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275B1 -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275B1
KR102055275B1 KR1020190005695A KR20190005695A KR102055275B1 KR 102055275 B1 KR102055275 B1 KR 102055275B1 KR 1020190005695 A KR1020190005695 A KR 1020190005695A KR 20190005695 A KR20190005695 A KR 20190005695A KR 102055275 B1 KR102055275 B1 KR 102055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ot
information
integration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주
Original Assignee
미래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아이티(주) filed Critical 미래아이티(주)
Priority to KR1020190005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신호를 감지하는 복수의 IoT 장치 및 카메라를 포함하고, 재난의 발생에 따라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복수의 IoT 장치로부터 감지된 센싱 정보 및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IoT 시스템 및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재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생된 재난을 판단하는 재난 통합 서버를 포함하고, 재난 통합 데이터는 통합 헤더 및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바디를 포함하며, 재난 통합 서버는 판단된 재난 및 대응되는 기 설정된 SOP 리스트 정보를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에게 전송한다.

Description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IoT based Integrated Disaster Context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재난 상황에 대응하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는 지진, 풍수해, 화재, 붕괴 등과 같은 많은 재난이 발생한다.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재난 상황을 파악하고 발생된 재난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
재난이 발생한 경우, 재난 발생 지역에 있는 사람이 관공서에 신고를 함으로써 재난 지역을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재난 발생 지역에 있는 사람은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대해 잘 모를 수도 있고 재난 발생에 따라 당황할 수가 있어 재난이 발생하였다는 사실 외에는 정확한 재난 발생 지역, 재난 규모 등에 정확하게 알려주기 힘든 경우가 많다. CCTV 등과 같은 감시 장비를 통해 관리자가 재난 발생 지역을 파악하는 경우도 있지만, 감시 장비는 한정된 공간에만 배치되기 때문에 감시 장비가 감시하지 못하는 장소 등에서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가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재난 발생시 관리자는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빠른 대응을 해야 하지만, 수집되는 데이터가 이질적이고, 일부 데이터는 사람이 분석하고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통합적으로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재난이 발생한 경우 재난 발생 지역 및 재난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발생된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다양하고 이질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재난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신속하게 재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신호를 감지하는 복수의 IoT 장치 및 카메라를 포함하고, 재난의 발생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상기 복수의 IoT 장치로부터 감지된 센싱 정보 및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IoT 시스템 및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재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생된 재난을 판단하는 재난 통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통합 데이터는 통합 헤더 및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 통합 서버는 상기 판단된 재난 및 대응되는 기 설정된 SOP 리스트 정보를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에게 전송한다.
한편, 상기 IoT 장치는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광 센서, 초음파 센서, 균열 센서, 열 센서, 온도 센서, 연기 감지 센서, 화학 센서 및 방사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난 통합 서버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헤더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된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바디를 생성하며, 상기 통합 헤더와 통합 바디를 포함하는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난 통합 서버는 상기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발생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난 통합 서버는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에 대응하는 복수의 SOP 리스트, 상기 복수의 SOP 리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재난 대응 조직, 상기 재난 대응 조직에 포함되는 구성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판단된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SOP 리스트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응되는 재난 대응 조직 및 구성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난 통합 서버는 상기 판단된 구성원의 단말 장치로 상기 판단된 재난 종류, 재난 단계, 재난 발생 위치 정보 및 상기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oT 시스템의 제1 IoT 장치는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ACK를 수신하고,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ACK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인접한 제2 IoT 장치로 유선 및 근거리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IoT 장치는 상기 제1 IoT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난 통합 서버는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 장치로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IoT 시스템이 재난의 발생에 따라 영상 정보, 복수의 IoT 장치로부터 감지된 센싱 정보 및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난 통합 서버가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재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재난 통합 서버가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생된 재난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통합 서버가 상기 판단된 재난 및 대응되는 기 설정된 SOP 리스트 정보를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통합 데이터는 통합 헤더 및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바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헤더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된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바디를 생성하며, 상기 통합 헤더와 통합 바디를 포함하는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난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센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발생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된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SOP 리스트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응되는 재난 대응 조직 및 구성원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구성원의 단말 장치로 상기 판단된 재난 종류, 재난 단계, 재난 발생 위치 정보 및 상기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IoT 시스템의 제1 IoT 장치가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ACK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IoT 장치는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ACK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인접한 제2 IoT 장치로 유선 및 근거리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IoT 장치가 상기 제1 IoT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난 통합 서버는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 장치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다양하고 이질적인 데이터로부터 재난 상황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신속하게 재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시스템에 포함되는 IoT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 통합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 통합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 유형에 따른 SOP(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리스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한편, 각 실시 예는 독립적으로 구현되거나 동작될 수도 있지만, 각 실시 예는 조합되어 구현되거나 동작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은 IoT 시스템(100) 및 재난 통합 서버(200)를 포함한다.
IoT 시스템(100)은 복수의 IoT 장치(110a, 110b, 110c, 110d) 및 카메라(120)를 포함한다. 복수의 IoT 장치(110a, 110b, 110c, 110d) 각각은 다양한 신호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광 센서, 초음파 센서, 균열 센서, 열 센서, 온도 센서, 연기 감지 센서, 화학 센서 또는 방사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장치(110a, 110b, 110c, 110d)는 예상되는 재난에 따라 적절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조물 또는 한 지역에 복수의 IoT 장치(110a, 110b, 110c, 110d)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량의 경우, 진동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및 균열 센서를 포함하는 IoT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유류 저장 시설의 경우, 진동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광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균열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열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온도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붕괴 또는 지진의 재난 상황을 감시하기 위해 진동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및 균열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화재의 재난 상황을 감시하기 위해 열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온도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가스 등의 유출의 재난 상황을 감시하기 위해 화학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 및 방사능 센서를 포함한 IoT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재난 발생이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IoT 장치(110a, 110b, 110c, 110d)는 각각 센싱 신호를 감지하고, 카메라(120)는 재난 상황을 촬영한다. 한편, 복수의 IoT 장치(110a, 110b, 110c, 110d)는 각각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IoT 시스템(100)은 복수의 IoT 장치(110a, 110b, 110c, 110d)로부터 감지된 센싱 정보,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및 복수의 IoT 장치(110a, 110b, 110c, 110d)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200)로 전송한다.
재난 통합 서버(200)는 IoT 시스템(100)의 복수의 IoT 장치(110a, 110b, 110c, 110d)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지역 또는 하나의 구조물에 대해 하나의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재난 통합 서버(200)는 다양한 IoT 장치(110a, 110b, 110c, 110d)로부터 여러가지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발생된 재난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수신된 다양한 정보의 통합이 필요하다. 재난 통합 데이터는 발생된 재난 상황을 통합한 데이터로서, 통합 헤더 및 통합 바디를 포함한다.
재난 통합 서버(200)는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생된 재난을 판단한다. 재난 통합 서버(200)는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난 종류, 재난 단계 및 재난 발생 위치 등을 판단함으로써 발생된 재난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통합 서버(200)는 판단된 재난 관련 정보 및 판단된 재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SOP 리스트 정보를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판단된 재난 관련 정보는 재난 종류, 재난 단계 및 재난 발생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은 재난 발생 상황과 발생된 재난에 따른 자신의 임무를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은 재난 상황을 인지하고 자신의 임무를 정확하게 수행함으로써 신속하게 재난 상황에 대응할 수 있고, 재난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각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시스템에 포함되는 IoT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IoT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IoT 시스템(100)은 제1 IoT 장치(110a), 제2 IoT 장치(110b) 및 제n IoT 장치(110n)과 같이 복수의 IoT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IoT 장치(110)는 센서(111), 제어부(112) 및 통신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IoT 장치(110)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IoT 장치(110)는 하나의 센서(111)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IoT 장치(110)의 센서(111)는 재난의 발생에 따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진의 발생에 따라 진동 센서를 포함하는 IoT 장치(110)는 진동 신호를 감지하고,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IoT 장치(110)는 움직임 및 움직임의 방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진의 발생에 따라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균열 센서를 포함하는 IoT 장치(110)는 균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IoT 장치(110)의 제어부(112)는 센서(111)와 통신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센서(111)가 신호를 감지하도록 센서(111)를 제어할 수 있고, 센서(111)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IoT 장치(11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저장부는 IoT 장치(1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저장된 IoT 장치(110)의 식별 정보를 센싱 정보와 함께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2)는 센싱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IoT 장치(110)의 통신부(113)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3)는 재난 통합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 모듈 외에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인접 IoT 장치와의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113)는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고,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ACK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통신부(113)를 통해 ACK가 수신되면 재난 관련 정보가 재난 통합 서버로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통신부(113)가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ACK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난 통합 서버는 상황실에 위치하여 관리자를 통해 항상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통합 서버에서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은 낮다. 즉, 통신부(113)가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ACK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는 것은 재난 통합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3)의 원거리 통신 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IoT 장치(110)의 제어부(112)는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ACK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통신부(113)의 원거리 통신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였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2)는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ACK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유선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인접 IoT 장치로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인접 IoT 장치는 수신된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IoT 시스템(100)은 재난 발생에 따라 IoT 장치(110)의 원거리 통신 모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시스템(100)은 카메라(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도 2b에 도시된 IoT 장치(110)와 유사하게 촬영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는 재난 상황을 촬영할 수 있고, 통신부는 촬영된 재난 상황 영상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재난 상황을 촬영하도록 촬영부를 제어하고, 영상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 통합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재난 통합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고, 제어부(220)는 IoT 정보 통합부(221), 정보 분석부(222) 및 상황 대응 판단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IoT 시스템으로부터 재난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재난 관련 정보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복수의 IoT 장치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 및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복수의 IoT 장치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제1 IoT 장치는 A 지역 A 교량의 1번 교각, 제2 IoT 장치는 A 지역 A 교량의 2번 교각, 제3 IoT 장치는 A 지역 A 교량의 3번 교각, 제4 IoT 장치는 A 지역 A 교량의 4번 교각과 같이 각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20)의 IoT 정보 통합부(221)는 수신된 재난 관련 정보 중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저장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IoT 장치 각각의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가 1, 2, 3, 4라면 IoT 정보 통합부(221)는 제1 IoT 장치 내지 제4 IoT 장치의 위치 정보는 모두 A 지역 A 교량이라고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IoT 정보 통합부(221)는 정확한 교각 위치까지 판단할 수도 있다.
IoT 정보 통합부(221)는 판단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헤더를 생성한다. IoT 정보 통합부(221)는 정확한 재난 유형, 재난 규모(또는, 재난 단계) 및 재난 발생 위치가 파악될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가지는 IoT 장치와 관련된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지역에 지진이 발생하면 A 지역 A 교량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5 IoT 장치가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A 지역 B 건물에 위치하는 제6 내지 제7 IoT 장치가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하며, A 지역 C 건물에 위치하는 제8 내지 제10 IoT 장치가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IoT 정보 통합부(221)는 수신된 식별 정보와 저장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IoT 장치는 A 교량에 위치하고, 제6 내지 제7 IoT 장치는 B 건물에 위치하며, 제8 내지 제10 IoT 장치는 C 건물에 위치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IoT 정보 통합부(221)는 제1 내지 제5 IoT 장치에 대해 제1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6 내지 제7 IoT 장치에 대해 제2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며, 제8 내지 제10 IoT 장치에 대해 제3 통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식별 정보는 센서의 종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는 센서가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광 센서, 초음파 센서, 균열 센서, 열 센서, 온도 센서, 연기 감지 센서, 화학 센서 또는 방사능 센서 중 어느 종류인지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T 정보 통합부(221)가 제1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재난 통합 데이터는 통합 헤더 및 통합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정보 통합부(221)는 제1 내지 제5 IoT 장치가 동일한 A 교량에 위치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IoT 정보 통합부(221)는 제1 내지 제5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통합 헤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정보 통합부(221)는 제1 IoT 장치의 센싱 정보 및 판단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통합 바디를 생성할 수 있다. IoT 정보 통합부(221)는 생성된 통합 헤더와 통합 바디를 결합하여 통합 재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통합 바디에는 영상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IoT 정보 통합부(221)에서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는 정보 분석부(222)로 전달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22)는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22)는 재난 통합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의 IoT 장치의 센싱 정보는 센서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진동 센서를 포함하는 IoT 장치의 센싱 정보는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지고 재난 통합 데이터에 포함된 센싱 정보는 30일 수 있다. 균열 센서를 포함하는 IoT 장치의 센싱 정보는 0에서 5 사이의 값을 가지고 재난 통합 데이터에 포함된 센싱 정보는 1일 수 있다. 즉, 재난 통합 서버가 각각의 IoT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는 서로 다른 값이며, 상호 간에 비교할 수 없는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정보 분석부(222)는 재난 통합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 및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재난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각 IoT 장치의 식별 정보와 센싱 정보 범위에 따른 재난 단계의 매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진동 센서의 경우 0에서 20은 정상, 20에서 70은 주의(또는 경계), 70 이상은 위험으로 매칭된 정보를 저장하고, 균열 센서의 경우 0은 정상 단계, 1에서 3은 주의(또는 경계) 단계, 4 이상은 위험 단계로 매칭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IoT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는 센서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22)는 제1 IoT 장치가 진동 센서이고 30이라는 크기를 감지하였으며, 대응되는 재난 단계는 주의 단계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분석부(222)는 제2 IoT 장치가 균열 센서이고, 1이라는 크기를 감지하였으며 대응되는 재난 단계는 주의 단계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21)는 가장 많이 판단된 재난 단계를 현재 발생한 재난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5 IoT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재난 단계가 모두 주의 단계라면 정보 분석부(221)는 현재 재난 단계를 주의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21)는 5개의 판단 결과 중 3개는 주의 단계, 2개는 위험 단계인 경우 주의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구분은 일 실시 예이며, 재난 단계는 2단계 내지 5단계로 구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정보에는 식별 정보는 센서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므로 센서의 종류 판단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분석부(222)는 재난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분석부(222)는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한 IoT 장치의 센서 종류가 열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인 경우 화재로 판단할 수 있고, IoT 장치의 센서 종류가 진동 센서 및 균열 센서인 경우 붕괴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분석부(222)는 재난 통합 데이터의 통합 바디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발생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황 대응 판단부(223)는 판단된 재난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기 설정된 SOP 리스트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복수의 SOP(Standard Operation Procedures)(표준 행동 절차 또는 임무)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복수의 SOP 리스트 각각은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SOP 리스트는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에 따른 재난 대응 조직, 구성원 정보 및 각 구성원의 SOP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 대응 판단부(223)는 판단된 재난 유형 및 재난 단계에 기초하여 저장된 복수의 SOP 리스트 중에서 대응되는 SOP 리스트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응되는 재난 대응 조직, 구성원 정보 및 각 구성원의 SOP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판단된 재난 및 대응되는 기 설정된 SOP 리스트 정보를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에게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통신부(21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재난 대응 조직 구성원의 단말 장치로 판단된 재난 종류, 재난 단계, 재난 발생 위치 정보 및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IoT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 장치로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 통합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재난 통합 데이터(10)가 도시되어 있다. 재난 통합 데이터(10)는 통합 헤더(11) 및 통합 바디(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IoT 장치에 대해 재난 통합 데이터(10)가 생성되는 경우, 통합 헤더(11)에는 제1 내지 제3 IoT 장치의 식별 정보(1h, 2h, 3h)가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식별 정보는 IoT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각 IoT 장치의 정보가 저장된 통합 바디(12) 내의 위치 정보(또는,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IoT 장치의 식별 정보는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통합 바디(12)에는 제1 내지 제3 IoT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센싱 정보(1d, 2d, 3d)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IoT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센싱 정보는 IoT 장치별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재난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는 IoT 장치의 위치 정보는 모두 동일하므로 통합 바디(12)에는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 IoT 장치의 센싱 정보가 장치별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위치 정보는 제일 끝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통합 바디(12)에는 영상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재난 통합 데이터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다양한 IoT 장치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센싱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유관 기관 등 다른 사용자가 재난 상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재난 통합 서버는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만 유관 기관 등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해주면 된다. 따라서, 재난 통합 서버는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재난 상황을 용이하게 전파할 수 있고, 관리자 또는 담당자는 신속하게 재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 유형에 따른 SOP(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리스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재난 발생 시 담당 기관은 해당 재난에 대응하는 상세 SOP 수행 체계를 가지고 있다. SOP는 재난 유형과 상황에 따라 다르고, 재난 진행 과정과 대응 단계에 따라 다르며, 대응하는 여러 조직에 따라 역할이 다르다. 그러므로 많은 SOP가 존재하며 이들이 재난 유형에 따라, 대응 단계에 따라 수행하는 조직에 따라 적절히 배정되고 운영되게 구성되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유형, 재난 단계(21) 및 대응 조직(21)에 기초하여 SOP 리스트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SOP 리스트는 대응 조직(21)의 각 구성원이 수행해야 할 단계별 SOP(1, 3)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발생시 담당자에 따라 자신이 수행해야 할 SOP가 자동으로 제공된다면, 각 담당자는 당황하지 않고 빠른 현장 대응을 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각 재난 유형, 재난 단계 및 대응 조직에 기초한 SOP 리스트는 재난 통합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단말 장치(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디스플레이(330)를 포함하고, 제어부(320)는 인증 모듈(321) 및 배정 조직 확인 모듈(322)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는 각 담당자의 개인 단말 장치일 수 있고, 재난 발생시 지급되는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각 담당자는 단말 장치(300)를 통해 개인 정보 또는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320)의 인증 모듈(321)은 입력된 개인 정보 또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수행되면, 통신부(31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의해 재난 통합 서버와 연결할 수 있다. 재난 통합 서버는 단말 장치(300)의 통신부(310)로 판단된 재난 종류, 재난 단계 재난 발생 위치 정보 및 대응되는 SOP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SOP 리스트를 자동으로 수신할지 요청시 SOP 리스트를 수신할지 선택하여 선택된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320)의 배정 조직 확인 모듈(322)는 배정된 SOP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330)는 현재 수행해야 할 SOP를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은 IoT 시스템과 재난 통합 서버를 포함한다.
IoT 시스템은 재난의 발생에 따라 영상 정보, 복수의 IoT 장치로부터 감지된 센싱 정보 및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한다(S710). 한편, IoT 시스템의 각 IoT 장치는 재난 통합 서버로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한 후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ACK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IoT 시스템의 제1 IoT 장치가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ACK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제1 IoT 장치는 인접한 제2 IoT 장치로 유선 및 근거리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IoT 장치는 제1 IoT 장치로부터 수신한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재난 통합 서버는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재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한다(S720). 재난 통합 데이터는 통합 헤더 및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바디를 포함한다. 재난 통합 서버는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와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통합 서버는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수신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재난 통합 서버는 판단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헤더를 생성하고, 판단된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IoT 장치의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바디를 생성하여 통합 헤더와 통합 바디를 포함하는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재난 통합 서버는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생된 재난을 판단한다(S730). 재난 통합 서버는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고, 식별 정보 및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통합 서버는 판단된 센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발생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재난 통합 서버는 판단된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SOP 리스트를 판단하고,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응되는 재난 대응 조직 및 구성원을 판단할 수 있다.
재난 통합 서버는 판단된 재난 및 대응되는 기 설정된 SOP 리스트 정보를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에게 전송한다(S740). 재난 통합 서버는 판단된 구성원의 단말 장치로 판단된 재난 종류, 재난 단계, 재난 발생 위치 정보 및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자체 또는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IoT 시스템 200: 재난 통합 서버
300: 단말 장치

Claims (15)

  1. 다양한 신호를 감지하는 복수의 IoT 장치 및 카메라를 포함하고, 재난의 발생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상기 복수의 IoT 장치로부터 감지된 센싱 정보 및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IoT 시스템; 및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재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생된 재난을 판단하는 재난 통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통합 데이터는,
    통합 헤더 및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 통합 서버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수신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헤더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된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바디를 생성하며, 상기 통합 헤더와 통합 바디를 포함하는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를 판단하되, 상기 복수의 IoT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센싱 정보에 대응되는 각각의 재난 레벨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각각의 재난 레벨 중 가장 많은 수로 판단된 재난 레벨을 상기 재난 단계로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재난 및 재난 단계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SOP 리스트 정보를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에게 전송하며,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 장치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광 센서, 초음파 센서, 균열 센서, 열 센서, 온도 센서, 연기 감지 센서, 화학 센서 및 방사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통합 서버는,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에 대응하는 복수의 SOP 리스트, 상기 복수의 SOP 리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재난 대응 조직, 상기 재난 대응 조직에 포함되는 구성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판단된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SOP 리스트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응되는 재난 대응 조직 및 구성원을 판단하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통합 서버는,
    상기 판단된 구성원의 단말 장치로 상기 판단된 재난 종류, 재난 단계, 재난 발생 위치 정보 및 상기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시스템의 제1 IoT 장치는,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인접한 제2 IoT 장치로 유선 및 근거리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IoT 장치는,
    상기 제1 IoT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8. 삭제
  9. IoT 시스템이 재난의 발생에 따라 영상 정보, 복수의 IoT 장치로부터 감지된 센싱 정보 및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관련 정보를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난 통합 서버가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재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재난 통합 서버가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생된 재난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난 통합 서버가 기 설정된 SOP 리스트 정보를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통합 서버가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 장치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통합 데이터는,
    통합 헤더 및 상기 IoT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수신된 복수의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헤더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된 복수의 IoT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IoT 장치의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바디를 생성하며, 상기 통합 헤더와 통합 바디를 포함하는 재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재난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재난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를 판단하되, 상기 복수의 IoT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센싱 정보에 대응되는 각각의 재난 레벨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각각의 재난 레벨 중 가장 많은 수로 판단된 재난 레벨을 상기 재난 단계로 판단하며,
    상기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재난 및 재난 단계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SOP 리스트 정보를 재난 대응 조직의 구성원에게 전송하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재난 종류 및 재난 단계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SOP 리스트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응되는 재난 대응 조직 및 구성원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구성원의 단말 장치로 상기 판단된 재난 종류, 재난 단계, 재난 발생 위치 정보 및 상기 판단된 SOP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oT 시스템의 제1 IoT 장치가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IoT 장치는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인접한 제2 IoT 장치로 유선 및 근거리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IoT 장치가 상기 제1 IoT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난 관련 정보를 상기 재난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삭제
KR1020190005695A 2019-01-16 2019-01-16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055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95A KR102055275B1 (ko) 2019-01-16 2019-01-16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95A KR102055275B1 (ko) 2019-01-16 2019-01-16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275B1 true KR102055275B1 (ko) 2020-01-22

Family

ID=6936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695A KR102055275B1 (ko) 2019-01-16 2019-01-16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2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201B1 (ko) * 2020-05-25 2020-09-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고기록정보와 이미지에 기반한 재난 상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534920B1 (ko) * 2022-11-08 2023-05-26 주식회사 레오테크 재난감지 및 대응지원 시스템
KR102576716B1 (ko) * 2022-03-10 2023-09-11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내진, 전자파 차폐,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갖고, 케이블트레이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재해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015A (ko) * 2013-09-11 2015-03-19 (주)유엔이 재난감지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015A (ko) * 2013-09-11 2015-03-19 (주)유엔이 재난감지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201B1 (ko) * 2020-05-25 2020-09-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고기록정보와 이미지에 기반한 재난 상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576716B1 (ko) * 2022-03-10 2023-09-11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내진, 전자파 차폐,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갖고, 케이블트레이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재해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2534920B1 (ko) * 2022-11-08 2023-05-26 주식회사 레오테크 재난감지 및 대응지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275B1 (ko)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6251568A (zh) 一种基于紫外与图像检测技术的火灾报警安防系统及方法
KR20140143857A (ko) 합성 영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방법
KR101386591B1 (ko)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KR101987241B1 (ko) 복합 이벤트 처리 및 상황 인지 기반 지능형 관제 플랫폼 및 지능형 관제 방법
KR101485022B1 (ko) 행동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6190862B2 (ja) 監視システムとその監視制御装置
JP2017076304A (ja) 火災検知システム
KR102069270B1 (ko)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cctv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9516A (ko) 구조 대상 파악 시스템 및 방법
KR102233679B1 (ko) Ess 침입자 및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299704B1 (ko) 재난환경 메타데이터 연계를 통한 스마트 딥러닝 영상감시 시스템
CN209433517U (zh) 一种基于多火焰图像与组合判据的火灾识别报警装置
KR101250956B1 (ko) 자동 관제 시스템
JP2008299584A (ja) 動線管理システムおよび動線監視装置
KR101936390B1 (ko) Cctv 기반의 트래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131678A (ko)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WO2014006859A1 (ja) 位置管理装置、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方法、及び、位置管理プログラム
KR20230089666A (ko) 개인정보 강화 위치인식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091909B1 (ko) 감시 방법, 이를 채택한 감시 시스템, 및 상기 감시시스템을 구비한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
KR201601029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보안 시스템
CN112804480A (zh) 监控警示系统
KR102043923B1 (ko) 휴대용 iot센서 기반 보안방범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US9558650B2 (en) Surveillance method, surveillance apparatus, and marking module
KR101741240B1 (ko) 통합 네트워크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