있는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무선 단말기(300)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 작업 현황 데이터, 작업자의 생체정보 데이터 및 위험구간 데이터 등의 작업 환경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수집부(410), 상기 정보수집부(410)에 저장된 음향정보, 영상정보, 센싱정보, 작업자 입력정보 및 작업자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모니터링부(420), 상기 정보수집부(410)의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부(420)에서 분석하기 위한 각 상황별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고 저장하며, 상기 모니터링부(420)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부(430), 설정된 맞춤형 센서 데이터를 상기 센서부(100)로 전송하고, 저장된 위험구간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부(420)에서 위험을 요소를 감지하였을 시 경고를 작업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300)의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를 상기 정보수집수로 송수신하기 위한 제 3송수신부(440) 및 상기 모니터링부(420)에서 분석된 현장 데이터가 기준범위를 벗어날 시 상기 제 3송수신부(440)를 통하여 작업자의 무선 단말기(300)와 작업현장 내에 설치된 경고 알림장치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알림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고알림부(450)는, 센싱 데이터의 분석자료에 근거한 상황별 경고 알림이 가능하며, 분진센서 및 가스센서에 의한 경고일 경우, 작업장 내의 환풍기(미도시) 및 송풍기(미도시)를 제어하여 작업장의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유해가스로 인한 경고의 경우 작업자의 무선 단말기(300)로 산소 공급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마스크(200)의 산소 공급장치(230)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안전관리 통합시스템은 하나의 산업 현장에 대하여 안전 관리 요소, 사고 정보 수집 등을 통하여 현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나 다수의 공장이 위치해 있는 공단별, 산업 단지별 또는 지역별 안전 관리 요소 및 사고 정보 수집 및 수집된 사고 정보의 분석 등을 통하여 각 공단별, 산업 단지별 또는 지역별 표준 안전 환경을 도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안전 환경 분야의 투자가 어려운 중소 기업체에서는 각각의 기업이 투자가 어려워 투자를 하고 안전 관리를 대행하여 주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공장이 입주하고 있는 공단별, 업종별 또는 지역별로 안전 환경 분야 시스템을 네트워크화하여 클라우드 환경 분야에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관리 비용을 줄이고 유사 사고 발생의 분석 및 새로운 공단이나 산업 단지 조성 시 안전 환경 분야 시스템 구축 시 안전 환경 표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정 지역에 입주하여 있는 각 공단의 각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또는 분진가스 감지기 또는 유해가스 감지기 또는 진동 센서 또는 화재 감지기와 같은 센서들로 구성되는 센서부와, 상기 각 공단 내의 설치되는 센서부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IoT(Internet of Things) 망과 상기 각 공단 내부의 네트워크인 IoT 망과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망과, 상기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들을 수집하고 저장하며 각 공단별 및 각 공단 내 개별 공장별로 위반 사례를 분석하여 분석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위반 사례를 표출하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은 각 공단에 위치하는 개별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의 센서 종류 및 설치 위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클라우드 서버가 IoT 망과 인터넷 망을 통하여 각 공단의 각 공장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생성된 다수의 센서 정보인 현장 정보 및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된 다수의 현장 정보 및 고유 정보를 기초로 각 센서의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위반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장 정보와 수신된 고유 정보 및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클라우드 서버가 일정 기간 동안의 각 공단별로 현장 정보를 분석하고 그룹핑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스마트 단말기 소지자가 클라우디 서버에 접속하여 분석된 현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된 현장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은 각 공단별 및 각 공장별 사고 사례 및 위반 사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센서별로 감지되는 사고 사례 또는 위반 사례를 통하여 각 공단 또는 공장별 취약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공단 설립 시 안전 환경 표준 설정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안전 환경 시스템 구축이 어려운 중소 기업에 시스템 구축 및 관리를 대행함으로써 중소 기업의 비용 절감은 물론 안전 관리의 효율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공단별 또는 지역별 또는 업종별 시설 증설이나 신설 시에 안전한 환경을 구축을 위한 설계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각 공정별, 공단별, 지역별 및 업종별 현장 정보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쌓인 안전 환경에 대한 노하우(사고 사례, 자주 위반하는 안전 위반 사례 또는 카메라 설치 포인트 설정 및 설치 대수)를 공유하여 영업 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안전 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안전관리 통합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제1실시 예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제2실시 예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샘플 정유 A사의 센서부 설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제2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을 도 2 내지 도 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제1실시 예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제1실시 예는 일정 지역에 입주하여 있는 각 공단의 각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분진가스 감지기, 유해가스 감지기, 진동 센서, 화재 감지기와 같은 센서들로 구성되는 센서부(10)와, 상기 각 공단 내의 설치되는 센서부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IoT 망(20)과 상기 각 공단 내부의 네트워크인 다수의 IoT 망과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망(30)과, 상기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되는 현장 정보들을 수집하고 저장하며 각 공단별 및 각 공단 내 개별 공장별로 현장 정보를 분석하고 DB화 하여 분석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40)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현장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제2실시 예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제2실시 예는 일정 지역에 입주하여 있는 각 공단의 각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분진가스 감지기, 유해가스 감지기, 진동 센서, 화재 감지기와 같은 센서들로 구성되는 센서부(10-1)와, 상기 각 공단 내의 설치되는 센서부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IoT 망(20-1)과, 상기 IoT 망을 통하여 센서부에서 생성된 현장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고 수신된 현장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다수의 각 공단 관제 센터(40-1)와, 상기 다수의 각 공단 관제 센터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망(30-1)과, 상기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단 관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현장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며 각 공단별 및 각 공단 내 개별 공장별로 현장 정보를 분석하고 DB화 하며 분석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50-1)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현장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6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샘플 정유 A사의 센서부 설치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샘플 정유 A사의 센서부(10)는 외곽 경비 카메라(11), 열화상 카메라(12), 작업장 카메라(13), 분진가스 감지기(14) 또는 유해가스 감지기(15), 또는 진동센서(16) 또는 화재 감지기(17)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사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유사의 표준 설계 기준에 맞추어 설치 장소 및 설치 대수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장에 설치되는 카메라는 작업장에서 작업자를 촬영하고 전송하여 클라우드 서버에서 안전모 착용, 작업복, 장갑 등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사례를 수집하고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표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하는 안전 보호구의 미착용 위반 사례를 수집하여 저장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5에서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제1실시 예는 클라우드 서버에 각각의 공단을 공단별, 지역별, 업종별로 구분하여 저장 등록하고 및 각 공단의 각 공장의 센서부의 각 센서들을 고유 번호 및 설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저장 등록하는 단계(S11)와, 각 공단별 각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의 각 센서들이 센싱하거나 촬영된 현장 정보를 생성하여 IoT 망 및 인터넷 망을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2)와, 클리우드 서버가 수신되는 현장 정보를 공단별 및 각 공장별로 현장 정보를 분석하고 DB화 하여 저장하는 단계(S13)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각 공단별, 지역별, 업종별 또는 각 공장별 DB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와,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한 분석된 DB 정보를 표출하는 단계(S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현장 정보의 분석은 분진 센서의 경우는 센서 설치 지점의 분진 농도(개수 농도, 질량 농도로 표시할 수 있음) 및 평상 시 기준 분진 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진동 센서의 경우는 센서 설치 지점의 진동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가속도와 같은 진동 단위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해가스 감지기는 염소가스,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또는 아황산 가스 또는 인화성 가스와 같은 유해 가스 발생을 센싱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설치 지점에서의 유해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전송할 수 있는 것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또한 화재감지기는 화재시 발생하는 열, 연기 및 온도를 센싱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차동식 감지기, 연기 감지기 및 정온식 감지기 등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석된 현장 정보의 DB는 각 센서부에서 생성되어 전송하는 현장 정보를 각 공장별, 각 공단별, 지역별 및 업종별로 현장 정보 발생 횟수, 위반 횟수를 산정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별, 주별, 월별, 년별로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는 것이고 주별로 분석하면 정유사 A 공장에서의 이상 물체 침투 현장 정보 수신 3회/주, 분진 가스 발생 2회/주 등으로 표출될 수 있는 것이고, 정유사 B 공장 분진가스 발생 1/주, 화재 발생 1회/주와 같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정유사 A와 정유사 B가 속한 공단 A'의 1주간의 현장 정보는 이상물체 침투 3회/주. 분진가스 발생 3회/주, 화재 발생 1회/주와 같이 분석되고 DB화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공단을 각 공단이 속한 지역별로 분석할 수 있으며 각 공단의 각 공장을 업종별로 분류하거나 지역별 각 공단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현장 정보를 분석하고 DB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현장 정보의 분석에서는 센서부들이 센싱하지 못하여 사고로 나타난 경우 사고 정보를 기초로 필요한 센서와 센서 설치 위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입력 저장하여 현장 정보에 포함하는 단계(S16)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이상 물체 침투하였으나 카메라가 탐색하지 못한 경우 이상물체 침투 위치 및 침투 횟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입력 저장하여 현장 정보 분석에 카메라가 추가로 설치될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공단별, 지역별, 업종별이라는 것은 하나의 지역에 다수의 공단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업종별이란 각 공단 및 각 공단 내의 공장을 업종별로 분류하는 것으로 공단별, 지역별 및 업종별 및 각 개별 공장별 각 센서의 설치 대수 및 설치 위치를 DB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공장이 공단별, 지역별 및 업종별 DB에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제2실시 예(각 공단별 관제 센터구성)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6에서 본 발명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제2실시 예는 클라우드 서버에 각 공단별, 지역별, 업종별 및 각 공단의 각 공장의 센서부의 각 센서들을 고유 번호 및 설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저장 등록하는 단계(S21)와, 각 공단별 각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의 각 센서들이 센싱하거나 촬영된 현장 정보를 생성하여 IoT 망을 통하여 공단 관제 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2)와, 공단 관제 센터 서버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현장 정보를 인터넷 망을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3)와, 클리우드 서버가 수신되는 현장 정보를 공단별, 지역별, 업종별 및 각 공장별로 현장 정보를 분석하고 DB(data base)화 하여 저장하는 단계(S24)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각 공단별, 지역별, 업종별 또는 각 공장별 분석된 DB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5)와,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한 분석된 DB 정보를 표출하는 단계(S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제2실시 예에서도 센서부들이 센싱하지 못하여 사고로 나타난 경우 사고 정보를 기초로 추가로 필요한 센서와 센서 설치 위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입력 저장하여 현장 정보에 포함하는 단계(S27)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센서부가 센싱하지 못한 사고에 대한 현장 정보의 분석은 새로운 공장 증설 시에 표준 설계에 반영하여 표준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DB 정보에는 각 공장별 센서의 설치 위치 및 종류 등의 정보가 포함되고 추가로 공단별, 지역별 및 업종별 센서 종류 및 설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되어 분석될 수 있는 것이다.
10, 10-1 : 센서부, 20, 20-1 : IoT 망,
30,30-1 : 인터넷 망, 40,50-1 : 클라우드 서버,
50,60-1 : 스마트 단말기, 200 : 마스크,
300 : 무선 단말기

Claims (10)

  1. 일정 지역 내에 다수의 공장이 산재하여 분포하는 공단의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정 지역에 입주하여 있는 각 공단의 각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들로 구성되는 센서부(10)와;
    상기 각 공단 내의 설치되는 센서부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IoT 망(20)과;
    상기 각 공단 내부의 네트워크인 다수의 IoT 망과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망(30)과;
    상기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되는 현장 정보들을 수집하고 저장하며 각 공단별 및 각 공단 내 개별 공장별로 현장 정보를 분석하고 DB화 하여 분석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40);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현장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카메라 또는 분진가스 감지기 또는 유해가스 감지기 또는 진동 센서 또는 화재 감지기와 같은 센서들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센서들이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3. 일정 지역 내에 다수의 공장이 산재하여 분포하는 공단의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정 지역에 입주하여 있는 각 공단의 각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로 구성되는 센서부(10-1)와;
    상기 각 공단 내의 설치되는 센서부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IoT 망(20-1)과;
    상기 IoT 망을 통하여 센서부에서 생성된 현장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고 수신된 현장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다수의 각 공단 관제 센터(40-1)와;
    상기 다수의 각 공단 관제 센터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망(30-1)과;
    상기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단 관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현장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며 각 공단별 및 각 공단 내 개별 공장별로 현장 정보를 분석하고 DB화 하며 분석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50-1);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현장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6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카메라 또는 분진가스 감지기 또는 유해가스 감지기 또는 진동 센서 또는 화재 감지기와 같은 센서들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센서들이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5. 일정 지역 내에 다수의 공장이 산재하여 분포하는 공단의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은,
    클라우드 서버에 각각의 공단을 공단별, 지역별, 업종별로 구분하여 저장 등록하고 및 각 공단의 각 공장의 센서부의 각 센서들을 저장 등록하는 단계(S11)와;
    각 공단별 각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의 각 센서들이 센싱하거나 촬영된 현장 정보를 생성하여 IoT 망 및 인터넷 망을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2)와;
    클리우드 서버가 수신되는 현장 정보를 공단별 및 각 공장별로 현장 정보를 분석하고 DB화 하여 저장하는 단계(S13)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각 공단별, 지역별, 업종별 또는 각 공장별 DB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
    및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한 분석된 DB 정보를 표출하는 단계(S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을 저장 등록하는 것은,
    센서의 고유 번호 및 설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저장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은,
    센서부들이 센싱하지 못하여 사고로 나타난 경우 사고 정보를 기초로 추가로 필요한 센서와 센서 설치 위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입력 저장하여 현장 정보에 포함하는 단계(S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8. 일정 지역 내에 다수의 공장이 산재하여 분포하는 공단의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은,
    클라우드 서버에 각 공단별, 지역별, 업종별 및 각 공단의 각 공장의 센서부의 각 센서들을 저장 등록하는 단계(S21)와;
    각 공단별 각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의 각 센서들이 센싱하거나 촬영된 현장 정보를 생성하여 IoT 망을 통하여 공단 관제 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2)와;
    공단 관제 센터 서버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현장 정보를 인터넷 망을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3)와;
    클리우드 서버가 수신되는 현장 정보를 공단별, 지역별, 업종별 및 각 공장별로 현장 정보를 분석하고 DB화 하여 저장하는 단계(S24)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각 공단별, 지역별, 업종별 또는 각 공장별 분석된 DB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5);
    및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한 분석된 DB 정보를 표출하는 단계(S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센서들을 저장 등록하는 것은,
    각 센서의 고유 번호 및 설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저장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은,
    센서부들이 센싱하지 못하여 사고로 나타난 경우 사고 정보를 기초로 추가로 필요한 센서와 센서 설치 위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입력 저장하여 현장 정보에 포함하는 단계(S2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공단 업종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KR1020150120695A 2015-08-27 2015-08-27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KR20170024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695A KR20170024975A (ko) 2015-08-27 2015-08-27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695A KR20170024975A (ko) 2015-08-27 2015-08-27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975A true KR20170024975A (ko) 2017-03-08

Family

ID=5840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695A KR20170024975A (ko) 2015-08-27 2015-08-27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497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5127A (zh) * 2018-01-09 2018-07-06 正知(上海)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工业人机界面的工业现场远程监控管理系统及方法
CN108877158A (zh) * 2017-05-12 2018-11-23 波音公司 模块化安全监控和警告系统及其使用方法
KR20210004037A (ko) * 2019-07-03 2021-01-13 제이엔케이히터(주) IoT 기반의 유해화학물질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04038A (ko) * 2019-07-03 2021-01-13 제이엔케이히터(주) 유해화학물질 누출 방재를 위한 관제 시스템
CN114143345A (zh) * 2021-11-29 2022-03-0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一种电缆隧道物联子站监控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7158A (zh) * 2017-05-12 2018-11-23 波音公司 模块化安全监控和警告系统及其使用方法
CN108877158B (zh) * 2017-05-12 2022-05-31 波音公司 模块化安全监控和警告系统及其使用方法
CN108255127A (zh) * 2018-01-09 2018-07-06 正知(上海)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工业人机界面的工业现场远程监控管理系统及方法
KR20210004037A (ko) * 2019-07-03 2021-01-13 제이엔케이히터(주) IoT 기반의 유해화학물질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04038A (ko) * 2019-07-03 2021-01-13 제이엔케이히터(주) 유해화학물질 누출 방재를 위한 관제 시스템
CN114143345A (zh) * 2021-11-29 2022-03-0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一种电缆隧道物联子站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126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Process Safety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JP5893376B2 (ja) 健康管理及びプラント保全のために有毒ガスへの暴露のコンプライアンス及び警告を提供し有毒ガスへの暴露を警告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70024975A (ko)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KR102164651B1 (ko) 산업용 가스공급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US20170236397A1 (en) Safety control room
CN102007426A (zh) 用于人员的位置监视装置
CN102393706A (zh) 基于物联网的消防远程监管安评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726138B1 (ko) 제철소내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소내 안전 관리 방법
KR20160116144A (ko)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CN111178828A (zh) 一种建筑消防安全预警的方法和系统
KR102339691B1 (ko) 산업단지를 위한 지능형 통합 재난 관제 플랫폼 서버
KR102240068B1 (ko) 테블릿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Bragatto et al. Potential and limits of IoT for hazardous job in process industries
KR10256272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74445A (ko) 비상상황 대처시스템
CN104570977A (zh) 一种火工品安全生产监管系统
CN114257607B (zh) 一种智能化危险化学品全生命周期管理系统
Scislo et al. Near Real-Time Access Monitoring Based on IoT Dynamic Measurements of Indoor Air Pollutant
KR20230115112A (ko) 스마트 공장 관리 시스템
KR102496668B1 (ko) 스마트 안전 관리 및 안전 사고 예측 방법 및 시스템
Jain et al. SIMDPS: Smart Industrial Monitoring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2445328B1 (ko) 반도체 설비 시공 현장의 안전 감시 정보의 자동화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U505202B1 (en) Monitoring system for mining safety
KR102335155B1 (ko) 이동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화재감지 시스템
KR102459422B1 (ko) 지능형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