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609B1 -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609B1
KR102094609B1 KR1020180093603A KR20180093603A KR102094609B1 KR 102094609 B1 KR102094609 B1 KR 102094609B1 KR 1020180093603 A KR1020180093603 A KR 1020180093603A KR 20180093603 A KR20180093603 A KR 20180093603A KR 102094609 B1 KR102094609 B1 KR 102094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formation
rescue
central control
de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981A (ko
Inventor
김예림
Original Assignee
김예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예림 filed Critical 김예림
Priority to KR102018009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6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중앙 통제 장치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화재가 발생된 제1 위치의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수용하는 거치대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상기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방관의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SCUE OF VICTIMS DUE TO FIRE}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재는 상당한 규모의 인적 피해 및 물적 피해를 낳으면서도 완전한 대응이 어려워 그 피해를 경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화재는 발생빈도는 낮으나 발생의 예측이 어렵고 최근 들어 발생양상이 다각화되고 발생규모도 커지는 추세에 있다.
최근 정부는 화재 및 다양한 재난들에 대해서 컨트롤타워 역할에 대한 요구에 힘입어 재난안전처를 신설하였다. 화재 발생시에, 화재의 규모 및 화재로 인한 요구조자의 위치를 알 수 있다면, 초기 대응으로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중앙 통제 장치에서 화재가 발생된 장소에서 화재 규모를 결정하고, 요구조자의 인원 수 및 위치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소방관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화재 대피용 마스크가 탈착되면,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위치 정보를 중앙 통제 장치로 전송하고, 구조 가이드 정보를 중앙 통제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요구조자의 화재 대피 가이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고자 한다.
일측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된 제1 위치의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수용하는 거치대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상기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방관의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앙 통제 장치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중앙 통제 장치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화재로 인한 연기의 유해 물질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들; 상기 복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들 각각을 수용하는 거치대; 통신 장치; 및 상기 거치대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를 감지하고,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가 상기 화재를 통제하는 중앙 통제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들 각각은, 상기 거치대로부터 탈착되면,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상기 중앙 통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통제 장치로부터 화재 대피 경로를 가이드 하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중앙 통제 장치는 화재가 발생된 장소에서 화재 규모를 결정하고, 요구조자의 인원 수 및 위치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소방관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소방관은 요구조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다.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화재 대피용 마스크가 탈착되면,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위치 정보를 중앙 통제 장치로 전송하고, 구조 가이드 정보를 중앙 통제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요구조자는 화재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재 발생 시에,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소방관의 통신 장치, 및 중앙 통제 장치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중앙 통제 장치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요구조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요구조자를 구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요구조자들이 분류된 그룹 각각에 대한 최적의 구조 경로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탈착 속도를 고려하여, 화재 규모를 예측하고,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요구조자들을 구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용 마스크 및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수용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재 발생 시에,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소방관의 통신 장치, 및 중앙 통제 장치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소정 건물(110)에서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화재가 발생되면, 건물(110) 내의 화재 감지 시스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될 수 있다.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 통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 발생 장소로부터 화재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화재 발생 장소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중앙에서 통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 재난 등과 같은 업무를 처리하는 중앙 통제 센터에 있을 수 있다.
또한, 건물(110) 내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10)에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 통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센서로부터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는 화재 탐지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열, 유독가스, 인화성 기름, 가스 등 화재 발생 원인 등을 즉각적이고,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가 전자 장치(10)로부터 탈착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건물(110) 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건물(110)이 복수의 공간들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의 공간들 각각의 소정 위치에 전자 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는 IOT (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IOT 플랫폼을 활용하여 전자 장치(10)에서 획득된 정보를 중앙 통제 장치(20)와 공유할 수 있고, 중앙 통제 장치(20)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IOT 플랫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에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탈착 신호를 중앙 통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IOT 플랫폼에 기반하여, 구조 가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건물(110) 내에서 화재가 발생됨에 따라, 건물(110) 내의 요구조자들(101, 102)은 요구조자들(101, 102)이 있는 각 공간에 설치된 전자 장치(10)에서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꺼내고,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요구조자들(101, 102)은 건물(110) 내의 대피 경보에 따라 건물(110) 밖으로 대피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10)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가 전자 장치(10) 내의 거치대에서 탈착되면, 전자 장치(10)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탈착을 알리는 탈착 신호를 중앙 통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 내에서 구비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들 중에서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를 중앙 통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의 거치대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중앙 통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요구조자들을 구조하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 소방관의 통신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요구조자(101)는 건물(110)을 빠져 나가지 못하고, 제2 요구조자(102)는 건물(110)을 빠져나간 경우,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요구조자(101)가 착용한 화재 대피용 마스크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화재 발생에 따른 중앙 통제 장치(20) 및 전자 장치(10)의 동작은 도 2 내지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중앙 통제 장치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제가 발생된 제1 위치의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중앙 통제 장치(20)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수용하는 거치대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중앙 통제 장치(20)는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로부터 요구조자들의 인원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위치 정보를 화재가 발생된 제1 위치의 제1 위치 정보에 반영하여, 제1 위치의 공간적 구조에 기반하는 요구조자들의 분포를 예측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위치의 공간적 구조 및 화재의 발생으로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된 요구조자들의 인원 및 요구조자들의 분포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로부터 안전한 영역으로 구조된 요구조자들의 인원을 결정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변경된 요구조자들의 인원 및 분포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조 경로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위치의 공간적 구조 및 화재의 발생으로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요구조자들을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을 구조하는 데에 최적의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의 발생으로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을 구조하는 데에 이용 가능한 구조 경로들을 획득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구조 경로들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을 구조하는 데에 최단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최적의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수용하는 거치대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증가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의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의 규모에 따라,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에 필요한 소방 시설 및 소방관의 지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지원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소방소의 통제소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위치에서 배치되어야 할 적어도 하나의 소방 시설의 배치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소방소의 통제소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배치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소방관의 구조 작업을 가이드 하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소방소의 통제소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중앙 통제 장치(20)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방관의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소방관은 통신 장치를 통해 구조 가이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요구조자의 수와 위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비효율적인 내부 진입 시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중앙 통제 장치(20)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중앙 통제 장치(20)에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화재 발생으로 인한 경우 뿐만 아니라, 재난 발생으로 인한 경우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요구조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요구조자를 구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건물(310) 내에서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건물(310) 내에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건물(310) 내에 설치된 화재 발생 감지 장치 또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로부터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건물(310) 내의 요구조자의 신고를 통해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건물(310)의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건물(310) 내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건물(310) 내의 복수의 전자 장치들은 경보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건물(310) 내의 요구조자들은 경보 알림 신호를 듣고, 전자 장치 내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은 전자 장치 내의 거치대에서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은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를 중앙 통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착용한 요구조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 통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건물(310) 내의 제1 가구(320)에는 제1 요구조자(321), 제2 요구조자(322)가 있고, 제1 건물(310) 내의 제2 가구(330)에는 제3 요구조자(331)가 있다고 가정한다. 제1 요구조자(321), 제2 요구조자(322) 및 제3 요구조자(331)는 경보 알림 신호에 따라,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한 전자 장치들 각각은 화재 대피용 마스크가 탈착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 통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요구조자들 각각이 착용한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요구조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 통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건물(310)의 설계도의 정보 및 제1 건물(310) 내에서 화재가 발생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건물(310)의 설계도 정보 및 화재로 인한 제1 건물(310)에서 차단된 위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요구조자(321), 제2 요구조자(322) 및 제3 요구조자(331)를 구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중앙 통제 장치(20)는 요구조자들의 위치 정보를 고려한 디자인 입력 데이터베이스(DID: Design Input Database)에 기초하여, 화재로부터 안전한 영역으로 구조된 요구조자들의 인원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통제 장치(20)는 요구조자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요구조자(321) 및 제2 요구조자(322)는 제1 건물(310) 내에 존재하고, 제3 요구조자(331)는 제1 건물(310) 밖에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즉,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3 요구조자(331)는 안전한 영역으로 구조되었다고 결정하고, 제1 가구(320)에 갇힌 제1 요구조자(321) 및 제2 요구조자(322)를 구조하기 위한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구조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소방관의 통신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소방관은 소방관의 통신 장치(30)로 수신된 구조 가이드 정보에 따라, 제1 요구조자(321) 및 제2 요구조자(322)를 구조하기 위한 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구조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제1 요구조자(321) 및 제2 요구조자(322)가 착용한 화재 대피용 마스크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요구조자(321) 및 제2 요구조자(322)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서 출력되는 구조 가이드 정보에 따라, 화재로부터 안전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요구조자들이 분류된 그룹 각각에 대한 최적의 구조 경로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가 발생된 제1 위치의 공간적 구조 및 화재의 발생으로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요구조자들의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건물 내의 2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2층 통로는 차단되었다고 가정한다. 2층 통로가 화재로 차단되어 2층 내에 있는 요구조자들은 제1 건물 밖으로 나갈 수 있는 통로가 없게 된다. 이 경우, 중앙 통제 장치(20)는 요구조자들이 위치한 위치 정보, 및 제1 건물에서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요구조자들을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가 발생한 2층의 위층인 3층 및 4층에 있는 요구조자들을 제1 그룹(410)으로, 화재가 발생한 2층에 있는 요구조자들을 제2 그룹(420)으로, 화재가 발생한 2층의 아래층인 1층에 있는 요구조자들을 제3 그룹(430)으로 분류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건물의 공간적 구조 정보 및 화재의 발생으로 차단된 제1 건물 내의 공간적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그룹(410)을 구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조 경로는, 제1 그룹(410) 내의 요구조자들을 제1 건물의 옥상으로 대피시키는 경로, 제1 건물의 비상구를 통해 건물 밖으로 대피시키는 경로일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의 진척 정도에 기초하여, 제1 그룹(410)의 구조 시간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적어도 제1 구조 경로 중에서 최적의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건물의 공간적 구조 정보 및 화재의 발생으로 차단된 제1 건물 내의 공간적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그룹(420)을 구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조 경로는, 제2 그룹(420) 내의 요구조자들을 사다리를 통해 대피시키는 경로, 제1 건물의 비상구를 통해 건물 밖으로 대피시키는 경로일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의 진척 정도에 기초하여, 제2 그룹(420)의 구조 시간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적어도 제2 구조 경로 중에서 최적의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건물의 공간적 구조 정보 및 화재의 발생으로 차단된 제1 건물 내의 공간적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제3 그룹(430)을 구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3 구조 경로는, 제3 그룹(430) 내의 요구조자들을 제1 건물의 비상구를 통해 건물 밖으로 대피시키는 경로, 제1 건물의 제1 층 창문을 통해 건물 밖으로 대피시키는 경로일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의 진척 정도에 기초하여, 제3 그룹(430)의 구조 시간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적어도 제3 구조 경로 중에서 최적의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의 발생으로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을 구조하는 데에 이용 가능한 구조 경로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재 발생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화재로 인한 불은 2층에서 3층으로 번져나갈 수 있다. 2층에서 3층으로 통하는 통로 및 비상구는 차단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를 반영하여, 제1 그룹(410), 제2 그룹(420) 및 제3 그룹(430) 각각에 대한 구조 경로들을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재 획득된 구조 경로들에 기반하여, 제1 그룹(410), 제2 그룹(420) 및 제3 그룹(430) 각각을 구조하는 데에 최단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최적의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각 그룹의 최적의 구조 경로에 대한 정보를 소방관의 통신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각 그룹 내의 요구조자들 중에서, 건물의 옥상으로 이동한 요구조자들(441, 442)이나 건물 밖으로 이동한 요구조자(443)가 있으면, 중앙 통제 장치(20)는 요구조자들의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새로운 구조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통제 장치(20)는 건물의 옥상으로 이동한 요구조자들(441, 442)에 대한 구조 경로를, 헬기를 이용하여 구조하거나 사다리를 통해 구조하는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탈착 속도를 고려하여, 화재 규모를 예측하고,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요구조자들을 구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수용하는 거치대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증가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의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 장치 내의 거치대에 구비된 전체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에 대한 거치대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의 비중이 클수록, 화재의 규모는 크다고 예측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화재의 발생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증가 속도가 증가될수록, 화재의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다고 예측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의 규모에 따라,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에 필요한 소방 시설 및 소방관의 지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지원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소방소의 통제소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재의 규모가 소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 장소로 지원할 소방차의 대수 및 소방관의 인원의 수를 증가시키는 지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을 수행할 제1 소방소의 통제소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소방소의 소방관의 통신 장치 각각으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소방소의 소방관의 통신 장치 각각과 요구조자들의 구조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화재 현장의 정보를 수신하고, 화재 현장의 정보를 반영한 구조 가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 현장의 정보를 반영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제1 소방소의 소방관의 통신 장치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의 규모가 계속 커지고 있는 경우,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 장소의 관할 소방소가 아닌 다른 관할의 소방소로 소방차 및 소방관의 지원을 요청하는 지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 장소의 관할 소방소인 제1 소방소의 통제소 및 화재 장소의 관할 소방소가 아닌 제2 소방소의 통제소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소방소의 소방관의 통신 장치 및 제2 소방소의 소방관의 통신 장치 각각으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가 발생한 화재 장소에서 배치되어야 할 적어도 하나의 소방 시설의 배치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소방소의 통제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배치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소방관의 구조 작업을 가이드 하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소방소의 통제소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통제 장치(20)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소방관의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의 이미지(510)을 참고하면, 제1 건물의 3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화재의 초기에는, 3층 내에 있는 요구조자들만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이미지(520)을 참고하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제1 건물의 옆 건물인 제2 건물로 불이 번짐에 따라, 화재의 규모는 커질 수 있다. 화재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건물 내의 요구조자들은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은 거치대에서 화재 대피용 마스크가 탈착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 통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가 탈착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에 기초하여,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증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및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증가 속도가 증가된 결과에 따라, 화재의 규모가 소정 규모 이상의 화재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건물 및 제2 건물의 주변에 배치되어야 할 소방 시설의 배치 정보 및 소방관의 배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중앙 통제 장치(20)는 제1 건물 및 제2 건물에 배치될 소방 시설 및 소방관을 증가시키고, 화재가 발생된 층에 집중적으로 소방 시설 및 소방관이 투입될 수 있도록 배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통제 장치(20)는 소방 시설 및 소방관의 지원 정보에 기초하여, 구조 작업을 수행할 소방소의 통제소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는 소방소의 소방관의 전자 장치 각각으로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용 마스크 및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수용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는 통신 장치(610), 출력 장치(620), 프로세서(640),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 및 거치대(6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통신 장치(6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10)로 전자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10)에서 획득된 신호,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는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중앙 통제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61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통신 장치(610)는 예를 들어, 무선 랜(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SB(Universal Serial Bus), Wired Lan,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출력 장치(620)는 전자 장치(10)에서 획득된 신호, 정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 장치(62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620)는 중앙 통제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62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620)는 전자 장치(10)에서 획득된 정보, 및 중앙 통제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전자 장치(10)와 관련된 프로그램, 데이터 또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640)는 메모리(6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6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63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4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640)는 전자 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4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는 화재로 인한 연기의 유해 물질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650)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를 수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복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거치대(6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40)는 거치대(650)로부터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의 탈착을 감지할 수 있다. 거치대(650)는 센서(651)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651)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가 거치대(650)로부터 탈착되면, 탈착을 알리는 신호를 프로세서(64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640)는 거치대(650)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의 개수를 감지하고, 통신 장치(610)를 통해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의 개수 정보가 중앙 통제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40)는 통신 장치(610)를 통해 중앙 통제 장치로부터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40)는 출력 장치(620)를 통해 경보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가 거치대(650)에서 탈착되면,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는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의 위치 정보를 중앙 통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요구조자가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를 착용하고 이동하기 때문에, 중앙 통제 장치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요구조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는 출력 장치(62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대피용 마스크(660)는 중앙 통제 장치로부터 화재 대피 경로를 가이드 하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구조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중앙 통제 장치(20)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 구출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10)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앙 통제 장치(20)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 구출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10)의 동작 방법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CD, DVD,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화재가 발생된 제1 위치의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구비하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수용하는 거치대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구조 가이드 정보는, 요구조자들의 인원 및 상기 요구조자들의 분포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구조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상기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방관의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로부터 상기 요구조자들의 인원을 예측하는 단계;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상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반영하여, 상기 제1 위치의 공간적 구조에 기반하는 상기 요구조자들의 분포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의 공간적 구조 정보 및 상기 화재의 발생으로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조자들을 상기 요구조자들의 분포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을 구조하는 데에 최적의 구조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앙 통제 장치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상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 각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로부터 안전한 영역으로 구조된 요구조자들의 인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변경된 요구조자들의 인원 및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 경로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을 구조하는 데에 최적의 구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의 발생으로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상기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을 구조하는 데에 이용 가능한 구조 경로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 경로들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 각각을 구조하는 데에 최단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기 최적의 구조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수용하는 거치대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 및 상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증가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의 규모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화재의 규모에 따라, 상기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에 필요한 소방 시설 및 소방관의 지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의 발생에 따른 구조 작업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소방소의 통제소로 상기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소의 통제소로 상기 구조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배치되어야 할 적어도 하나의 소방 시설의 배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소의 통제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관의 구조 작업을 가이드 하는 상기 구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소의 통제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9. 화재로 인한 연기의 유해 물질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들;
    상기 복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들 각각을 수용하는 거치대;
    통신 장치; 및
    상기 거치대로부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를 감지하고,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탈착된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개수 정보가 상기 화재를 통제하는 중앙 통제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들 각각은, 상기 거치대로부터 탈착되면,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상기 중앙 통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통제 장치로부터 화재 대피 경로를 가이드 하는 구조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조 가이드 정보는, 요구조자들의 인원 및 상기 요구조자들의 분포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구조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들 각각은,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의 공간적 구조 정보 및 상기 화재의 발생으로 차단된 공간적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조자들의 분포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응되는 상기 구조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93603A 2018-08-10 2018-08-10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94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603A KR102094609B1 (ko) 2018-08-10 2018-08-10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603A KR102094609B1 (ko) 2018-08-10 2018-08-10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81A KR20200017981A (ko) 2020-02-19
KR102094609B1 true KR102094609B1 (ko) 2020-03-27

Family

ID=6966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603A KR102094609B1 (ko) 2018-08-10 2018-08-10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564B1 (ko) 2021-08-23 2022-06-0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54097A1 (en) * 2023-01-20 2024-07-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cue device and rescue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949B1 (ko) * 2014-10-27 2015-04-21 주식회사 렉스스페이스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326B1 (ko) * 2015-08-21 2017-05-15 삼성중공업(주) 선박 재해 대피 및 구조 지원 시스템
KR101863558B1 (ko) * 2016-03-03 2018-06-01 주식회사 카이렌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949B1 (ko) * 2014-10-27 2015-04-21 주식회사 렉스스페이스 재난 구조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564B1 (ko) 2021-08-23 2022-06-0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81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1999B1 (en) Dynamic resource assignment and exit information for emergency responders
KR101475134B1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CA2890503C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KR101923151B1 (ko) 아이오티 기반 지능형 재난 대피 시스템 및 방법
KR101536876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재해 대피 및 구조지원 시스템
US20170109981A1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a fire spread forecast and bim to guide occupants using smart signs
US10028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KR20190101356A (ko) 소방관 팀의 자동화된 감지
KR102094609B1 (ko)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55533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583184B1 (ko) 재난 감지 시스템
CN107851368A (zh) 安全自动化系统和操作方法
TW201310361A (zh) 緊急引導系統及方法
US20200334784A1 (en)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KR20180067802A (ko) 재난 환경에서 구조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846680B (zh) 一种消防应急逃生路线确定方法及装置
KR100744554B1 (ko) 소방 현장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220089088A (ko) 화재 감지 시스템
JP2008310586A (ja) 警報処理装置及び警報処理システム
KR101778445B1 (ko) 비상탈출유도방법 및 장치
KR102200410B1 (ko)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TWI494901B (zh) 智慧型防災引導裝置與救援系統
JP2008015659A (ja) 状況検知端末及びこれを用いた状況通報システム
US10217334B2 (en) Refuge guide system and method
KR102398564B1 (ko) 화재현장의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대원 투입 인원수 산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