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301A -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301A
KR20230138301A KR1020220036182A KR20220036182A KR20230138301A KR 20230138301 A KR20230138301 A KR 20230138301A KR 1020220036182 A KR1020220036182 A KR 1020220036182A KR 20220036182 A KR20220036182 A KR 20220036182A KR 20230138301 A KR20230138301 A KR 2023013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worker
server
wearing
safet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스
Priority to KR102022003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301A/ko
Publication of KR2023013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3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7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the use of two or more ima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AI 카메라와, 스마트워치, AI서버 및 상기 AI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스마트워치와 통신되는 위치서버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출입자 관리와 안전장구 착용 검사, 넘어짐 같은 이상행동 검출, 화재 진단, 위험지역 진입 관리, 안전수칙 전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에 대응하고, 공정별 작업자 구분과 그리고 긴급구조 요청이 가능하도록 동작하게 구성함으로써, 안전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 조치를 취하고, 화재와 SOS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즉각적으로 조치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CONSTRUCTION SITE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설현장 또는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현장 근로자가 작업 현장의 위험 요소를 사전에 숙지할 수 있게 하고, 작업 도중에 위험 지역에 접근하게 되면 경고를 출력하여, 위험 지역에서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무를 위한 근로 현장은 다수의 위험이 존재하고, 근로 현장의 근로자들은 이러한 다수의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건설 공무를 위한 근로 현장에서는 근로자들의 작은 부주의만으로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큰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안전 예방이 중요한 관리 사항이다. 이러한, 안전 예방을 위하여 건설 공무를 위한 근로 현장에는 관리자가 존재하나, 소수의 관리자가 모든 근로자를 상시 관리할 수 없으며, 관리자는 근로자의 관리 이외에도 시설 관리를 포함한 다른 공무가 존재한다.
최근 기술 발달에 따라, 건설 현장의 관리자를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보조 수단이 등장하였다. 다만, 종래의 보조 수단들은 오작동 등으로 인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다수의 보조 수단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관리자의 시간과 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늘어가는 안전 예방에 대한 요구와 건설 공무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 처리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통합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들은 안전 장비를 착용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설현장에서는,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 인한 위험성과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는 여러 공구에 걸쳐 다양한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작업자들이 동시에 배치되어 각자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작업자의 인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관리자의 인원이 적고, 실외 작업 시 현장 관리자의 통제와 관리가 제한되는 영역에서는 건설인력에 대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의해, 건설현장 인력에 대한 안전사고나 비효율적인 인력관리는 전체적인 공사비의 상승과 생산성의 저하 그리고 공사기간의 연장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시 작업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의 위성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하지만, 초기 현장 개설시에는 네트워크 통신 불가능하거나 지하 공간에서는 통신 불통일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각각의 현장 근로자가 소유한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장 근로자가 작업의 종류와 작업의 위치를 설정하고, 현장 근로자가 위험지역에 접근할 경우 경고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현장 근로자가 스마트폰으로 직접 수행할 작업의 종류와 작업의 위치를 입력해야 하므로, 여전히 현장 근로자의 자발적인 행위를 요한다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이에 더하여 22년 1월 27일부터 산업안전사고에 대한 처벌 및 안전조치의무가 강화되었다. 중대재해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경영책임자 등의 안전보건 확보의무, 책임의 범위와 대상의 확대, 처벌강화, 징벌적 손해배상이 해당된다.
건설현장 재해 통계를 살펴보면 재해 사망자 중 건설업 비중이 50%를 차지한다. 기존 산업안전보호는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 수칙 준수, 안전 점검 등을 실시했는지 파악하기 어렵고, CCTV만으로 모든 작업자 모니터링 및 단독 작업자 파악이 어려워, 이에 따른 사용자 과실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위험 작업 현장 실시간 관리가 어렵고 실시간 위험 감지 및 알림 기능 부재할 뿐만 아니라, 협력사 직원의 작업 상황에 대한 안전 관리 및 파악이 어렵다.
기존 산업안전보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업장내의 직원 및 협력업체에 대한 강화된 안전관리 솔루션과 비대면 시대에 따른 원격 실시간 안전관리 시스템 필요하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36158호(2017.05.10)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현장 또는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자 관리와 안전장구 착용 검사, 넘어짐 같은 이상행동 검출, 화재 진단, 위험지역 진입 관리, 안전수칙 전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에 대응하고, 공정별 작업자 구분과 그리고 긴급구조 요청이 가능한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IoT 장치를 적용하고, 현장의 환경 정보와 안전 관련 공사 정보, CCTV 모니터링을 체계적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통제 방법을 구현하고, 작업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건설현장내의 위험에 대한 경고 및 안내를 제공함과 동시에, 건설현장 내 조명, 디스플레이, 스피커를 통해 위험에 대한 경고 및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근로자가 현장 내 위험 지역에 접근하게 되면 경고를 출력하여 위험을 알릴 수 있는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AI 카메라 솔루션, 위치 서버, IoT 위험 감지 등의 솔루션을 서로 연동하도록 개발하였으며, 관리 직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에게 안전장구 착용을 요구하는 문자가 발송되며, 작업자가 문자를 확인 후 안전장구를 착용했는지 여부까지 기록을 남기고 저장할 수 있는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은 작업현장 또는 산업현장에 하나 이상 구비된 AI 카메라와, 상기 작업현장 또는 산업현장의 출입자. 작업자, 작업반장에게 지급되는 스마트워치, 상기 AI카메라를 통하여 작업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안면을 인식하고, 이상상황을 분석하며, IoT작업복을 통한 의복의 속성을 인식하고, 관심지역의 침입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AI서버, 및 상기 AI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스마트워치와 통신되는 위치서버를 포함하고,
출입자 관리와 안전장구 착용 검사, 넘어짐 같은 이상행동 검출, 화재 진단, 위험지역 진입 관리, 안전수칙 전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에 대응하고, 공정별 작업자 구분과 그리고 긴급구조 요청이 가능하도록 동작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업현장 또는 산업현장에 구비된 AI 카메라, 작업자 및 작업반장이 소지한 스마트워치, AI서버 및 위치서버를 이용한 건설 통합 안전관리 방법은. 출입자 관리방법과 안전장구 착용 검사 방법, 위험지역설정관리 방법, 긴급구조 요청방법, 화재감지방법, 작업자의 넘어짐 감지 방법, 작업장 출입관리 방법, 공정관리방법, 그리고 SOS긴급구조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안전장구 착용 관리 방법은
(a)AI서버에서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를 발견하면, 위치서버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
(b)상기 (a)단계에서 알람을 전송받은 위치서버는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에게 안전장구 착용 관련 메시지를 스마트 워치를 이용하여 문자 전송하는 단계;
(c)AI서버는 위치서버가 안전장구 미착용자에게 안전장구 착용관련 메시지를 전송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작업자의 안전장구 착용여부를 상기 AI카메라를 통하여 재차 확인하는 단계;
(d)상기 (c)단계에서 확인결과 안전장구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해제하고, 알람 해제내역과 작업자 이름, 시간 등을 기록하고 종료하는 단계;
(e)상기 (c)단계에서 확인결과 안전장구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되고 발송한 문자 메시지의 횟수가 3회미만이면 다시 위치서버에 안전장구 착용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및
(f)상기 (c)단계에서 확인결과 안전장구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되고 발송한 문자 메시지의 횟수가 3회 이상 미착용으로 판단되면, 위치서버로 하여금 해당 공정 작업반장, 작업자에게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 알림메시지를 송부하여 착용하게 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에 의하면, 안전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 조치를 효과적으로 취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화재와 SOS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즉각적으로 조치할 수 있어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가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에 의하면, 출입자 관리와 안전장구 착용 검사, 넘어짐 같은 이상행동 검출, 화재 진단, 위험지역 진입 관리, 안전수칙 전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에 대응하고, 공정별 작업자 구분과 그리고 긴급구조 요청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요 안전 상황 발생시, 건설현장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에 사전에 설정된 안전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대처함으로써, 안전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 조치를 효과적으로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IoT 장치를 통하여 현장의 환경 정보와 안전 관련 공사 정보, CCTV 모니터링을 체계적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에 의하면, 안전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통제 방법을 구현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건설현장내의 위험에 대한 경고 및 안내를 제공할 수 있고, 건설현장 내 조명, 디스플레이, 스피커를 통해 위험에 대한 경고 및 안내를 수행할 수 있어 현장 근로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에 의하면, 현장 근로자가 현장 내 위험 지역에 접근하게 되면 경고를 출력하여 위험을 알릴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AI 카메라 솔루션, 위치 서버, IoT 위험 감지 등의 솔루션을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관리 직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에게 안전장구 착용을 요구하는 문자가 발송되며, 작업자가 문자를 확인 후 안전장구를 착용했는지 여부까지 기록을 남기고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장구 착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위험지역 설정관리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긴급구조요청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화재감지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넘어짐 감지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작업장 출입관리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하 흐름도,
도 8은 공정관리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SOS긴급구조 요청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 스마트워치 또는 모바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은 AI 카메라 솔루션, 위치 서버, IoT 위험 감지 등의 솔루션을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하고, 관리 직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에게 안전장구 착용을 요구하는 문자가 발송되며, 작업자가 문자를 확인 후 안전장구를 착용했는지 여부까지 기록을 남기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은 안면인식, 안전장구(안전모, 안전조끼, 안전벨트 등) 착용확인, 화재 진단 및 위험지역 침입은 AI 카메라로 감시하고, 이벤트가 발생하면 AI서버는 알람을 발생하고, 해당 작업자의 안면 인식을 통해 작업자의 신원을 파악한다.
이후 AI 서버에서 제공한 알람 정보와 작업자의 신원을 기반으로 위치서버는 해당 작업자에게 알람을 해제할 수 있는 행동수칙을 전달한다.
이때 3회 이상의 문자 발송에도 AI 서버의 알람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위치 서버는 해당 작업자가 어느 공정의 작업자인지를 알기 때문에 해당 공정의 작업반장에게 이벤트 상황정보를 제공하여 작업 반장이 안전모 착용을 지시하는 등의 행위로 이벤트 알람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스마트워치는 문자 수신 및 SOS버튼으로 긴급구조요청 기능을 제공한다.
무선통신은 5G/LTE/WiFi/BT/Beacon 모두 활용이 가능하며 AI서버와 위치서버(NMS)는 서로 연동되게 구성한다.
상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영역으로 작업자 출입관리와 근태관리, 안전모와 안전벨트, 안전조끼 등과 같은 안전장구의 착용 관리, 화재감시, 위험지역관리, 넘어짐 같은 이상행동 검출, 작업자 위치, 작업자 아이콘 구분, 위험지역 설정과 안전 수칙 발송, 긴급구조요청 그리고 체온과 심박 그리고 산소포화도와 같은 생체정보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먼저, 작업자 출입관리 및 근태관리는 마스크 착용시에서 안면인식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작업자의 이름, 인식시간, 위치 등을 작업자의 ID별로 사진과 함께 저장하여 DB로 관리한다.
안전 장구의 착용관리는 출입시와 작업 현장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안전장구 착용여부를 확인하고, 미착용시 작업자 이름, 시간 등을 기록하고 필요한 경우 알림을 발생하여 안전장구를 착용할 수 있게 조치한다.
화재 감시는 화재감지기나 육안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관리자에게 화재 알람을 발생시키고 이벤트 DB에 작업자의 이름 시간 등을 기록한다.
위험지역관리는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설정된 위험지역을 출입하는 경우 알람발생과 함께 출입자의 이름 시간 등을 기록한다.
이상 행동 검출은 작업 중 작업자가 넙어지면 알람을 발생하고 넘어진 작업자의 이름. 시간등을 기록하고 작업반장에게 스마트워치로 문자를 전송하여 확인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조치를 취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경우 조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조치결과도 DB에 기록하여 작업자 ID별로 이벤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의 위치는 대시보드에 현재 작업자 위치 및 시간을 기록하도록 하고, 위치기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이동경로 및 시간을 확인하여 DB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배관, 페인트, 미장 등의 공정별로 아이콘을 제공하여 각 층별로 작업자의 수와 위치, 그리고 아이콘을 이용하여 공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험지역설정은 게이트웨이 단위로 위험지역을 설정하고, 작업자가 위험지역 진입 시, 알람 발생과 작업자 이름, 시간 등을 기록한다.
이경우에는 아이콘 둘레에 적색 테두리로 구분하여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문자 기능을 이용한 안전수칙발송은 전체 공정별 작업자별로 안전수칙을 문자로 발송하고, 내용, 대상 시간 등을 기록하고 1개국 이상의 언어가 지원되게 하여 국적이 다른 사람도 쉽게 이용하게 할 수 있다.
SOS와 같은 긴급구조는 재해,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작업자가 긴급구조를 요청하는 문자를 발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워치에 SOS버튼을 구비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워치로 체온, 심박, 산소포화도를 특정하여 위치서버로 전송하여 작업자별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안전관리 솔루션은 AI 카메라 솔루션, 위치 서버, IoT 위험 감지 등의 솔루션이 제각각 작동하며, AI 카메라 솔루션, 위치 서버, IoT 위험 감지 솔루션을 관리하는 직원이 별도로 있어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현장을 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AI 카메라 솔루션, 위치 서버, IoT 위험 감지 등의 솔루션을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하고, 관리 직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에게 안전장구 착용을 요구하는 문자가 발송되며, 작업자가 문자를 확인 후 안전장구를 착용했는지 여부까지 기록을 남기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안전장구 착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안전장구 미착용 탐지부터 착용 확인까지의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안전 장구의 착용관리는 출입시와 작업 현장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안전장구 착용여부를 확인하고, 미착용시 작업자 이름, 시간 등을 기록하고 필요한 경우 알림을 발생하여 안전장구를 착용할 수 있게 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AI서버는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를 발견하면, 위치서버로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때 작업자의 이름, 발생시간, 이벤트 내용 등을 DB에 동시 기록한다.
알람을 전송받은 위치서버는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에게 안전장구 착용 관련 메시지를 스마트 워치를 이용하여 문자 전송한다.
또한, 위치서버도 문자 발송한 내용 즉 작업자이름과 공정, 발송시간 등을 DB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AI서버는 위치서버가 안전장구 미착용자에게 안전장구 착용관련 메시지를 전송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작업자의 안전장구 착용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안전장구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해제하고, 알람 해제내역과 작업자 이름, 시간 등을 기록하고 종료하면 된다.
AI서버에서 재차 확인후에도 해당 작업자가 안전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발송한 문자 메시지의 횟수가 3회미만이면 다시 위치서버에 안전장구 착용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게 하고, 3회 이상 미착용으로 판단되면, 위치서버로 하여금 해당 공정 작업반장, 작업자에게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 알림메시지를 송부하고, 문자 발송한 내용, 작업자 이름, 공정, 발송 시간 등을 기록하고 저장한다.
이후, 작업반장의 조치로 안전장구가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자 이름, 안전장구 착용내용, 조치시간 등을 기록하여 저장하고, AI서버와 위치서버는 이러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다음 도 3을 이용하여 위험지역 설정관리 시나리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위험지역 설정관리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위험지역 진입 작업자를 탐지하고 위험지역을 벗어날 때까지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먼저 AI서버는 위험지역을 진입하는 작업자를 발견하면 작업서버로 알람을 발생시키고 작업자 이름, 발생시간, 이벤트 내용 등을 기록 저장한다.
알람을 수신한 위치서버는 해당 작업자에게 안전장구 착용관련 문자메시지를 해당 작업자의 스마트워치에 문자가 수신되도록 발송한다. 이때 문자 발송 내용에는 작업자 이름, 공정, 발송시간 등에 대하여 문자를 발송한다.
이후 AI서버는 해당 작업자가 위험지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해제하고 종료하면 된다.
AI서버가 해당 작업자가 아직 위험지역을 이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서버로 다시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때도 작업자 이름, 발생시간, 이벤트 내용 등을 발송하고 DB에 기록하고 저장하면 된다.
재 알람신호를 수신한 위치서버는 3회 미만 까지는 다시 알람 문자를 발송하고, 문자메시지 발송이 3회이상이면 해당 공정 작업반장, 작업자에게 위험지역 진입 작업자 알림 메시지를 송부한다. 이때 알림메시지에는 작업자 이름, 공정, 발송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해당 내용도 DB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도 4는 긴급구조요청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긴급구조요청 방법은, 먼저 위치서버에서 긴급구조요청신호를 감시하고, 구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AI서버로 수신내용을 전송한다. 신호감시는 스마트워치의 SOS버튼의 입력유무로 판단할 수 있다.
구조요청신호는 알람의 형태로 구성되며, 작업자 이름, 작업공정, 발생장소, 발생시간 등 이벤트 내용으로 구성되며, DB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구조요청을 받은 AI서버는 구조요청 작업자 위치에 해당하는 AI카메라화면을 표출하면서 알람발생 이전 10분부터 해당 영상을 DB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AI서버는 카메라화면을 표출하면서 해당 작업자의 이상행동여부를 감시한다. 이때 이상행동이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하고, 작업자이름, 발생시간, 이벤트내용을 기록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즉, AI서버가 해당 작업자의 이상행동이 감지되면, 위치서버를 통하여 현장소장, 해당 공정 작업반장, 작업자에게 문자를 발송하면서, SOS요청 작업자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관제센터나 119로 신고한다. 이때의 문자발송내용은 문자발송대상, 내용, 시간 등을 기록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알람 후 해당 작업자의 이상행동이 없는 경우로 판단되면 AI서버는 정상상태로 확인하고, 알람을 해제하면 된다. 해제할 경우에도 AI서버는 작업자이름 시간 등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화재감지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화재가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시킨다.
알람내용에는 화재가 발생한 장소, 발생시간, 알람전 10전 영상부터 녹화저장되도록 하고, 전공정 작업자에게 문자를 발송하고, 119에 신고한다. 이때도 AI서버는 화재발생장소를 알림과 동시에 긴급대피문자를 발송하고 문자 내용과 시간 등은 DB에 기록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119신고 시간과 내용도 동시에 기록하여 보관하도록 한다.
도 6은 넘어짐 감지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AI서버에서 넘어짐이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시킨다. 알람내용에는 넘어진 작업자이름, 작업공정, 발생장소, 발생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내용들은 DB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넘어짐이 감지되면 AI서버는 해당 작업자의 이상행동여부를 확인하면서, 넘어짐이 감지된 10전의 영상부터 녹화하여 저장하고, 정상움직임이 확인되면 알람을 해제하고, 해제시간, 해제내역 등을 DB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AI서버가 넘어짐이 감지된 작업자의 이상 행동이 확인되면 해당공정 작업반장과 작업자에게 넘어짐이 발생한 문자를 발송하고, 문자를 발송한 대상자, 내용 시간 등을 DB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이후, 넘어짐을 수신한 작업반장은 1차 대응조치를 하고, 조치한 내용은 기록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도 7은 작업장 출입관리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하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AI서버는 작업장비 허가인이 출입하는 지를 감시하다가 허가인이 출입하면 위치서버에 작업장 출입 알람을 발생시키고 발생시간, 이벤트 내용 등을 DB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작업장비 미허가인이 출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서버에 해당 공정 작업반장에게 작업지역 미허가인 출입알림을 메시지로 송부하고, 해당 작업장에 경고 알람을 송출한다. 이때 문자발송의 내용으로는 작업장 정보, 공정, 발송시간 등을 DB에 기록하고 저장한다.
AI서버는 작업장비 허가인 출입을 재확인하여 없으면 알람을 해제하고, 알람해제내역과 작업장정보 시간 등을 DB에 기록하고 저장한다,
AI서버에서 작업장비 허가인 출입이 재확인되면, 다시 위치서버로 문자메시지와 경고알람을 송출하고, 재 출입여부를 확인하고, 출입이 확인되면 다시 문자메시지와 경고알람을 송출하는 작업을 반복하면 된다.
소정 횟수 이상 재출입이 확인되면, 작업반장이나 관제센터에 연락하여 직접 통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공정관리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공정관리 시나리오는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을 승인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 먼저 작업을 완료한 작업자는 스마트워치나 모바일 등을 이용하여 완료버튼을 입력하면 작업자의 완료시간을 위치서버로 전송함과 동시에 DB에 저장한다.
작업완료를 수신한 위치서버는 해장 공정 작업반장에게 작업완료 문자를 발송한다. 문자 발송내역에는 작업자 공정, 완료시간 등이 포함되고 이 역시 DB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작업완료를 수신한 작업반장은 AI서버에 해당 공정 작업현황을 보고하는 데 이떼 작업장 영상과 사진을 함께 전송하도록 한다.
작업반장으로부터 작업장 영상을 수신한 AI서버는 위치서버에게 해당 공정 작업반장이 AI서버 작업현황보고한 내용을 전송하고, 위치서버는 작업진행현황을 관리하고 해당 내용을 DB에 저장한다.
작업진행현황을 접수한 위치서버는 스마트워치나 모바일을 통하여 해당 작업에 대한 승인을 전송하면 된다.
도 9는 SOS긴급구조 요청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SOS가 필요한 경우 스마트워치 또는 모바일의 앱을 통하여 SOS구조를 요청한다.
스마트워치로부터 SOS구조를 수신한 위치서버는 해당 공정 작업반장과 관제센터로 구조문자를 발송한다. 구조문자에는 구조요청자 정보와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내용도 DB에 기록저장한다.
위치서버가 SOS구조 문자를 발송하면 AI서버는 해당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AI카메라를 통하여 현장을 확인하여 현장영상 또는 사진을 위치서버로 전송한다.
해당 영상을 수신한 위치서버는 공정 작업반장과 관제센터로 현장현황을 보고하고 구조를 요청하면 된다. 이 또한 현장현황은 관리를 위하여 저장되거나 보고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 스마트워치 또는 모바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마트워치/모바일로 SOS구조 외 공정관리버튼 버튼을 추가하여 다양한 작업자 관리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SOS 버튼을 연속해서 2회 누르는 행위의 조합으로 공정작업이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 행위는 건설사의 WBS(Work Breakdown Structure)와 연동하여 공정의 시작과 종료를 관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AI 서버

Claims (2)

  1. 작업현장 또는 산업현장에 하나 이상 구비된 AI 카메라;
    상기 작업현장 또는 산업현장의 출입자. 작업자, 작업반장에게 지급되는 스마트워치;
    상기 AI카메라를 통하여 작업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안면을 인식하고, 이상상황을 분석하며, IoT작업복을 통한 의복의 속성을 인식하고, 관심지역의 침입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AI서버;및
    상기 AI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스마트워치와 통신되는 위치서버;
    를 포함하고,
    출입자 관리와 안전장구 착용 검사, 넘어짐 같은 이상행동 검출, 화재 진단, 위험지역 진입 관리, 안전수칙 전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에 대응하고, 공정별 작업자 구분과 그리고 긴급구조 요청이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2. 작업현장 또는 산업현장에 구비된 AI 카메라, 작업자 및 작업반장이 소지한 스마트워치, AI서버 및 위치서버를 이용한 건설 통합 안전관리 방법에 있어서,
    출입자 관리방법과 안전장구 착용 검사 방법, 위험지역설정관리 방법, 긴급구조 요청방법, 화재감지방법, 작업자의 넘어짐 감지 방법, 작업장 출입관리 방법, 공정관리방법, 그리고 SOS긴급구조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안전장구 착용 관리 방법은
    (a)AI서버에서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를 발견하면, 위치서버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
    (b)상기 (a)단계에서 알람을 전송받은 위치서버는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에게 안전장구 착용 관련 메시지를 스마트 워치를 이용하여 문자 전송하는 단계;
    (c)AI서버는 위치서버가 안전장구 미착용자에게 안전장구 착용관련 메시지를 전송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작업자의 안전장구 착용여부를 상기 AI카메라를 통하여 재차 확인하는 단계;
    (d)상기 (c)단계에서 확인결과 안전장구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해제하고, 알람 해제내역과 작업자 이름, 시간 등을 기록하고 종료하는 단계;
    (e)상기 (c)단계에서 확인결과 안전장구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되고 발송한 문자 메시지의 횟수가 3회미만이면 다시 위치서버에 안전장구 착용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및
    (f)상기 (c)단계에서 확인결과 안전장구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되고 발송한 문자 메시지의 횟수가 3회 이상 미착용으로 판단되면, 위치서버로 하여금 해당 공정 작업반장, 작업자에게 안전장구 미착용 작업자 알림메시지를 송부하여 착용하게 강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설 통합 안전관리 방법.
KR1020220036182A 2022-03-23 2022-03-23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20230138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182A KR20230138301A (ko) 2022-03-23 2022-03-23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182A KR20230138301A (ko) 2022-03-23 2022-03-23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301A true KR20230138301A (ko) 2023-10-05

Family

ID=8829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182A KR20230138301A (ko) 2022-03-23 2022-03-23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83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77183A (zh) * 2023-10-26 2023-12-05 建设者家园网络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移动端用于施工现场的定位救援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158B1 (ko) 2015-04-22 2017-05-17 (주)대우건설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158B1 (ko) 2015-04-22 2017-05-17 (주)대우건설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77183A (zh) * 2023-10-26 2023-12-05 建设者家园网络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移动端用于施工现场的定位救援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4105B1 (en) Safety and security methods and systems
US10665087B2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686687B2 (en) Integrated personal safety and equipment monitoring system
KR20180059356A (ko)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2053619B1 (ko) 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645139B1 (ko)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10112579A (ko)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KR20230138301A (ko)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102332818B1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11114A (ko)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원격 화재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704163B1 (ko)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입출력 통합 제어 장치
KR102538621B1 (ko)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WO2022073899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removal of the equipment and other status conditions
CN116880262A (zh) 基于智能装备的安全管控方法及系统
TWM582191U (zh) Supervisory device
JP2017160036A (ja) 保守管理システム
CN110557501A (zh) 基于智能手表和智能手机协调的风险识别救助方法及系统
KR20230089666A (ko)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US11037431B1 (en) Proximity safety apparatus
RU66574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ой
KR20070048010A (ko)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7142649A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KR102620064B1 (ko) 이상 상황 발생에 따른 세이프 알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97537A (ko) 현장요원 관리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