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845B1 -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 - Google Patents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845B1
KR102084845B1 KR1020180055855A KR20180055855A KR102084845B1 KR 102084845 B1 KR102084845 B1 KR 102084845B1 KR 1020180055855 A KR1020180055855 A KR 1020180055855A KR 20180055855 A KR20180055855 A KR 20180055855A KR 102084845 B1 KR102084845 B1 KR 102084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eceivers
information
broadcas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238A (ko
Inventor
이승형
안병덕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품
Priority to KR102018005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84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화재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획득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된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 화재 대응방송을 수신받을 수신기들을 그룹핑하여, 각각의 수신기 그룹에 대하여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대응메시지를 출력하는 방송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Broadca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
본 명세서는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난방송을 하는 목적은 다수의 시청자 또는 청취자에게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 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재난 방송은 재난이 발생하면 싸이렌과 같은 대피신호와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대피신호와 안내방송은 다수의 시청자 또는 청취자 모두에게 동일한 내용을 고지하기 때문에 시청자 또는 청취자는 재난 상황을 정확히 안내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학교, 사무실과 같은 경우 교실이나 사무실의 위치에 따라 대피경로를 다르게 설정하고 학생, 교직원 또는 사무원들은 대피경로를 숙지하고, 재난이 발생하면 숙지한 대피경로를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재난이 발생한 위치 등에 따라 숙지한 대피경로를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곤란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병원 등 많은 사람이 찾는 시설의 경우 대피경로를 숙지할 수 없기 때문에 재난 발생 시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일 실시예는 시청자 또는 청취자의 위치와 재난 상황에 적합한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을 제공하는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대응 방송장치의 화재대응 방송방법은, 화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상황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 화재 방송을 수신받을 수신기들을 그룹핑하는 단계; 및 복수개의 그룹에 대하여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재 발생 상황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종류, 화재 발생 건축물의 종류, 화재 발생 지점의 인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기들을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기준으로 수신기들을 그룹핑한다.
상기 수신기들을 그룹핑하는 단계는, 화재발생지점과 소방서 또는 병원 사이의 최단도로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수신기들은 임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화재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획득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된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 화재 대응방송을 수신받을 수신기들을 그룹핑하여, 각각의 수신기 그룹에 대하여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대응메시지를 출력하는 방송송신부;를 포함한다.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수신기 식별번호 및 수신기 위치를 포함하는 수신기 DB 및 화재의 대응방법을 포함하는 대응메시지 DB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종류, 화재 발생 건축물의 종류, 화재 발생 지점의 인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규정하고, 상기 화재 발생 건축물의 종류는, 초고층건물, 재래시장, 학교, 병원, 공장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기준으로 수신기들을 그룹핑한다.
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지점과 소방서 또는 병원 사이의 최단도로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수신기들은 임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상기 대응메시지는 TTS 또는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된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화재가 발생한 화재지역을 알려주는 비상방송을 출력하여 줌으로써, 대피자들이 화재지역이 아닌 안전지역으로 대피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에 따른 인명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화재대응 방송장치(100)는 방송 수신자의 현재 상황에 맞는 화재에 대한 대응방법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에 일괄적인 방송신호가 아닌 개별이나 그룹으로 방송신호를 송출할 수 있어서 시청자 또는 청취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화재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
수신기를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최소화시킬 위험물 취급소, 가스공장, 기름공장, 군부대, 기타 연쇄 폭발이 우려되는 지역 등에 설치되는 경우, 화재 발생 시, 화재지역을 신속 정확하게 전달하여 줌으로써,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화재 발생 상황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된 상황에 적합한 대응방법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송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대응 방송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수신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대응 방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그룹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화재대응 방송 방법에 후속하는 방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송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대응 방송 시스템은 화재대응 방송장치(100) 및 복수개의 수신장치(300)를 포함하고, 유관기관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대응 방송장치(100)는 예를 들어, 시, 군, 구 재난 안전대책본부 또는 소방방재청 중앙재난상황실 등에 설치되며, 관할지역의 화재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상황을 분석한다. 화재대응 방송장치(100)는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황별 위치별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서로 다른 수신장치들(200)에게 전송한다.
화재대응 방송장치(100)는 상황별 위치별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서로 다른 수신장치들(200)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의 거리, 화재의 종류, 화재 건축물의 종류 및 화재 발생 지점의 유동인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황별 위치별 서로 다른 대응 방법(예를 들어, 제1 메시지, 제2 메시지, 제3 메시지 등)을 선택한다. 제1 메시지는 대피를 위한 정보, 제2 메시지는 화재주의를 위한 정보, 제3 메시지는 화재 지역으로의 진입자제를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들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대응 방법을 수신받을 수신기들을 동일 그룹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화재 발생 지역의 거리에 따라 수신기들을 제1 그룹, 제2 그룹, 제3 그룹 등으로 그룹핑하여 서로 다른 그룹에는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전송한다. 제1 그룹에는 제1 메시지, 제2 그룹에는 제2 메시지, 제3 그룹에는 제3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개의 수신장치(30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예컨대 건물의 관리사무소, 옥외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옥외에 마련된 수신장치(300)는 전광판일 수 있다.
각각의 수신장치(300)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화재대응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또는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수신장치(300)는 화재대응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주파 무선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화재대응 방송신호에 삽입된 화재 재난방송 알림신호 및 화재 재난방송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다. 여기서, 화재대응 방송신호는 UHF(UltraHigh Frequency) 신호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수신장치(300)는 각각이 고유한 식별번호를 갖는다.
화재대응 방송장치(100)는 수신장치(300)의 식별번호 및 수신장치의 위치 정보를 미리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다.
유관기관 서버(500)는 각 유관기관 상황실에 마련될 수 있으며, 화재대응 방송장치(100)로부터 대응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수신된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화재대응 방송장치(100)는 방송 수신자의 현재 상황에 맞는 화재에 대한 대응방법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에 일괄적인 방송신호가 아닌 개별이나 그룹으로 방송신호를 송출할 수 있어서 시청자 또는 청취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화재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대응 방송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대응 방송장치(100)는 정보획득부(110), 제어부(130), 저장부(150), 방송송신부(170), 표시부(180) 및 입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획득부(110)는 화재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는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정보획득부(110)는 외부 단말로부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는 운용자에 의해 직접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화재 방송을 위하여 화재방송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정보처리모듈(132), 분석모듈(134) 및 방송송신모듈(136)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듈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능적으로 분류하였지만 하나의 모듈로 수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통합되어도 좋다.
정보처리모듈(132)은 정보획득부(110)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분석모듈(134)이 이해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제공한다.
분석모듈(134)은 정보처리모듈(132)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와 기저장된 분석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화재 발생 상황을 분석한다. 분석모듈(134)은, 분석결과 및 기 저장된 수신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수신기들을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분석모듈(134)은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수신기 그룹에 대하여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선택한다. 복수개의 대응메시지들은 저장부(150)에 기저장되어 있고, 분석결과 및 수신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임의의 대응메시지가 선택된다.
방송송신모듈(136)은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방송송신부(170)를 통해 수신대상으로 선택된 수신기 그룹에 전송한다.
방송송신모듈(136)은 대응메시지를 텍스트, 사운드 또는 음성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형태는 소리나 음악을 의미하며, 음성 형태는 TTS(Text To Speech)를 통해 텍스트로 입력된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저장부(150)는 화재 정보를 분석하고 복수개의 수신기 그룹에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에 필요한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화재대응 방송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방송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화재대응 방송장치(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 메시지 생성 및 전송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화재대응 방송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정보획득부(110)에 의해 획득된 정보 예컨대 화재 발생 정보를 저장하는 화재 발생 정보 DB(152), 수신기 식별번호 및 수신기 위치를 저장하는 수신기 DB(154), 및 화재의 대응방법을 포함하는 대응메시지 DB(15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 DB(154)는 화재 모니터링 영역의 지도를 추가로 저장하는 경우, 수신기의 식별번호 및 수신기 위치정보를 지도와 연계시켜 저장 할 수 있다. 지도는 미리 저장된 지도 정보에 인구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대응메시지 DB(156)에 저장된 대응메시지는 서로 다른 화재 진압 방법, 대피 경로, 대응방법 등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메시지는 제1 메시지, 제2 메시지, 제3 메시지로 분류되고, 제1 메시지는 대피경보 메시지, 제2 메시지는 화재주의경보 메시지, 제3 메시지는 진입자제경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응메시지 DB(156)는 대피경보를 화재 발생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대피경보 메시지는 초고층건물 대피경보 메시지, 재래시장 대피경보 메시지, 학교 대피경보 메시지, 병원 대피경보 메시지, 공장 대피경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메시지, 제2 메시지, 제3 메시지로 구분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70)는 제어부(130)의 지시에 따라 임의의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70)는 제어부(130)의 지시에 따라 수신기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화재대응 방송장치(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부(190)는 입력되는 정보를 제어부(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190)는 화재대응 방송장치(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90)를 통해 화재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신기 그룹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70)와 입력부(190)가 터치패드와 같은 일체형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수신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수신기는 수신부(310), 제어부(320), 출력부(330), 메모리부(340) 및 전원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UHF 신호 및 DMB 신호를 포함하는 화재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부(310)는 UHF 신호 및 DMB 신호를 각각 구분하여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하며, 안테나를 통해 적어도 복수의 송신장치로부터 UHF 신호 및 DMB 신호를 포함하는 화재대응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수신된 재난방송신호를 제어부(3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수신된 재난방송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화재대응 방송 수신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20)는 화재대응 방송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대응 방송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면 감지된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재난방송신호의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대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출력부(330)를 통해 출력한다.
메모리부(340)는 화재대응 방송신호의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대역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320)는 주파수대역을 참조하여 출력할 재난방송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주파수 대역이 UHF 신호에 해당되는지, 혹은 DMB 신호에 해당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주파수 대역에 따라 출력부(3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두 종류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재난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UHF 신호를 DMB 신호보다 선순위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30)는 제어부(320)의 지시에 따라 화재대응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부(330)는 재난방송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램프, 재난방송신호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 및 상기 재난방송신호에 상응하는 재난상황발생을 알리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350)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350)는 재난으로 인한 정전시 사용할 수 있는 백업용 비상전원(3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신장치는 재난방송 전송부 및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재난방송 전송부는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에 수신부(310)를 통해서 수신된 UHF 신호 및 DMB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는 재난 상황 발생시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사람 또는 기관의 단말을 포함하고, 혹은 집 근거리에 설치된 옥외형 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수신장치의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재난방송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출력부(330)를 통해 표시될 정보를 입력부를 통해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대응 방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그룹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재 방송 서버는 화재 정보를 획득하고(S110), 획득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상황을 분석한다(S120).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외부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를 수신받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화재 발생 신고를 받은 운영자에 의해 입력에 의해 화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획득한 화재 정보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미리 저장된 정보(위치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의 거리, 화재의 종류, 화재 건축물의 종류 및 화재 발생 지점의 인구밀집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규정함으로써, 화재 발생 정보를 분석한다.
화재 종류는 일반화재, 유류화재, 전기화재, 금속화재, 특수화재, 산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수화재는 유정화재, 화학화재, 초대형화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한 화재 정보에 화재 발생 위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화재 발생 위치와 미리 저장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위치가 산인지 공장인지 초고층건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획득한 화재 정보에 발화원인이 포함된 경우, 일반화재인지 유류화재인지, 전기화재인지, 산불인지 등의 화재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분석된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 화재 방송을 수신받은 수신장치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다(S130).
이를 위하여, 먼저, 분석된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 수신자들의 상황에 맞는 하나 이상의 대응메시지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선택한다. 수신장치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대응메시지를 수신받을 수신기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한다.
그룹 분류는 미리 정해진 설정옵션에 따라 자동 설정 또는 수동 설정될 수 있다. 자동 설정을 디폴트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동 입력을 선택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자동 설정시, 화재 발생 건물, 화재가 번질 위험지역, 화재진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에 포함되는 수신기들을 각각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설정시 그룹핑의 기준은 화재의 범위 및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의 범위가 클 수록, 화재의 종류에 따른 피해 위험성이 더 커질수록 각 그룹핑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각 그룹핑의 범위가 넓어진다는 것은 더 넓은 범위에 화재대피 방송을 송출하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반화재의 경우, 발화지점으로부터 100m이내의 수신기들을 제1 그룹, 200m 이내의 수신기들을 제2 그룹, 500m 이내의 수신기들을 제3 그룹으로하고, 특수화재의 경우, 500m이내의 수신기들을 제1 그룹, 1km 이내의 수신기들을 제2 그룹, 5km 이내의 수신기들을 제3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재 발생 건물 내의 그룹을 제1 그룹으로 화재발생 건물 밖이면서 화재가 번질 위험지역(L1)의 그룹을 제2 그룹, 화재발생 건물 밖이면서 화재가 번질 위험지역은 아니지만 제2 그룹 위치의 사람들이 대피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화재 진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거리이내(L2)의 제3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화재발생지점과 소방서 또는 병원 사이의 최단도로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수신기들은 임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한편,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동 설정이 선택되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수신기 그룹, 제2 수신기 그룹 및 제3 수신기 그룹을 선택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표시부에 화재 발생 지점이 표시된 지도를 출력하고, 수신기 그룹 범위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수신기 그룹의 범위를 설정하여, 복수의 수신기 그룹을 설정가능하게 한다.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선택된 수신기 그룹들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수신기 그룹에 대하여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전송한다(S140).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각각의 수신기 그룹에 적합한 대응메시지를 미시 저장된 메시지 DB로부터 선택하고, 선택된 대응메시지를 동일 그룹의 수신기들에게 전송한다.
제1 그룹에는 화재에 대응하는 직접적인 방법 및 대피요령을 포함하는 대응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그룹에는 화재가 번질 가능성에 대하여 경계를 요하는 대응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그룹에는 화재 발생 사실과 함께 화재 발생 지역으로의 진입을 방지하거나, 소방차의 진입 경로에 대한 안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그룹에 전하는 대응메시지라 할 지라도 화재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화재 진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룹에 전하는 대응메시지라 할지라도,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대피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메시지는 일반화재의 경우, 일반화재는 나무, 종이 등 일반적인 물체에 불이 붙어 화재가 난 상태로, 이에 대한 화재 진압 정보는 타고 있는 물질을 아직 타지 않은 부분과 격리시키거나 물을 뿌려 온도를 낮추거나 산소를 차단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응메시지는 유류화재의 경우, 주유소 화재, 탱크로리 전복 사고 등으로 기름에 불이 붙은 화재로, 기름은 물 위에 뜨기 때문에 물로 진화를 시도할 경우 불이 꺼지기는커녕 오히려 확산된다. 따라서 유류화재의 진압정보는 물을 진화에 사용하지 말고, 탈 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면 밸브를 잠그는 등 그것을 먼저 시도하고 산소를 차단하는 폼이나 이산화탄소 등으로 진화하여야 하며, 모래가 있는 경우 모래를 뿌려 기름을 흡수하도록 하거나, 소화기 등의 화학 약재로 산소를 차단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응메시지는 전기화재의 경우, 물을 사용하여 진압을 시도하는 경우 감전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물을 따라 전기가 흐르면서 화재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전기화재의 진압정보는 전기 공급을 차단 이후 일반 화재와 같은 방법으로 불을 진화하되, 전기 공급이 차단됐는지 확신할 수 없는 경우 소화기 등 산소를 차단하는 화학 약품을 뿌려 불을 진화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응메시지는 금속화재의 경우, 리튬, 나트륨, 칼륨, 세슘, 마그네슘 같은 반응성이 큰 금속으로 인한 화재를 포함하며, 진화시도를 위해 물을 끼얹으면 화학반응으로 수소가 생성되어 수소폭발이 일어날 수 있으며 분말소화기마저 효과가 없다. 따라서, 금속화재의 진압정보는 물 및 분말 소화기의 사용을 금지하고, 마른 모래를 뿌리는 방법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화재대응 방송 방법에 후속하는 방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의 단계 S140 이후,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화재 발생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310). 화재 발생 정보의 업데이트는 전술한 화재 정보 획득방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업데이트된 화재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상황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화재 발생 상황이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한다(S320).
분석결과 화재 진압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S330), 화재 진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화재 경보를 해제하는 경보해제 메시지를 전 그룹 수신기에 전송한다(S340).
단계 S330에서 화재 진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즉 화재 발생 상황이 변경된 경우, 예를 들어, 옆 건물로 화재가 번지는 등의 경우, 단계 S130 으로 되돌아, 변경된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 수신기들을 그룹핑하고, 새롭게 그룹핑된 수신기에 적절한 대응메시지를 다시 선택하여 전송한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각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으로 해석되면 아니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에 의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조합될 경우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화재대응 방송장치
110 : 정보획득부
130 : 제어부
150 : 저장부
170 : 방송송신부
180 : 표시부
190 : 입력부
200 : 복수개의 수신장치

Claims (10)

  1. 복수의 수신기 및 상기 복수의 수신기와 연결되는 화재대응 방송장치에 의한 화재대응 방송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수신기로부터 화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대응 방송장치가 화재 발생 상황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화재 발생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대응 방송장치가 화재 발생에 의한 피해 예상에 따른 복수의 위험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화재대응 방송장치에 의해 상기 설정된 복수의 위험 레벨에 있는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을 그룹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재대응 방송장치에 의해 상기 그룹화된 복수의 수신기들에 대해 그룹별로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발생 상황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의 거리, 화재 종류, 화재 발생 건축물의 종류, 화재 발생 지점의 인구밀집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규정하며,
    상기 그룹화하는 단계는,
    상기 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화된 복수의 수신기들 중 동일한 위험 레벨에 있는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은 동일 그룹으로 각기 그룹화되며,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의 그룹화 설정은 상기 화재대응 방송장치가 표시부에 화재 발생 지점이 표시된 지도를 출력하고, 수신기 그룹 범위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지도상에서 수신기 그룹의 범위가 설정되는 화재대응 방송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들을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발생지점과 소방서 또는 병원 사이의 최단 도로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수신기들을 임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화재대응 방송방법.
  5. 복수의 수신기 및 상기 복수의 수신기와 연결되어 화재 정보를 획득하는 화재대응 방송장치로서,
    상기 화재대응 방송장치는,
    상기 화재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상황을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대응메시지를 출력하는 방송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의 거리, 화재 종류, 화재 발생 건축물의 종류, 화재 발생 지점의 인구밀집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규정하며,
    상기 분석된 화재 발생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대응 방송장치가 화재 발생에 의한 피해 예상에 따른 복수의 위험 레벨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복수의 위험 레벨에 있는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을 그룹화하되, 상기 규정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화된 복수의 수신기들 중 동일한 위험 레벨에 있는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을 동일 그룹으로 각기 그룹화하며,
    상기 동일 그룹으로 그룹화된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에 대해 그룹별로 서로 다른 대응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의 그룹화의 설정은 상기 화재대응 방송장치가 표시부에 화재 발생 지점이 표시된 지도를 출력하고, 수신기 그룹 범위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지도상에서 수신기 그룹의 범위가 설정되는 화재대응 방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수신기 식별번호 및 수신기 위치를 포함하는 수신기 DB 및 화재의 대응방법을 포함하는 대응메시지 DB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화재대응 방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발생 건축물의 종류는, 초고층건물, 재래시장, 학교, 병원, 공장을 포함하는 화재대응 방송장치.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지점과 소방서 또는 병원 사이의 최단도로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수신기들은 임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화재대응 방송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메시지는 TTS 또는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되는 화재대응 방송장치.

KR1020180055855A 2018-05-16 2018-05-16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 KR102084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55A KR102084845B1 (ko) 2018-05-16 2018-05-16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55A KR102084845B1 (ko) 2018-05-16 2018-05-16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38A KR20190131238A (ko) 2019-11-26
KR102084845B1 true KR102084845B1 (ko) 2020-03-04

Family

ID=6873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855A KR102084845B1 (ko) 2018-05-16 2018-05-16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545B1 (ko) * 2021-01-14 2021-06-18 주식회사 유한테크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41487B1 (ko) * 2022-02-23 2024-02-28 주식회사 온품 민방위경보문자 송신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023A (ja) 2007-09-28 2009-04-23 Saxa Inc 災害警報システム
KR100989332B1 (ko) *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통합 방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관리 방법
KR101703190B1 (ko) 2016-05-16 2017-02-23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구획 공간을 구비하는 건물 내 통합 화재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529A (ko) * 2005-05-31 2006-12-05 케이티파워텔 주식회사 그룹 디스패치 기능을 이용한 환경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8908A (ko) * 2015-02-11 2016-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보 발령 방법 및 경보 발령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023A (ja) 2007-09-28 2009-04-23 Saxa Inc 災害警報システム
KR100989332B1 (ko) *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통합 방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관리 방법
KR101703190B1 (ko) 2016-05-16 2017-02-23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구획 공간을 구비하는 건물 내 통합 화재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38A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286B1 (ko)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KR102180335B1 (ko) 건물 내 설치되는 재난 방송 시스템
KR100971623B1 (ko)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US7683792B2 (en) In home multi disaster alarm system
US9171446B2 (en) Shelter evacuation response system
KR101536876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재해 대피 및 구조지원 시스템
KR101288025B1 (ko) 재난 알림 전광판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7060370A (ja) 携帯型通信端末、避難路表示システムおよび危険報知装置
KR102084845B1 (ko)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
KR101604554B1 (ko)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94672A (ko) 무선 화재경보시스템 및 방법
JP2006197130A (ja) 緊急放送システム
KR20120072838A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18124954A (ja) 防災システム
KR101007319B1 (ko) 화재지역 통지용 방송 장치
JP2017037516A (ja) トンネル内の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トンネル内の非常用設備
JP2006277384A (ja) 災害伝達装置
KR102019455B1 (ko) 재난 경보 시스템
KR101970986B1 (ko) 소화기 작동 감지 시스템
KR101815842B1 (ko) 재난대피 방송 방법 및 시스템
CN111351484A (zh) 室内紧急疏散导航系统
CN113436401A (zh) 一种消防器材语音提醒系统和语音提醒装置
JP6517035B2 (ja) 警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8041250A (ja) 地域防災情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