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715B1 -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715B1
KR101070715B1 KR1020090099652A KR20090099652A KR101070715B1 KR 101070715 B1 KR101070715 B1 KR 101070715B1 KR 1020090099652 A KR1020090099652 A KR 1020090099652A KR 20090099652 A KR20090099652 A KR 20090099652A KR 101070715 B1 KR101070715 B1 KR 10107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812A (ko
Inventor
이철우
김광윤
Original Assignee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90099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7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작업 현장의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구비되어, 관리 대상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가 기준범위를 이탈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위험 발생 정보를 출력하여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와 연계하여 전송하는 감지 수단; 및 감지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를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에 전송하고 제어하는 관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위치 신호, 진동 신호, 센서, 감지, 관제 수단, 무선 통신

Description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Safe surveillance system of the management object}
본 발명은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구비되어 관리 대상의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가 기준 범위를 이탈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위험 발생 정보를 출력하여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와 연계하여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에 전송하는 감지 수단을 구비한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 및 건설 현장은 전반적인 관리 및 감시가 용이하지 못하여, 그에 따라 각종 안전사고 발생시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관리 대상의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안전 관리자는 작업현장의 외부에 위치한 중앙관제실 또는 작업장 내부 곳곳에 배치되어 있으나, 소수의 관리자가 작업 및 건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작업상황을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특히 안전 관리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장소에서 작업하는 관리 대상자의 안전사고 발생률이 높다. 또한, 작업 및 건설 현장은 작업 공간 및 관리 대상의 수 또한 적지 않아 작업공간 및 관리 대상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행되지 못하여, 관리 비용이 증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작업 및 건설현장에서 관리 대상의 추락 및 낙하 등의 사고 발생시 관리 대상 개인이 휴대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긴급상황을 알리거나 경보를 울리는 것에 불과하여 사고 발생구역, 사고의 종류, 사고 피해자 등의 구체적인 위험 정보를 신속하게 안전 관리자에게 전달될 수 없음을 물론이며, 이에 따라 사고의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적 및 물적 재산의 피해가 가중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구비되어 관리 대상의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가 기준 범위를 이탈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를 연계하여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에 전송하는 감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작업 공간별 또는 작업자별 발생될 수 있는 추락 또는 낙하에 의한 위험상황에 관하여 안전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 현장의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구비되어, 관리 대상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가 기준범위를 이탈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위험 발생 정보를 출력하여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와 연계하여 전송하는 감지 수단; 감지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를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에 전송하고 제어하는 관제 수단; 및 감지 수단과 관제 수단 및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 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감지 수단은,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에 대한 기준범위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 감지된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 범위를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는 비교부; 및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인인증정보는 관리 대상의 신상정보 및 이력, 시간당 지급되는 수당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수단은, 전송받은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를 날짜별, 시간별로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중계 수단은, 무선랜(Wireless LAN)모듈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을 포함하여 무선랜 방식 또는 CDMA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수단은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단말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은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구비되어 관리 대상의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가 기준 범위를 이탈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를 연계하여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에 전송하는 감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작업 공간별 또는 작업자별 발생될 수 있는 추락 또는 낙하에 의한 위험상황에 관하여 안전 관리자로 하여금 신속한 정보 수신 및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피해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는 감지 수단으로부터 위험 발생 정보가 출력되면 작동되어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가 구비되어, 원거리에서도 안전 관리자가 위험 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 중계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감지 수단과 관제 수단 및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 간의 실시간 통신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의 감지 수단이 구비되는 안전모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대 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100)은 크게 안전모(110)에 구비되어 관리 대상의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감지 수단(111), 감지 수단(111)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에 전송하고 제어하는 관제 수단(130), 감지 수단(111)과 관제 수단(130) 및 휴대 수단(140) 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수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대상은 작업 및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작업자이며, 안전모의 안전 감시 시스템(100)은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용이하게 작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관리 대상 추락 또는 낙하에 대한 위험 상황을 감시 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감지 수단(111)은 관리 대상이 필히 착용해야 하는 안전모의 측면 내지는 소정의 위치에 적용될 수 있다. 감지 수단(111)은 관리 대상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감지 수단(111)은 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가 기준범위를 이탈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위험 발생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위치 신호는 GPS 위성의 위치 신호를 받는 센서에 의해 작업 공간명, 작업 공간 위치가 감지될 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진동 신호는 가속도, 중력 등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관리 대상의 추락 및 낙하를 감지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감지 수단(111)은 데이터베이스부(112), 비교부(113), 판단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12)는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에 대한 기준 범위가 저장되어 있다. 비교부(113)는 감지된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 범위를 데이터베이스부(112)에 저장된 기준 범위와 비교한다. 판단부(114)는 비교부(113)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험 상황이 발생 되었음을 판단하여 위험 발생 정보 신호를 출력한다.
즉, 감지 수단(111)은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하나 이상이 기준범위를 이탈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위험 발생 정보를 출력하여 관리 대상별 구별 가능한 독립된 본인인증정보를 연계하여 관제 수단(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인인증정보는 관리 대상의 신상정보 및 이력, 시간당 지급되는 수당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100)의 측면 내지는 소정의 위치에 카메라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부(115)는 감지 수단으로부터 위험 발생 정보가 출력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관제 수단(130)에 전송한다. 이때, 카메라부(115)에는 위험 발생 정보의 출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도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관제 수단(130)은 감지 수단(111)으로부터 전송받은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를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140)에 전송하고 제어한다. 그리고 관제 수단(130)은 카메라부(115)로부터 전송받은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140)에 전송하고 제어한다. 이때, 관제 수단(140) 은 저장부(141)를 포함하여, 감지 수단(111)으로부터 전송받은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를 날짜별, 시간별로 각각 구분하여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관리자는 작업현장의 외부에 위치한 중앙관제실 또는 작업장 내부 곳곳에 배치되어 관리 대상의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140)은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단말기는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 및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이를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도면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안전 관리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특정 장소 또는 특정 관리 대상의 위험 상황에 대한 신속한 인지 및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때, 단말기는 PDA 또는 핸드폰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하다.
중계 수단(120)은 감지 수단(111)과 관제 수단(130) 및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140)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한다. 이때, 중계 수단(120)은 무선랜(Wireless LAN)모듈 및 여러 사용자가 시간과 주파수를 공유하면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을 포함하여 무선랜 방식 또는 CDMA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중계 수단(120)이 무선랜 또는 CDMA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 즉,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 전환을 시도함에 따라 통신 장애에 관한 신속한 극복이 가능하 다. 또한, 중계 수단(120)의 무선랜 모듈 및 CDMA 모듈은 통신 연결을 복수회 반복하여도 통신장애가 복구되지 않는 경우를 위해 자동 리셋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100)은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구비되어 관리 대상의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가 기준 범위를 이탈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를 연계하여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에 전송하는 감지 수단(111)을 구비함으로써, 작업 공간별 또는 작업자별 발생될 수 있는 추락 또는 낙하에 의한 위험상황에 관하여 안전 관리자로 하여금 신속한 정보 수신 및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피해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100)에는 위험 발생 정보가 출력되면 작동되어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115)가 구비되어, 원거리에서도 안전 관리자가 위험 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 중계 수단(120)을 구비함에 따라 감지 수단(111)과 관제 수단(130) 및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140) 간의 실시간 통신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 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의 감지 수단이 구비되는 안전모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1 : 감지 수단 115 : 카메라
120 : 중계 수단 130 : 관제 수단
140 :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

Claims (9)

  1. 작업 현장의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구비되어, 관리 대상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신호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구비되어, 관리 대상의 움직임에 의한 진동 신호를 감지하는 진동센서;
    위치센서 및 진동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가 기준범위를 이탈하였을 경우 이에 대한 위험 발생 정보를 출력하여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와 연계하여 전송하는 감지 수단; 및
    감지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를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에 전송하고 제어하는 관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감지 수단은,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에 대한 기준범위 및 본인인증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
    감지된 위치 신호 및 진동 신호 범위를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는 비교부; 및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위험 발생 정보를 출력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본인인증정보는 관리 대상의 신상정보 및 이력, 시간당 지급되는 수당에 관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관제 수단은, 전송받은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를 날짜별, 시간별로 저장하는 저장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감지 수단과 관제 수단 및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 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중계 수단은, 무선랜(Wireless LAN)모듈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을 포함하여 무선랜 방식 또는 CDMA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휴대 수단은 위험 발생 정보와 관리 대상의 본인인증정보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PDA 또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안전모에는 감지 수단으로부터 위험 발생 정보가 출력되면 작동되어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관리 대상의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은 관제 수단으 로 전송되고 이는 다시 안전 관리자의 휴대 수단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1020090099652A 2009-10-20 2009-10-20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101070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52A KR101070715B1 (ko) 2009-10-20 2009-10-20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52A KR101070715B1 (ko) 2009-10-20 2009-10-20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12A KR20110042812A (ko) 2011-04-27
KR101070715B1 true KR101070715B1 (ko) 2011-10-07

Family

ID=4404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652A KR101070715B1 (ko) 2009-10-20 2009-10-20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7537A (zh) * 2012-04-28 2013-10-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上空坠物预警系统及方法
KR101482000B1 (ko) * 2013-09-10 2015-01-15 주식회사 바이로봇 휴대용 이탈방지장치
KR101388984B1 (ko) * 2013-10-01 2014-04-25 (주) 엔텍코아 인명 구조용 경보 시스템
US10769925B2 (en) * 2015-12-30 2020-09-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nic fall event communication system
CN109035691A (zh) * 2018-08-23 2018-12-18 温州市经略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危险区监控系统
KR102104485B1 (ko) * 2018-10-30 2020-04-24 (주)오픈웍스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88457B1 (ko) * 2018-12-17 2020-03-12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3축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CN115331390A (zh) * 2022-08-19 2022-11-1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作业人员安全预警方法、系统及智能安全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144B1 (ko) * 2005-05-30 2007-07-18 삼성물산 주식회사 Rfid태그 부착 안전모를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KR100788886B1 (ko) * 2006-11-09 2007-12-27 주식회사 제이캐스트 와이맥스 및 와이파이 전송기술을 이용한 공공안전재난구조 통신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144B1 (ko) * 2005-05-30 2007-07-18 삼성물산 주식회사 Rfid태그 부착 안전모를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KR100788886B1 (ko) * 2006-11-09 2007-12-27 주식회사 제이캐스트 와이맥스 및 와이파이 전송기술을 이용한 공공안전재난구조 통신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12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715B1 (ko)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101910480B1 (ko) IoT 전용망 기반 밀폐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US8212211B2 (en) System for protecting and/or guiding persons in dangerous situations
KR101196802B1 (ko)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101212630B1 (ko)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KR200414008Y1 (ko)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40829B1 (ko)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2048A (ko) 비콘을 이용한 건설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WO2021177183A1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系统
KR101396459B1 (ko)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KR20210043060A (ko) 고소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61845A (ko)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금고 동작 감시 시스템
KR101843650B1 (ko)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4940160B2 (ja) 移動ロボット
JP6144897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機検出プログラム
KR10160820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현장 감시 방법 및 장치
KR101377706B1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JP5411744B2 (ja) 警備システム
WO2022266092A1 (en) Keep out zone system
WO2000068908A1 (en) Surveillance system
KR20070088242A (ko) 설비의 상태 및 이벤트의 실시간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14959A (ko)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