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671A -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8671A KR20190078671A KR1020170170204A KR20170170204A KR20190078671A KR 20190078671 A KR20190078671 A KR 20190078671A KR 1020170170204 A KR1020170170204 A KR 1020170170204A KR 20170170204 A KR20170170204 A KR 20170170204A KR 20190078671 A KR20190078671 A KR 201900786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er
- data
- wearable device
- server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40 infrastructure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06010000372 Accident at work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산업현장의 위험구역 내에 설치되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와 상기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착용하며, 독립적인 식별번호를 내장하고, 근로자의 행동변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경보장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경보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버에 상기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데이터와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대비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산업재해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시각각 변화하는 건설현장의 위험구역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근로자에게 위험구역의 접근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현장의 위험구역 내에 설치되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와 상기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착용하며, 독립적인 식별번호를 내장하고, 근로자의 행동변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경보장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경보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버에 상기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데이터와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대비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산업재해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시각각 변화하는 건설현장의 위험구역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근로자에게 위험구역의 접근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의 위험구역에 설치된 경보장치와 근로자에게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재해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이다.
건설업은 수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여러 작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 건설현장에서는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 인한 위험성과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수치적으로 보면, 전체 산업 재해자의 발생 수는 매년 감소하는 반면 건설재해는 매년 증가하여 전체 재해 발생 대비 건설재해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전체 산업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약 28%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재해의 유형을 살펴보면 떨어짐과 넘어짐의 사고와 같은 물리적 재해발생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는 일반적인 제조 현장과는 달리 건설현장의 작업환경이 시시각각 변화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전체적인 근로자의 근무위치 또는 기계·장비들의 위치가 바뀌게 되어 사고를 유발하는 개구부, 낙하위험지역 등의 위험 구역이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거나 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물리적 재해발생은 건물 구조체 내에 존재하는 개구부에서의 떨어짐, 상위층의 개구부에서 낙하하는 물체에 맞음, 위험요소 혹은 장비에 의한 깔림·뒤집힘, 부딪힘, 끼임 등의 유형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물리적 재해발생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작업환경이 큰 요인 중 하나인바, 인적자원을 통한 재해발생의 예방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존하는 무선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물리적 재해발생의 방지 내지 예방을 위한 디바이스와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은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건설현장의 위험구역과 근로자에게 쉽게 설치되어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또한 건설현장의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근로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근로자의 행동변위 추적과 분석으로 물리적 재해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은 산업현장의 위험구역 내에 설치되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와 상기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착용하며, 독립적인 식별번호를 내장하고, 근로자의 행동변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경보장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경보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버에 상기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데이터와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대비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산업재해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근로자나 움직이는 사물을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식별번호를 감지하여 상기 근로자가 상기 산업현장의 위험구역 내의 접근이 허가된 사람인지를 판별하는 블루투스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수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송신되는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수신 받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경보장치의 거리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근로자에게 경고신호를 방출하도록 하는 제1신호와 상기 식별번호를 상기 서버로 송출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의 접근 기록을 저장하도록 하는 제2신호 및 상기 식별번호를 상기 서버로 송출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의 접근 기록을 저장하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근로자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는 제3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근로자의 행동변위 데이터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와 상기 경고장치에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송신하는 블루투스 송신부 및 진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2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각각 진동주기를 달리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행동변위 데이터가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를 벗어난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사고알람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시각각 변화하는 건설현장의 위험구역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근로자에게 위험구역의 접근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근로자의 행동변위를 분석하여 산업재해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거나 물리적 재해발생의 예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설현장의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방해가 될 수 있는 요인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물리적 재해발생의 예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산업현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안전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도2의 경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도2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도2의 경보장치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제어신호생성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안전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도2의 경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도2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도2의 경보장치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제어신호생성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산업현장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2는 도1의 안전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3은 도2의 경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4는 도2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안전관리시스템(3)은 경보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중계기(300)와 서버(400)와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장치(100)는 산업현장(1)의 위험구역(11)내에 설치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근로자(13)에게 착용되며 중계기(300), 서버(400) 및 디스플레이부(500)는 설치되는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으며 중계기(300)의 경우 경보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서버(400)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공간에, 서버(400) 및 디스플레이부(500)는 산업현장(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관리자에 의해 관리·감독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보장치(100)는 산업현장(1)내에서 시시각각 변화하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위험구역(11)에 설치되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며, 센서부(110)와 블루투스 수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근로자(13)나 움직이는 사물을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며, 블루투스 수신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내장되어 있는 독립적인 식별번호를 감지하여 근로자(13)가 산업현장(1)의 위험구역(11) 내의 접근이 허가된 사람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수신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송신되는 근로자(13)의 행동변위 데이터를 수신 받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경보장치(100)의 거리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블루투스 수신부(130)는 일차적으로 근로자(13)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내장되어 있는 상기 독립적인 식별번호를 감지하여 근로자(13)가 위험구역(11)내의 접근이 허가된 사람인지 판별하고, 이차적으로 위험구역(11)내의 접근이 허가된 사람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경보장치(100)의 거리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산업현장(1)에서 근무하는 근로자(13)가 착용하며, 상기 독립적인 식별번호를 내장하고, 근로자(13)의 행동변위 데이터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가속도센서(210)와 블루투스 송신부(230) 및 진동모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10)는 근로자(13)의 행동변위 데이터를 측정하며, 블루투스 송신부(230)는 경고장치(100)에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송신하고, 진동모터(250)는 경보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거리에 따라 각각 진동의 주기를 달리하여 구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모터(250)는 후술할 상기 제어신호의 제2신호와 제3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각각 진동주기를 달리하여 구동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위험구역(11)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보장치(100)와 근로자(13)에게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상호 블루투스 송·수신을 통해 근로자(13)의 현재 위치 내지 상태를 측정하거나 위험구역(11)내의 접근정도를 거리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근로자(13)에게 시각적, 음향적, 물리적 신호를 전달하여 물리적 재해발생의 예방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경고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도면에 의한 형태, 구조 또는 설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고장치(100)의 경우 다양하게 변화하는 위험구역(11) 설치될 수 있도록 모듈화 된 다양한 형상을 포함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경우 마그네틱, 벨크로 등에 의해 근로자(13)의 어느 일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중계기(300)는 경보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서버(400)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경보장치(100) 또는 근로자(13)의 작업 반경에 설치되어 경보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생성, 측정, 내장, 전달되는 데이터들을 서버(400)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측정되는 행동변위 데이터는 상기 중계기(300)를 통해 경보장치(1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서버(400)로 전달되는 데이터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이다.
즉 상기 데이터는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포함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내장된 독립적인 식별번호, 경보장치(100)의 블루투스 수신부(130)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400)는 상기 경보장치(1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기 설정된 데이터와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대비하여 근로자(13)에게 산업재해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와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는 구분되는 개념으로써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기존에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 데이터이거나 또는 경보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지속적으로 전달받아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한 일정한 기준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기 설정된 데이터와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는 구분되며,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는 중계기(300)를 통해 경보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생성, 측정, 내장, 전달되는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서버는 경보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전달되는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각 근로자(13)들의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저장하여 평소 행동변위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로 두어 근로자(13)에게 과도한 신체손상과 같은 중대사고의 전조인 미끌림 동작 또는 트립 동작 등의 아차사고가 발생한 경우 행동변위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저장·비교한다.
상기 저장·비교 과정을 통해 서버(400)는 하인리히(Heinrich)가 제시한 1:29:300과 같은 비교표(산업재해 사례를 분석하여 재해의 발생규칙을 수치화한 표)를 활용하여 산업재해에 따른 중상자가 1명 나오면 그 전에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 경상자가 29 그리고 잠재적 부상자가 300명이 통계상 나타난다는 사실에 기반해 상기 서버는 상기 아차사고가 발생한 경우의 행동변위 데이터를 상기 하인리히의 비교표에서 잠재적 부상자 300에 해당하는 수치로 집계하여 이를 카운트함에 따라 산업재해에 따른 중상자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아차사고(Near-miss)란 재산상 혹은 신체상의 피해를 유발하지 않았지만, 순간적인 방심으로 인해 재해발생으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은 사고를 의미하여 상기 아차사고는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통해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근로자의 산업현장 내의 일반적인 행동변위 데이터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행동변위 데이터가 전달받은 경우 이는 비정상상황에 따른 행동변위 데이터로써 이러한 데이터를 아차사고에 의한 데이터로 집계한 후 기존 일반적인 행동변위 데이터와 아차사고에 의한 행동변위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아차사고에 의한 행동변위 데이터를 집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장에서 자체적으로 적용하는 각 사고의 발생비율을 바탕으로 산업현장(1)의 각 공구별, 구역별 사고 발생 횟수를 축적하여 제시함으로써 경재해 및 중대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시점을 미리 예측하여 안전관리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시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서버(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산업현장(1)내에 혹은 산업현장의 외부에 설치되어 관리자에 의해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일예로 서버(400)에 저장되는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가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를 벗어난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가 서버(400)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00)에 사고알람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사고알람 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로자(13)의 현재위치 또는 이동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경고장치(100)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구역(11)의 현재위치 또는 새롭게 생성되는 위험구역(11)의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5는 도2의 경보장치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6은 도5의 제어신호생성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 및 도6을 참고하면 경보장치(100)는 동작감지(S111), 경고신호발생(S113), 접근허가여부(S131), 거리계산(S133), 제어신호생성(S135) 과정을 수행하며, 제어신호생성(S135)은 주의단계여부(S1351), 경고단계여부(S1352), 위험단계여부(S1353)의 과정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를 통해 동작감지(S111)와 경고신호발생(S113)을 수행하며 주의단계여부(S1351)에서 발생되는 경고신호역시 센서부(11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경고신호발생(S113)의 신호와 주의단계여부(S1351)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음량, 주기, 소리 등은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근로자(13)가 위험구역(11)내로 접근하는 경우 경보장치(100)의 센서부(110)는 근로자 또는 움직이는 물체의 동작을 감지하고(S111) 음성신호, 빛 또는 소리신호 등의 경고신호를 발생함으로써 근로자(13)에게 현재 위험구역(11)내로 접근하고 있음을 인지시켜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고신호발생(S113)과 순차적 또는 동시적으로 경보장치(100)의 블루투스 수신부(130)는 근로자(13)가 위험구역(11)내의 접근이 허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131) 위험구역(11)내의 접근이 허가된 근로자인 경우 근로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위험구역 내에 설치되는 경보장치(100)와의 거리를 계산하여(S133) 상기 거리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S135)할 수 있다.
제어신호생성(S13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경보장치(100)의 상대적인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주의단계여부(S1351), 경고단계여부(S1352), 위험단계여부(S1353)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과정은 각각 독립적인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근로자(13)가 주의단계여부(S1351)에 해당하는 거리에 위치할 경우 제1신호를 생성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근로자(13)가 경고단계여부(S1352)에 해당하는 거리에 위치할 경우 제2신호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내장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서버(400)에 송출하여 서버(400)에 근로자(13)의 접근기록을 저장할 수 있으며,
근로자(13)가 위험단계여부(S1353)에 해당하는 거리에 위치할 경우 제3신호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내장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서버(400)에 송출하여 서버(400)에 근로자(13)의 접근기록을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근로자(1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3신호에 의해 근로자(13)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은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신호를 생성(S135)하는 과정과 거리계산(S133) 과정은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근로자(13)가 이동하는 경우 그에 맞춰 순차적·동시적으로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산업현장
3 : 안전관리시스템
11 : 위험구역
13 : 근로자
100 : 경보장치
200 : 웨어러블 디바이스
300 : 중계기
400 : 서버
500 : 디스플레이부
3 : 안전관리시스템
11 : 위험구역
13 : 근로자
100 : 경보장치
200 : 웨어러블 디바이스
300 : 중계기
400 : 서버
500 : 디스플레이부
Claims (7)
- 산업현장의 위험구역 내에 설치되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
상기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착용하며, 독립적인 식별번호를 내장하고, 근로자의 행동변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경보장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경보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버에 상기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데이터와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대비하여 상기 근로자에게 산업재해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근로자나 움직이는 사물을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식별번호를 감지하여 상기 근로자가 상기 산업현장의 위험구역 내의 접근이 허가된 사람인지를 판별하는 블루투스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수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송신되는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수신 받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경보장치의 거리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근로자에게 경고신호를 방출하도록 하는 제1신호;
상기 식별번호를 상기 서버로 송출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의 접근 기록을 저장하도록 하는 제2신호; 및
상기 식별번호를 상기 서버로 송출하도록 하여 상기 근로자의 접근 기록을 저장하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근로자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는 제3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근로자의 행동변위 데이터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경보장치에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를 송신하는 블루투스 송신부; 및
진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2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각각 진동주기를 달리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행동변위 데이터가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를 벗어난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행동변위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사고알람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0204A KR20190078671A (ko) | 2017-12-12 | 2017-12-12 |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0204A KR20190078671A (ko) | 2017-12-12 | 2017-12-12 |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8671A true KR20190078671A (ko) | 2019-07-05 |
Family
ID=6722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0204A KR20190078671A (ko) | 2017-12-12 | 2017-12-12 |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7867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4045B1 (ko) | 2020-01-22 | 2020-12-23 |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 패턴레이저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
KR102505765B1 (ko) * | 2021-11-16 | 2023-03-07 | (주) 다음기술단 | 건설현장 근로자 안전을 위한 IoT 기반 웨어러블 안전가시화 시스템 |
-
2017
- 2017-12-12 KR KR1020170170204A patent/KR2019007867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4045B1 (ko) | 2020-01-22 | 2020-12-23 |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 패턴레이저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
KR102505765B1 (ko) * | 2021-11-16 | 2023-03-07 | (주) 다음기술단 | 건설현장 근로자 안전을 위한 IoT 기반 웨어러블 안전가시화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0480B1 (ko) | IoT 전용망 기반 밀폐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 |
US20210295460A1 (en) |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apparatus | |
US9836941B2 (en) | Heavy equipment proximity alert system | |
KR101339928B1 (ko) |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 |
KR101845942B1 (ko) |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 |
US11699338B2 (en) | Safety warning system | |
EP1943631A2 (en) |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n infrastructure | |
KR20200007388A (ko) | 조선소 안전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의 안전확인 방법 | |
KR20170101385A (ko) |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 |
KR20190078671A (ko) |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 |
KR101622891B1 (ko) | 조기경보 알림용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
KR101490373B1 (ko) |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 |
KR20090089142A (ko) |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 |
KR20200107912A (ko) | 건설 현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
CN111243227A (zh) | 电力系统防触电保护装置和方法 | |
KR101377706B1 (ko) |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 |
KR102302732B1 (ko) |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 |
US11681062B2 (en) | System and a method for vibration monitoring | |
KR20160074705A (ko) |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 |
KR101957982B1 (ko) | 비콘태그를 이용한 안전활동 스마트 tbm 시스템 | |
US8717161B1 (en) | Lockout for hydrogen sulfide monitoring system | |
JP5722708B2 (ja) |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 | |
KR20210115906A (ko) | 적응적 분산 객체를 이용한 가스안전 관리시스템 | |
CN111223271A (zh) | 电力系统防触电保护装置和方法 | |
KR102436805B1 (ko) | 위험 요소 알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 요소 알림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