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666A -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666A
KR20230089666A KR1020210178237A KR20210178237A KR20230089666A KR 20230089666 A KR20230089666 A KR 20230089666A KR 1020210178237 A KR1020210178237 A KR 1020210178237A KR 20210178237 A KR20210178237 A KR 20210178237A KR 20230089666 A KR20230089666 A KR 20230089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safety
worker
zo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호원
윤성민
서명원
윤상준
문태영
문지홍
박성진
정헌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7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666A/ko
Publication of KR20230089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구역별 위험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와, 작업자 및 환경정보 파악을 위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정보 내에서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와, 구역별 위험 등급에 따라 작업자의 개인정보 보호수준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 보호수준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METHOD FOR MONITORING AND POSITION RECOGNITION}
본 발명은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의료 및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통합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 개념을 도입한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재난의료 및 산업재해가 빈발함에 따라 기술적으로 이러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특히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산업 현장에서의 각종 안전사고를 경감하기 위한 여러 대책이 나타나고 있다. 공공기관 작업장에 대한 안전강화, 건설현장의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에 의한 안전성 확보 등도 그러한 대책의 일환으로 등장하고 있다.
현재 산업재해 현황과 원인을 살펴보면, 추락, 끼임, 교통사고, 충돌이라는 4대 악성 사고의 비중이 높으며, 유형별로 특히 추락, 끼임, 충돌의 순으로 사망사고 비중이 높다. 또한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의 사망자가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 및 원인에 맞추어 실시간 인지를 강화한 통합적인 안전관리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위험 작업현장에 적합한 각종 센서를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고예방을 위한 작업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간 이들 기술들에 대한 개별적인 개발은 이루어져 왔으나, 이를 통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통합적인 안전관리 플랫폼의 개발은 미진하였다. 특히 작업자 모니터링 기술이 고도화될 경우 개인정보를 침해할 우려가 커지므로, 통합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형태의 통합 안전관리 플랫폼용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4228호 (2018. 10. 26.)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5670호 (2017. 06. 02.) 특허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6158호 (2018. 08. 0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난의료 및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통합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 개념을 도입한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구역별 위험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와, 작업자 및 환경정보 파악을 위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정보 내에서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와, 구역별 위험 등급에 따라 작업자의 개인정보 보호수준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 보호수준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 위험 등급은 안전 구역, 주의 구역, 및 위험 구역에 따라 별도로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작업자가 안전모, 안전화, 및 안전벨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안전장구를 부착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개인정보 보호 수준에 따라 선택된 상황전파 정보를 작업자 또는 안전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의료 및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통합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 개념을 도입한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이 적용된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의 영상기반 근로자 안전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실제 플랜트 현장의 사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영상기반 안전보호구 인식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영상기반 위험구역 인식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영상기반 위험구역에 따른 작업자 위치인식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컨대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컨대 모듈은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은, 구역별 위험등급 설정 단계(S10), 영상 정보 수집 단계(S20), 작업자 위치 파악 단계(S30), 구역별 위험등급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수준 부여 단계(S40), 개인정보 보호수준에 따른 데이터 전송 단계(S50), 및 안전관리 모니터링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은 작업자측 디바이스와 관리자측 관리 모듈, 그리고 관리자측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는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서버 및 단말(휴대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는 도 2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에서는, 우선 구역별로 위험 등급을 설정한다(S10). 여기서, 구역별 위험 등급은 안전 구역, 주의 구역, 및 위험 구역에 따라 별도로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통행하거나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특별히 위해되는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구역은 안전 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통행이나 작업 수행시 위험 요인이 있어 주의가 필요한 구역은 주의 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통행이나 작업 수행시 현저한 위험 요인이 있거나 사고 위험이 높은 구역, 또는 이전에 사고가 발생한 이력이 있는 구역 등은 위험 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에서는,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0). 여기서는 작업자 및 환경정보 파악을 위한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영상 정보 내에서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S30).
영상 정보는 예컨대 카메라, 적외선센서 등의 각종 영상 센서를 통해 취득할 수 있으며, 그 방법이나 사용 장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영상 정보는 작업자가 안전모, 안전화, 및 안전벨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안전장구(안전보호구)를 부착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센서를 통해 안전장구에 대한 인지 뿐만 아니라, 위험구역의 설정 및 인지, 영상 분석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그 외에 각종 감지 센서 및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위험구역의 설정 및 인지, 장치 연계 제어, 및 플랜트 출입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 정보 및 플랜트 구성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플랜트 구성정보를 통해 안전 구역, 주의 구역, 및 위험 구역의 설정 및 인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 정보의 수집에는 CCTV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취득된 영상 정보를 영상분석 솔루션을 통해 처리하여 안전장구 인식 및 지오펜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오펜싱(geofencing)은 위치정보 솔루션에 기초하여 특정 영역에 가상의 울타리를 설정하여 구역을 만드는 기술이다.
작업자의 위치파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콘을 통한 위치인식도 가능하다. 한편, 위험 지역에의 접근 감지를 위해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 위험 상황의 감지를 위해 온도, 습도, 연기, 불꽃, 및 가스(일산화탄소 등)를 감지하는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각종 센서 및 영상장비를 통해 수집된 영상 정보와 위치정보는 통합적으로 전송, 기록 및 처리되어 공간기반 모니터링 및 상황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다. 공간기반 모니터링은 예컨대 위치 기반 공간정보 가시화, 센서 수집 및 분석 정보 가시화, 실시간 모니터링, 이벤트 발생 정보 표출, 작업자 위치 정보 표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황전파는 상황별 담당자 연락, 발생위치, 상황, 수집정보의 표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3D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이에 기반한 실시간 상황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에서는, 구역별 위험 등급에 따라 작업자의 개인정보 보호수준을 부여하고(S40), 개인정보 보호수준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S50). 이후, 외부로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S60).
구역별 위험 등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 구역, 주의 구역, 및 위험 구역으로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역별 위험 등급에 따라 수집된 작업자의 개인정보 보호 수준이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안전 구역에서는 개인정보 최저 수집 수준이 부여되고, 주의 구역에서는 개인정보 중간 수집 수준이 부여되며, 위험 구역에서는 개인정보 최고 수집 수준이 부여될 수 있다.
개인정보 최저 수집 수준에서는 예컨대 해당 구역에 출입한 사실만 수집하는 등, 최소한의 선택된 데이터만을 외부로 전송하여 개인정보의 보호 수준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개인정보 중간 수집 수준에서는 주의 구역에 출입한 작업자의 성명이나 출입 시간 등을 외부로 전송하여 적절한 공간기반 모니터링 및 상황전파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개인정보의 보호 수준은 다소 낮추되 안전관리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균형을 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인정보 최고 수집 수준에서는 위험 구역에 출입한 작업자의 신상정보는 물론, 작업 수행 내용과 동선 등을 외부로 전송하여, 위험 구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고 수준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간 상황전파의 경우 현장 근로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또는 기타 단말기)를 통해 SMS 등의 방법으로 위험 요인에 대해 경고를 하거나, 작업자 주변의 알라밍 디바이스를 통해 예컨대 소리나 불빛 등의 방법으로 경고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현장상황 정보나 관련된 사진 및 영상은 관제실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통합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S60)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 수준에 따라 선택된 상황전파 정보를 작업자 또는 안전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이 적용된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의 영상기반 근로자 안전 서버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따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실제 플랜트 현장의 사진, 도 5는 도 2에 따른 영상기반 안전보호구 인식을 나타낸 사진, 도 6은 도 2에 따른 영상기반 위험구역 인식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도 2에 따른 영상기반 위험구역에 따른 작업자 위치인식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은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1)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1)은 작업자측 디바이스(10), 위치 서버(20), 관리자측 관리 모듈(30), 관리자측 모니터링 모듈(40), 현장 데이터(50), 및 영상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측 디바이스(10)는 작업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나, 이러한 디바이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자와 음성, 영상, 기타 방법으로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작업자측 디바이스에는 위치 애플리케이션(11) 및 근로자 안전 애플리케이션(12)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애플리케이션(11) 및 근로자 안전 애플리케이션(12)을 통해 공간기반 모니터링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 측으로의 실시간 상황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서버(20)는 작업자측 디바이스(10)의 위치 애플리케이션(11)과 정보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서버(20)는 관리자측 관리 모듈(30)의 안전관리 서버(31)로 해당 정보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도 2에서 인터페이스 C로 표시되어 있다.
관리자측 관리 모듈(30)은 안전관리 서버(31)와 통합 안전관리 서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관리 서버(31)는 후술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41)와 인터페이스 A를 통해 연결되고, 또한 같은 인터페이스 A를 통해 후술하는 현장 데이터(50)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 서버(31)는 후술하는 관리자측 모니터링 모듈(40)의 영상기반 근로자 안전 서버(42)와 인터페이스 B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 서버(31)는 별도의 통합 안전관리 서버(32)와 연결되어 정보의 수집 및 처리를 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관리 서버(31)는 3D 공간 정보를 구축하고, 공간기반 모니터링 및 상황전파를 하는 핵심적인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관리자측 모니터링 모듈(40)은 애플리케이션 서버(41), 영상기반 근로자 안전 서버(42), 및 영상분석 서버(43)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41)는 작업자측 디바이스(10)의 근로자 안전 애플리케이션(12)과 연결되어 정보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해당 정보 및 신호는 인터페이스 A를 통해 안전관리 서버(31)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서버(41)는 영상기반 근로자 안전 서버(42)와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버(41)와 영상기반 근로자 안전 서버(42)는 안전관리 서버(31)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송수신되는 정보 및 신호가 서로 분리되어 처리되거나, 또는 중복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기반 근로자 안전 서버(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서버(41) 및 안전관리 서버(3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영상기반 근로자 안전 서버(42)는 후술하는 영상분석 서버(4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영상기반 근로자 안전 서버(42)는 영상위험지역 설정(421), 사용자 분류(422), QR 코드(423), 및 보호구 착용탐지(424)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위험지역 설정(421)은 예컨대 작업자의 통행이나 작업 구역을 위험 등급에 따라 등급화하여 구별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분류(422)는 작업자의 직책이나 안전 부여등급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분류 결과에 따라 작업자의 출입 가능지역이 정해지거나, 특정한 상황 발생시 전파되는 정보의 양이나 종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QR 코드(423)는 작업자나 사용장비 등에 부착되어 해당 장비에의 접근 여부 등이 통제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보호구 착용탐지(424)는 작업자가 안전모나 안전화, 안전벨트 등을 적절하게 착용하고 있는지를 탐지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에게 알라밍을 하거나, 특정 작업의 수행여부를 통제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현장 데이터(50)는 영상장비 및 각종 센서를 통해 수집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작업자의 작업 수행이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는 모두 현장 데이터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현장 데이터(50)는 인터페이스 A를 통해 안전관리 서버(31)로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영상장치(60)는 예컨대 CCTV나 카메라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취득한 영상 정보는 관리자측 모니터링 모듈(40)의 영상분석 서버(43)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된 해당 영상 정보는 영상기반 근로자 안전 서버(42) 및 안전관리 서버(31)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1)을 통해 개인정보가 강화된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실례로서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실제 플랜트 현장(10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은 산업재해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 및 시험운영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 또는 파일럿 플랜트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정보(200)에서 작업자의 안전장구 부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정보(200)에 대한 실시간 지능형 영상분석 솔루션을 통해 안전모(R1) 착용 여부, 안전벨트(R2) 착용 여부, 및 안전화(R3) 착용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구역별 위험 등급과 영상 정보에서 수집한 작업장 정보를 통합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예컨대 A1 구역은 안전 구역, A2 구역은 주의 구역, A3 구역은 위험 구역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위험 등급에 따라 색상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위험 여부를 시각적으로 즉시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관리자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구역별 위험 등급과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안전 구역(A1), 주의 구역(A2), 및 위험 구역(A3)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관리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조치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구역별 위험 등급에 따라 적절한 작업자의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부여하고, 이러한 개인정보 보호 수준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처리 및 시각화하여, 개인정보 개념을 안전관리 모니터링 및 상황전파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의료 및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통합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 개념을 도입한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자기테이프 등의 자기기록 매체, CD-ROM, DVD 등의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디스크 등의 자기-광 매체,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계어 코드,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처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전자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의 휴대용 통신 장치,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가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예컨대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서브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브 구성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성요소들(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10 작업자측 디바이스
11 위치 애플리케이션
12 근로자 안전 애플리케이션
20 위치 서버
30 관리자측 관리 모듈
31 안전관리 서버
32 통합 안전관리 서버
40 관리자측 모니터링 모듈
41 애플리케이션 서버
42 영상기반 근로자 안전 서버
43 영상분석 서버
50 현장 데이터
60 영상장치

Claims (4)

  1.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구역별 위험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와,
    작업자 및 환경정보 파악을 위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정보 내에서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와,
    구역별 위험 등급에 따라 작업자의 개인정보 보호수준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 보호수준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 위험 등급은 안전 구역, 주의 구역, 및 위험 구역에 따라 별도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작업자가 안전모, 안전화, 및 안전벨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안전장구를 부착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관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개인정보 보호 수준에 따라 선택된 상황전파 정보를 작업자 또는 안전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KR1020210178237A 2021-12-14 2021-12-14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KR20230089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237A KR20230089666A (ko) 2021-12-14 2021-12-14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237A KR20230089666A (ko) 2021-12-14 2021-12-14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666A true KR20230089666A (ko) 2023-06-21

Family

ID=8698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237A KR20230089666A (ko) 2021-12-14 2021-12-14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6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5097A (zh) * 2023-11-02 2023-12-22 北京首华建设经营有限公司 基于色彩空间的影像追踪方法、装置、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670B1 (ko) 2017-02-08 2017-06-27 김동관 위치정보를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KR101886158B1 (ko) 2017-12-01 2018-08-07 김동관 IoT기반의 현장안전관리시스템
KR101914228B1 (ko) 2017-02-17 2018-11-02 주식회사 영신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670B1 (ko) 2017-02-08 2017-06-27 김동관 위치정보를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KR101914228B1 (ko) 2017-02-17 2018-11-02 주식회사 영신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886158B1 (ko) 2017-12-01 2018-08-07 김동관 IoT기반의 현장안전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5097A (zh) * 2023-11-02 2023-12-22 北京首华建设经营有限公司 基于色彩空间的影像追踪方法、装置、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Real-time alarming, monitoring, and locating for non-hard-hat use in construction
Park et al. Hardhat-wearing detection for enhancing on-site safety of construction workers
JP6689566B2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KR101727580B1 (ko)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JP6915542B2 (ja) 情報処理装置、通知システム、情報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56308B2 (en) Attachment detection method and system
KR101723283B1 (ko)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326443B2 (en) Computer enabled method for disabling protective safety gear
KR102398841B1 (ko) 영상 분석에 기반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8960A (ko) 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50031985A (ko) 모바일 기기와 협력하여 위험 상황을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4975A (ko) 지역 공단별 위험 요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요소 모니터링 방법
KR20230089666A (ko)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NO20180028A1 (en) Integration of heads up display with data processing
KR102055275B1 (ko)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538621B1 (ko)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JP6393483B2 (ja) セキュリティエリア管理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エリア管理方法
KR20220077404A (ko) 근로자 안전을 위한 다단계 작업현장 안전 관제 방법 및 시스템
CN116880262A (zh) 基于智能装备的安全管控方法及系统
KR20230089667A (ko)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KR20130037902A (ko) 다중 센서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38301A (ko)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20160131678A (ko)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WO20212247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ompliance
WO202017064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