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909B1 - 감시 방법, 이를 채택한 감시 시스템, 및 상기 감시시스템을 구비한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감시 방법, 이를 채택한 감시 시스템, 및 상기 감시시스템을 구비한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909B1
KR101091909B1 KR1020050130612A KR20050130612A KR101091909B1 KR 101091909 B1 KR101091909 B1 KR 101091909B1 KR 1020050130612 A KR1020050130612 A KR 1020050130612A KR 20050130612 A KR20050130612 A KR 20050130612A KR 101091909 B1 KR101091909 B1 KR 10109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ignal
reader
rfid tag
recognition value
abnorm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8695A (ko
Inventor
조세훈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9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8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대상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RFID 태그와; RFID 태그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리더기와; 리더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감도를 감지하여 감시 대상 영역에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채택된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시 방법, 이를 채택한 감시 시스템, 및 상기 감시 시스템을 구비한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Watching method, watching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an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watch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감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적용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적용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RFID 태그 12: RFID 칩
14: RFID 안테나 20: 리더기
24: 리더 안테나 30: 판단 수단
40: 감시 카메라 51: 경고장치
52: 통신장치 WA: 감시 대상 영역
WP: 감시 대상 물체
본 발명은 검사 시스템 및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대상 영역에서의 이상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감시 방법과, 이를 채택한 감시 시스템 및 상기 감시 시스템을 구비한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건 도난 방지, 기밀의 유출 방지, 보안 등이 필요한 영역을 감시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별도의 공간에서 감시 대상 영역을 영상으로 감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감시자가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화면을 계속 지켜보면서 감시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감시 영역이 큰 경우 감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 화면의 수가 많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서 감시자가 상기 모든 감시 영역의 영상을 정확히 감시 확인 할 수 없거나, 많은 수의 감시자가 필요하게 된다. 만약 감시 영역에서 감시 카메라의 수가 줄어든다면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취득된 영상정보에서 이상 발생 영역에 대한 상세한 영상 정보를 읽어질 수가 어렵다.
또한, 은행의 무인 단말기가 설치된 영역 등에서는 물품이 도난되었거나 기밀이 유출된 후에 상기 녹화된 영상을 다시 되돌려보면서 처음부터 확인하여야 하므로, 실시간으로 감시가 어려우며, 그 확인작업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2-0025076호에 기재된 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가 감시하고 있는 영역에서 자기 필름이나 바코드에 의해 인식되지 않는 물건 또는 자료 가 유출되는 경우에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로부터 인가되는 녹화 영상을 자동으로 정밀분석하는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경보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은 이상여부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취득된 영상정보가 저장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감시 영역에 대한 감시 정보를 보관하는데 상당한 양의 저장 공간을 필요하게 되고, 복잡한 영상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검출하는 방법은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실시간 대응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2-0083780호에서와 같이, 센서부를 통하여 집이나 사무실 등의 내부로 침입하는 사람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외부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하고, 이 촬영 동영상을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고객에 의한 동영상 전송 요구가 있는 경우 해당 동영상을 고객에게 전송하며, 고객의 요구에 의해 외부 침입을 경찰서 등에 신고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적외선이나 레이저 등의 광선을 통한 센서부를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광선이 벗어난 방법으로 감시 영역에 접근하거나 통과하게 되면 이를 감시할 수 없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감시 방법으로서는 상기 방법은 이상에 발생하게 된 원인의 종류에 관계없이 감시 영역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감시 영역에서의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는 감시 방법과, 이를 채택한 감시 시스템과, 상기 감시 시스템을 구비한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감시 대상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감도를 감지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리더기는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FID 태그는 능동형 태그(active tag)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RFID 태그와 리더기 간에 초기 전기적 신호 인식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RFID 태그와 리더기 간에 실제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수단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를 상기 초기 신호 인식치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를 통하여 감시 대상 영역에서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초기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는 상기 감시 영역에 접근 또는 통과하는 특정 사물에 따라서 구별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비교 단계에서 상기 실제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를 상기 각각의 특정 사물에 대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와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기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는 주변의 환경에 따라 가변 되어질 수 있는바, 날씨, 습도, 온도, 기압 등을 고려하여 초기 설정치가 설정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파의 경우 상기한 인자들에 의하여 변화가 불가피하고 그러한 변화에 따라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음으로 바 람직하게는 상기한 인자들에 대한 태그와 리더간의 환경인자들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FID 태그와 리더기 간에 주기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가 상기 설정된 초기 신호 인식치와 소정 이상의 차가 있거나, 전기적 신호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검사 대상 영역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의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감시 시스템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10)와, 적어도 하나의 리더기(20)와, 판단 수단(30)을 구비한다. RFID 태그(10)는 RFID 안테나(14) 및 RFID 칩(12)을 구비한다.
RFID 칩(12)은 감시 대상 영역(WA) 내의 압력, 온도, 속도 감지 등과 같은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시 대상 영역(WA) 내에 감시 대상 물건(WP)이 존재할 수 있고, 이와 달리 감시 대상 영역(WA)이 바로 감시 대상 물건(WP)일 수도 있다. RFID 안테나(14)는 통상 RFID 칩(12)과 결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정보들이 리더기(20)로 송수신된다. 상기 RFID 태그(10)는 감시 대상 영역(W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즉, RFID 태그 (10)가 감시 대상 영역(WA)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거나, 이와 달리 감시 대상 영역(WA)의 감시 대상 물건(WP)에 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리더기(20)는 상기 RFID 태그(10)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리더기(20)는 상기 RFID 안테나(14)와 교신하는 리더 안테나(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더 안테나(24)는 지향성 안테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향성 안테나는 통신을 원하는 대상으로 전파를 방사하는 것으로서, RFID 태그(10)가 설치방향으로 최대의 이득을 주고, 이와 다른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훨씬 작은 이득을 줌으로써, 통상의 리더 안테나보다 고품질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로써 후술한 판단 수단(30)에서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이상 유무 및 그 이상의 이유를 쉽게 판단 할 수 있다. 상기 지향성 안테나로서는 스마트(smart) 안테나를 일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적 신호가 주파수일수 있다.
판단 수단(30)은 상기 리더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리더기(20)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판단 수단(30)은 감지부(32)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감지부(32)는 상기 리더기(20)를 통하여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감도를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판단 수단(30)은 감지부(32)를 통하여 감지된 전기적 신호의 감도 등의 인식치와, 미리 설정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 차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허용치 이상인 경우 검사 감시 대상 영역(WA)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만약 이상이 발생한 경우 경보 등의 경고장치(51)를 작동시켜서 경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판단 수단(30)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통신장치(52)에 전달 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52)란 경고 내용이 접수되어야 하는 대상에게 이상 내용을 알리는 수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휴대폰, 유선 또는 무선 전화기, 팩스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RFID 태그(10) 및 리더기(20) 사이의 전기적 신호 경로 사이에 특정 물체가 위치하거나 접근하는 경우에, 특정 물체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사람과 동물 기타 물체별로 인식감도에 미치는 값이 서로 다르므로 이에 대한 신호의 감도를 설정한 뒤에, 이를 실제 판단 수단(30)에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의 감도의 패턴과 비교하여 어떠한 물체가 접근 또는 통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실제적인 경고가 필요한지를 판단할 있으며 불필요한 경고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감시 대상 영역(WA)을 촬영하는 것으로 상기 판단 수단(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촬영 수단(4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수단(40)은 감시 카메라를 구비하며,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감시 카메라가 OFF되어 있거나 특정 영역을 촬영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판단 수단(30)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판단 수단에 구비된 카메라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서 감시 카메라가 상기 전기적 신호에 이상이 발생한 영역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촬영 수단(40)은 최소한의 감시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이 가능하고, 원거리 및 근거리 촬영이 가능한 하나의 감시 카메라가 이상 유무에 따라서 작동하여 상세한 영상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하여 보관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이상발생 해당 영역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물론 상기 감시 카메라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의 감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조를 가진 감시 시스템에 채택될 수 있는 감시 방법은: RFID 태그(10)와 리더기(20) 간에 초기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를 설정하는 단계(S10)와; RFID 태그(10)와 리더기(20) 간에 주기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S20)와; 판단 수단(30)에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를 상기 초기 신호 인식치와 비교하는 단계(S30)와; 상기 비교를 통하여 감시 대상 영역(WA)에서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를 거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RFID 태그(10)와 리더기(20) 간에 초기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를 설정하는 단계(S10)를 거친다. 이 경우 리더기(20)에서 특정 주파수의 전기적 신호를 RFID 태그(10)로 송신하고, 이 신호를 RFID 태그(10)가 반사하여 다시 리더기(20)로 송신하며, 상기 리더기(20)를 통하여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판단 수단(30)이 인식하여 그 인식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RFID 태그(10)는 능동형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초기 인식치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사람이나 동물이나 특정 물체가 상기 RFID 태그(10)와 리더기(20) 사이를 통과 또는 접근하는 경우의 인식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20) 내에 구비된 리더 안테나(24)는 지향성 안테나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감시를 특정 영역에 집중할 수 있다.
그 후에 RFID 태그(10)와 리더기(20) 간에 실질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S20) 및 판단 수단(30)에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를 상기 초기 신 호 인식치와 비교하는 단계(S30)를 거친다. 이 경우 상기 실제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전기적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며, 초기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동일하게 리더기(20)에서 특정 주파수의 전기적 신호를 RFID 태그(10)로 송신하고, 이 신호를 RFID 태그(10)가 반사하여 다시 리더기(20)로 송신하며, 상기 리더기(20)를 통하여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판단 수단(30)이 인식하여 그 인식치를 설정할 수 있다. 초기 인식치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인식 시기의 주변환경에 대응되어지는 변수를 고려하여 비교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태그(10)와 리더기(20) 사이의 영역 전체에 대한 전기적 신호가 교신된다. 이에 따라서 적외선이나 레이저 등의 광선을 통한 센서부와 달리 이를 벗어나서 특정 물체가 통과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상기 판단 수단(30)은 실시간으로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와 저장된 상기 초기 신호 인식치를 서로 비교하고(S41), 상기 비교를 통하여 감시 대상 영역(WA)에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S42). 이 경우 상기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가 상기 설정된 초기 신호 인식치와 소정 이상의 차가 있거나 전기적 신호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검사 대상 영역(WA)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특정 물체에 대한 인식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면 이를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된 전기적 신호와 비교하여 어떠한 물체가 감시 대상 영역(WA)에 접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검사 대상 영역(WA)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더욱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상이 발생한 감시 대상 영역(WA) 및 시각을 찾기 위하여 처음부 터 영상을 체크할 필요가 없다. 이와 더불어 복잡한 영상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종래와 달리 검사 방법 알고리즘이 간단하고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기적 신호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이상 발견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영상 정보를 지속적으로 저장될 필요가 없으므로, 저장 공간이 크게 필요하지 않다. 이 경우 이상이 발생한 영역의 좌표값 내지 위치를 산정하고, 감시 카메라가 해당 영역으로 방향 절환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시 카메라가 줌 기능을 가질 경우 감시 대상 영역(WA)을 확대하여 촬영 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해당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 및 방법이 적용되는 하나의 적용예를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면, RFID 태그(10)가 감시 대상 영역(WA)을 사각으로 둘러싸고, 리더기(20)가 대각선 방향으로 상하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RFID 태그(10)는 각각의 변을 따라서 제1RFID 태그(10_a)와, 제2RFID 태그(10_b)와, 제3RFID 태그(10_c)로 3개씩 일정한 유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예컨대 리더기(20)와 제1,3RFID 태그(10_a, 10_c)와의 사이에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가 초기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와 차이가 없고, 제2RFID 태그(10_b)간에 대하여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통신 감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리더기(20)는 제2RFID 태그(10_b)와 제3RFID 태그(10_c) 사이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를 한다.
이와 다른 본 발명의 적용예를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면, 각각의 RFID 태그(10)에 근접센서, 압력센터, 온도센서 등의 센서(60)를 포함시킬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센서(6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리더기(20)로 송신함으로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감시 대상 또는 영역에 대한 판단을 하도록 한다. 이 경우 센서를 하측 및 상측 방향으로 각각 설치하면 보다 용이하게 방향성에 근거한 감지를 수행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FID 태그는 감시 대상 물체(WP)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센서(60)와 RFID 태그(10)는 전원을 가지는 경우, 보다 원거리에 위치한 리더기(20)로부터 인식과 센싱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통상의 전원부는 바람에 의한 풍력, 태양전지, 지열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 가능한 형태로 전원이 공급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시스템은 개인용 휴대 통신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에 RFID 리더 모듈을 내장한 휴대폰을 위치하고, 이와 더불어 인식이 가능한 RFID 태그를 소정 장소에 위치시킴으로써, 적어도 2개의 RFID 태그와 하나의 리더기를 통해서 특정 영역의 감시 내지는 접근 금지에 대한 감시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RFID 태그들은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영상 정보 대신에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감시 대상 영역에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으로써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간단하게 감지 가능하다. 또한 감시 대상영역의 설정이 RFID 리더에 의하여 인식이 되어지는 태그들을 소정의 위치나 영역에 배치하고 초기 인식 설정을 한 후에 용이하게 감시 장치를 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감시 대상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RFID 태그들과;
    상기 RFID 태그들과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감도를 감지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촬영하는 것으로, 상기 판단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촬영 수단을 더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능동형 태그(active tag)인 감시 시스템.
  6. 제1항의 구조를 가진 감시 시스템의 감시방법으로서,
    RFID 태그와 리더기 간에 초기 전기적 신호 인식치를 설정하는 단계;
    RFID 태그와 리더기 간에 실제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단 수단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를 상기 초기 신호 인식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를 통하여 감시 대상 영역에서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와 리더기 간에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송출된 전기적 신호를 RFID 태그가 반사하여 다시 상기 안테나로 송신하여 이루어진 감시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는 상기 감시 영역에 접근 또는 통과하는 특정 사물에 따라서 구별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비교 단계에서 상기 실제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를 상기 각각의 특정 사물에 대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와 비교하는 감시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감지 대상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시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와 리더기 간에 주기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인식치가 상기 설정된 초기 신호 인식치와 소정 이상의 차가 있거나, 전기적 신호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검사 대상 영역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감시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의 감시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
KR1020050130612A 2005-12-27 2005-12-27 감시 방법, 이를 채택한 감시 시스템, 및 상기 감시시스템을 구비한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 KR101091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612A KR101091909B1 (ko) 2005-12-27 2005-12-27 감시 방법, 이를 채택한 감시 시스템, 및 상기 감시시스템을 구비한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612A KR101091909B1 (ko) 2005-12-27 2005-12-27 감시 방법, 이를 채택한 감시 시스템, 및 상기 감시시스템을 구비한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695A KR20070068695A (ko) 2007-07-02
KR101091909B1 true KR101091909B1 (ko) 2011-12-08

Family

ID=3850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612A KR101091909B1 (ko) 2005-12-27 2005-12-27 감시 방법, 이를 채택한 감시 시스템, 및 상기 감시시스템을 구비한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748B1 (ko) * 2020-06-17 2022-05-24 주식회사 만조랩 기록물 관리 서버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기록물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6582583B (zh) * 2023-04-27 2023-12-01 三峡高科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rfid技术的监控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695A (ko) 2007-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653B1 (ko) 영상열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EP1533768B1 (en) Portable security system
KR101754407B1 (ko) 주차장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KR101381924B1 (ko) 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05844209B (zh) 基于红外辐射探测的访客识别
KR102074669B1 (ko) 스마트 팩토리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
KR101370982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이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안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감지방법
KR101014842B1 (ko)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KR102233679B1 (ko) Ess 침입자 및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10107242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무인 경계 시스템 및 방법
JP5111795B2 (ja) 監視装置
KR101091909B1 (ko) 감시 방법, 이를 채택한 감시 시스템, 및 상기 감시시스템을 구비한 개인용 휴대통신 장치
JP5031284B2 (ja) 盗撮カメラ検知装置、盗撮カメラ検知システムおよび盗撮カメラ検知方法
KR100825403B1 (ko) 보안 시스템
KR100297059B1 (ko) 스테레오 비젼의 3차원 정보를 이용한 동작 검출기 및 그 방법
KR1015230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Prajapati et al. A novel approach towards a low cost peripheral security system based on specific data rates
KR100746650B1 (ko) 블루투스 카메라장치 및 보안 카메라 시스템
JP2008171222A (ja) 物品監視システム
KR101065144B1 (ko) 영상제어단말의 자동제어를 통한 사설 경비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049782B (zh) 保全监视系统
KR101663776B1 (ko) Rfid를 이용하는 영상저장부 절약형 cctv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16184B1 (ko)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벤트 영상 재생 방법
KR101959142B1 (ko) 초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울타리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6696A (ko) 차량 감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