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732B1 -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732B1
KR102302732B1 KR1020210035398A KR20210035398A KR102302732B1 KR 102302732 B1 KR102302732 B1 KR 102302732B1 KR 1020210035398 A KR1020210035398 A KR 1020210035398A KR 20210035398 A KR20210035398 A KR 20210035398A KR 102302732 B1 KR102302732 B1 KR 102302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er
terminal
operator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우
한기범
채성기
안신영
이도영
김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투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투엠
Priority to KR102021003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itical Car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ur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시설과 같은 실외작업장 또는 스마트팩토리와 같은 실내작업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안전종합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 와치를 이용하여 풍력발전시설과 같은 대단위 시설물의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한 야외작업자 및 스마트팩토리와 같은 실내시설물에 근무하는 실내작업자의 안전관리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A SMART-WATCH BASED MULTI-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인 스마트와치를 기반으로 한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풍력발전과 같은 대단위 야외시설물 관리 등 다양한 실외에서 작업하는 실외작업자 및 스마트팩토리와 같은 생산시설 등에서 작업하는 실내작업자의 안전관리 및 스케줄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이다.
최근들어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실외작업장 또는 실내작업장과 같이 다양한 작업장의 형태가 구현되고 있어,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풍력발전같은 대단위 플랜트 시설이 늘어나게 되고, 이러한 풍력발전시설은 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시 작업자 위험도가 매우 높은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작업자 안전사고의 유형으로는 추락으로 인한 낙상 및 사망, 기계 끼임사고, 기계 및 장비 등의 충돌 등이 대표적이며, 작업자의 심장마비, 고소공포증에 의한 혈압 상승 등 다양한 개인적 질병사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풍력발전기와 같은 작업현장 또는 대단위 생산시설의 기계 끼임 등이 발생하는 사고 장소에 신속하게 진입하거나 도달하여 응급구조 행위를 하기 어려워 작업자가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망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작업자 안전관리 기술이 구현되고 있고,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15942호(능동적 작업자 감지 및 평가를 갖는 개인 보호 장비 및 안전 관리 시스템,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 2021년 02월 10일 공개)는 컴퓨팅 디바이스 개인 보호 장비(PPE)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PPE 디바이스는 작업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구성되며, 작업자의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특성들을 나타내는 생리학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센서를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생리학적 데이터 및 작업자와 연관된 위험 프로파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작업자에 대한 안전 위험 스코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작업자의 생리학적 데이터를 스코어화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다양한 안전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워 작업관리자 또는 컨트롤 타워에서 신속하게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작업자 개개인의 생리학적 데이터를 방대하게 획득하기 위해, 개인별 전용 장비가 구비되어 운영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15942호(능동적 작업자 감지 및 평가를 갖는 개인 보호 장비 및 안전관리 시스템. 2021년 02월 10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작업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며, 안전사고에 대한 신속한 감지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공용장비를 활용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 와치를 이용하여 풍력발전시설과 같은 대단위 시설물의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한 야외작업자 및 스마트팩토리와 같은 실내시설물에 근무하는 실내작업자의 안전관리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작업자용 단말기(2)를 이용하기 위해 로그인 할 수 있도록 하는 NFC태그 또는 NFC부재를 관리하는 NFC유니트(11)와, 사용자인 작업자가 작업자용 단말기(2)를 이용하기 위해 작업자용 단말기에 접근하며, 사용권한을 승인받을 수 있도록 하는 로그인 관리유니트(12)와, 사용자인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이를 감시하는 심박수 측정 및 감시 유니트(13)와, 작업자가 낙상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낙상감지 유니트(14)와, 작업자의 위치 및 위치변위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확인 유니트(15)와, 작업자가 작업을 시행하는 현장의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 유니트(16) 및 내·외부전산망 또는 통신망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통신망 관리 유니트(17)로 이루어진 메인컨트롤서버(1)와 통신기능을 포함하며, 스마트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와치로 이루어진 작업자용 단말기(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업용단말기(2)는 사용자인 작업자의 바이오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기능, 작업용단말기의 위치 및 위치변동정보 및 주변 외부정보인 기상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착용자의 심박수측정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계센서, 광센서, 압력센서와 같은 센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컨트롤서버(1)에는 작업내역, 사용자인 작업자의 정보 등을 저장하고 DB화하며, DB의 호출 및 갱신을 제어하고 관리하며 메모리가 일체형으로 포함되는 메모리관리 유니트(18)가 더 구비된다.
상기 로그인 관리유니트(12)는 작업자용 단말기(2) 중 가용가능한 단말기를 선별하고 작업에게 배정하고, 작업자용 단말기(12)와 메인컨트롤서버(1)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채널을 활성화시켜주며, 작업자용 단말기(2) 상에 사용자인 작업자의 신상정보를 탑재하고, 상기 심박수 측정 및 감시 유니트(13)는 작업자용 단말기(2)에서 측정된 작업자의 심박수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이상 심박수가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작업자에게 진동 또는 음성신호를 통하여 알리게 되며, 심박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 비상상황이 발생될 경우 메인컨트롤서버(1)로 이를 전송하거나 관리자의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알릴 수 있도록 SOS 신호 또는 메시지 보내기 유무를 표시하고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낙상감지 유니트(14)는 작업자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계센서에서 각각 잠지되는 두가지 위치변화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두가지 정보가 모두 충족될 경우 낙상으로 판단하고 낙상임을 알리는 신호를 작업자용 단말기(2)에 전송하고, 상기 낙상감지 유니트(14)는 낙상임을 알리는 진동, 음성신호 및 문자나 불빛과 같은 디스플레이신호를 표시함과 동시에 메인컨트롤서버(1) 또는 관리자의 통신단말기에 SOS신호를 전송할 것인지를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작업자용 단말기(2)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확인 유니트(15)는 작업자용 단말기(2)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면, 작업현장의 위치정보 DB와 비교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안내하고, 사전에 입력되어 저장된 지도상에 맵핑되는 형태로 작업현장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로 표기한다.
또한, 상기 기상정보 유니트(16)는 작업현장에 설치되는 풍속계, 기압계, 기온계와 같은 기상관측장비로부터 획득되는 기상정보 또는 작업자용 단말기(2)에 구비되는 센서류에 의해 획득되는 기압, 온도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기상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되는 기상정보가 작업이 불가능한 비정상구간일 경우 이를 이벤트상황으로 파악하고 작업자용 단말기(2) 또는 관리자의 통신단말기 및 메인컨트롤서버(1)로 전송하여 작업진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기상정보는 외부기상정보인 기상특보 사항도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NFC유니트(11)에는 공용 작업자용 단말기 또는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가 작업자용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하거나, 사전에 등록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공용 작업자용 단말기 또는 자가 작업자용 단말기의 정보를 탑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위치확인 유니트(15)는 작업현장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외곽으로 향할수록 반경이 커지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작업반경을 설정하고, 작업현장에 비상상황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가까운 작업 반경에 있는 작업자를 배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며, 안전사고에 대한 신속한 감지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공용장비를 활용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단말기(2)의 정보표시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작업현황에 대한 정보표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단말기(2)의 정보표시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와 도 10은 작업현황에 대한 정보표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은 풍력발전 시설과 같은 대단위 야외시설물의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한 야외작업자 또는 스마트팩토리와 같은 실내작업자의 안전관리를 위한 것으로, 스마트 웨어러블디바이스의 일종인 스마트와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종합적인 안전을 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시스템은 메인컨트롤서버(1)와 작업자용 단말기(2)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컨트롤서버(1)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작업자용 단말기(2)를 이용하기 위해 로그인 할 수 있도록 하는 NFC태그 또는 NFC부재를 관리하는 NFC유니트(11)와, 사용자인 작업자가 작업자용 단말기(2)를 이용하기 위해 작업자용 단말기에 접근하며, 사용권한을 승인받을 수 있도록 하는 로그인 관리유니트(12)와, 사용자인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이를 감시하는 심박수 측정 및 감시 유니트(13)와, 작업자가 낙상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낙상감지 유니트(14)와, 작업자의 위치 및 위치변위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확인 유니트(15)와, 작업자가 작업을 시행하는 현장의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 유니트(16) 및 내·외부전산망 또는 통신망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통신망 관리 유니트(17)로 구성된다.
또한, 작업내역, 사용자인 작업자의 정보 등을 저장하고 DB화하며, DB의 호출 및 갱신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메모리관리 유니트(18)가 더 구비된다.
상기 NFC유니트(11)는 단거리 통신수단의 일종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인 작업자가 작업을 위한 작업용 단말기(2)를 사용하기 위한 로그인 작업시 간편하게 로그인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탑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인 작업자의 이름, 소속, 직위와 같은 신상정보 및 작업자의 식별을 위한 ID를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NFC유니트(11)는 외부에 구비되는 NFC태그 장치와 같은 별도의 인식장치와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개인별로 발급된 NFC카드 등의 수단을 NFC인식 장치에 인식하여 로그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NFC유니트(11)에는 공용 작업자용 단말기 또는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가 작업자용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하거나, 사전에 등록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공용 작업자용 단말기 또는 자가 작업자용 단말기의 정보를 탑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작업자가 업무시간 이외나, 외부에서 내부기밀사항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고, 자가 작업자용 단말기를 보유한 상황에서 작업장 근처에서 자동으로 인식되고 로그인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로그인 관리유니트(12)는 작업자용 단말기(2)를 식별할 수 있는 ID정보와 NFC유니트(11)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가능한 작업자용 단말기(2)에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여 작업자용 단말기를 할당한 후 로그인 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용 단말기(2)를 할당하는 것은 현재 작업자용 단말기(2) 중 가용가능한 단말기 즉, 배터리 저장용량 및 고장 등의 이상상황이 아닌 단말기를 선별하고 선별된 단말기 중 작업자인 사용자에게 배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그인과정은 작업자용 단말기(2)와 메인컨트롤서버(1)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채널을 활성화시켜주며, 작업자용 단말기(2) 상에 사용자인 작업자의 신상정보가 탑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심박수 측정 및 감시 유니트(13)는 사용자인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이를 감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심박수 감시는 작업자의 심박수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감시하는 것으로, 야외작업 또는 실내작업시 작업자에게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심박수 측정 및 감시 유니트(13)는 작업자용 단말기(2)의 심박측정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심박수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이상 심박수가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작업자에게 진동 또는 음성신호를 통하여 알리게 되며, 심박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 비상상황이 발생될 경우 메인컨트롤서버(1)로 이를 전송하거나, 관리자의 통신수단으로 전송하여 알릴 수 있도록 SOS 신호 또는 메시지 보내기 유무를 표시하고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의 심박수가 일정시간 이상 비정상범위에서 계속되고 메인컨트롤서버(1) 또는 관리자의 통신수단으로 전송하여 알릴 수 있도록 작업자에게 안내한 후 일정시간 이상 작업자가 선택하지 않을 경우 작업자의 선택 없이 자동으로 SOS 신호 또는 메시지를 보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심박수는 작업자의 생활습관 또는 특이사항에 따라 정상범위를 차등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보다 심박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작업자의 평상시 심박수의 평균을 기준으로 평균 심박수 보다 높거나 낮은 비정상의 범위에 속할 경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낙상감지 유니트(14)는 작업자가 낙상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업자용 단말기(2)에 구비되는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계센서에서 각각 감지되는 두가지 위치변화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두가지 정보가 모두 충족될 경우 낙상으로 판단하고 낙상임을 알리는 신호를 작업자용 단말기(2)에 진동, 음성신호, 및 문자나 불빛과 같은 디스플레이신호를 표시함과 동시에 메인컨트롤서버(1) 또는 관리자의 통신단말기에 SOS신호를 전송할 것인지를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작업자용 단말기(2)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SOS신호를 보낼 것인지를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이동을 위해 뛰어내리거나 크레인 등의 수단을 통하여 급격하게 높이위치가 변할 경우와 같은 인위적으로 급격한 위치변화를 가했을 경우 오작동으로 SOS신호를 발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낙상한 것으로 판단된 후 일정시간이상 SOS신호를 발송할 것을 판단하지 않을 경우 작업자의 의식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자동으로 발송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확인 유니트(15)는 작업자용 단말기(2)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업자용 단말기(2)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으로, GPS정보를 이용하거나, 작업장소에 위치하는 통신중계기 또는 내부통신망의 개별송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용 단말기(2)의 GPS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보다 신뢰성 있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다양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중복검증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작업자용 단말기(2)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면, 작업현장의 위치정보와 작업자용 단말기(2)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알리게 된다.
예를 들어, 작업현장이 풍력발전시설의 경우 풍력발전기의 위치정보인 GPS정보 등을 말하며, 상기와 같은 풍력발전기의 위치정보와 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보유한 작업자용 단말기(2)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알리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작업자의 위치 안내는 관제센터 등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해주게 되거나, 관리자의 단말기에 간략한 정보로 표시해주기도 한다.
또한, 사전에 입력되어 저장된 지도 상에 맵핑되는 형태로도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데, 간략정보로 표시할 경우 해당 작업현장인 풍력발전시설의 풍력발전기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수로 표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설정한 기간을 기준으로 자동 갱신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30min을 기준시간으로 설정하면, 30min 간격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갱신하여 안내해주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해당작업구역을 이탈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의 작업자용 단말기(2)에 작업구역을 이탈하였음을 알리고 작업자는 이를 작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현장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외곽으로 향할수록 반경이 커지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작업반경을 설정하고, 작업현장에 비상상황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가까운 작업 반경에 있는 작업자를 배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업현장의 위치정보를 중심점으로 하고,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외곽으로 향할 수록 작어반경이 커지는 방사형의 다수개의 원을 배치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심점으로 부터 100m를 증가 단위로 설정하면, 최초 작업반경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1차 작업반경이 설정되고, 상기 1차 작업반경으로 부터 100m 이격되어 또다른 2차 작업반경이 설정되며, 상기 2차 작업반경으로부터 100m 이격되어 또다른 3차 작업 반경이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기상정보 유니트(16)는 작업용 단말기(2)를 착용한 작업자가 위치한 지역의 기상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작업자, 관리자 또는 메인컨트롤서버(1)로 전송해주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업현장의 풍속, 기온, 날씨 및 기상특보 등을 통보하는 것으로, 작업현장에 설치되는 풍속계, 기압계, 기온계 등과 같은 기상관측장비로부터 획득되는 기상정보 또는 작업자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센서류에 의해 획득되는 기압, 온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기상정보를 전송해주게 되며, 관리자 통신단말기 또는 메인컨트롤서버(1)로 기상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획득되는 기상정보가 작업가능한 기상정보의 구간에 속하지 않는 비정상구간일 경우 이를 이벤트상황으로 파악하고 작업자용 단말기(2) 또는 관리자의 통신단말기 및 메인컨트롤서버(1)로 전송하여 작업진행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상정보에는 외부 기상정보인 기상특보 사항도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며, 기상특보 발령시 작업자용 단말기(2)에 이를 통보하여 작업자가 기상이변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풍력발전시설의 고공에 위치한 풍력발전기에서 작업을 시행할 경우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풍속 7m/s이상일 경우 작업자에게 알리고 작업을 중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날씨가 급변하여 눈 또는 비가 올 경우에도 이를 신속하게 작업자에게 알리고, 메인컨트롤서버(1)에 전송하여 관리자 통신단말기로 통보할 수 있도록 하여, 급변하는 기상상황에 의해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컨트롤서버(1)에는 작업자의 신상정보, 풍력발전시설의 풍력발전기 정보, 작업이력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DB화 시키며, DB를 호출하는 작업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메모리 관리유니트(18)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관리유니트(18)는 메모리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메인컨트롤서버(1)에 내부메모리 역할을 수행하거나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해 외부에 구비된 외부메모리장치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호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자용단말기(2)는 통신기능을 포함하며, 스마트 기능을 포함하는 웨어러블디바이스가 적용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착용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스마트와치가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와치로는 Galaxy Watch 또는 Apple Watch와 같은 스마트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적용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와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작업용단말기(2)는 사용자인 작업자의 바이오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기능, 작업용단말기의 위치 및 위치변동정보 및 주변 외부정보인 기상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기능을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센싱기능은 대표적으로 착용자의 심박수측정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계센서, 광센서, 압력센서 등과 같은 센싱부재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 : 메인컨트롤서버 2 : 작업자용 단말기
11 : NFC관리유니트 12 : 로그인 관리유니트
13 : 심박수 측정 및 감시유니트 14 : 낙상감지 유니트
15 : 위치확인 유니트 16 : 기상정보 유니트
17 : 통신 관리 유니트 18 : 메모리 관리 유니트

Claims (14)

  1. 스마트 와치를 이용하여 대단위 시설물의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한 야외작업자 및 실내시설물에 근무하는 실내작업자의 안전관리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작업자용 단말기(2)를 이용하기 위해 로그인 할 수 있도록 하는 NFC태그 또는 NFC부재를 관리하고, 공용 작업자용 단말기 또는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가 작업자용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전에 등록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공용 작업자용 단말기 또는 자가 작업자용 단말기의 정보를 탑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NFC유니트(11)와, 사용자인 작업자가 작업자용 단말기(2)를 이용하기 위해 작업자용 단말기에 접근하며, 사용권한을 승인받을 수 있도록 하는 로그인 관리유니트(12)와, 사용자인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이를 감시하는 심박수 측정 및 감시 유니트(13)와, 작업자가 낙상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낙상감지 유니트(14)와, 작업자의 위치 및 위치변위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확인 유니트(15)와, 작업자가 작업을 시행하는 현장의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 유니트(16) 및 내·외부전산망 또는 통신망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통신망 관리 유니트(17)로 이루어진 메인컨트롤서버(1)와
    통신기능을 포함하며, 스마트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와치로 이루어진 작업자용 단말기(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용단말기(2)는 사용자인 작업자의 바이오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기능, 작업용단말기의 위치 및 위치변동정보 및 주변 외부정보인 기상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착용자의 심박수측정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계센서, 광센서, 압력센서와 같은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서버(1)는
    작업내역, 사용자인 작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DB화하며, DB의 호출 및 갱신을 제어하고 관리하며 메모리가 일체형으로 포함되는 메모리관리 유니트(1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관리유니트(12)는 작업자용 단말기(2) 중 가용가능한 단말기를 선별하고 작업에게 배정하고, 작업자용 단말기(12)와 메인컨트롤서버(1)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채널을 활성화시켜주며, 작업자용 단말기(2) 상에 사용자인 작업자의 신상정보를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수 측정 및 감시 유니트(13)는 작업자용 단말기(2)에서 측정된 작업자의 심박수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이상 심박수가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작업자에게 진동 또는 음성신호를 통하여 알리게 되며, 심박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 비상상황이 발생될 경우 메인컨트롤서버(1)로 이를 전송하거나 관리자의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알릴 수 있도록 SOS 신호 또는 메시지 보내기 유무를 표시하고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감지 유니트(14)는 작업자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계센서에서 각각 잠지되는 두가지 위치변화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두가지 정보가 모두 충족될 경우 낙상으로 판단하고 낙상임을 알리는 신호를 작업자용 단말기(2)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감지 유니트(14)는 낙상임을 알리는 진동, 음성신호 및 문자나 불빛과 같은 디스플레이신호를 표시함과 동시에 메인컨트롤서버(1) 또는 관리자의 통신단말기에 SOS신호를 전송할 것인지를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작업자용 단말기(2)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 유니트(15)는 작업자용 단말기(2)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면, 작업현장의 위치정보 DB와 비교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안내하고, 사전에 입력되어 저장된 지도상에 맵핑되는 형태로 작업현장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로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유니트(16)는 작업현장에 설치되는 풍속계, 기압계, 기온계와 같은 기상관측장비로부터 획득되는 기상정보 또는 작업자용 단말기(2)에 구비되는 센서류에 의해 획득되는 기압, 온도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기상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유니트(16)는 획득되는 기상정보가 작업이 불가능한 비정상구간일 경우 이를 이벤트상황으로 파악하고 작업자용 단말기(2) 또는 관리자의 통신단말기 및 메인컨트롤서버(1)로 전송하여 작업진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는 외부기상정보인 기상특보 사항도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 유니트(15)는 작업현장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외곽으로 향할수록 반경이 커지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작업반경을 설정하고, 작업현장에 비상상황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가까운 작업 반경에 있는 작업자를 배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210035398A 2021-03-18 2021-03-18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KR102302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398A KR102302732B1 (ko) 2021-03-18 2021-03-18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398A KR102302732B1 (ko) 2021-03-18 2021-03-18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732B1 true KR102302732B1 (ko) 2021-09-16

Family

ID=7792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398A KR102302732B1 (ko) 2021-03-18 2021-03-18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7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809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엘지 엠알오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KR20140071578A (ko) * 2012-12-03 2014-06-12 한국 전기안전공사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KR20160137014A (ko) * 2015-05-22 2016-11-30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지규모 기상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15920A (ko) * 2016-08-04 2018-02-14 (주)인더스웰 Nfc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다중 사이트 로그인 서비스 장치
KR20200099841A (ko) * 2019-02-15 2020-08-25 주식회사 엠디알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산업안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210015942A (ko) 2018-06-04 2021-02-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능동적 작업자 감지 및 평가를 갖는 개인 보호 장비 및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809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엘지 엠알오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KR20140071578A (ko) * 2012-12-03 2014-06-12 한국 전기안전공사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KR20160137014A (ko) * 2015-05-22 2016-11-30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지규모 기상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15920A (ko) * 2016-08-04 2018-02-14 (주)인더스웰 Nfc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다중 사이트 로그인 서비스 장치
KR20210015942A (ko) 2018-06-04 2021-02-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능동적 작업자 감지 및 평가를 갖는 개인 보호 장비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00099841A (ko) * 2019-02-15 2020-08-25 주식회사 엠디알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산업안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7224B2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 at tunnel construction site
US10665087B2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446273B2 (en)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7748945A (zh) 一种智慧工地人员管理系统
WO2012047072A1 (ko) 가스 충전소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EP3848915B1 (en) System for monitor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compliance
CN209859268U (zh) 高处作业临边防护系统
WO2022031911A1 (e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digital integrated twin (icdit)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KR101353387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통신 구조물 안전상태 감시 시스템
KR20110042812A (ko)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102088458B1 (ko) 작업자 관리 시스템
KR102302732B1 (ko)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102240068B1 (ko) 테블릿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EP4153328A1 (en) Safety harness motion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KR20230114959A (ko)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84589A (ko)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75484B1 (ko) 현장안전 관제 시스템
KR20160114375A (ko) 실시간 낙석 피해 경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8671A (ko)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US20220418073A1 (en) Industrial plant environmental condition map using luminaires
TWM582191U (zh) Supervisory device
CN106829675B (zh) 基于吊桶运行安全综合防护系统的吊桶松绳故障检测方法
CN106829664B (zh) 基于吊桶运行安全综合防护系统的吊桶运动参数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