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750A -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750A
KR20210060750A KR1020190148145A KR20190148145A KR20210060750A KR 20210060750 A KR20210060750 A KR 20210060750A KR 1020190148145 A KR1020190148145 A KR 1020190148145A KR 20190148145 A KR20190148145 A KR 20190148145A KR 20210060750 A KR20210060750 A KR 20210060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ot
evacu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prov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연지
유태연
Original Assignee
코리아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750A/ko
Publication of KR2021006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IoT 화재 경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IoT 화재 경고 센서는 화재를 감지한 경우, 방향 지시등을 통해 대피 경로를 안내하고, 무선 통신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피 경로를 전송하며, 미리 설정된 유관 기관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SYSTEM OF PROVIDING AI FIRE EVACUATION SOLUTION BASED ON IOT}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 예를 들어 지하철에서 화재 발생 시, 보다 다양한 방법과 인공지능화된 대피 경로를 통해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발화 지점 및 화염의 이동 경로를 신속히 유관 기관에 제공하여, 빠른 진화 작업 및 인명 구조 작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화재 대피 시스템으로는 화재 발생 시 불빛으로 인하여 지시등의 식별이 불가하고, 전기 시스템의 단절로 대피자의 위치 파악이 어려울 수 있으며, 어두운 연기 속에서도 지시등의 식별이 불가하다. 또한, 획일화된 대피 경로로 인해 압사 등의 사고 발생 위험 존재하고,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화재 대피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4455호가 있다.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매체를 통한 대피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 대피 시스템을 마련하여, 피해 규모를 최소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유관 기관, 예를 들어 소방서의 소방관에게 건물 내의 인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IoT 화재 경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IoT 화재 경고 센서는 화재를 감지한 경우, 방향 지시등을 통해 대피 경로를 안내하고, 무선 통신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피 경로를 전송하며, 미리 설정된 유관 기관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IoT 화재 경고 센서는 온도, 습도, 및 연기를 감지하고, 360도 회전 가능하고, 상기 방향 지시등은 3차원 레이저를 통해 발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대피 경로는 인공지능을 통한 최단 거리를 제공하고, 화재 발화 지점 및 확산 경로를 포함하며, 분산 대피 경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매체, 예를 들어 방향 지시등, 스마트폰 등을 통한 대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 대피 시스템을 마련하여, 대피자들의 대피 경로를 분산시켜, 피해 규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관 기관, 예를 들어 소방서의 소방관에게 건물 내의 인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3D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화재 경고 센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화재 경고 센서가 다양한 매체와 연결되는 솔루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통해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교시들이 다양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지만, 본 교시들이 그러한 실시예들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교시들은 다양한 대안들, 수정들, 및 동등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화재 경고 센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IoT 화재 경고 센서는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대피자의 대피 경로를 화살표 등으로 안내하는 방향 지시등을 통해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IoT 화재 경고 센서는 온도, 습도 및 연기 등도 감지할 수 있고, 특히 화재의 발생과 연기의 발생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IoT 화재 경고 센서는 내부에 장착된 발광체가 360도 회전할 수 있고, 발광체는 그대로 유지한 채 외부의 복수 방향의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이 360도 회전할 수도 있다. 또는, IoT 화재 경고 센서는 복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복수의 발광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IoT 화재 경고 센서는 3차원 레이저로 구성될 수 있다. IoT 화재 경고 센서의 방향 지시등의 구성은 위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IoT 화재 경고 센서는 근거리 또는 중,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므로 Beacon 통신, Rora 통신, BLE 통신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IoT 화재 경고 센서는 근처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화재 대피 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의 전원이 켜져 있다면, 비상시의 알람 기능(예를 들어, 강제 팝업)을 통해 화재 발생 사실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IoT 화재 경고 센서는 평소에는 건물 내에 연결된 전기 계통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나, 화재 발생 시 건물 내의 전기 계통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더라도,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어, 최장 3시간 동안 작동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화재 경고 센서가 다양한 매체와 연결되는 솔루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IoT 화재 경고 센서는, 예를 들어 다양한 지하철앱 API와 연동되어, 지하철역에서의 대피 경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IoT 화재 경고 센서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제 센터(예를 들어, 역사 내 관제실, 최인접 소방서)에 화재 발생 사실을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통해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개념도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IoT 화재 경고 센서를 통해 화재 발화 지점 및 확산 경로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인공지능을 이용한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화재 경고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 습도 및 연기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통해 대피할 경우, 단위 시간 또는 단위 거리 당 대피자에게 영향을 미칠 온도, 습도 및 연기의 총합 또는 평균 등을 산출하여, 대피자에게 최단 거리의 대피 경로를 제공하되, 대피자에게 위험이 최소화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지하철역과 같이 사람들이 밀집해 있는 공간에서, 한 쪽으로의 출구만으로 대피자가 모여들어 병목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써 피해가 커질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분산 대피 경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유관 기관, 예를 들어 소방서에 화재 발생 사실을 제공하고, 소방서 또는 소방관의 사용자 단말에 건물의 3차원 도면을 제공하여, 화재 발화 지점 및 확산 경로를 제공하고, 건물 내의 사람(즉, 사용자 단말을 지니고 있는 사람 및 IoT 화재 경고 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사람 등)을 상기 3차원 도면에 빨간색 점 등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소방관이 신속히 화재 진압을 하고, 인명 구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매체, 예를 들어 방향 지시등, 스마트폰 등을 통한 대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 대피 시스템을 마련하여, 대피자들의 대피 경로를 분산시켜, 피해 규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관 기관, 예를 들어 소방서의 소방관에게 건물 내의 인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3D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IoT 화재 경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IoT 화재 경고 센서는 화재를 감지한 경우, 방향 지시등을 통해 대피 경로를 안내하고, 무선 통신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피 경로를 전송하며, 미리 설정된 유관 기관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화재 경고 센서는 온도, 습도, 및 연기를 감지하고, 360도 회전 가능하고,
    상기 방향 지시등은 3차원 레이저를 통해 발광 가능한,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경로는 인공지능을 통한 최단 거리를 제공하고, 화재 발화 지점 및 확산 경로를 포함하며, 분산 대피 경로로 구성되는,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190148145A 2019-11-19 2019-11-19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KR20210060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145A KR20210060750A (ko) 2019-11-19 2019-11-19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145A KR20210060750A (ko) 2019-11-19 2019-11-19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750A true KR20210060750A (ko) 2021-05-27

Family

ID=7613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145A KR20210060750A (ko) 2019-11-19 2019-11-19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7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826A (ko) * 2021-11-30 2023-06-08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POF(Plastic Optical Fiber)를 이용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스마트 유도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대피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826A (ko) * 2021-11-30 2023-06-08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POF(Plastic Optical Fiber)를 이용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스마트 유도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대피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774B1 (ko)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100971623B1 (ko)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1634207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34387B1 (ko) 화재 발생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81981B2 (ja) 災難警報及び災難訓練機能を備えたled照明灯システム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101583184B1 (ko) 재난 감지 시스템
CN213789746U (zh) 基于物联网和gis技术的文物智慧消防平台
KR101185405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513949B1 (ko)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190026503A (ko) 피난 가이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피난 가이드 시스템
KR102580356B1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JP2015153177A (ja) 支援システム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210060750A (ko)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WO2017138543A1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20190134543A (ko)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894710A (zh) 一种温度监测警告装置及消防警示系统
KR20190128321A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KR102084845B1 (ko)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
KR102642879B1 (ko) 하이브리드 POF(Plastic Optical Fiber)를 이용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스마트 유도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대피정보 제공 방법
KR20190092200A (ko) 화재감지시 스마트앱을 통한 안전탈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