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754B1 -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754B1
KR101586754B1 KR1020150104632A KR20150104632A KR101586754B1 KR 101586754 B1 KR101586754 B1 KR 101586754B1 KR 1020150104632 A KR1020150104632 A KR 1020150104632A KR 20150104632 A KR20150104632 A KR 20150104632A KR 101586754 B1 KR101586754 B1 KR 101586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tern
head
helmet
rotary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식
Original Assignee
김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식 filed Critical 김두식
Priority to KR1020150104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에 랜턴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야간작업 또는 어두운 곳에서의 작업시 작업용 랜턴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는 랜턴이 고정될 수 있는 헤드부와 안전모의 하부 가장자리에 끼워져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헤드부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를 결합시키는 제 1결합수단과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를 결합시키는 제 2결합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The lanterns anchorages of safety helmet}
본 발명은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에 랜턴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야간작업 또는 어두운 곳에서의 작업시 작업용 랜턴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공장이나 공사현장 등의 산업현장의 작업자가 낙하물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전모는 머리 고정대와 충격흡수재, 턱 끈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안전모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강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야간 작업시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명기구 구비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모에 구비되는 조명기구는 움직임이 고정되어 작업자가 조명각도를 조정할 수 없었다. 이는 작업자가 원하는 곳을 용이하게 조명할 수 없도록 하여 작업성을 현저히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조명기구를 수리하거나 배터리의 교체 또는 충전하기 위해 조명기구를 안전모로부터 분리할 때 조명기구가 안전모에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명기구가 구비된 안전모의 수가 한정되어 하나의 조명기구가 구비된 안전모를 다수가 같이 사용하여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신의 머리에 맞지 않는 안전모 착용으로 인한 안전에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5081호에는 안전모에 랜턴이 고정되는 고정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랜턴고정장치는 상기 안전모에 홈을 뚫어서 랜턴고정장치를 장착하여 상기 안전모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부와 회전부는 볼트와 너트로 조립된다.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경우,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결합된 볼트를 풀어 고정부를 회전시킨 후에 다시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를 결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 및 작업시 고정부와 안전모의 접촉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508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모에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고 랜턴고정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별도의 공구 없이 랜턴의 조사방향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랜턴홀더부에 연성재질의 시트를 부착하여 이동 및 작업시 랜턴홀더부와 안전모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는 랜턴이 고정될 수 있는 헤드부와; 안전모의 하부 가장자리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지지부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헤드부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를 결합시키는 제 1결합수단과;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를 결합시키는 제 2결합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랜턴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파지홈이 형성된 랜턴홀더부와, 상기 랜턴홀더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접촉하는 제 1회전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회전결합부의 하부에는 방사상의 요철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헤드부와 대향하는 일측에 상기 제1 회전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회전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대향하는 타측에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제 3회전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및 제 3회전결합부에는 방사상의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전모의 하부 가장자리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3회전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4회전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결합수단은 일측이 상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리벳결합부재와, 상기 제 1리벳결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헤드부를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제 1탄성결합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결합수단은 일측이 상기 연결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리벳결합부재와, 상기 제 2리벳결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연결부를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제 2탄성결합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는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몸체가 안전모의 하부 가장자리에 끼워져 결합하여 안전모에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고 결합할 수 있다.
헤드부와 연결부 그리고 지지부들은 요철구조로 맞물려 리벳결합되어 랜턴을 별도의 공구없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원활히 360°회전시킬 수 있다.
랜턴홀더부에 연성재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시트를 부착하여 랜턴의 고정을 강화하고, 작업시 랜턴홀더부와 안전모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가 안전모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의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는 야간작업 또는 어두운 곳에서의 작업할 때에 작업용 랜턴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데 이용된다. 이러한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는 랜턴(200)이 탈착할 수 있게 고정된다. 그리고 안전모(100)와 랜턴고정장치는 탈착할 수 있게 고정되고, 랜턴(200)과 랜턴고정장치도 탈착할 수 있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는 랜턴(200)이 고정될 수 있는 헤드부(10)와, 안전모(100)의 하부 가장자리에 끼워져 결합 될 수 있는 지지부(30)와, 헤드부(10)와 지지부(30)를 연결하는 연결부(20)와, 연결부(20)에 대하여 헤드부(10)가 좌우 방향으로 360°회전할 수 있도록 헤드부(10)와 연결부(20)를 결합시키는 제 1결합수단(40)과 지지부(30)에 대하여 연결부(20)가 상하 방향으로 360°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부(20)와 지지부(30)를 결합시키는 제 2결합수단(50)을 구비한다.
헤드부(10)는 랜턴(200)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파지홈(13)이 형성된 랜턴홀더부(11)와, 랜턴홀더부(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연결부(20)와 접촉하는 제 1회전결합부(12)를 구비한다.
랜턴홀더부(11)는 랜턴(2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랜턴홀더부(11)에는 랜턴(200)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파지홈(13)이 형성된다. 파지홈(13)의 직경은 랜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랜턴홀더부(11)의 상부는 랜턴(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랜턴홀더부(11)는 연성의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랜턴(200)을 끼웠을 때는 파지홈(13)이 강제적으로 벌어지고 랜턴(200)을 뺐을 때는 파지홈(13)이 복원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랜턴홀더부(11)의 외부표면과 내부표면에는 연성재질의 고무나 실리콘 소재의 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랜턴홀더부(11)의 내외부표면의 마찰계수가 높아져 랜턴(200)에 대한 랜턴홀더부(11)의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트가 완충재 역할을 해서 랜턴홀더부(11)와 안전모(100)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랜턴홀더부(11)의 내부에는 제 1리벳자리홈(12b)이 형성된다. 제 1리벳자리홈(12b)은 랜턴홀더부(11)의 내측보다 더 깊게 파여 형성된다.
연결부(20)와 대향하는 렌턴홀더부(11)의 하부에는 제 1회전결합부(12)가 형성된다.
제 1회전결합부(12)의 중심에는 제 1삽입홀(12a)이 형성된다. 제 1삽입홀(12a)은 제 1회전결합부(12)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다. 이러한 제 1삽입홀(21a)의 상부는 제 1리벳자리홈(12b)과 연결된다.
제 1회전결합부(12)의 하부에는 물결 모양의 요철(15)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15)은 도시된 예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후술할 제 2회전결합부(21)에 형성된 요철(25)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요철(15)은 제 1삽입홀(12a)의 주위에 형성된다. 요철(15)은 볼록하게 돌출된 산부(16)와 오목하게 들어간 골부(17)로 이루어진다. 산부(16)와 골부(17)는 제 1삽입홀(12a)의 주위를 따라 번갈아가면서 형성된다. 각 산부(16)와 각 골부(17)는 제 1삽입홀(21a)을 중심으로 하여 제 1회전결합부(12)의 바깥방향으로 퍼져나가는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20)는 헤드부(10)와 지지부(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결부(20)의 일측은 헤드부(10)와 대향되고 연결부(20)의 타측은 지지부와 대향될 수 있도록 ㄴ형상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연결부(20)의 굽어진 부분에는 인입홈(23)이 형성된다.
헤드부(10)와 대향하는 연결부(20)의 일측에는 제 2회전결합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30)와 대향하는 연결부(20)의 타측에는 제 3회전결합부(22)가 형성된다.
제 2회전결합부(21)의 중심에는 제 2삽입홀(21a)이 형성된다. 제 2삽입홀(21a)은 제 2회전결합부(21)의 상하 방향ㅍ으로 관통된다. 이러한 제 2삽입홀(21a)의 하부는 인입홈(23)과 연결된다.
제 3회전결합부(22)의 중심에는 제 3삽입홀(22a)이 형성된다. 제 3삽입홀(22a)은 제 3회전결합부(22)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다. 이러한 제 3삽입홀(22a)의 좌측부는 인입홈(23)과 연결된다.
제 2회전결합부(21)의 상부에는 물결 모양의 요철(25)이 형성된다. 요철(25)은 제 2삽입홀(21a)의 주위에 형성된다. 요철(25)은 볼록하게 돌출된 산부(26)와 오목하게 들어간 골부(27)로 이루어진다. 산부(26)와 골부(27)는 제 2삽입홀(21a)의 주위를 따라 번갈아가면서 형성된다. 각 산부(26)와 각 골부(27)는 제 2삽입홀(21a)을 중심으로 하여 제 2회전결합부(21)의 바깥방향으로 퍼져나가는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제 3회전결합부(22)의 우측부에는 물결모양의 요철(35)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35)은 도시된 예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술한 제 2회전결합부(21)에 형성된 요철(25)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요철(35)은 제 3삽입홀(22a)의 주위에 형성된다. 요철(35)은 볼록하게 돌출된 산부(36)와 오목하게 들어간 골부(37)로 이루어진다. 산부(36)와 골부(37)는 제 3삽입홀(22a)의 주위를 따라 번갈아가면서 형성된다. 각 산부(36)와 각 골부(37)는 제 3삽입홀(22a)을 중심으로 하여 제 3회전결합부(22)의 바깥방향으로 퍼져나가는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20)와 헤드부(10)는 제 1결합수단(40)에 의해 결합된다.
도시된 제 1결합수단(40)의 일 예로 제 1리벳결합부재(40a)가 적용될 수 있다. 제 1리벳결합부재(40a)는 제 1삽입홀(12a)과 제 2삽입홀(21a)에 삽입된 형태로 연결부(20)와 헤드부(10)를 결합시킨다. 제 1리벳결합부재(40a)는 몸통부(42)와, 몸통부(42)의 일단에 형성된 머리부(41)와, 몸통부(42)의 타단에 형성된 압착부(43)로 이루어진다. 압착부(43)는 리벳팅시 몸통부(42)의 타단이 압착되면서 형성되는 부분이다.
도 2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머리부(41)와 몸통부(42)만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둥근머리리벳을 이용하여 연결부(20)와 헤드부(10)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인입홈(23) 방향에서 몸통부(42)를 제 2삽입홀(21a)에 삽입한 후 제 1삽입홀(12a)까지 밀어 넣은 다음 랜턴홀더부(11)의 파지홈(13)으로 돌출되는 몸통부(42)의 단부를 리벳팅 기계를 이용하여 압착시킨다. 리벳팅 기계에 의해 몸통부(42)의 단부가 압착되면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한 모양의 압착부(43)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압착부(43)는 제 1리벳자리홈(12b)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 1리벳결합부재(40a)에 의해 헤드부(10)와 연결부(20)가 결합되는 경우 제 2회전결합부(21)에 형성된 요철(25)과 제 1회전결합부(12)에 형성된 요철(15)이 맞물린다. 제 2회전결합부(21)에 형성된 요철(25)과 제 1회전결합부(12)에 형성된 요철(15)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헤드부(10)를 손으로 잡고 좌우로 돌리게 되면 헤드부(10)가 360°회전될 수 있도록 제 1회전결합부(12)와 제 2회전결합부(21)는 적절히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틈새가 너무 크면 안전모(100)를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해 헤드부(10)가 임의로 회전할 수 있고, 이격 틈새가 너무 작으면 작업자가 헤드부(10)를 손으로 잡고 돌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격틈새는 산부의 높이(H)의 1/3 내지 2/3이 적당하다. 여기서 이격 틈새는 제 1회전결합부(12)의 산부(16)와 제 2회전결합부(21)의 골부(27)와의 거리 또는 제 1회전결합부(12)의 골부(17)와 제 2회전결합부(21)의 산부(26)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헤드부(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제 1 및 제 2회전결합부(12,21)에 각각 형성된 요철(15,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산부(16,26)와 골부(17,27)가 둥근 물결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2회전결합부(21)에 형성된 요철(25)과 제 1회전결합부(12)에 형성된 요철(15)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헤드부(10)를 손으로 잡고 돌리면 제 2회전결합부(21)의 골부(27)에 위치하는 제 1회전결합부(12)의 산부(16)가 제 2회전결합부(21)의 골부(27)를 넘어가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헤드부(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헤드부(10)의 회전시 요철(55)의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헤드부(10)와 연결부(2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지지부(30)는 안전모(100)의 하부 가장자리에 끼워져 결합 될 수 있도록 삽입홈(36)이 형성된 지지몸체(31)와, 지지몸체(31)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 3회전결합부(22)와 결합하는 제 4회전결합부(34)를 구비한다.
지지몸체(31)는 안전모(100)의 하부 가장자리에 끼워져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지몸체(31)에는 안전모(100)의 하부 가장자리에 끼워져 결합 될 수 있는 삽입홈(36)이 형성된다. 삽입홈(36)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삽입홈(36)의 우측상부는 개방되어 안전모(100)의 하부 가장자리에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다.
안전모(100)의 하부 가장자리에 랜턴고정장치가 끼워져 결합되어 안전모(100)에 변형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지몸체(31)는 굽어져 있는 안전모(100)의 하부에 결합 되기 위해 굽어지게 형성된다. 지지몸체(31)는 안전모(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1체결부(32a)와 제 2체결부(33a)가 형성된다.
제 1체결부(32a)에는 제 1체결홀(32b)이 형성되고 제 2체결부(33a)에는 제 2체결홀(33b)이 형성된다. 제 1체결홀(32b)은 제 1체결부(32a)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고 제 2체결홀(33b)은 제 2체결부(33a)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다.
도 7과 같이 제 1,2체결홀(32b,33b)과 나비머리 나사(35)는 안전모(100)의 내부에서 연결된다. 나비머리 나사(35)는 제 1,2체결홀(32b,33b)의 일 측에 조여진다. 나비머리 나사(35)가 조여질수록 제 1,2체결홀(32b,33b)의 타 측으로 나비머리 나사(35)가 돌출된다. 돌출된 나비머리 나사(35)와 안전모(100)의 내부면은 접촉되 어 결합된다. 따라서 제 1,2체결부(32a,33a)와 나비머리 나사(35)가 접촉되어 안전모(100)와 지지몸체(31)의 결합 또는 고정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100)의 내부에는 머리 고정대(101)가 설치된다. 안전모(100)와 머리 고정대(101)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공간에는 제 1,2체결부(32a,33a)와 나비머리 나사(35)가 삽입된다. 따라서 제1,2체결부(32a,33a)와 나비머리 나사(35)는 작업자의 머리와 접촉되지 않는다.
제 4회전결합부(34)는 연결부(20)와 대향하는 지지부(30)의 측면에 형성된다.
제 4회전결합부(34)의 중심에는 제 4삽입홀(34a)이 형성된다. 제 4삽입홀(34a)은 제 4회전결합부(12)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다. 이러한 제 4삽입홀(34a)의 우측부는 제 2리벳자리홈(34b)과 연결된다. 제 2리벳자리홈(34b)은 제 4회전결합부(34)의 우측부에 형성된다. 제 2리벳자리홈(34b)은 제 4회전결합부(34)의 우측부보다 더 깊게 파여 형성된다.
제 4회전결합부(34)의 좌측부에는 물결 모양의 요철(45)이 형성된다. 요철(45)은 제 4삽입홀(34a)의 주위에 형성된다. 요철(45)은 볼록하게 돌출된 산부(46)와 오목하게 들어간 골부(47)로 이루어진다. 산부(46)와 골부(47)는 제 4삽입홀(34a)의 주위를 따라 번갈아가면서 형성된다. 각 산부(46)와 각 골부(47)는 제 4삽입홀(34a)을 중심으로 하여 제 4회전결합부(34)의 바깥방향으로 퍼져나가는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20)와 지지부(30)는 제 2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된다.
도시된 제 2결합수단(50)의 일 예로 제 2리벳결합부재(50a)가 적용될 수 있다. 제 2리벳결합부재(50a)는 제 3삽입홀(22a)과 제 4삽입홀(34a)에 삽입된 형태로 연결부(20)와 지지부(30)를 결합시킨다. 제 2리벳결합부재(50a)는 몸통부(52)와, 몸통부(52)의 일단에 형성된 머리부(51)와, 몸통부(52)의 타단에 형성된 압착부(53)로 이루어진다. 압착부(53)는 리벳팅시 몸통부(52)의 타단이 압착되면서 형성되는 부분이다.
도 2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머리부(51)와 몸통부(52)만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둥근머리리벳을 이용하여 연결부(20)와 지지부(30)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인입홈(23) 방향에서 몸통부(52)를 제 3삽입홀(22a)에 삽입한 후 제 4삽입홀(34a)까지 밀어 넣은 다음 제 4회전결합부(34)의 우측부로 돌출되는 몸통부(52)의 단부를 리벳팅 기계를 이용하여 압착시킨다. 리벳팅 기계에 의해 몸통부(52)의 단부가 압착되면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한 모양의 압착부(53)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압착부(53)는 제 2리벳자리홈(34b)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 2리벳결합부재(50a)에 의해 연결부(20)와 지지부(30)가 결합되는 경우 제 3회전결합부(22)에 형성된 요철(35)과 제 4회전결합부(34)에 형성된 요철(45)이 맞물린다. 제 3회전결합부(22)에 형성된 요철(35)과 제 4회전결합부(34)에 형성된 요철(45)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연결부(20)를 손으로 잡고 상하로 돌리게 되면 연결부(20)가 360°회전될 수 있도록 제 3회전결합부(22)와 제 4회전결합부(34)는 적절히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틈새가 너무 크면 안전모(100)를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해 연결부(20)가 임의로 회전할 수 있고, 이격 틈새가 너무 작으면 작업자가 연결부(20)를 손으로 잡고 돌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격틈새는 산부의 높이(H)의 1/3 내지 2/3이 적당하다. 여기서 이격 틈새는 제 3회전결합부(22)의 산부(36)와 제 4회전결합부(34)의 골부(47)와의 거리 또는 제 3회전결합부(22)의 골부(37)와 제 4전결합부(34)의 산부(46)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연결부(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제 3 및 제 4회전결합부(22,34)에 각각 형성된 요철(35,4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산부(36,46)와 골부(37,47)가 둥근 물결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3회전결합부(22)에 형성된 요철(35)과 제 4회전결합부(34)에 형성된 요철(45)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연결부(20)를 손으로 잡고 돌리면 제 3회전결합부(22)의 골부(37)에 위치하는 제 4회전결합부(34)의 산부(46)가 제 3회전결합부(22)의 골부(37)를 넘어가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결부(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연결부(20)의 회전시 요철(55)의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연결부(20)와 지지부(3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랜턴장치는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100)에 랜턴(200)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업자가 지지몸체(31)를 손으로 잡고 삽입홈(36)을 안전모(100) 하부 가장자리에 끼워서 고정한다. 안전모(100)의 내부에서 결합되는 제 1,2체결부(32a,33a)의 제 1,2체결홈(32b,33b)에 나비머리 나사(35)를 연결하여 결합을 강화한다.
작업자는 랜턴(200)을 손으로 집어서 랜턴홀더부(11)의 파지홈(13)에 끼워서 고정한다. 랜턴(200)을 파지홈(13)에 장착하는 경우, 랜턴홀더부(11)는 연성의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랜턴홀더부(11)의 상부가 강제적으로 벌어져 랜턴(200)이 장착된다.
작업자가 안전모(100)의 랜턴고정장치의 헤드부(10)를 잡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랜턴(200)의 불빛이 비추게 조정하는 경우, 제 1회전결합부(12)에 형성된 요철(15)과 제 2회전결합부(21)에 형성된 요철(25)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제 1회전결합부(12)와 제 2회전결합부(21)가 적절히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헤드부(10)를 손으로 잡고 좌우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헤드부(10)가 360°회전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안전모(100)의 랜턴고정장치의 연결부(20)를 잡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랜턴(200)의 불빛이 비추게 조정하는 경우, 제 3회전결합부(22)에 형성된 요철(35)과 제 4회전결합부(34)에 형성된 요철(45)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제 3회전결합부(22)와 제 4회전결합부(34)가 적절히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연결부(20)를 손으로 잡고 상하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연결부(20)가 360°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안전모(100)에 본 발명인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를 장착하여 어두운 곳 또는 시야가 확보되기 어려운 곳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본 발명은 제 2실시예로 헤드부(10)와 연결부(20) 그리고 지지부(30), 제 1결합수단(40), 제 2결합수단(50)을 구비한다. 헤드부(10)와 연결부(20) 그리고 지지부(30)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결합수단(40)은 제 1리벳결합부재(40a)와 제 1탄성결합부재(40b)를 구비한다.
제 1탄성결합부재(40b)는 헤드부(10)에 탄성을 가해 헤드부(10)를 연결부(20)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 1탄성결합부재(40b)는 헤드부(10)에 탄성을 가할 수 있도록 제 1리벳결합부재(40a)에 끼워져 설치된다.
제 1탄성결합부재(40b)는 코일스프링, 고무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이다. 제 1탄성결합부재(40b)는 제 1리벳결합부재(40a)의 머리부(41)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고 제 1리벳결합부재(40a)의 몸통부(42)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제 1탄성결합부재(40b)는 제 2삽입홀(21a)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제 1탄성결합부재(40b)의 상부는 제 2회전결합부(21)의 하부에 접촉되고 제 1탄성결합부재(40b)의 하부는 제 1리벳결합부재(40a)의 머리부(41)에 접촉된다.
작업자가 안전모(100)의 랜턴고정장치의 헤드부(10)를 잡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랜턴(200)의 불빛이 비추게 조정하는 경우, 제 1회전결합부(12)에 형성된 요철과 제 2회전결합부(21)에 형성된 요철이 적절히 이격되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제 1회전결합부(12)와 제 2회전결합부(21)는 좌우 방향으로 360°회전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켜 조정이 끝난 후에 헤드부(10)에서 손을 떼게 되면 제 1탄성결합부재(40b)의 탄성력에 의해 제 1회전결합부(12)와 제 2회전결합부(21)는 이격 없이 맞물려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이격 틈새가 커질수록 회전은 용이하나 고정이 어려워지고, 이격 틈새가 작아질수록 고정은 용이하나 회전이 어려워진다. 이때 제 1탄성결합부재(40b)가 제 1리벳결합부재(40a)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제 1리벳결합부재(40a)의 머리부(41)와 헤드부(10)의 하부에 탄성을 가해 제 1회전결합부(12)와 제 2회전결합부(21)의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격 틈새가 너무 크면 안전모(100)를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해 헤드부(10)가 임의로 회전하여 랜턴(200)의 조사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탄성결합부재(40b)가 제 1리벳결합부재(40a)에 끼워져 결합되어 랜턴(200)의 조사방향이 바뀌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제 2결합수단(40)은 제 2리벳결합부재(50a)와 제 2탄성결합부재(50b)를 구비한다.
제 2탄성결합부재(50b)는 연결부(20)에 탄성을 가해 연결부(20)를 지지부(30)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 2탄성결합부재(50b)는 지지부(30)에 탄성을 가할 수 있도록 제 2리벳결합부재(50a)에 끼워져 설치된다.
제 2탄성결합부재(50b)는 코일스프링, 고무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이다. 제 2탄성결합부재(50b)는 제 2리벳결합부재(50a)의 머리부(51)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고 제 2리벳결합부재(50a)의 몸통부(52)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제 2탄성결합부재(50b)는 제 3삽입홀(22a)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제 2탄성결합부재(50b)의 우측부는 제 3회전결합부(22)의 좌측부에 접촉되고 제 2탄성결합부재(50b)의 좌측부는 제 2리벳결합부재(50a)의 머리부(51)에 접촉된다.
작업자가 안전모(100)의 랜턴고정장치의 연결부(20)를 잡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랜턴(200)의 불빛이 비추게 조정하는 경우, 제 3회전결합부(22)에 형성된 요철과 제 4회전결합부(34)에 형성된 요철이 적절히 이격되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제 3회전결합부(22)와 제 4회전결합부(34)는 상하 방향으로 360°회전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켜 조정이 끝난 후에 연결부(20)에서 손을 떼게 되면 제 2탄성결합부재(50b)의 탄성력에 의해 제 3회전결합부(22)와 제 4회전결합부(34)는 이격 없이 맞물려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이격 틈새가 너무 크면 안전모(100)를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해 연결부(20)가 임의로 회전하여 랜턴(200)의 조사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탄성결합부재(50b)가 제 2리벳결합부재(50a)에 끼워져 결합되어 랜턴(200)의 조사방향이 바뀌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안전모 랜턴고정장치의 제 3실시예를 도 8에 나타내 보였다.
본 발명은 헤드부(10)와 연결부(20) 그리고 지지부(30), 제 1결합수단(40), 제 2결합수단(50)을 구비한다. 헤드부(10)와 연결부(20) 그리고 제 1결합수단(40), 제 2결합수단(50)은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의 지지부(30)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었으나, 손잡이(60)가 추가된다는 점에서 제 1실시예와 차이가 난다.
손잡이(60)는 지지몸체(31)에 형성된다. 손잡이(60)는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홀딩부(61)와, 홀딩부(61)를 잡고 있는 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62)이 형성된다.
홀딩부(61)는 지지몸체(31)의 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턱(62)은 홀딩부(61)를 잡고 있는 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홀딩부(61)의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턱(62)은 홀딩부(61)를 잡고 있는 손가락의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몸체(31)의 단부에 손잡이(60)가 형성됨으로써 안전모에서 랜턴고정장치를 분리하기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는 다양한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100)의 하부의 가장자리에 랜턴(200)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야간작업 또는 어두운 곳에서의 작업시 작업용 랜턴(200)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여 랜턴(200)을 손으로 들지 않고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 헤드부(10)와 연결부(20) 그리고 지지부(30)들은 요철구조로 맞물려서 리벳결합되어 랜턴(200)을 별도의 공구 없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원활히 360°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안전모 32a: 제 1체결부
200: 랜턴 32b: 제 1체결홀
10: 헤드부 33a: 제 2체결부
11: 랜턴홀더부 33b: 제 2체결홀
12: 제 1회전결합부 34: 제 4회전결합부
12a: 제 1삽입홀 34a: 제 4삽입홀
20: 연결부 40: 제1결합수단
21: 제 2회전결합부 40a: 제 1리벳결합부재
21a: 제 2삽입홀 40b: 제 1탄성결합부재
22: 제 3회전결합부 50: 제 2결합수단
22a: 제 3삽입홀 50a: 제 2리벳결합부재
30: 지지부 50b: 제 2탄성결합부재
31: 지지몸체

Claims (8)

  1. 랜턴(200)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파지홈(13)이 형성된 랜턴홀더부(11)와, 상기 랜턴홀더부(11)의 하부에 형성된 제 1회전결합부(12)를 가지는 헤드부(10)와:
    안전모(100)의 하부 가장자리가 끼워져 결합 될 수 있도록 삽입홈(36)이 형성되고 안전모와 결합시 안전모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체결부(32a)와 제 2체결부(32b)가 마련된 지지몸체(31)와, 상기 지지몸체(31)의 측면에 형성된 제 4회전결합부(34)를 구비하는 지지부(30);
    상기 헤드부(10)의 제1 회전결합부(12)와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결합수단(40)에 의해 결합되는 제 2회전결합부(21)와, 상기 제4회전결합부(34)와 제 2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 3회전결합부(22)를 가지는 연결부(20);를 구비하며,
    상기 제 1회전결합부(12)와 제 2회전결합부(21) 및 제 3회전결합부(22)와 제 4회전결합부(34)의 대응되는 면에는 방사상의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0)의 지지몸체(31)에는 손잡이부(60)가 형성되며, 이 손잡이부(60)는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홀딩부(61)와, 상기 홀딩부(61)를 잡고 있는 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랜턴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04632A 2015-07-23 2015-07-23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 KR101586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632A KR101586754B1 (ko) 2015-07-23 2015-07-23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632A KR101586754B1 (ko) 2015-07-23 2015-07-23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754B1 true KR101586754B1 (ko) 2016-01-19

Family

ID=5530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632A KR101586754B1 (ko) 2015-07-23 2015-07-23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7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83A (ko) 2017-07-03 2019-01-11 주식회사 디자인네오그룹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KR20200103403A (ko) 2019-02-25 2020-09-02 김양덕 밴드형 안전 조명장치
KR20210143099A (ko) * 2020-12-16 2021-11-26 희 수 황 안전모 헤드램프 고정장치
KR102454867B1 (ko) * 2022-02-21 2022-10-14 (주)엘씨구조시스템 안전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926Y1 (ko) * 2002-03-15 2002-06-21 홍순관 차양모의 차양 각도 조절장치
KR20090012615U (ko) * 2008-06-05 2009-12-09 정애임 안전모용 밴드홀더
KR20130125081A (ko) 2012-05-08 2013-11-18 김미성 안전모의 랜턴 고정장치
KR20140002003U (ko) * 2012-09-27 2014-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엘이디 랜턴을 구비한 안전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926Y1 (ko) * 2002-03-15 2002-06-21 홍순관 차양모의 차양 각도 조절장치
KR20090012615U (ko) * 2008-06-05 2009-12-09 정애임 안전모용 밴드홀더
KR20130125081A (ko) 2012-05-08 2013-11-18 김미성 안전모의 랜턴 고정장치
KR20140002003U (ko) * 2012-09-27 2014-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엘이디 랜턴을 구비한 안전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83A (ko) 2017-07-03 2019-01-11 주식회사 디자인네오그룹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KR20200103403A (ko) 2019-02-25 2020-09-02 김양덕 밴드형 안전 조명장치
KR20210143099A (ko) * 2020-12-16 2021-11-26 희 수 황 안전모 헤드램프 고정장치
KR102453281B1 (ko) * 2020-12-16 2022-10-11 황희수 안전모 헤드램프 고정장치
KR102454867B1 (ko) * 2022-02-21 2022-10-14 (주)엘씨구조시스템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754B1 (ko) 안전모의 랜턴고정장치
US7229172B2 (en) Eyeglasses-retain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US5600870A (en) Articulating hinge assembly
US6966074B2 (en) Cushion pad structure for headband
US11178931B2 (en) Protective helmet
KR101385672B1 (ko) 턱끈 가이드장치
US20070226865A1 (en) Arrangement for securing a hearing protector to a helmet and a helmet with such an arrangement
US8820690B2 (en) Force spreading clamp
JPH0699843B2 (ja) バンド調整用ラチェット装置
US10743599B2 (en) Support for a lighting element on a safety helmet, adjustable lighting system, and cable retention arrangement
CA2247650A1 (en) Goggle mounting system with removable eyelet
EA021497B1 (ru) Внутренн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опоры и фиксации защитного шлема на голове работника
KR101377744B1 (ko) 안전모의 랜턴 고정장치
US20210337908A1 (en) Safety helmet with a resiliently attached shock-absorbing shell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101951703B1 (ko) 밴드홀더
JP2002289030A (ja) ヘルメットに装着するための取付具を備えた照明器具
CN109744630B (zh) 防护头盔
KR200491608Y1 (ko) 휴대용 조명 장치가 장착되는 안전모
JP3190106U (ja) 電子機器装着具
US20050160511A1 (en) Sunglasses attachable to cap
US6525887B1 (en) Magnifying device worn around head
KR101924194B1 (ko) 자동버클용 벨트 고정장치
KR200232788Y1 (ko) 헤드랜턴의 구조
KR101731726B1 (ko) 로터리 조임 유니트 장착 스마트 헬멧
KR200481877Y1 (ko) 랜턴용 헤드 고정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