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173A -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173A
KR20230146173A KR1020220044669A KR20220044669A KR20230146173A KR 20230146173 A KR20230146173 A KR 20230146173A KR 1020220044669 A KR1020220044669 A KR 1020220044669A KR 20220044669 A KR20220044669 A KR 20220044669A KR 20230146173 A KR20230146173 A KR 2023014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ful gas
alarm
gas detection
equipment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동준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4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173A/ko
Publication of KR2023014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1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4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sensors, e.g. for detecting contact or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 장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가스 감지센서,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알람부, 및 유해가스 감지센서에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알람부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장비와, 그리고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어,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유해가스의 물질과 농도를 전송받는 관리서버 또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을 통해, 작업장에서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경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도피와 안전을 충분히 도모할 수 있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SAFETY APPARATUS OF HARMFUL GAS DETECTION AND ALARM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장에서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신속한 경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도피와 안전을 충분히 도모할 수 있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독물질이 저장된 탱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선박 탱크, 화학설비 공장 등의 산업시설은 주기적으로 유지보수 및 청소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유지보수 및 청소 작업에 투입되는 작업자들은 대부분이 마스크, 랜턴, 안전모 등의 간단한 안전장비를 구비한 상태로 작업에 투입됨으로써, 산업시설의 설비에서 누출되는 환경 유해 가스의 유독물질에 쉽게 노출되고, 그에 따른 치명적인 인명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유독물질을 처리하는 설비 현장에서의 설비의 유지보수 및 청소를 위한 작업 시에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된 경우, 작업자가 인지하기 어려운 무색 무취의 가스로 인한 인명 피해가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28227호 (유해가스 감지센서가 구비된 마스크, 2021.11.17.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3330호 (유해가스 감지센서를 구비한 안전화를 이용한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2022.01.19. 공고)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장에서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신속한 경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도피와 안전을 충분히 도모할 수 있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 상기 장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가스 감지센서;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알람부; 및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부는 복수의 색상을 제공하는 알람등을 포함하되, 상기 알람등은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유해가스의 감지농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에 해당하는 제1 임계 값과 제2 임계 값이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알람등을 녹색으로 점등하며,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제1 임계 값 이상이고 제2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알람등을 노란색으로 점등하며,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알람등을 빨간색으로 점등하는 각각의 점등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알람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제1 임계 값 이상이면, 감지된 상기 유해가스의 물질과 농도, 및 마스크 착용 및 대피 안내를 유도하는 경고 멘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방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비는 안전모, 안전화 또는 작업복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 상기 장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가스 감지센서,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알람부, 및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장비;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유해가스의 물질과 농도를 전송받는 관리서버 또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장비는 스피커, 카메라 및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 또는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는 또는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유해가스의 물질과 농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안내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안내정보를 전송한 이후,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가 소정 시간 변동이 없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또는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가장 근접한 다른 작업자에게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 및 대피 경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 또는 중앙관제센터와, 상기 작업자, 상기 다른 작업자는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장에서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신속한 경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도피와 안전을 충분히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 장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가스 감지센서,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알람부, 및 유해가스 감지센서에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알람부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작업장에서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신속한 경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도피와 안전을 충분히 도모할 수 있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100)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비(110), 장비(11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가스 감지센서(120), 유해가스 감지센서(120)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알람부(130), 및 유해가스 감지센서(120)에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알람부(130)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110)는 작업자가 유해가스가 발생 가능한 위험작업공간에서 작업 시에 착용하는 안전 장비로서, 안전모, 작업복, 안전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안전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유해가스 감지센서(120)는 장비(110)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공간에 있을 때, 작업공간에 있는 공기 중의 분포 및 확산되는 유해가스의 종류와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공지의 유해가스 감지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알람부(130)는 장비(110)에 설치되어 유해가스 발생 시에 작업자에게 경보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램프류 등의 알람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알람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알람부(130)는 복수의 색상을 제공하는 알람등(131)을 포함하되, 알람등(131)은 유해가스 감지센서(120)에 감지되는 유해가스의 감지농도에 서로 다른 색상, 예컨대 녹색, 노란색 또는 빨간색 등로 점등 또는 점멸될 수 있다. 알람등(131)은 녹색, 노란색, 또는 빨간색 등의 다양한 색상이 구현 가능한 엘이디를 포함한 엘이디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람등(131)의 녹색은 가스 누출이 거의 없거나 없는 위험 상황이 아닌 정상 상태를, 노란색은 가스 누출은 있으나 그 농도가 인체에 치명적이진 않은 위험 상황을, 빨간색은 누출된 가스의 농도가 인체에 치명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등(131)은 장비(110)의 일 예인 안전모나, 작업복뿐만 아니라 안전화도 구현이 가능하다.
알람부(130)는 제어부(150)에 연결되는 스피커(135) 및 마이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35)와 마이크(14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대한 경고 멘트의 방송과 작업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다른 작업자, 관리서버(170) 또는 중앙관제센터(180)로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유해가스 감지센서(120)에 연결되어 유해가스 감지센서에서 유해가스의 감지 시에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알람등(131)의 색상을 변화시켜 작업자에게 경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알람등(131)의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모두 구현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을 위한 통신부(151),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저장부(152), 및 데이터 처리와 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처리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53)는 알람등(131)의 색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부(152)에 연결되어 유해가스의 감지농도에 따라 알람등(131)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의 저장부(152)에는 유해가스 감지센서(120)에서 측정되는 유해가스의 농도에 해당하는 제1 임계 값, 및 제1 임계 값보다 높은 제2 임계 값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의 처리부(153)는 유해가스의 농도가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알람등(131)을 녹색으로 점등하며, 유해가스의 농도가 제1 임계 값 이상이고 제2 임계 값 미만이면, 알람등(131)을 노란색으로 점등하며, 유해가스의 농도가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알람등(131)을 빨간색으로 점등하는 각각의 점등 신호를 발생시켜 알람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 값은 유해가스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수준의 농도일 수 있고, 제2 임계 값은 유해가스 노출 시 인체에 치명적인 수준의 농도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임계 값 및 제2 임계 값은 유해가스 별로 치명적인 수준의 농도 값이 다를 수 있어, 유해가스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저장부(152)에는 전술한 유해가스 별 각각의 제1 임계 값과 제2 임계 값이 저장될 수 있고, 처리부(153)는 감지되는 유해가스 별로 제1 임계 값과 제2 임계 값을 대응시켜 알람등(131)의 색상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유해가스가 누출되어 확산되기 시작하는 지점의 주변 작업자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타 작업자의 알람등(131)의 색상만을 보고도 초기에 대피 및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유해가스가 무색 무취인 경우에 매우 효과적인 대피 및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의 저장부(152)에는 유해가스의 감지에 따른 물질과 농도, 마스크 착용 및 대피 안내를 유도하는 경고 멘트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는 유해가스 감지센서(120)를 통해 유해가스 농도가 제1 임계 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작업자의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전술한 경고 멘트를 작업자에게 자동으로 방송할 수 있다.
이때, 경고 멘트는 제어부(150)의 저장부(152)에 저장되어 처리부(153)에 의해 구현되고 스피커(135)를 통해 작업자나 주변 작업자들에게 방송하는 음성 데이터로서, 후술하는 관리서버(170) 또는 중앙관제센터(180)와의 통신 연결 여부와 상관없이,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 자체에 저장되어 있어, 관리서버(170) 또는 중앙관제센터(180)와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공간에 투입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초기 대피 및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170)는 중앙관제센터(18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장비(110)의 일 예로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를 상정할 경우, 해당 안전모의 전방측에는 상하 이동으로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는 안전모 일체형의 보안경을 구비한 마련될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안전모의 구성은, 유해가스의 누출 상태에서 작업자의 눈으로 가스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눈을 자동으로 보호하는 것으로서, 유해가스의 농도가 인체에 치명적인 수준일 경우 즉시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유해가스의 농도가 전술한 제2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안전모에 장착된 보안경을 자동으로 하측으로 작동시켜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경의 구성은 안전모의 본체 전방측에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필요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의 눈을 가리게 되는 형상으로, 예컨대 파일럿이 착용하는 헬멧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장비(110)에 마련되어 제어부(150)에 연결되는 카메라(161), 위치감지센서(165), 및 통신부(166)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작업자의 작업 상황이나 이동 경로 및 현재 위치를 촬영하는 수단이고, 위치감지센서(165)는 GPS센서 등과 같이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며, 통신부(151)는 제어부(150)에 수집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때, 통신부(166)는 제어부(150)에 마련된 통신부(151)에 통합되어 구성되거나, 혹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100)를 활용한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 장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가스 감지센서,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알람부, 및 유해가스 감지센서에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알람부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장비와, 그리고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어,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유해가스의 물질과 농도를 전송받는 관리서버 또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여 작업장에서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신속한 경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도피와 안전을 충분히 도모할 수 있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100)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관리서버(170) 또는 중앙관제센터(180)에 연결되어 시스템적 지휘 체계에서 작동 및 관리될 수 있도록,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100), 및 통신부(151)에 연결되는 관리서버(170) 또는 중앙관제센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유해가스 감지센서(120)에 측정된 유해가스의 물질과 농도, 카메라(16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위치감지센서(165)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통신부(151)를 통해 관리서버(170) 또는 중앙관제센터(18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170)는 또는 중앙관제센터(180)는 유해가스의 물질과 농도, 카메라(16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위치감지센서(165)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안내정보를 통신부(151)에 전송하여 스피커(135)를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170) 또는 중앙관제센터(180)는,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안내정보를 전송한 이후, 소정 시간 동안 해당 작업자의 위치감지센서(165)에 의해 측정된 작업자의 위치정보에 변동이 없는 경우, 작업자의 대피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으로 인식하여 해당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소정 반경 이내 또는 가장 근접한 타 작업자에게 해당 작업자의 위치정보 및 대피를 위한 안내정보(대피경로)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서버(170) 또는 중앙관제센터(180)와, 해당 작업자, 그리고 타 작업자 간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3자 연결이 되어 대피를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의 저장부(152)에는 해당 장비(110)를 착용한 작업자의 신원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이러한 작업자의 신원정보가 통신부(151)를 통해 관리서버(170) 또는 중앙관제센터(180)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해당 작업자의 신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관리서버(170)는 또는 중앙관제센터(180)는, 카메라(161)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위치감지센서(165)에 의해 측정된 작업자의 위치정보가 대피를 위한 안내정보, 예컨대 비상구 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거나, 혹은 작업자의 이동이 없이 동일한 영상만을 전송하고 있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대피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으로 인식하여 해당 작업자의 위치정보 또는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가장 근접한 타 작업자에게 해당 작업자의 위치정보 및 대피를 위한 안내정보(대피경로)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응용 예는, 상기에 나타난 실시 양태들로 제한되진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 항들을 적절히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
110: 장비 120: 유해가스 감지센서
130: 알람부 131: 알람등
135: 스피커 140: 마이크
150: 제어부 151: 통신부
152: 저장부 153: 처리부
161: 카메라 165: 위치감지센서
170: 관리서버 180: 중앙관제센터

Claims (10)

  1. 작업자가 착용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
    상기 장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가스 감지센서;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알람부; 및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복수의 색상을 제공하는 알람등을 포함하되,
    상기 알람등은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유해가스의 감지농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에 해당하는 제1 임계 값과 제2 임계 값이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제1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알람등을 녹색으로 점등하며,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제1 임계 값 이상이고 제2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알람등을 노란색으로 점등하며,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알람등을 빨간색으로 점등하는 각각의 점등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알람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제1 임계 값 이상이면, 감지된 상기 유해가스의 물질과 농도, 및 마스크 착용 및 대피 안내를 유도하는 경고 멘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는 안전모, 안전화 또는 작업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
  6. 작업자가 착용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 상기 장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해가스 감지센서,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알람부, 및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서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장비;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유해가스의 물질과 농도를 전송받는 관리서버 또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장비는 스피커, 카메라 및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에 의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 또는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또는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유해가스의 물질과 농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안내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안내정보를 전송한 이후,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가 소정 시간 변동이 없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또는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가장 근접한 다른 작업자에게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 및 대피 경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 또는 중앙관제센터와, 상기 작업자, 상기 다른 작업자는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통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KR1020220044669A 2022-04-11 2022-04-11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KR20230146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669A KR20230146173A (ko) 2022-04-11 2022-04-11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669A KR20230146173A (ko) 2022-04-11 2022-04-11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173A true KR20230146173A (ko) 2023-10-19

Family

ID=8850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669A KR20230146173A (ko) 2022-04-11 2022-04-11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61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83450A (zh) * 2024-02-26 2024-03-29 山东鼎泰新能源有限公司 一种化学品生产装置实时安全预警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227B1 (ko) 2021-02-15 2021-11-17 최진혁 유해가스 감지센서가 구비된 마스크
KR102353330B1 (ko) 2020-11-18 2022-01-19 주식회사 그린에스시스템즈 유해가스 감지센서를 구비한 안전화를 이용한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330B1 (ko) 2020-11-18 2022-01-19 주식회사 그린에스시스템즈 유해가스 감지센서를 구비한 안전화를 이용한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KR102328227B1 (ko) 2021-02-15 2021-11-17 최진혁 유해가스 감지센서가 구비된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83450A (zh) * 2024-02-26 2024-03-29 山东鼎泰新能源有限公司 一种化学品生产装置实时安全预警装置
CN117783450B (zh) * 2024-02-26 2024-05-10 山东鼎泰新能源有限公司 一种化学品生产装置实时安全预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669B1 (ko)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102101584B1 (ko)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004913A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034387B1 (ko) 화재 발생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1305211B1 (ko) 질식 방지용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46173A (ko)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KR200475222Y1 (ko) 비상 대피 유도 장치
US201402039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rn prevention
KR20190004083A (ko)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CN109785550A (zh) 逃生指示方法、装置、控制系统和存储介质
KR101864250B1 (ko) 가스 유출 위험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광섬유 발광 패치 타입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50590A (ko) 위험작업공간 내 작업자 안전 시스템
KR20130052420A (ko)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KR20170079166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253851B1 (ko)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KR101123488B1 (ko) 선박의 화재 및 침수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하는 능동형 안전시스템
JP6439016B1 (ja) 警報システム
CN106730558A (zh) 一种消防安全控制系统
KR102014184B1 (ko) 대피로 통제 시스템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20210060750A (ko)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37246B1 (ko) 안전 관리 장치 세트 및 시스템
KR20180055599A (ko)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