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083A -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 Google Patents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083A
KR20190004083A KR1020170084202A KR20170084202A KR20190004083A KR 20190004083 A KR20190004083 A KR 20190004083A KR 1020170084202 A KR1020170084202 A KR 1020170084202A KR 20170084202 A KR20170084202 A KR 20170084202A KR 20190004083 A KR20190004083 A KR 20190004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worker
operator
track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302B1 (ko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네오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네오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네오그룹
Priority to KR102017008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3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42B3/0446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intended to light the way ahea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01Q1/276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for mounting o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Abstract

본 발명은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GPS수신기를 통해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시 질식사고에도 작업자를 추적하여 인명구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예기치 않은 유해가스의 발생을 검출하여 즉시 경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Safety helmet capable of tracking worker's location through GPS function}
본 발명은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 상에 구성되는 스모크 센서를 통해 유해가스에 대한 경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위치센서를 통해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여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공장이나 공사현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낙하물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안전모는 헬멧과 충격흡수재 및 턱 끈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안전모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강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야간 작업시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명기구를 필요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모는 공장이나 공사현장 등의 산업현장의 작업자가 낙하물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강성의 헬멧과 어두운 곳에서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한 조명기구에 그 촛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에서 작업현장에서는 반드시 착용하여햐 하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작업현장이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공간인 경우에는 공기의 흐름이 불규칙하거나 오염된 공기로 가득차 있어 예측 불가능한 질식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안전모와 조명기구만으로는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시 종래에는 유해가스의 발생으로 인한 질식을 방지하기 위해 화생방용 마스크나 산소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고, 장비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정 시간 주기로 작업과 휴식을 번갈아 가면서 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주의에도 불구하고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시 예기치 않은 유해가스의 발생으로 인하여 질식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예기치 않은 유해가스 발생에 의한 질식사고는 밀폐된 작업공간 내에서 유해가스의 발생에 대한 경보가 없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시 예기치 않은 유해가스의 발생으로 인하여 질식사고가 발생하여 의식이 없는 경우 입구 근처라면 쉽게 발견할 수도 있지만 입구로부터 한참이나 진입한 현장이나 미로와 같은 작업현장이라면 의식을 잃은 작업자의 위치를 알 수 없어 구조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12773호(2016.02.03.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6754호(2016.01.19.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4-0002489호(2014.04.29.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4-0002003호(2014.04.04.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25081호(2013.11.18.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1998-0062269호(1998.11.16.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전모 상에 위치센서를 설치하여 GPS 기능을 통해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시 질식사고에도 작업자를 추적하여 인명구조가 가능하도록 한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안전모 상에 스모크센서와 스모크센서에 의해 신호를 통해 경보를 발하는 경보기를 통해 유해가스의 발생을 검출하여 즉시 경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예측 불가능한 질식사고의 위험에서 산소의 부족현상이나 가스 발생을 미리 감지하여 안전모에 적용된 스모크센서와 위치센서를 통해 작업자와 외부 현장 상황실에서 작업현장의 상황을 파악해 신속한 구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는 공장이나 공사현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낙하물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에 있어서, 안전모 전후의 중심라인 상에 곡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모듈; 스위치모듈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을 조명하는 조명용 라이트; 스위치모듈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발생을 감지하여 검출하는 스모크센서; 안전모의 표면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스모크센서를 통해 검출된 유해가스 감지신호에 의해 점등 또는 점멸되어 유해가스 발생을 경보하는 비상경보용 라이트; 안전모의 후방 중심부 상에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 배터리 박스; 및 안전모 착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산정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스모크센서는 작업자가 들어가는 작업현장에 따라 유독가스 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로 이루어져 해당 작업현장의 유독가스 상태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이루어짐이 보다 양호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위치추적유닛은 안전모를 착용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산정하는 GPS수신기;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생성 출력하는 액티브센서; 안전모 상에 구성되어 GPS수신기와 액티브센서에 의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 GPS수신기에 의해 산정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와 액티브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관리터미널로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중계기; 무선중계기를 통해 전송된 해당 작업자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는 연산부; 무선중계기를 통해 전송된 액티브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작업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질식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와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해당 작업자의 질식사고 연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위치추적유닛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서 위치추적유닛을 구성하는 GPS수신기와 액티브센서는 안전모 상의 스위치모듈 내부에 설치되는 보드에 칩셋이 실장된 형태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서 위치추적유닛을 구성하는 무선중계기는 해당 작업자가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이동용 중계기로 구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안전모 상의 스위치모듈에는 무선 송수신을 위한 샤크 안테나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안전모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모크센서에 의해 검출된 유해가스 데이터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하는 비상경보용 스피커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안전모 상에 위치센서를 설치하여 GPS 기능을 통해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시 질식사고에도 작업자를 추적하여 인명구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안전모 상에 스모크센서와 스모크센서에 의해 신호를 통해 경보를 발하는 경보기를 통해 유해가스의 발생을 검출하여 즉시 경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예측 불가능한 질식사고의 위험에서 산소의 부족현상이나 가스 발생을 미리 감지하여 안전모에 적용된 스모크센서와 위치센서를 통해 작업자와 외부 현장 상황실에서 작업현장의 상황을 파악해 신속한 구조에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를 정면에서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를 후면에서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에서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장치를 보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를 정면에서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를 후면에서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에서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는(100)는 안전모 전후의 중심라인 상에 곡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모듈(110), 스위치모듈(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을 조명하는 조명용 라이트(120), 스위치모듈(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발생을 감지하여 검출하는 스모크센서(130), 안전모의 표면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스모크센서(130)를 통해 검출된 유해가스 감지신호에 의해 점등 또는 점멸되어 유해가스 발생을 경보하는 비상경보용 라이트(140), 안전모의 후방 중심부 상에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 배터리 박스(150) 및 안전모 착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산정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유닛(20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는(100)는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수위치모듈(110)을 하향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면 전원이 온(On)되어 조명용 라이트(120)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반면, 수위치모듈(110)을 상향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면 전원이 오프(Off)되어 조명용 라이트(120)에 불이 꺼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100)에는 유해가스의 발생을 감지하는 스모크센서(130)와 스모크센서(130)의 감지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하는 비상경보용 라이트(140)가 구성되어 스모크센서(130)를 통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에 따른 비상경보용 라이트(140)의 점등 또는 점멸이 이루어져 해당 작업자나 주위의 작업자가 유해가스의 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시 예기치 않은 유해가스의 발생을 스모크센서(130)를 통해 미리 감지하여 검출하는 가운데 유해가스 감지에 대한 경보가 비상경보용 라이트(1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작업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로 하여금 유해가스의 발생을 인지하여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 적용되는 안전모(100)에는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작업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유닛(200)이 구성된다. 이러한 위치추적유닛(200)은 유해가스에 의한 질식사고나 충격에 의한 의식불명 등의 예기치 않은 사고에 따라 작업자의 의식이 없는 경우에 응급구조시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추적유닛(200)은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작업공간에서 작업 중에 유해가스에 의한 질식사고나 충격에 의한 의식불명 등의 예기치 않은 사고시 응급구조를 위해 외부에서 진입하는 응급구조원들이 의식불명의 작업자를 위치추적유닛(200)을 통해 추적하여 보다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유해가스의 발생을 감지하는 스모크센서(130)와 경보를 발하는 비상경보용 라이트(140) 및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유닛(200)을 통해 작업자나 작업관리자 모두에게 작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지 못한 각종 사고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는(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위치모듈(110)은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스위치모듈(11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를 구성하는 헬멧(102) 전후의 중심라인 상에 곡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온/오프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스위치모듈(110)은 조명용 라이트(120)를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스위치모듈(110)은 도 1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하향으로 완전히 이동시키야만 전원이 오프(Off)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위치모듈(110)의 이동범위 상에는 다수의 걸림홈(11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스위치모듈(110) 하부면 상에 형성된 탄성걸림턱(도시하지 않음)이 걸림홈(112) 상에 걸림이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하향으로 이동되어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의 스위치모듈(110)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최하부측의 걸림홈(112)에 탄성걸림턱이 걸리는 순간부터 전원의 온(On)이 이루어져 조명용 라이트(120)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이때, 헬멧(102)의 스위치모듈(110)의 상하 이동범위 상에 형성된 걸림홈(112)과 스위치모듈(110) 하부의 탄성걸림턱은 스위치모듈(110)을 상하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켜 조명용 라이트(120)의 상하 각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걸림홈(112)과 탄성걸림턱은 스위치모듈(110)을 상하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상하로 조저된 조명용 라이트(120)의 상하 각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걸림홈(112)과 탄성걸림턱은 조명용 라이트(120)의 상하 각도 조절 유지수단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명용 라이트(120)는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어두운 작업공간을 비추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조명용 라이드(12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102) 전후의 중심라인 상에 곡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모듈(110)의 전면 중심부 상에 설치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명용 라이트(12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수위치모듈(110)의 상하 이동을 통해 전원이 온/오프(On/Off) 되어진다. 물론, 이러한 조명용 라이드(120)는 헬멧(102)의 후방 중심부 상에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 배터리 박스(15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조명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모크센서(130)는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스모크센서(13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모듈(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발생을 감지하여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모크센서(130)는 도 1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스위치모듈(110)의 정면인 조명용 라이트(120)의 상부측으로 설치되어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어두운 작업공간에서 청소나 소독작업시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유해가스 감지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비상경보용 라이트(140)를 통해 경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스모크센서(130)는 스위치모듈(110)에 의한 전원의 온/오프(On/Off)와는 별개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모듈(110)의 상부측에 스모크센서(130)를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모크센서용 온/오프스위치(132)가 구성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스모크센서(130)는 작업자가 들어가는 작업현장에 따라 유독가스 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로 이루어져 해당 작업현장의 유독가스 상태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즉, 스모크센서(130)는 인체에 악역향을 끼칠 수 있는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산화물(oxidant), 탄화수소, 불소화합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암모니아 등의 유해가스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져 현장의 상황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비상경보용 라이트(140)는 유해가스 감지에 따라 해당 안전모의 착용자나 주위의 작업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것으로, 이러한 비상경보용 라이트(14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102)의 표면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스모크센서(130)를 통해 검출된 유해가스 감지신호에 의해 점등 또는 점멸되어 유해가스 발생을 경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비상경보용 라이트(14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102)의 양측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씩 구성된다. 이는 비상경보용 라이트(140)의 작동시 작업자 주변에서도 시각적으로 충분히 인지하여 유해가스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비상경보용 라이트(140)는 작업자 주변에서도 시각적으로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불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구성됨은 물론, 작업자가 비상경보를 보다 더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멸등의 형태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터리 박스(150)는 조명용 라이트(120)와 스모크센서(130) 및 비상경보용 라이트(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배터리 박스(15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102)의 후방 중심부 상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를 포함한 배터리 박스(150)는 배터리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개폐식으로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배터리 박스(150)의 표면에는 스모크센서(130)의 유해가스 감지신호에 의해 점등이나 점멸되어 후방에서도 유해가스의 발생을 경보할 수 있는 후미 경보등(152)을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위치추적유닛(200)은 안전모 착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위치추적유닛(20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착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산정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추적유닛(200)은 안전모를 착용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산정하는 GPS수신기(210),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생성 출력하는 액티브센서(220), 안전모 상에 구성되어 GPS수신기(210)와 액티브센서(220)에 의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230), GPS수신기(210)에 의해 산정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와 액티브센서(220)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관리터미널(290)로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중계기(240), 무선중계기(240)를 통해 전송된 해당 작업자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는 연산부(250), 무선중계기(240)를 통해 전송된 액티브센서(220)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작업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질식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260), 연산부(250)에 의해 연산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와 판단부(260)에 의해 판단된 해당 작업자의 질식사고 여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70) 및 위치추적유닛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28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추적유닛(200)의 구성에서 안전모를 착용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산정하는 GPS수신기(210)와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생성 출력하는 액티브센서(220) 및 안전모 상에 구성되어 GPS수신기(210)와 액티브센서(220)에 의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230)는 안전모의 스위치모듈(110) 내부에 설치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추적유닛(200)을 구성하는 GPS수신기(210)와 액티브센서(220)는 안전모 상의 스위치모듈(110) 내부에 설치되는 보드에 칩셋이 실장된 형태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위치추적유닛(200)을 구성하는 무선 통신부(230)는 스위치모듈(110) 상부측에 무선 송수신을 위한 샤크 안테나(232)를 통해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추적유닛(200)의 구성에서 무선중계기(240)는 해당 작업자가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이동용 중계기로 구성된다. 즉, 작업현장이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작업공간인 경우 안전모 상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230)만으로는 통신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의 출입구 상에 이동용 무선중계기(240)를 설치하여 관리터미널(290)과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위치추적유닛(200)은 안전모 상에 구성된 GPS수신기(210)와 액티브센서(220)에 의해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산정된 데이터와 작업자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데이터가 무선 통신부(230)를 통해 지상과 지하의 경계면이 작업현장의 입구측에 설치된 무선중계기(240)로 전송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중계기(240)로 전송된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산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부(280)의 제어하에 연산부(250)는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여 관리터미널(290)로 전송하고, 작업자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부(280)의 제어하에 판단부(260)는 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작업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질식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터미널(290)로 전송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80)의 제어하에 연산부(250)와 판단부(260)에 의한 데이터가 관리터미널(290)로 전송되면 연산부(250)에 의해 연산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와 판단부(260)에 의해 판단된 해당 작업자의 질식사고 여부에 대한 자료는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해 출력되어 관리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해 출력되는 자료를 통해 해당 작업자가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어 질식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응급구조원의 파견을 통해 작업자의 응급구조를 즉시 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연산부(250)에 의해 연산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응급구조원은 작업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구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안전모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모크센서(120)에 의해 검출된 유해가스 데이터신호를 통해 경보를 발하는 비상경보용 스피커(16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상경보용 스피커(160)는 작업자가 작업에 열중하다 보면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것이 늦어질 수 있게 때문에 유해가스의 발생을 청각적으로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비상경보용 스피커(160)는 안전모의 어느 곳이라도 설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모듈(110)의 일측에 설치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맨홀이나 하수관 또는 급수탱크와 같은 밀폐된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시 질식사고에도 작업자를 추적하여 인명구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유해가스의 발생을 검출하여 즉시 경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예측 불가능한 질식사고의 위험에서 산소의 부족현상이나 가스 발생을 미리 감지하여 안전모에 적용된 스모크센서와 위치센서를 통해 작업자와 외부 현장 상황실에서 작업현장의 상황을 파악해 신속한 구조에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안전모 110. 스위치모듈
120. 조명용 라이트 130. 스모크센서
132. 스모크센서용 온/오프스위치 140. 비상경보용 라이트
150. 배터리 박스 152. 후미 경보등
160. 비상경보용 스피커 200. 위치추적유닛
210. GPS수신기 220. 액티브센서
230. 무선 통신부 240. 무선중계기
250. 연산부 260. 판단부
270. 디스플레이부 280. 제어부
290. 관리터미널

Claims (7)

  1. 공장이나 공사현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낙하물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전후의 중심라인 상에 곡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모듈;
    상기 스위치모듈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을 조명하는 조명용 라이트;
    상기 스위치모듈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발생을 감지하여 검출하는 스모크센서;
    상기 안전모의 표면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스모크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검출된 유해가스 감지신호에 의해 점등 또는 점멸되어 유해가스 발생을 경보하는 비상경보용 라이트;
    상기 안전모의 후방 중심부 상에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 배터리 박스; 및
    상기 안전모 착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산정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모크센서는 작업자가 들어가는 작업현장에 따라 유독가스 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로 이루어져 해당 작업현장의 유독가스 상태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유닛은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산정하는 GPS수신기;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생성 출력하는 액티브센서;
    상기 안전모 상에 구성되어 상기 GPS수신기와 액티브센서에 의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GPS수신기에 의해 산정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액티브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관리터미널로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중계기;
    상기 무선중계기를 통해 전송된 해당 작업자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무선중계기를 통해 전송된 액티브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작업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질식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해당 작업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해당 작업자의 질식사고 연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위치추적유닛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GPS수신기와 액티브센서는 상기 안전모 상의 스위치모듈 내부에 설치되는 보드에 칩셋이 실장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기는 해당 작업자가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이동용 중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상의 스위치모듈에는 무선 송수신을 위한 샤크 안테나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모크센서에 의해 검출된 유해가스 데이터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하는 비상경보용 스피커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KR1020170084202A 2017-07-03 2017-07-03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KR101984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02A KR101984302B1 (ko) 2017-07-03 2017-07-03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02A KR101984302B1 (ko) 2017-07-03 2017-07-03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083A true KR20190004083A (ko) 2019-01-11
KR101984302B1 KR101984302B1 (ko) 2019-05-30

Family

ID=6502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202A KR101984302B1 (ko) 2017-07-03 2017-07-03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3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3976A (zh) * 2019-08-14 2019-11-12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基于安全帽的安全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317191A (zh) * 2020-02-28 2020-06-23 深圳人本国际科技服饰有限公司 一种功能性溶洞探险服
CN114376296A (zh) * 2022-02-15 2022-04-22 深圳芯闻科技有限公司 带气味识别功能的安全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689B1 (ko) 2019-11-28 2023-05-30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안전모용 생체 신호 측정 모듈
KR20240003854A (ko) 2022-07-04 2024-01-11 이삼원 안전모를 이용한 재해방지 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269A (ko)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용 룸밀러의 스테이구조
KR101101131B1 (ko) * 2010-03-29 2011-12-30 주식회사인스타 비상신호용 자동 스트로브 라이트
KR101103516B1 (ko) * 2011-02-11 2012-01-06 성환도 스마트 소방 헬멧
CN202588449U (zh) * 2012-05-15 2012-12-12 北京紫铭光电科技有限公司 新型矿灯防爆帽
KR20130125081A (ko) 2012-05-08 2013-11-18 김미성 안전모의 랜턴 고정장치
KR20140002003A (ko) 2011-10-18 2014-01-07 시아오미 아이엔씨. 그룹을 구축하는 방법
KR20140002489A (ko) 2012-06-29 2014-01-08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팁 홀더 수납체의 적재대
KR20140075333A (ko) * 2012-12-11 2014-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전모를 이용한 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586754B1 (ko) 2015-07-23 2016-01-19 김두식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
KR20160012773A (ko) 2014-07-25 2016-02-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통신 가능한 절전형 안전모 및 그의 무선 송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269A (ko)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용 룸밀러의 스테이구조
KR101101131B1 (ko) * 2010-03-29 2011-12-30 주식회사인스타 비상신호용 자동 스트로브 라이트
KR101103516B1 (ko) * 2011-02-11 2012-01-06 성환도 스마트 소방 헬멧
KR20140002003A (ko) 2011-10-18 2014-01-07 시아오미 아이엔씨. 그룹을 구축하는 방법
KR20130125081A (ko) 2012-05-08 2013-11-18 김미성 안전모의 랜턴 고정장치
CN202588449U (zh) * 2012-05-15 2012-12-12 北京紫铭光电科技有限公司 新型矿灯防爆帽
KR20140002489A (ko) 2012-06-29 2014-01-08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팁 홀더 수납체의 적재대
KR20140075333A (ko) * 2012-12-11 2014-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전모를 이용한 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60012773A (ko) 2014-07-25 2016-02-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통신 가능한 절전형 안전모 및 그의 무선 송수신 방법
KR101586754B1 (ko) 2015-07-23 2016-01-19 김두식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3976A (zh) * 2019-08-14 2019-11-12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基于安全帽的安全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443976B (zh) * 2019-08-14 2021-05-28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基于安全帽的安全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317191A (zh) * 2020-02-28 2020-06-23 深圳人本国际科技服饰有限公司 一种功能性溶洞探险服
CN111317191B (zh) * 2020-02-28 2021-09-07 深圳人本国际科技服饰有限公司 一种功能性溶洞探险服
CN114376296A (zh) * 2022-02-15 2022-04-22 深圳芯闻科技有限公司 带气味识别功能的安全帽
CN114376296B (zh) * 2022-02-15 2024-04-09 中交天航南方交通建设有限公司 带气味识别功能的安全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302B1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302B1 (ko)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101742225B1 (ko) 향상된 안전 특징들을 갖춘 안전 헬멧 또는 헤드피스
KR101848276B1 (ko)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시스템
CN203802972U (zh) 建筑火灾智能疏散系统
KR20110053107A (ko) 유해작업장 안전관리시스템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20180125851A (ko) 스마트 안전관리 기기 및 이를 활용한 안전관리시스템
WO2018156001A1 (es) Método de medición y mapeo de concentración de gases nocivos para la salud en espacios confinados
GB2482853A (en) Portable anti collision sensor
CA2851066A1 (en) Improving safety on sites with movable objects
KR102133180B1 (ko) 질식사고 방지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JP6340678B2 (ja) 携帯用ガス警報器
KR101999206B1 (ko)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0003A (ko) 휴대용 비상 랜턴
KR101487752B1 (ko) 진동센서가 구비된 안전모를 이용한 리프트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33763Y1 (ko) 휴대용 다목적 비상경보장치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20180035303A (ko) 휴대용 랜턴
KR20190113150A (ko) 추락방지 시스템
CN214854464U (zh) 一种具有安全预警功能的智能巡检防护服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230146173A (ko)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장비와, 유해가스 감지 및 알람 안전 시스템
KR102037246B1 (ko) 안전 관리 장치 세트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