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949B1 -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949B1
KR101513949B1 KR1020140146126A KR20140146126A KR101513949B1 KR 101513949 B1 KR101513949 B1 KR 101513949B1 KR 1020140146126 A KR1020140146126 A KR 1020140146126A KR 20140146126 A KR20140146126 A KR 20140146126A KR 101513949 B1 KR101513949 B1 KR 10151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pecific
rating
rescu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렉스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렉스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렉스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4014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은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중 특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지도 상에 매칭시켜 구조 대원의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 및 화재 감지 센서가 위치한 곳의 건축물의 재료에 따라 화재 등급을 결정하고, 구조 대원과 구조 대상자 사이의 거리 및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결정한 후에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에 따라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여 표시함으로써 구조 대원이 최단 시간 내에 화재 구역에 진입할 수 있으며, 화재를 조기에 진입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METHOD OF PROVIDING ACCIDENT RESCUE NAVIG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환경이 급격히 다변화되면서, 화재, 폭발, 붕괴 등과 같은 각종 대규모 재난·사고의 발생 빈도 수 또한 대폭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재난시설(또는, 재난지역) 내에서, 인명을 실질적으로 구출/구호하고, 재난상황을 진압하는 소방관, 경찰관, 구급대원 등과 같은 재난구조요원의 위상 또한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재난시설 내에 투입된 재난구조요원들은 해당 재난시설의 곳곳으로 흩어져, 이에 고립되어 있던 구조대상자를 수색하고, 이들을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시키는 활동, 화재 등의 재난상황을 진압하는 활동 등을 주로 전개하게 된다.
그러나, 재난·사고가 발생한 재난시설은 일반적으로 전기의 공급이 강제로 끊겨, 매우 어두울 뿐만 아니라, 곳곳에 화염, 가스등의 위험인자가 폭넓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구조대상자뿐만 아니라, 재난구조요원까지 위험에 처하게 되는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게 된다.
각 재난구조요원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 이동경로, 위치 등을 정확하게 인지하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각 재난구조요원들은 재난시설 곳곳을 효과적으로 수색하지 못하고, 여러 재난구조요원들이 일시에 한 곳에 몰리는 불합리한 움직임을 보일 수밖에 없거나, 나아가, 주변에 위험에 처한 동료 재난구조요원이 있다 하여도, 이를 적시에 구조하지 못하는 등의 불합리한 처지에 불가피하게 놓일 수밖에 없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3840호는 재난용 대피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의 유형 및 재난별로 안전지역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소정의 거리를 정의하고, 그에 따라 재난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를 유도할 대피소를 적응적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인용발명은 구조자가 구조 대상자를 효과적으로 구조하기 위한 방법은 언급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3840호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 및 화재 감지 센서가 위치한 곳의 건축물의 재료에 따라 화재 등급을 결정하고, 구조 대원과 구조 대상자 사이의 거리 및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결정한 후에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에 따라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여 표시함으로써 구조 대원이 최단 시간 내에 화재 구역에 진입할 수 있으며, 화재를 조기에 진입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쿨러의 내부에 중계기를 설치함으로써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전기 끊김이 발생하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항상 정상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구조 대원의 위치 및 구조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은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중 특정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 및 해당 위치의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지도 상에 매칭시켜 구조 대원의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는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중 특정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하는 화재 등급 결정부, 상기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 및 해당 위치의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이동 경로 설정부 및 상기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지도 상에 매칭시켜 구조 대원의 단말에 표시하는 이동 경로 표시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 및 화재 감지 센서가 위치한 곳의 건축물의 재료에 따라 화재 등급을 결정하고, 구조 대원과 구조 대상자 사이의 거리 및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결정한 후에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에 따라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여 표시함으로써 구조 대원이 최단 시간 내에 화재 구역에 진입할 수 있으며, 화재를 조기에 진입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쿨러의 내부에 중계기를 설치함으로써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전기 끊김이 발생하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항상 정상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구조 대원의 위치 및 구조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의 실행 과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구조 대원의 단말(100)에 설치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조 대원의 단말(100)은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 진입하여 구조 대상자를 구조하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프로세싱능력, 위치확인수단(예컨대, GPS 모듈, 관성센서 등), 통신능력이 존재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스마트 폰, 노트불, 타블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시스템은 구조 대원의 단말(100)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소프트웨어 및 구조 대원의 단말(100)에 구비된 하드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구조 대원의 단말(100)에 소프트웨어가 설치됨으로써,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위해 별도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구조 대원의 단말(100)과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시스템은 동일한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기능을 하는 고사양의 단말기는 자체적으로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경로 탐색을 위한 네비게이션 알고리즘의 연산을 스스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고사양의 단말기가 아닌 경우에는, 지도정보도 현재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필요한 정보만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서버에서 제공하고, 네비게이션 알고리즘의 연산 역시 서버에서 수행된 뒤 수행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현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기능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구조 대원이 구조 대상자를 구조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서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시스템과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와의 무선통신이 원활히 수행되어야 가능할 수 있다.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건물 내부에 각각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중 특정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화재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하고,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여 지도 상에 매칭시켜 구조 대원의 단말(100)에 표시한다.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이동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서 중계기와 통신하는 구조 대원의 단말(100) 및 구조 대상자의 단말(300) 각각의 위치와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결정하고,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에 따라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400)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 센서(400)는 건물이 상가인 경우 상가의 상점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재 감지 센서(400)는 불이 나면 화재를 감지하여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에 화재 감지 정보를 제공한다.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는 중계기(500)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기(500)는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쿨러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기(500)가 스프링쿨러의 내부에 설치되면 화재 시 전기가 끊기더라도 작동하여 구조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화재 등급 결정부(210), 이동 경로 설정부(220), 이동 경로 표시부(230), 건축물 정보 DB(240) 및 시뮬레이션부(250)를 포함한다.
화재 등급 결정부(210)는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중 특정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한다. 화재 등급 결정부(210)는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와 해당 위치의 화재 등급을 이동 경로 설정부(22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등급 결정부(210)는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 및 건축물 정보 DB(240)에서 독출한 화재 감지 센서가 위치한 곳의 건축물 재료에 따라 해당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화재 등급 결정부(210)는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상이고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이면 화재 등급을 초기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화재 등급 결정부(210)는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하이고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이거나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상이고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이면 화재 등급을 중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화재 등급 결정부(210)는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하이고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이면 화재 등급을 최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설정부(220)는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쿨러의 내부에 설치된 중계기와 통신하는 구조 대원의 단말 및 구조 대상자의 단말 각각의 위치와 화재 등급 결정부(210)에 의해 결정된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이동 경로 설정부(220)는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 표시부(23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이동 경로 설정부(220)는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위치에 따라 해당 구조 대상자를 구조할 수 있는 구조 난이도를 결정하고, 구조 난이도에 따라 구조 대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경로 설정부(220)는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쿨러의 내부에 설치된 중계기와 통신하는 구조 대원의 단말 및 구조 대상자의 단말 각각의 좌표를 3차원 좌표계 표시하고,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 및 화재 등급 결정부(210)에 의해 결정된 화재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결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동 경로 설정부(220)는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고 화재 등급이 초기 등급이면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초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동 경로 설정부(220)는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고 화재 등급이 중간 등급이거나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고 화재 등급이 초기 등급이면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중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동 경로 설정부(220)는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고 화재 등급이 최후 등급이면 상기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고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설정부(220)는 구조 대원의 구조 완료 알림에 따라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 및 출입구의 좌표 사이의 거리 및 화재 등급 결정부(210)에 의해 결정된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다시 탐색한다. 이동 경로 설정부(220)는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이동 경로 표시부(230)에 제공한다.
이동 경로 표시부(230)는 이동 경로 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건축물 정보 DB(240)에서 독출한 건물의 내부 지도 상에 매칭시켜 구조 대원의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 경로 표시부(230)는 구조 대원이 실제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과 같이 보이도록 구조 대원 관점에서 3D 가상 건축물의 내부 모습(이동 경로의 내부 모습)을 조정(확대/축소/이동/회전)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 대원은 최단 시간 내에 화재 구역에 진입할 수 있으며, 화재를 조기에 진입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건축물 정보 DB(240)는 건축물의 3D 도면정보, 건축물 내 설치된 장치들, 건축물 재료, 건축물의 내부 구조 등에 대한 정보에 저장되어 있다.
시뮬레이션부(250)는 건물관리자 또는 구조 대원이 기 작성한 시나리오에 따라 건축물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화재 상황들을 3D 가상건축물 상에서 가상적으로 발생시켜 시뮬레이션 시켜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중 특정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10).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한다(단계 S320).
단계 S3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 및 화재 감지 센서가 위치한 곳의 건축물 재료에 따라 해당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상이고 상기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이면 상기 화재 등급을 초기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하이고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이거나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상이고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이면 상기 화재 등급을 중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하이고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이면 상기 화재 등급을 최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단계 S330).
단계 S3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 및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을 결정하고,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에 따라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고 화재 등급이 초기 등급이면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초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고 화재 등급이 중간 등급이거나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고 화재 등급이 초기 등급이면 상기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중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고 화재 등급이 최후 등급이면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고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지도 상에 매칭시켜 구조 대원의 단말에 표시한다(단계 S34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의 실행 과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재는 건물의 3층의 F 영역에서 발생되었으며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400_1 내지 400_9)는 이를 감지하고 화재 감지 정보를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에 제공한다.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서는 3층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400_4) → 화재 감지 센서(400_3) → 화재 감지 센서(400_5) → 화재 감지 센서(400_1) → 화재 감지 센서(400_2) → 화재 감지 센서(400_6) → 화재 감지 센서(400_7) → 화재 감지 센서(400_8) → 화재 감지 센서(400_9) 순이다.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 화재 감지 센서가 위치한 곳의 건축물 재료에 따라 해당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1층의 A 영역의 경우 화재 감지 센서(400_9)의 동작 순번이 9번째로 특정 순번 이상(예를 들어, 6번째 이상)이고 건축물 재료가 황토이기 때문에,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1층의 A 영역의 화재 등급을 초기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3층의 G 영역의 화재 감지 센서(400_5)의 동작 순번이 3번째로 특정 순번 이하(예를 들어, 4번째 이하)이고 건축물 재료가 시멘트이기 때문에,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3층의 G 영역의 화재 등급을 중간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200)는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쿨러의 내부에 설치된 중계기와 통신하는 구조 대원의 단말(100) 및 구조 대상자(300)의 단말 각각의 좌표를 3차원 좌표계 상에 표시하고,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 및 화재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결정하고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에 따라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1층의 A 영역에 있는 구조 대원의 단말(100_2) 및 구조 대상자의 단말(300_1, 300_2, 300_3, 300_4, 300_5)를 3차원 좌표계상에 각각 표시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구조 대원의 단말(100_2)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구조 대상자의 단말(300_4)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더라도 1층의 B 영역의 화재 등급이 초기 등급이므로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초급으로 결정하여 구조 대원의 단말(100_2)에게 해당 구조 대상자의 위치를 찾아가는 경로를 설정하여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2층의 D 영역에 있는 구조 대원의 단말(100_1) 및 구조 대상자의 단말(300_1, 300_2, 300_3, 300_4, 300_5)를 3차원 좌표계상에 각각 표시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구조 대원의 단말(100_1)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구조 대상자의 단말(300_5)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더라도 2층의 D 영역의 화재 등급이 중간 등급이므로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중급으로 결정하여 구조 대원의 단말(100_1)에게 해당 구조 대상자의 위치를 찾아가는 경로를 설정하여 표시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구조 대원의 단말
200: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
210: 화재 등급 결정부
220: 이동 경로 설정부
230: 이동 경로 표시부
240: 건축물 정보 DB
250: 시뮬레이션부
300: 구조 대상자의 단말
400: 화재 감지 센서
500: 중계기

Claims (12)

  1.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에 있어서,
    건물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중 특정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지도 상에 매칭시켜 구조 대원의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 및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가 위치한 곳의 건축물 재료에 따라 해당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상이고 상기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이면 상기 화재 등급을 초기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하이고 상기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이거나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상이고 상기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이면 상기 화재 등급을 중간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하이고 상기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이면 상기 화재 등급을 최후 등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대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건물에 설치된 스프링쿨러의 내부에 설치된 중계기와 통신하는 구조 대원의 단말 및 구조 대상자의 단말 각각의 좌표를 3차원 좌표계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 및 상기 화재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에 따라 상기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고 상기 화재 등급이 초기 등급이면 상기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초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고 상기 화재 등급이 중간 등급이거나 상기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고 상기 화재 등급이 초기 등급이면 상기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중급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고 상기 화재 등급이 최후 등급이면 상기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고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지도 상에 매칭시켜 구조 대원의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지도 상에 매칭시켜 구조 대원의 단말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구조 대원의 위치 및 상기 구조 대상자의 위치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7. 건물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중 특정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하는 화재 등급 결정부;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 등급에 따라 구조 대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이동 경로 설정부; 및
    상기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지도 상에 매칭시켜 구조 대원의 단말에 표시하는 이동 경로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재 등급 결정부는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 및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가 위치한 곳의 건축물 재료에 따라 해당 위치의 화재 등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등급 결정부는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상이고 상기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이면 상기 화재 등급을 초기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하이고 상기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이거나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상이고 상기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이면 상기 화재 등급을 중간 등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특정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 순번이 특정 순번 이하이고 상기 건축물의 재료의 내화성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이면 상기 화재 등급을 최후 등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설정부는
    건물에 설치된 스프링쿨러의 내부에 설치된 중계기와 통신하는 구조 대원의 단말 및 구조 대상자의 단말 각각의 좌표를 3차원 좌표계 상에 표시하고, 상기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 및 상기 화재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결정하고, 상기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에 따라 상기 구조 대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설정부는
    상기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고 상기 화재 등급이 초기 등급이면 상기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초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고 상기 화재 등급이 중간 등급이거나 상기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고 상기 화재 등급이 초기 등급이면 상기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중급으로 결정하고, 상기 구조 대원의 단말의 좌표와 구조 대상자의 단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이고 상기 화재 등급이 최후 등급이면 상기 구조 대상자의 구조 난이도를 고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서버.
  12. 삭제
KR1020140146126A 2014-10-27 2014-10-27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1513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126A KR101513949B1 (ko) 2014-10-27 2014-10-27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126A KR101513949B1 (ko) 2014-10-27 2014-10-27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949B1 true KR101513949B1 (ko) 2015-04-21

Family

ID=5305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126A KR101513949B1 (ko) 2014-10-27 2014-10-27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9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040B1 (ko) * 2015-05-12 2016-05-11 전자부품연구원 재난 대응 사물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
CN109389825A (zh) * 2018-11-26 2019-02-26 武汉理工光科股份有限公司 基于最短路径的消防救援路线最优化方法
KR102065786B1 (ko) 2018-11-20 2020-01-13 문병국 사전예방 스마트시티케어 비엘이 통신 시스템
KR20200017981A (ko) * 2018-08-10 2020-02-19 김예림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62488B1 (ko) * 2020-06-09 2020-10-07 (주)한성기술단 무인 화재진화 자동제어시스템
CN116630121A (zh) * 2023-07-24 2023-08-22 北京蓝天多维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信息实时的铁路现场救援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388A (ko) * 2010-04-27 2011-11-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기반정보를 이용한 대피경로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25761A (ko) * 2011-05-09 2012-11-19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출로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388A (ko) * 2010-04-27 2011-11-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기반정보를 이용한 대피경로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25761A (ko) * 2011-05-09 2012-11-19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출로 제공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040B1 (ko) * 2015-05-12 2016-05-11 전자부품연구원 재난 대응 사물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
KR20200017981A (ko) * 2018-08-10 2020-02-19 김예림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94609B1 (ko) * 2018-08-10 2020-03-27 김예림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65786B1 (ko) 2018-11-20 2020-01-13 문병국 사전예방 스마트시티케어 비엘이 통신 시스템
CN109389825A (zh) * 2018-11-26 2019-02-26 武汉理工光科股份有限公司 基于最短路径的消防救援路线最优化方法
KR102162488B1 (ko) * 2020-06-09 2020-10-07 (주)한성기술단 무인 화재진화 자동제어시스템
CN116630121A (zh) * 2023-07-24 2023-08-22 北京蓝天多维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信息实时的铁路现场救援系统
CN116630121B (zh) * 2023-07-24 2023-11-03 北京蓝天多维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信息实时的铁路现场救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949B1 (ko)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EP3125205B1 (en) Individual evacuation plan generation and notification via smart/wearable devices by positioning and predicting emergencies inside a building
KR102157552B1 (ko)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US111889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vacuations using positioning systems
US9715799B2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a fire spread forecast and BIM to guide occupants using smart signs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CA2890503C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US104104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emergency response systems
KR10132484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245769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상구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9322A (ko) 건축-구조물의 스마트 재난대피 및 안전정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49293B1 (ko) 휴대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재실자의 피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783002B1 (ko) 건축물의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EP1689344B1 (en) Fire location detection and estimation of fire spread through image processing based analysis of detector activation
US20220303724A1 (en) Early Alert and Location Intelligenc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1551716B1 (ko) 아날로그 주소형 감지기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JP2017037516A (ja) トンネル内の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トンネル内の非常用設備
KR101629549B1 (ko) 피난경로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피난경로 제공 서버
WO2021027114A1 (zh) 基于终端的避难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220345869A1 (en) Early Alert and Location Intelligenc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1697762B1 (ko) 구조물의 재난정보 관리시스템
CN115379381A (zh) 一种救援人员安全监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KR20180049498A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피안내기능을 가지는 방독면
KR20210060750A (ko)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KR102671811B1 (ko)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한 화재 감지 및 대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