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705A -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705A
KR20160074705A KR1020140182134A KR20140182134A KR20160074705A KR 20160074705 A KR20160074705 A KR 20160074705A KR 1020140182134 A KR1020140182134 A KR 1020140182134A KR 20140182134 A KR20140182134 A KR 20140182134A KR 20160074705 A KR20160074705 A KR 20160074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isaster
building
vibration
fir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항배
박세현
박상욱
박상민
강병관
유영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8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4705A/ko
Publication of KR20160074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08B19/005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combined burglary and fire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31/00Oscillators
    • Y10S331/03Logic gate active element oscillator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및 진동센서를 통해 얻은 건물 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위험수위 관리 서버; 서버에 저장된 건물의 온도 및 진동 정보를 통해 건물의 안전도 및 재난상황 판단을 하는 위험수위 판단 프로그램; 및 건물 내 온도 및 진동을 감지하는 재난 감지부를 포함하는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Caution area disaster/fire prevention system through Temperature and vibration sensors}
본 발명은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사회 진입에 따라 산업 보안의 영역이 단순 정보보안에서 물리보안 및 융합보안 분야로 급속히 확대되어가고 있다.
또한 구조물 붕괴에 대한 염려가 증가함에 따라 재난안전 관련 기술 중 구조물의 붕괴를 감지하여 사고에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붕괴 감지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은 2009년 32건에서 2013년 51건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여 주목을 받고 있다.
‘구조물 붕괴 감지 기술’은 건물의 이상 징후를 탐지해 건물의 붕괴에 대처하는 기술이다. 구조물 붕괴 관련 기술은 ‘현재 경사센서를 이용한 구조물의 안전시스템’, ‘콘크리트 토목구조물간의 틈새변화를 확인하는 안전진단장비’,‘ 광학렌즈 및 망원렌즈를 이용한 정밀안전진단장비’, ‘GPS를 이용한 기준점의 지반상태확인 시스템’ 등의 기술이 있다.
현재까지는 건축물에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해 적절한 대책이 조직적으로 수립 되지 않고 있으며, 단지 각각의 재난관리기관에서 산발적으로 재난 상황을 수집하여 대책을 수립하는 정도이거나 건물 내 경보만 해주는 정도이다. 즉 재난 관리 기관은 재난 신고를 받거나 재난 발생 정보가 수집되었을 때 재난 대책을 위한 인력을 출동시키므로 출동한 인원들이 재난이 발생한 건축물에 도착하여 재난 상황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온도 및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빌딩 내 위험지역을 파악하여 건물 내 인원들에게 빠르게 경고함으로써 빠른 대피를 통해 건물 붕괴나 화재 등 재난 시에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은 건물 내 온도 및 진동 센서를 통해 건물 내 온도 및 진동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위험수위 판단프로그램에 의해 건물의 화재 및 지진이나 붕괴 위험을 미리 예측 하여서 재난이 발생하기 전에 경고함으로써 인원 및 재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재난 대책 관리기관에 전송을 하여 기관에서도 건물 내 정보를 가지고 있어 위험 수준 까지 방치하지 않을 수 있고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건물의 정보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신속한 대처를 위해 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및 진동센서를 통해 얻은 건물 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위험수위 관리 서버; 서버에 저장된 건물의 온도 및 진동 정보를 통해 건물의 안전도 및 재난상황 판단을 하는 위험수위 판단 프로그램; 및 건물 내 온도 및 진동을 감지하는 재난 감지부를 포함하는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대응 및 위험수위 판단 프로그램을 통해 재난을 예고 할 수 있어서 재난에 의한 인명 및 재산에 대한 피해 확산 방지 및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온도센서, 진동센서, 통신모듈로 구성된 감지부를 나타낸다.
도 3은 위험수위 판단 프로그램, 감지부 정보 데이터베이스, 통신모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으로서 감지부(100), 서버부(200) 그리고 경보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와 같이 감지부(100)는 건물의 붕괴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얻을수 있는 진동센서, 건물 내 화제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그리고 서버부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서버부(200)는 감지부의 온도센서와 진동센서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해 건물의 안전 상태를 판단하는 위험수위 판단 프로그램과 감지부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감지부 정보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경보장치를 울리고 재난대책기관에 신고를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 구성 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온도 및 진동센서를 통해 얻은 건물 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위험수위 관리 서버;
    서버에 저장된 건물의 온도 및 진동 정보를 통해 건물의 안전도 및 재난상황 판단을 하는 위험수위 판단 프로그램; 및
    건물 내 온도 및 진동을 감지하는 재난 감지부를 포함하는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KR1020140182134A 2014-12-17 2014-12-17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KR20160074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34A KR20160074705A (ko) 2014-12-17 2014-12-17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34A KR20160074705A (ko) 2014-12-17 2014-12-17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705A true KR20160074705A (ko) 2016-06-29

Family

ID=5636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134A KR20160074705A (ko) 2014-12-17 2014-12-17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47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032A (ko) * 2018-06-15 2019-12-26 태원비엠씨(주) 건물 재난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재난 알림 방법
KR102263963B1 (ko) * 2020-11-13 2021-06-10 오영재 재난 방지 복합형 예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032A (ko) * 2018-06-15 2019-12-26 태원비엠씨(주) 건물 재난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재난 알림 방법
KR102263963B1 (ko) * 2020-11-13 2021-06-10 오영재 재난 방지 복합형 예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736B1 (ko)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CN107438766B (zh) 基于图像的监视系统
EP2115645A1 (en) System for monitoring industrial disaste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EP327024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and displaying site safety metrics
KR101812981B1 (ko) 지능형 복합 센서를 이용한 울타리 감시 시스템 및 복합 센서의 감도 변경 방법
KR101845942B1 (ko)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KR101070715B1 (ko)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102116729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비상벨 장치
KR100980314B1 (ko) 역사내 우범 지역 감시 시스템
JP6223594B2 (ja) 遠隔統合監視操作システム
KR20160074705A (ko)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KR101935798B1 (ko) 비콘 송신기를 활용한 위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GB2568856A (en) Improvements in alarm systems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84243B1 (ko) 빌딩의 연쇄구조붕괴 징후 기반의 위험등급 분류방법
KR102619081B1 (ko) 영상 기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TWM582191U (zh) Supervisory device
KR20190078671A (ko)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KR20230114959A (ko)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30037902A (ko) 다중 센서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86926A (ko)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8301A (ko)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20150067923A (ko) 안전관리 대상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63833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210152811A (ko) 모바일 장비에 탑재된 센서들을 이용한 작업 환경 위험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